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2-06 18:21:13

하남시 갑

파일:관련 문서 아이콘.svg   관련 문서: 하남시/정치
, 하남시 을
,
,
,
,

파일:경기도 휘장_White.svg 경기도 제22대 국회의원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수원 갑 수원 을 수원 병 수원 정
김승원 백혜련 김영진 김준혁
수원 무
염태영 김태년 이수진 안철수
김은혜 박지혜 이재강 강득구
부천 갑 부천 을
민병덕 이재정 서영석 김기표
부천 병 광명 갑 광명 을 평택 갑
이건태 임오경 김남희 홍기원
평택 을 평택 병
이병진 김현정 정성호 김성원
고양 갑
양문석 김현 박해철 김성회
고양 을 고양 병 고양 정
한준호 이기헌 김영환 이소영
구리
윤호중 최민희 김병주 김용민
오산 시흥 갑 시흥 을 군포
차지호 문정복 조정식 이학영
하남 갑 하남 을 용인 갑 용인 을
추미애 김용만 이상식 손명수
용인 병 용인 정 파주 갑 파주 을
부승찬 이언주 윤후덕 박정
이천 안성 김포 갑 김포 을
송석준 윤종군 김주영 박상혁
화성 갑 화성 을 화성 병 화성 정
송옥주 이준석 권칠승 전용기
광주 갑 광주 을
소병훈 안태준 김용태 김선교
}}}
비례 · 서울 · 부산 · 대구 · 인천 · 광주 · 대전 · 울산 · 세종
경기 · 강원 · 충북 · 충남 · 전북 · 전남 · 경북 · 경남 · 제주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국회선거구
{{{#!wiki style="margin: -5px -10px; display: inline-table"'
<tablebordercolor=#580009><tablebgcolor=#580009> 파일:국회휘장.svg
하남시 갑
천현동, 신장동, 덕풍1동, 덕풍2동 등
河南市 甲
Hanam A
}}}
<nopad> 파일:국회선거구 하남시 갑.svg
<colbgcolor=#580009><colcolor=#fff> 선거인 수 144,860명 (2024)
상위 행정구역 경기도 하남시
관할 구역
[ 펼치기 · 접기 ]
하남시 일부
천현동, 신장1동, 신장2동, 덕풍1동, 덕풍2동, 감북동, 감일동, 위례동, 춘궁동, 초이동
신설년도 2024년
이전 선거구 하남시
국회의원
파일:zsdkl3gasdg.svg
추미애

1. 개요2. 특징3. 역대 국회의원 목록
[clearfix]

1. 개요

2024년 제22대 국회의원 선거부터 신설된 지역구이다. 현재 이 선거구의 국회의원은 헌정 사상 여성 최초 6선 고지에 오른 더불어민주당 추미애 의원이다.[1]

하남시는 감일공공주택지구, 위례신도시, 미사공공주택지구 등의 신도시 입주에 따라 인구가 지속적으로 증가했고 21대 총선 때 인구 상한선에 살짝 못 미쳐 간신히 선거구가 유지되었다가 22대 총선에 이르러서야 의석이 2석으로 증가하게 되었다.

이에 따라 하남시 선거구에서 위례신도시 + 감일공공주택지구 + 원도심 지역이 하남시 갑 선거구로 분리 신설되었다.

2. 특징

2020년 21대 총선[2]과 2022년 20대 대선 모두 보수정당이 우위를 점했을 정도로, 서울 위성도시들 중 몇 없는 전통적인 보수 우세 지역구였다.

하지만 2년후에 치러진 22대 총선에서는 윤석열 정부의 실정으로 인한 피로감이 거세져 민주당 추미애 후보가 1.17%p 격차로 신승하는 결과가 드러나며, 양당의 새로운 경합지로 변모하였다.

