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2-09 00:09:04

아드보카트호/2006 FIFA 월드컵 독일/토고전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아드보카트호/2006 FIFA 월드컵 독일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width=100%><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e6002d> 파일: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svg 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
관련 틀
}}}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width=100%><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e6002d> 파일: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svg 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
FIFA 월드컵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rowcolor=#ffffff> 대회 대표팀 FIFA 월드컵 본선 경기
김용식호[1] 헝가리 · 터키[16위]
김정남호[2] 아르헨티나 · 불가리아 · 이탈리아[20위]
이회택호 벨기에 · 스페인 · 우루과이[22위]
김호호 스페인 · 볼리비아 · 독일[20위]
차범근호[3] 멕시코 · 네덜란드 · 벨기에[30위]
히딩크호 폴란드 · 미국 · 포르투갈 · 이탈리아 · 스페인 · 독일 · 터키[4위]
아드보카트호 토고 · 프랑스 · 스위스[17위]
허정무호 그리스 · 아르헨티나 · 나이지리아 · 우루과이[15위]
홍명보호 러시아 · 알제리 · 벨기에[27위]
신태용호 스웨덴 · 멕시코 · 독일[19위]
벤투호 우루과이 · 가나 · 포르투갈 · 브라질[16위]
[4][5]
{{{-2 {{{#!folding
[1] 1954년 스위스 월드컵 ~ 1978년 아르헨티나 월드컵은 16개국 본선 진출 대회였다. (16강 조별리그)[2] 1982년 스페인 월드컵 ~ 1994년 미국 월드컵은 24개국 본선 진출 대회였다. (24강 조별리그)[3] 1998년 프랑스 월드컵 ~ 2022년 카타르 월드컵은 32개국 본선 진출 대회였다. (32강 조별리그)[4] 2026 FIFA 월드컵부터 48개국 본선으로 확대되었다. (48강 조별리그)[5] 홍명보 감독이 2026년까지 사퇴 혹은 경질을 당하지 않는 이상 홍명보호가 될 예정이다.
}}}}}}}}}

{{{#!wiki style="color: #ffffff; margin: 0 -10px -5px; min-height: 27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color:#181818"
<colbgcolor=#6ea842><colcolor=#FFFFFF>
조별리그
A조 B조 C조 D조 E조 F조 G조 H조
대한민국 경기 (G조)
토고전 (1차전) · 프랑스전 (2차전) · 스위스전 (3차전)
결선 토너먼트 16강 8강 준결승, 3PO 결승
주요 경기
포르투갈 vs 네덜란드 (16강)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250e77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555555,#aaaaaa
성인
2005~2006
전체 | 20052006
2006 FIFA 월드컵 독일 (토고전 · 프랑스전 · 스위스전)
}}}}}}}}}}}}}}}

1. 개요2. 경기 전 예측3. 경기 실황
3.1. 전반전3.2. 후반전
4. 경기 평가5. 중계6. 여담7. 둘러보기

[clearfix]

1. 개요

[[2006 FIFA 월드컵 독일|
파일:2006 FIFA 월드컵 독일 로고_좌우.svg
]]
2006 FIFA 월드컵 독일 G조 1경기
2006년 6월 13일 화요일 15:00 (UTC+1)
도이체 방크 파르크 (독일, 헤센 주 프랑크푸르트)
주심: 그레이엄 폴 (잉글랜드)
관중: 48,000명
파일:대한축구협회 엠블럼(2002~2019).svg
2 : 1 파일:토고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svg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54' (FK) 이천수
72' 안정환
(A. 송종국)
파일:득점 아이콘.svg 31' 모하메드 카데르 쿠바자 (A. 마사마소 창가이)
- 파일:퇴장 카드 아이콘.svg 53' 장 폴 아발로 파일:경고 퇴장 아이콘.svg
경기 다시 보기 | 경기 하이라이트 | 매치 리포트
Man of the Match: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안정환
2006 FIFA 월드컵 독일에서의 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의 32강 조별리그 1차전이며, 대한민국 원정 월드컵 첫 승을 만든 경기다.

2. 경기 전 예측

파일:2006월드컵-대한민국축구국가대표팀-주유니폼-vs토고.jpg
대한민국의 2006년 독일 월드컵 32강 조별리그 첫 상대는 지역예선에서 세네갈을 밀어내고 월드컵 첫 본선 진출한 토고였다. 대한민국에는 엠마누엘 아데바요르 말고는 알려진 이름이 없었기 때문에[1] 경기 전부터 대한민국이 쉽게 잡을 수 있는 상대로 인식되었다. 경기장도 거의 서울월드컵경기장처럼 압도적인 붉은 물결 속에 간간이 노란색 토고 응원단이 보일 뿐이었다. 경기 전 국가 연주에서 대한민국의 애국가가 나온 후 토고의 국가가 나와야 하는데 애국가가 한 번 더 나오는 해프닝이 있었다. 2번째 애국가가 끝나자마자 토고의 국가가 나왔다. 이에 시청자들은 국가 연주 횟수는 2:1이라는 발언을 했다. 어째 경기 전부터 운명의 신이 대한민국에게 웃어주는 듯했다.

