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1-26 04:04:27

1990 FIFA 월드컵 이탈리아/E조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1990 FIFA 월드컵 이탈리아
파일:1990 FIFA 월드컵 이탈리아 로고.svg
1990 FIFA 월드컵 이탈리아
{{{#!wiki style="color: #ffffff; margin: 0 -10px -5px; min-height: 27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color:#181818"
<colbgcolor=#009865><colcolor=#ffffff>
조별리그
A조 B조 C조 D조 E조 F조
대한민국 경기 (E조)
벨기에전 (1차전) · 스페인전 (2차전) · 우루과이전 (3차전)
결선
토너먼트
16강 8강 준결승
3PO
결승 }}}}}}}}}

1. 개요
1.1. 1경기: 벨기에 2 : 0 대한민국1.2. 2경기: 우루과이 0 : 0 스페인1.3. 3경기: 벨기에 3 : 1 우루과이1.4. 4경기: 대한민국 1 : 3 스페인1.5. 5-1경기: 스페인 2 : 1 벨기에1.6. 5-2경기: 대한민국 0 : 1 우루과이
2. 이후

[clearfix]

1. 개요

경기 시간은 UTC+1 시간대.
순위 국가 경기수 득점 실점 득실차 승점
1 파일:스페인 국기.svg 스페인 3 2 1 0 5 2 +3 5
2 파일:벨기에 국기.svg 벨기에 3 2 0 1 6 3 +3 4
3 파일:우루과이 국기.svg 우루과이 3 1 1 1 2 3 -1 3
4 파일:대한민국 국기 (검은색 테두리).svg 대한민국 3 0 0 3 1 6 -5 0
16강 진출 | 탈락

1.1. 1경기: 벨기에 2 : 0 대한민국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width=100%><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e6002d> 파일: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svg 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
FIFA 월드컵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rowcolor=#ffffff> 대회 대표팀 FIFA 월드컵 본선 경기
김용식호[1] 헝가리 · 터키[16위]
김정남호[2] 아르헨티나 · 불가리아 · 이탈리아[20위]
이회택호 벨기에 · 스페인 · 우루과이[22위]
김호호 스페인 · 볼리비아 · 독일[20위]
차범근호[3] 멕시코 · 네덜란드 · 벨기에[30위]
히딩크호 폴란드 · 미국 · 포르투갈 · 이탈리아 · 스페인 · 독일 · 터키[4위]
아드보카트호 토고 · 프랑스 · 스위스[17위]
허정무호 그리스 · 아르헨티나 · 나이지리아 · 우루과이[15위]
홍명보호 러시아 · 알제리 · 벨기에[27위]
신태용호 스웨덴 · 멕시코 · 독일[19위]
벤투호 우루과이 · 가나 · 포르투갈 · 브라질[16위]
[4][5]
{{{-2 {{{#!folding
[1] 1954년 스위스 월드컵 ~ 1978년 아르헨티나 월드컵은 16개국 본선 진출 대회였다. (16강 조별리그)[2] 1982년 스페인 월드컵 ~ 1994년 미국 월드컵은 24개국 본선 진출 대회였다. (24강 조별리그)[3] 1998년 프랑스 월드컵 ~ 2022년 카타르 월드컵은 32개국 본선 진출 대회였다. (32강 조별리그)[4] 2026 FIFA 월드컵부터 48개국 본선으로 확대되었다. (48강 조별리그)[5] 홍명보 감독이 2026년까지 사퇴 혹은 경질을 당하지 않는 이상 홍명보호가 될 예정이다.
}}}}}}}}}
파일:1990 FIFA 월드컵 이탈리아 로고.svg
1990 FIFA 월드컵 이탈리아 E조 1경기
1990년 6월 12일 화요일 17:00 (UTC+1)
스타디오 마르칸토니오 벤테고디 (이탈리아, 베로나)
주심: 파일:UEFA USA.png 빈센트 마우로
관중: 32,790명
파일:Belgium KBVB 1986.png
2 : 0
파일:대한민국 국기 (검은색 테두리).svg
파일:UEFA KOR.png 대한민국
53' 마르크 데흐리서
64' 미셸 더 볼프
파일:득점 아이콘.svg -
경기 하이라이트 | 매치 리포트
전반전 경기가 시작하고나서는, 완전히 벨기에가 한국을 압도했다고 봐도 무방했다. 당시 그 전 대회인 1986년 FIFA 멕시코 월드컵 4강팀 벨기에에 맞서 한국은 그저 공격을 막고 간간히 역습하는게 다였다. 전반전 슈팅도 7:0으로, 기죽어있던 상황에 후반전이 시작됐고 벨기에는 후반 8분 마르크 데흐리서가 대한민국의 왼쪽 진영에서 볼을 잡았었는데 갑자기 대한민국의 골키퍼 최인영이 골대를 비우고 나오면서 최인영의 키를 훨씬 넘기는 칩슛을 찼고 결국 그 슛이 위로 크게 떴다가 내려가면서 그대로 골대로 빨려들어가는 바람에 1:0으로 벨기에가 앞서갔다. 후반 19분 홍명보의 한국 진영에서의 땅볼 패스를 가로채 벨기에의 미셸 더 볼프가 강력한 중거리슛으로 골을 넣으며 승부의 쐐기를 박아버렸고 결국 2:0으로 벨기에가 이겼다.