지역별로 보면 감일공공주택지구의 강한 민주당계 정당 지지세와 원도심 및 위례신도시보수정당 지지세가 강하게 대립하는 구도이며, 지역구 내 최대표밭인 신장2동에서 보수정당 후보가 얼마나 격차를 벌리느냐가 당락을 가른다고 볼 수 있다. 사실 감일지구와 위례신도시는 평균 연령대는 거의 같지만, 위례동은 부동산 가격이 더 높은 민간분양 중대형평형 단지들이 주를 이루기 때문에 정치성향은 정반대이다.

실제로 22대 총선 기준 비례, 지역구 모두 두 지역간의 표심은 20%p 안팎의 큰 격차를 보였다. 그리고 위례동 안에서도 먼저 개발된 남부가 북부에 비해 보수세가 훨씬 뚜렷한 편. 또 북부는 남부와 달리 공공분양 소형평형 단지가 다수 존재한다는 것도 상대적으로 낮은 보수세의 원인이다.

향후 3기 신도시인 교산신도시가 입주하면 아파트 가격이나 임대-분양 비율 등의 변수에 따라 다소 변화가 있을 것으로 전망되는 곳이기도 하다.

중부고속도로 연선에서 볼 수 있는 최초의 선거구이다.

3. 역대 국회의원 목록

<rowcolor=#fff> 총선 당선인 당적 임기
제22대 추미애
파일:zsdkl3gasdg.svg
2024년 5월 30일 ~ 2028년 5월 29일

3.1. 제22대 국회의원 선거

하남시 갑
천현동, 신장1동, 신장2동, 덕풍1동, 덕풍2동,
감북동, 감일동, 위례동, 춘궁동, 초이동
기호 이름 득표수 순위
정당 득표율 비고
1 추미애(秋美愛) 51,428 1위

파일:zsdkl3gasdg.svg
50.58% 당선
2 이용(李鏞) 50,229 2위


파일:국민의힘 흰색 로고타입.svg
49.41% 낙선
7 주옥순(朱玉順) 사퇴[3]

[[자유통일당|
파일:자유통일당 로고타입.svg
]]
선거인 수 144,860 투표율
70.86%
투표 수 102,646
무효표 수 989
||<-5><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152484><tablebgcolor=#fff,#191919><bgcolor=#152484> 22대 총선 경기 하남시 갑 개표 결과 ||
<colbgcolor=#eee,#353535> 정당 더불어민주당 국민의힘 격차
(1위/2위)
투표율
(선거인/표수)
후보 추미애 이용
득표수
(득표율)
51,428
(50.58%)
50,229
(49.41%)
+1,199
(△1.17)
102,646
(70.86%)
천현동 40.37% 59.62% ▼19.25 60.06
신장1동 49.73% 50.26% ▼0.53[4] 65.73
신장2동 47.00% 52.99% ▼5.99 68.30
덕풍1동 49.47% 50.52% ▼1.05[5] 67.05
덕풍2동 49.54% 50.45% ▼0.91[6] 62.79
감북동 44.16% 55.83% ▼11.67 67.90
감일동 57.17% 42.82% △14.35 69.63
위례동 47.45% 52.54% ▼5.11 70.52
춘궁동 41.36% 58.63% ▼17.27 69.09
초이동 39.90% 60.09% ▼20.19 62.56
후보 추미애 이용 격차
거소·선상투표 34.46% 65.53% ▼31.07
관외사전투표 58.01% 41.98% △16.03
재외투표 66.57% 33.42% △33.15
파일:지상파 방송3사 출구조사 로고.svg
하남시 갑 출구조사 결과
<colbgcolor=#eee,#353535> 후보 추미애 이용 격차
전체 55.7% 44.3% 11.4%p
선거 벽보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letter-spacing: -1px"
파일:22대 총선 추미애 벽보.jpg 파일:22대 총선 이용 벽보.jpg }}}}}}}}}
하남시 단일 선거구 시절 현역이었던 더불어민주당 최종윤 의원은 불출마를 선언하였다.# 일찍부터 선거구 분구가 확실시되었기에 양당 모두 다수 예비 후보가 활동하였다.