3. 경기 실황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선발 명단 3-4-3
감독: 딕 아드보카트
GK
1. 이운재 파일:주장 아이콘.svg
{{{#!wiki style="margin: -16px -11px" CB
4. 최진철
CB
2. 김영철 파일:경고 카드 아이콘.svg 41'
CB
6. 김진규 46'
9. 안정환 46' 파일:득점 아이콘.svg 72'
}}}
RWB
22. 송종국 파일:축구 도움 아이콘.svg 72'
CM
17. 이호
CM
13. 이을용 68'
5. 김남일 68'
LWB
12. 이영표
{{{#!wiki style="margin: -16px -11px" RW
14. 이천수 파일:경고 카드 아이콘.svg 51' 파일:득점 아이콘.svg 54'
CF
19. 조재진 83'
18. 김상식 83'
LW
7. 박지성
}}}
CF
4. 엠마누엘 아데바요르
CF
17. 모하메드 카데르 쿠바자 파일:득점 아이콘.svg 31'
LW
7. 무스타파 살리푸 86'
6. 야오 아지아워누 86'
CM
10. 셰리프 투레 마망
CM
15. 알렉시스 로마오 파일:경고 카드 아이콘.svg 24'
RW
18. 야오 세나야 55'
23. 투레 아시미우 55'
LB
6. 뤼도비크 아세모아사 62'
13. 리치몬드 포슨 62'
CB
2 다레 니봄베
CB
3. 장 폴 아발로 파일:주장 아이콘.svg 파일:경고 카드 아이콘.svg 23' 파일:경고 퇴장 아이콘.svg 53'
RB
5. 마사메소 창가이 파일:축구 도움 아이콘.svg 31' 파일:경고 카드 아이콘.svg 90+2'
GK
16. 코시 아가사
파일:토고 국기.svg 토고 선발 명단 4-4-2
감독: 오토 피스터
SBS 하이라이트 영상 MBC 하이라이트 영상

3.1. 전반전

그러나 은근히 볼 간수가 잘 안된 대한민국은 위험한 상황을 여러 번 연출했다. 이운재의 선방이 아니었으면 어떻게 됐을지 장담하지 못했을 상황. 선제골도 토고가 가져갔다. 마사메소 창가이가 후방에서 전방으로 길게 전달해준 패스를 쿠바자가 받아 김영철과 최진철 사이로 빠르게 돌파해 들어갔고 마침내 날린 슛이 이운재의 손끝을 스치면서 골대에 맞고 들어갔다. 토고 선수들은 아프리카 특유의 세리머니로 기쁨을 나누었다.[2][3]

전반전을 뒤진 채 끝낸 딕 아드보카트 전 감독은 수비수 김진규를 빼고 안정환을 중앙 공격형 미드필더로 투입하며 4-2-3-1 포메이션을 가동, 공격의 고삐를 당겼다.

3.2. 후반전

이천수의 동점골
후반 7분경, 박지성이 토고 수비라인 뒤쪽을 노리고 들어간 드리블을 토고의 주장 장 폴 아발로[4]가 태클로 막았고 경고 누적으로 퇴장당하면서 경기 분위기가 대한민국으로 기울고, 바로 그 프리킥에서 이천수의 동점골이 터졌다.
안정환의 역전골
수적 우위에 동점골까지 성공시킨 대한민국은 기세를 완전히 회복했고 토고의 역습이 몇번 있었지만 이운재와 수비진이 잘 막아냈고[5], 안정환이 박지성의 페이크에 이은 멋진 중거리슛으로 역전골을 터뜨렸다. 이후 대한민국은 3:1까지도 만들 수 있는 찬스가 몇 번 있었으나 넣지 못했고, 조재진을 빼고 김상식을 투입하며 다시 3-4-3으로 잠그면서 그대로 경기 종료. 이 과정에서 적극적인 공격 없이 후방에서만 패스를 주고받고, 종료 1분여 전에 얻은 프리킥에서도 공을 뒤로 돌리는 등 2:1로 매듭짓는 것에만 집중하며 소극적인 경기를 하였는데, 이 때문에 승리를 했음에도 국내에서는 일부 비판 의견이 있었다.[6] 추가 득점으로 더 벌려 득실차를 확보하지 못하면, 나중에 토고가 승점자판기가 되어 프랑스스위스에 더 큰 점수차로 지게 될 경우 상당히 불리해지기 때문이다. 결국 우려는 현실로 나타나서 스위스, 프랑스와의 골득실 차이가 결국에는 대한민국에 치명타로 작용하고 말았다. 자세한 내용은 스위스 vs 대한민국에서 서술. 어쨌든 대한민국은 월드컵 원정 역사 첫 승리를 따냈다.