1.2. 2경기: 우루과이 0 : 0 스페인

파일:1990 FIFA 월드컵 이탈리아 로고.svg
1990 FIFA 월드컵 이탈리아 E조 2경기
1990. 06. 13. (수) 17:00 (UTC+1)
스타디오 프리울리 (이탈리아, 우디네)
주심: 파일:UEFA AUT.png 헬무트 콜
파일:Uruguay AUF 1970.png
0 : 0 파일:Spain RFEF 1982.png
파일:UEFA ESP.png 스페인
- 득점자 -
관중: 35,713명

1.3. 3경기: 벨기에 3 : 1 우루과이

파일:1990 FIFA 월드컵 이탈리아 로고.svg
1990 FIFA 월드컵 이탈리아 E조 3경기
1990. 06. 17. (일) 21:00 (UTC+1)
스타디오 마르칸토니오 벤테고디 (이탈리아, 베로나)
주심: 파일:UEFA GDR.png 지크프리트 키르센
파일:Belgium KBVB 1986.png
3 : 1
파일:Uruguay AUF 1970.png
16' 레이 클레이스터르스
22' 엔조 시포
48' 얀 쾰레만스 (FK)
득점자 74' 파블로 벤고에체아
관중: 33,759명
벨기에는 전반 16분 클레이스터르스가 선제골을 넣으며 1:0로 앞서갔고 6분 뒤에 엔조 시포가 강력한 중거리슛으로 골을 넣으며 점수를 2:0로 벌렸다. 후반 3분에 쾰레만스가 골을 넣으며 3:0로 점수를 더 벌리면서 사실상 승부의 쐐기를 박아버렸다. 우루과이는 후반 29분 벤고에체아가 만회골을 넣었으나 승부를 뒤집지는 못하고 벨기에가 3:1로 이기며 E조에서 가장 먼저 16강 진출을 확정지었다. 우루과이는 벨기에한테 충격적인 완패를 당하면서 성적이 1무 1패가 되면서 다음 경기인 대한민국과의 경기에서 반드시 이겨야 16강 진출이 가능하게 되었다.