더불어민주당에서는 기존 예비 후보들을 모두 컷오프하고 하남시 갑 선거구와 하남시 을 선거구 모두 전략공천하였다. 상대적으로 험지인 이 선거구에는 서울 광진구 을에서 5선을 지낸 추미애법무부장관을 공천하였다.#

국민의힘제21대 총선 하남시 단일 지역구 시절 출마했던 이창근서울특별시 대변인이 이번에 이 지역구를 노렸고 여론조사에서도 앞서는 결과가 나왔으나 하남시 을 지역구로 이동해 출마하게 되었다.#

이에 따라 지난 총선에서 무소속으로 광명시 을 선거구에 출마하였고 2022년 3월 재보궐선거 당시 청주시 상당구 지역구에 국민의힘 예비후보로 등록하기도 했던 김기윤 변호사, 윤완채한나라당 하남시장 후보, 이용 전 의원이 경선을 치렀다. 경선 결과 이용 전 의원이 공천을 받게 되었다.#

자유통일당은 2024년 3월 22일 주옥순 대한민국 엄마 부대 대표가 이곳에 전략공천된 더불어민주당 추미애 후보를 심판하겠다며 출마를 선언하고 후보 등록을 하였다. 하지만 2024년 4월 2일에 국민의힘 이용 후보 지지 및 후보 단일화를 선언하며 후보직을 사퇴했다.

개표 결과 막판까지 순위가 바뀌는 상황이 이어지다가 마지막 사전투표함이 열리고 나서인 새벽 2시 40분 정도가 되어서야 더불어민주당 추미애 후보의 당선이 유력해졌다. 최종적으로는 더불어민주당 추미애 후보가 1.17%p 차로 국민의힘 이용 후보를 꺾고 당선을 확정지었다. 이로써 더불어민주당 추미애 의원은 사상 첫 여성 6선 고지에 오르게 되었다.

더불어민주당 추미애 당선인은 위례신도시와 원도심이 속한 9개 동에서 이 후보에게 모두 패했지만, 감일공공주택지구가 있어 선거인수가 지역구 내에서 두 번째로 많은 감일동 1곳에서만 유일하게 무려 2,627표 차이로 초압승하였고, 관외사전투표에서도 타 동에서의 열세를 뒤집을 만큼 압도적인 격차(2,257표)로 승리하면서 접전끝에 승리를 거머쥘 수 있었다.[7]

국민의힘 이용 후보 입장에서는 20대 대선 당시 14.56%p 차이로 크게 앞섰던 위례동에서의 격차가 이번에는 신장2동보다도 낮은 5.11%p까지 하락한 것이 상당히 뼈아픈 패벼였다.

이 선거에서 승리한 추미애 의원은 제22대 국회 단독 과반을 차지한 더불어민주당 내에서 조정식 의원과 함께 최다선 (6선) 의원이 되었기 때문에 국회의장 후보로 유력하게 거론되었다.[8]

[1] 원 지역구는 서울 광진구 을이였는데, 거기서 무려 5선 의원을 지냈다.[2] 당시 컷오프 불복으로 미래통합당 탈당 후, 무소속으로 출마한 이현재 후보 표 합산 시[3] 국민의힘 이용 후보 지지[4]25표 차이였다.[5]82표 차이였다.[6]84표 차이였다.[7] 특이하게도 감일동의 더불어민주당 추미애 후보 득표율과 더불어민주연합 & 조국혁신당 비례투표 합계 득표율이 57.17%로 정확히 똑같았다. 표 숫자로 따지면 더불어민주당 추미애 후보가 265표를 더 얻었다.[8] 다만 인물 문서에도 나오지만, 강경 성향으로 인한 반발('국회가 정쟁의 장으로 번질 수 있다.'라는 우려)이 재선 이상 의원들로부터 많이 나와 제22대 국회 전반기 국회의장은 5선 우원식 의원이 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