4. 경기 평가

아드보카트호는 32강 조별리그 첫 경기에서 정상급의 골게터였던 엠마누엘 아데바요르를 보유한 토고를 격파하며 원정 첫 승을 맛본다. 아드보카트 부임 후 계속 4-3-3으로 나오던 것 과는 다르게 3-4-3 포메이션으로 부동의 주전이던 김남일을 벤치로 돌리고 김영철-최진철-김진규 3백을 가동하였다. 그리고 김동진의 최종 예선 사우디아라비아전 퇴장 징계로 출장 정지가 된 터라 이영표가 본래 자리인 레프트백으로 돌아가고 송종국이 라이트백으로 출전하였다. 당시 토고의 팀 분위기는 콩가루 수준이었으며 오토 피스터는 경질설까지 나돌 지경이었다. 물론 실제로도 토고의 팀 분위기는 최악이었고, 그 탓에 방심한 면도 없지 않았다. 그러나 뚜껑을 열어보니 토고는 생각보다 강했다. 대한민국은 너무나 신중하게 경기 운영을 하려다 경기 초반 거세게 밀어붙이는 토고에 휘둘렸다. 결국 선제골까지 헌납했으나 토고의 수비 핵심이던 주장 장 폴 아발로가 퇴장당하며 경기는 급격하게 대한민국 쪽으로 기울었다. 장 폴 아발로의 퇴장과 함께 얻은 프리킥을 이천수가 성공시키며 동점, 그리고 안정환이 때린 중거리 슛이 수비에 맞아 굴절되며 골망을 흔들었다. 그렇게 대한민국은 2:1 역전승을 거둔다.

하지만 대한민국은 이 경기에서 이기고도 안심할 수 없었다. 스위스와 프랑스는 첫 경기에서 무승부를 기록했고 이후 대한민국도 프랑스를 상대로 무승부를 했지만 스위스가 토고를 상대로 2골차 승리를 했기 때문이다. 그렇기 때문에 대한민국은 스위스를 이기지 못하면 16강에 진출할 수 없었고, 스위스와 비겨 1승 2무가 된다 해도 골득실에서 밀려 탈락이었다.[7] 이러한 측면에서 종료 직전에 얻은 프리킥을 골문으로 차는 걸 포기하고 볼을 그냥 뒤로 돌리는 등의 소극적인 플레이도 아쉬운 선택이었다. 다만 이 프리킥이 무조건 3:1을 만들 수 있다는 보장은 없었으며, 대한민국은 후반부에 체력 문제도 있었고 대한민국이 가볍게 2골차를 만들 정도로 토고가 허접한 경기력을 보여준 것은 아니었기 때문에 정말 대한민국이 이익을 위해 골을 일부러 안 넣고 공을 돌린 것이라고 보기는 어렵다.[8] 또 당시 대한민국 대표팀 측에서 스위스가 2차전에서 토고를 상대로 2점차 승리를 따고 토고가 승점자판기가 될 것을 예측하지 못한 점도 있었다.

물론 이 경기에서 토고에게 유일하게 실점을 기록한 나라라는 타이틀을 얻었고, 심지어 토고 선수가 1명이 퇴장당하지 않았으면 오히려 승리를 장담할수 없을 정도였다. 결국 이 경기로 인해 16강 탈락의 시발점이 되었다.

5. 중계

국내 중계
파일:KBS 1TV 로고(1984-2018).svg
시청률 24.2%
캐스터

전인석
해설자

이용수
유상철
파일:MBC 로고(2005-2011).svg
시청률 30.9%
캐스터

김성주
해설자

차범근
차두리
파일:SBS 텍스트 로고.svg파일:SBS 텍스트 로고 화이트.svg
시청률 15.9%
캐스터

한종희
해설자

신문선
황선홍

6. 여담

  • 토고의 첫 번째 골이 월드컵에서 유일하게 넣은 골이며[9] 또 이 경기가 이번 대회에서 아시아 팀이 유일하게 기록한 승리한 것이 되고 말았다.[10] 또한 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의 월드컵 무대에서 처음으로 아프리카 대표팀과 맞붙은 경기이자 2022년 카타르 월드컵이 끝난 현재까지 아프리카 팀을 상대로 승리한 유일한 경기와 동시에 유일하게 비유럽 팀들 상대 승리이다.[11]
  • 경기가 끝난 후 축구는 (역전이 제 맛)이다라는 MBC 자막(KBS 스펀지를 패러디)이 한동안 사람들의 공감을 이끌어냈다.
  • 불행히도, 이 경기의 선제골이자 토고 대표팀의 월드컵 역사상 첫 골을 어시스트한 마사메소 창가이[12]가 2010년 8월 8일, 자신의 32번째 생일심장마비로 세상을 떠났다는 소식이 알려지며 많은 이들의 안타까움을 자아내기도 했다.

