1. 개요
血管 / Blood vessel폐쇄혈관계를 가진 인간과 동물의 혈액을 각 장기 및 조직 사이를 순환시키는 통로. 여기를 통해 각종물질, 영양분과 산소가 공급된다. 그리고 혈압을 유지하는 데에 부분적으로 관여하기도 한다. 그 외에도 체내의 생리적 변화를 감지해 여러 기관의 기능을 제어하고 조율하는 역할을 한다.
2. 구조
크게 정맥, 동맥, 모세혈관으로 나뉜다. '동맥'은 '허파'를 거쳐 산소가 풍부해진 혈액을, '좌심실'을 통해 온몸의 조직으로 전달하고 '세동맥'으로 갈라진다. '모세혈관'은 세동맥과 세정맥 사이를 연결하는 가느다란 혈관, '정맥'은 조직에서 사용된 혈액을 다시 심장으로 모이게 하는 혈관이다. 왼심실과 연결되는 대동맥부터 온몸으로 주요 동맥이 분지되고, 동맥들은 다시 세동맥으로 분지한 후 모세혈관으로 이어져 조직에 산소, 영양분을 공급하게 된다. 산소 농도가 낮은 혈액은 다시 세정맥을 거쳐 정맥으로 합쳐진 후 위대정맥(상대정맥), 아래대정맥(하대정맥)을 통해 심장으로 되돌아간다.[예외]보통 혈액은 '심장'→'동맥'→'모세혈관'→'정맥'→'심장'의 순으로 순환하며 심장에서 나온 혈액은 모세혈관을 단 한 번 거친다. 여기에서 예외로 모세혈관이 모여 큰 혈관이 된 이후 다시 모세혈관으로 갈라지는 곳이 있다. 이를 '문맥'이라고 부른다.
- 간문맥계: 창자에 분포하는 모세혈관은 장에서 흡수한 영양분을 품은 뒤 문맥을 이루어 간으로 흘러들어간다. 간에서는 문맥이 품고 있는 영양소를 저장, 처리하거나 유독 물질을 무독화시킨다. 간문맥에 흐르는 혈액은 정맥혈이라 영양소는 풍부하지만 산소가 부족해 간이 문맥혈만으로 작동하기는 힘들다. 이 때문에 간은 대동맥에서 직통으로 가지를 친 간동맥으로부터 풍부한 산소를 공급받는다.
- 신문맥계: 콩팥은 신동맥으로부터 동맥혈을 공급받는다. 신동맥혈은 신소체의 모세혈관으로 흘러들어가 혈액 성분을 여과하는 동시에 신장에 산소를 공급해준다. 이후 문맥으로 합쳐진 혈액은 다시 요세관의 모세혈관으로 흘러들어가 필요한 성분을 재흡수한다. 이러한 과정을 거친 혈액은 신정맥을 통해 심장으로 돌아간다.
- 하수체 문맥계
절지동물 등 개방혈관계를 가진 케이스를 제외하고는 혈액은 항상 혈관에서만 흘러야 하는데, 부상 등의 이유로 혈관 밖으로 혈액이 나오면 출혈이 된다.
3. 형성
혈관의 형성은 Angiogenic activity. 즉 '혈관 형성 작용'에 의해 조절되는데, 이 작용에 있어 가장 중요한 단백질은 Laminin과 Osteopotin이라는 단백질들이다. Laminin은 a1 chain에 존재하는 Hexapeptide(LAM)의 작용을 통해 상피세포의 부착, 이동, (조직내)침투를 조절하며, Osteopontin은 162-168 아미노산으로 구성된 Heptapeptide(OPN)은[2] 혈구의 형성을 조절한다.[3]4. 기타
한때 사람의 몸에 퍼져 있는 혈관의 총 길이는 10만 킬로미터라고 알려져 있었다. 즉, 전부 펼쳐놓으면 지구를 두 바퀴 반이나 감을 수 있다는 것. 하지만 이 혈관 10만 km 설은 1922년에 한 박물학자의 불확실한 추정이 엄밀한 과학적 검증없이 잘못된 상식으로 널리 퍼진 것이고 2020년 연구논문[4]에 의한 보다 현대적인 추정값은 "9,000km ~ 19,000 km" 정도로 10만 km 의 1/10-1/5 밖에 되지 않는다. [5] 즉 "지구를 1/4 - 반 바퀴" 돌 정도이다.혈관이 찾기 어렵거나 작거나 약한 상태를 흔히 '혈관이 가늘다'고들 한다. 특히 건강검진 및 헌혈 시 혈관이 수축하게 되면 혈관을 찾기도 힘들고, 혈관에 바늘을 삽입하는 것도 힘들고, 혈액의 흐름이 느려지면 헌혈을 할 때 채혈의 시간이 오래 걸리게 된다.
혈관을 크고 강한 상태로 만들기 위한 방법
|
건강검진 및 헌혈 전에는 몸이 따뜻하게 느껴질 정도로 옷을 차려 입고 가고, 미리 도착하여 따뜻한 물을 한 잔 마시면 좋다.
가족관계, 혈연 관계를 말할 때 흔히 핏줄이라는 말이 많이 쓰인다.
5. 관련 문서
[예외] 단 탯줄 같은 예외의 경우도 있다.[2] Integrin를 활성화시킨다.[3] 이 외에도 VEGF(QK) 등 다양한 단백질들이 혈관 형성 작용은 유도한다. 여전히 연구할 주제가 많은 분야.[4] August Krogh: Muscle capillary function and oxygen delivery DOI: 10.1016/j.cbpa.2020.110852[5] https://www.youtube.com/watch?v=bgo7rm5Maqg[6] 특히 헌혈 전후 1시간 이내에는 금주 및 금연을 해야 된다.[7] 대부분의 상체 운동이 손을 이용하기 때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