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1-09 21:44:30

하이삼 빈 타리크 알사이드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0 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B70000, #db161b 20%, #db161b 80%, #B70000); color: #ffffff; min-height: 31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rowcolor=#fff> 초대 제2대 제3대 제4대
아흐마드 빈 사이드 사이드 빈 아흐마드 하마드 빈 사이드 술탄 빈 아흐마드
<rowcolor=#fff> 제5대 제6대 제7대 제8대
살림 빈 술탄 사이드 빈 술탄 수와이니 빈 사이드 살림 빈 수와이니
<rowcolor=#fff> 제9대 제10대 제11대 제12대
아잔 빈 카이스 투르키 빈 사이드 파이잘 빈 투르키 타이무르 빈 파이잘
<rowcolor=#fff> 제13대 제14대 제15대
사이드 빈 타이무르 카부스 빈 사이드 하이삼 빈 타리크 빈 타이무르
}}}}}}}}} ||
<colbgcolor=#db161b><colcolor=#fff>
오만 제15대 술탄
하이삼 빈 타리크 알 사이드
هَيْثَم بْن طَارِق آل سَعِيد
HRH[1] Haitham bin Tariq Al Said
파일:하이삼 빈 타리크 알사이드.jpg
출생 1955년 10월 11일([age(1955-10-11)]세)
무스카트·오만 술탄국 무스카트
재임기간 제15대 술탄, 국무총리·국방부 장관
2020년 1월 11일 ~ 현직
문화유적부 장관
2002년 3월 ~ 2020년 3월 1일
외교부 장관·재정부 장관
2020년 1월 11일 ~ 2020년 8월 18일
링크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db161b><colcolor=#fff> 부모 사이드 타리크 빈 타이무르
샤와나 빈 하무드 빈 아흐마드 알 부사이디야
배우자 아하드 빈 압둘라 빈 하마드 알 부사이디야(1989년 결혼)
자녀 사이드 테야잔 빈 하이삼 알사이드 외 5명
종교 이슬람교(이바디파)
}}}}}}}}} ||
1. 개요2. 생애3. 즉위4. 재위5. 둘러보기
[clearfix]

1. 개요

오만의 현 술탄이자 총리·국방장관. 문화유적부 장관·재정부 장관·외무부 장관을 역임했다.

2. 생애

1954년 전 술탄 카부스 빈 사이드의 숙부인 타리크 빈 타이무르의 아들로 태어났다. 1979년 영국 옥스포드 대학을 졸업했고 스포츠 애호가로서 1980년대 초대 오만 축구협회장을 역임했다. 술탄 카부스를 지지했으며 왕족들이 정부의 고위직을 차지하는 중동 전제군주제의 관례에 따라 오만 외교부 차관을 역임하고 2002년에는 문화유적부 장관으로 임명되었다.

3. 즉위

2020년 1월 술탄이었던 카부스 빈 사이드가 사망하였다. 카부스에겐 자녀도 형제도 없었기 때문에 사촌인 하이삼에게 술탄 자리가 인계되었다.

오만 헌법 6조에 '술탄 유고 시 국방평의회, 최고법원 원장, 양대 협의기구의 수장들이 모인 자리에서 술탄이 후계자를 적어 넣어둔 봉투를 열어 그 지명자를 새 술탄으로 정한다'는 규정이 있다. 카부스 역시 누구라고는 안 했지만 1997년 인터뷰에서 '후계자 이름을 적어 봉인해두었다'고 밝힌 바 있다. 오만 헌법 6조에 따라 봉투를 개봉하는 것은 후임 술탄을 지명하는 왕족회의가 합의에 이르지 못했을 때 발생하는 일이지만, 오만 국영방송 보도에 의하면 왕족회의도 봉투의 내용을 따르는 데 합의했기 때문에 그냥 개봉했고, 거기에 적혀있던 대로 하이삼이 다음 술탄으로 즉위하게 되었다. 카부스가 겸직하고 있던 국무총리·재무장관·국방장관·외무장관 직위까지 승계했음은 물론이다.

4. 재위

즉위 직후 국영 TV로 방영된 첫 공개연설에서 "우리는 작고한 술탄의 길을 따르겠다"며 "우리나라의 외교정책은 다른 국가, 국민과 평화롭게 사는 것. 우리는 외국의 내정에 간섭하지 않고 국가 주권과 국제협력을 존중한다"고 말했다. 오만은 수니파시아파도 아닌 이바디파가 주류인 국가로서 사우디아라비아-이란 분쟁에서도 수니파인 사우디와 시아파인 이란 어느 편도 들지 않아서 2017년 6월 사우디, 아랍에미리트, 바레인 등이 이란의 편을 든 카타르와 단교했을 때도 특별한 반응을 보이지 않았고[2] 2015년 이란 핵합의에서 미국과 이란을 중재했으며 사우디아라비아와 후티의 협상 장소를 제공하는 등의 외교적 행보로 인해 중동의 스위스라는 별칭을 얻기도 했다. 그의 발언은 이런 오만의 외교적 중립 노선과 중재자 역할을 계속하겠다는 의지로 해석된다.

2021년 1월에 체육부 장관인 장남 테야진 빈 하이삼 알사이드를 태자로 책봉할 것이라고 선언했다. #

5.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세이소 왕조
빌럼알렉산더르 하랄 5세 프레데리크 10세 레치에 3세
테멩공 가문
앙리 한스아담 2세 이브라힘 이스칸다르 알베르 2세
모하메드 6세 하마드 빈 이사 알할리파 프란치스코 필리프
볼키아 왕조
지그메 케사르 남기엘 왕축 하사날 볼키아 살만 빈 압둘아지즈 알사우드 칼 16세 구스타프
펠리페 6세 무함마드 빈 자이드 알나얀 조안엔리크 비베스 이 시실리아 에마뉘엘 마크롱
들라미니 왕조
음스와티 3세 찰스 3세 하이삼 빈 타리크 알사이드
노로돔 왕조
압둘라 2세 나루히토 타밈 빈 하마드 알사니 노로돔 시아모니
미샬 알아흐마드 알자베르 알사바 라마 10세 투포우 6세
왕위 계승자 · 대통령 및 총통 · 공산국가 지도부
총리 및 수상
}}}}}}}}}

[1] His Royal Highness / صاحب السمو الملكي الأمير[2] 겉으로는 중립을 표방했으나 실질적으로 카타르를 지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