1.4. 4경기: 대한민국 1 : 3 스페인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width=100%><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e6002d> 파일: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svg 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
FIFA 월드컵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rowcolor=#ffffff> 대회 대표팀 FIFA 월드컵 본선 경기
김용식호[1] 헝가리 · 터키[16위]
김정남호[2] 아르헨티나 · 불가리아 · 이탈리아[20위]
이회택호 벨기에 · 스페인 · 우루과이[22위]
김호호 스페인 · 볼리비아 · 독일[20위]
차범근호[3] 멕시코 · 네덜란드 · 벨기에[30위]
히딩크호 폴란드 · 미국 · 포르투갈 · 이탈리아 · 스페인 · 독일 · 터키[4위]
아드보카트호 토고 · 프랑스 · 스위스[17위]
허정무호 그리스 · 아르헨티나 · 나이지리아 · 우루과이[15위]
홍명보호 러시아 · 알제리 · 벨기에[27위]
신태용호 스웨덴 · 멕시코 · 독일[19위]
벤투호 우루과이 · 가나 · 포르투갈 · 브라질[16위]
[4][5]
{{{-2 {{{#!folding
[1] 1954년 스위스 월드컵 ~ 1978년 아르헨티나 월드컵은 16개국 본선 진출 대회였다. (16강 조별리그)[2] 1982년 스페인 월드컵 ~ 1994년 미국 월드컵은 24개국 본선 진출 대회였다. (24강 조별리그)[3] 1998년 프랑스 월드컵 ~ 2022년 카타르 월드컵은 32개국 본선 진출 대회였다. (32강 조별리그)[4] 2026 FIFA 월드컵부터 48개국 본선으로 확대되었다. (48강 조별리그)[5] 홍명보 감독이 2026년까지 사퇴 혹은 경질을 당하지 않는 이상 홍명보호가 될 예정이다.
}}}}}}}}}
파일:1990 FIFA 월드컵 이탈리아 로고.svg
1990 FIFA 월드컵 이탈리아 E조 4경기
1990년 6월 17일 일요일 21:00 (UTC+1)
스타디오 프리울리 (이탈리아, 우디네)
주심: 파일:UEFA ECU.png 엘리아스 하코메
관중: 32,733명
파일:대한민국 국기 (검은색 테두리).svg
1 : 3 파일:Spain RFEF 1982.png
파일:UEFA KOR.png 대한민국 파일:UEFA ESP.png 스페인
43' (FK) 황보관 (A. 최순호) 파일:득점 아이콘.svg 23', 61', 81' 미첼 곤살레스
경기 하이라이트 | 매치 리포트

스페인은 전반 23분 미첼 곤살레스의 선제골로 1:0로 앞서갔으나 전반 43분 대한민국의 최순호가 얻어낸 프리킥을 황보관이 강력한 슛으로 골을 넣으며[1] 점수는 1:1이 되었다. 후반 16분 홍명보가 반칙을 범해 스페인의 미첼 곤살레스가 프리킥으로 추가골을 넣으며 2:1로 다시 앞서나갔다. 후반 36분 스페인의 미첼 곤살레스가 페널티 에어리어 안에서 대힌민국 선수 3명을 제치는 환상적인 개인기로 쐐기골을 넣으며 해트트릭을 기록하면서 3:1로 스페인이 이겼다.[2]

1.5. 5-1경기: 스페인 2 : 1 벨기에

파일:1990 FIFA 월드컵 이탈리아 로고.svg
1990 FIFA 월드컵 이탈리아 E조 5-1경기
1990. 06. 21. (목) 17:00 (UTC+1)
스타디오 마르칸토니오 벤테고디 (이탈리아, 베로나)
주심: 파일:UEFA ARG.png 후안 카를로스 로우스타우
파일:Spain RFEF 1982.png 2 : 1
파일:Belgium KBVB 1986.png
파일:UEFA ESP.png 스페인
20' (PK) 미첼 곤살레스
38' 알베르토 고리스
득점자 28' 파트리크 페르보흐트
관중: 35,950명
스페인은 전반 20분 미첼 곤살레스가 벨기에의 골키퍼 미셸 프뢰돔한테 방향을 읽혔으나 침착하게 페널티킥을 넣으며 1:0로 앞서갔다. 그러나 전반 28분 벨기에의 페르보흐트가 스페인의 골키퍼 안도니 수비사레타가 전혀 손을 쓸 수 없는 환상적인 프리킥으로 골을 넣으며 점수는 1:1이 되었다. 스페인은 전반 38분 고리스가 골을 넣으며 점수는 2:1로 다시 앞서갔고 결국 이 스코어를 그대로 지키면서 16강 진출을 확정지으며 지난 월드컵에서의 그 8강전 승부차기 패배를 설욕했다.

1.6. 5-2경기: 대한민국 0 : 1 우루과이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width=100%><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e6002d> 파일: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svg 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
FIFA 월드컵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rowcolor=#ffffff> 대회 대표팀 FIFA 월드컵 본선 경기
김용식호[1] 헝가리 · 터키[16위]
김정남호[2] 아르헨티나 · 불가리아 · 이탈리아[20위]
이회택호 벨기에 · 스페인 · 우루과이[22위]
김호호 스페인 · 볼리비아 · 독일[20위]
차범근호[3] 멕시코 · 네덜란드 · 벨기에[30위]
히딩크호 폴란드 · 미국 · 포르투갈 · 이탈리아 · 스페인 · 독일 · 터키[4위]
아드보카트호 토고 · 프랑스 · 스위스[17위]
허정무호 그리스 · 아르헨티나 · 나이지리아 · 우루과이[15위]
홍명보호 러시아 · 알제리 · 벨기에[27위]
신태용호 스웨덴 · 멕시코 · 독일[19위]
벤투호 우루과이 · 가나 · 포르투갈 · 브라질[16위]
[4][5]
{{{-2 {{{#!folding
[1] 1954년 스위스 월드컵 ~ 1978년 아르헨티나 월드컵은 16개국 본선 진출 대회였다. (16강 조별리그)[2] 1982년 스페인 월드컵 ~ 1994년 미국 월드컵은 24개국 본선 진출 대회였다. (24강 조별리그)[3] 1998년 프랑스 월드컵 ~ 2022년 카타르 월드컵은 32개국 본선 진출 대회였다. (32강 조별리그)[4] 2026 FIFA 월드컵부터 48개국 본선으로 확대되었다. (48강 조별리그)[5] 홍명보 감독이 2026년까지 사퇴 혹은 경질을 당하지 않는 이상 홍명보호가 될 예정이다.
}}}}}}}}}
파일:1990 FIFA 월드컵 이탈리아 로고.svg
1990 FIFA 월드컵 이탈리아 E조 5-2경기
1990년 6월 21일 목요일 17:00 (UTC+1)
스타디오 프리울리 (이탈리아, 우디네)
주심: 파일:UEFA ITA.png 툴리오 라네세
관중: 29,039명
파일:대한민국 국기 (검은색 테두리).svg
0 : 1
파일:Uruguay AUF 1970.png
파일:UEFA KOR.png 대한민국
- 파일:득점 아이콘.svg 90' 다니엘 폰세카
70' 윤덕여 파일:경고 퇴장 아이콘.svg 파일:퇴장 카드 아이콘.svg -
경기 하이라이트 | 매치 리포트
이 경기는 당시 16강 진출을 결정짓는 중요한 경기였으므로, 전반전과 후반전 전부 치열한 막상막하의 승부가 펼쳐졌었는데, 크로스바를 맞고 나오는 엔조 프란체스콜리의 슛, 골키퍼에게 막힌 황보관의 캐논슛 등 아쉬운 장면도 많았지만 후반 45분 폰세카의 극장골이 터지면서 경기가 끝나고 우루과이가 조 3위로 16강에 진출했다. 그런데 그 결승골이 명백한 오프사이드였음에도 불구하고 주심 툴리오 라네세를 비롯한 여러 심판들이 그 판정을 무시하고 경기 중에도 석연찮은 엉터리 판정을 내리면서[3] 그대로 골로 인정해서 얻은 부정한 승리였다.

그리고 잘 알려지지 않았던 사실이지만 대한민국의 월드컵 도전사에서 조별리그 3경기 모두 전반전을 상대에게 리드당하지 않은 채 끝낸 것은 이 대회가 유일하다.[4]

2. 이후

  • 그러나 어이없게도 대한민국을 제외한 나머지 E조의 3개국인 우루과이, 스페인, 벨기에는 자신들이 올라간 16강전에서 모조리 전멸하고 말았다. 그러니까 우루과이는 이탈리아에게 0:2로 져서 떨어졌고 스페인은 유고슬라비아에게 1:2로 져서 떨어졌으며 벨기에는 잉글랜드에게 0:1로 져서 떨어졌다.

[1] 대한민국이 월드컵 본선에서 최초로 전반전에 득점한 것이었다. 동시에 이 대회의 유일한 대한민국 골이기도 했다. 이후 다다음 월드컵에서 하석주가 두 번째로 전반전에 득점한 골이자 대한민국의 월드컵 도전 역사상 최초의 선제골을 넣게 된다.[2] 이 경기에서 대한민국은 역사상 월드컵 처음으로 해트트릭을 허용했다.[3] 골킥을 차려고 준비중인 윤덕여 선수에게 시간 지연을 이유로 갑자기 퇴장을 주는 판정도 내렸다. 자세한 편파판정은 툴리오 라네세 문서 참조.[4] 4강 신화를 일구었던 2002년 한일 월드컵마저 미국과의 2차전을 0:1로 뒤진 채 전반전을 끝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