7. 둘러보기

파일: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svg
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
역대 주요 경기
{{{#!wiki style="margin:0 -10px -5px"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min-width:max(25%, 8em); min-height:2em"
{{{#!folding [ A 대표팀 ]
{{{#!wiki style="margin:-5px 0 -5px"
1954 FIFA 월드컵 스위스
파일:헝가리 국기.svg (1954)
vs 헝가리 0:9 패
파일:튀르키예 국기.svg (1954)
vs 터키 0:7 패
1986 FIFA 월드컵 멕시코
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 (1986) 파일:나무위키:로고2.svg
vs 아르헨티나 1:3 패
파일:불가리아 국기.svg (1986) 파일:나무위키:로고2.svg
vs 불가리아 1:1 무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1986) 파일:나무위키:로고2.svg
vs 이탈리아 2:3 패
1990 FIFA 월드컵 이탈리아
파일:벨기에 국기.svg (1990)
vs 벨기에 0:2 패
파일:스페인 국기.svg (1990)
vs 스페인 1:3 패
파일:우루과이 국기.svg (1990)
vs 우루과이 0:1 패
1994 FIFA 월드컵 미국
파일:스페인 국기.svg (1994) 파일:나무위키:로고2.svg
vs 스페인 2:2 무
파일:볼리비아 국기.svg (1994) 파일:나무위키:로고2.svg
vs 볼리비아 0:0 무
파일:독일 국기.svg (1994) 파일:나무위키:로고2.svg
vs 독일 2:3 패
1998 FIFA 월드컵 프랑스
파일:멕시코 국기.svg (1998) 파일:나무위키:로고2.svg
vs 멕시코 1:3 패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1998) 파일:나무위키:로고2.svg
vs 네덜란드 0:5 패
파일:벨기에 국기.svg (1998) 파일:나무위키:로고2.svg
vs 벨기에 1:1 무
2002 FIFA 월드컵 한국·일본
파일:폴란드 국기.svg (2002) 파일:나무위키:로고2.svg
vs 폴란드 2:0 승
파일:미국 국기.svg (2002) 파일:나무위키:로고2.svg
vs 미국 1:1 무
파일:포르투갈 국기.svg (2002) 파일:나무위키:로고2.svg
vs 포르투갈 1:0 승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2002) 파일:나무위키:로고2.svg
vs 이탈리아 2:1 (연장) 승
파일:스페인 국기.svg (2002) 파일:나무위키:로고2.svg
vs 스페인 0:0 무
(PSO 5:3 승)
파일:독일 국기.svg (2002) 파일:나무위키:로고2.svg
vs 독일 0:1 패
파일:튀르키예 국기.svg (2002) 파일:나무위키:로고2.svg
vs 터키 2:3 패
2006 FIFA 월드컵 독일
파일:토고 국기.svg (2006) 파일:나무위키:로고2.svg
vs 토고 2:1 승
파일:프랑스 국기.svg (2006) 파일:나무위키:로고2.svg
vs 프랑스 1:1 무
파일:스위스 국기.svg (2006) 파일:나무위키:로고2.svg
vs 스위스 0:2 패
2010 FIFA 월드컵 남아프리카 공화국
파일:그리스 국기.svg (2010) 파일:나무위키:로고2.svg
vs 그리스 2:0 승
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 (2010) 파일:나무위키:로고2.svg
vs 아르헨티나 1:4 패
파일:나이지리아 국기.svg (2010) 파일:나무위키:로고2.svg
vs 나이지리아 2:2 무
파일:우루과이 국기.svg (2010) 파일:나무위키:로고2.svg
vs 우루과이 1:2 패
2014 FIFA 월드컵 브라질
파일:러시아 국기.svg (2014) 파일:나무위키:로고2.svg
vs 러시아 1:1 무
파일:알제리 국기.svg (2014) 파일:나무위키:로고2.svg
vs 알제리 2:4 패
파일:벨기에 국기.svg (2014) 파일:나무위키:로고2.svg
vs 벨기에 0:1 패
2018 FIFA 월드컵 러시아
파일:스웨덴 국기.svg (2018) 파일:나무위키:로고2.svg
vs 스웨덴 0:1 패
파일:멕시코 국기.svg (2018) 파일:나무위키:로고2.svg
vs 멕시코 1:2 패
파일:독일 국기.svg (2018) 파일:나무위키:로고2.svg
vs 독일 2:0 승
2022 FIFA 월드컵 카타르
파일:우루과이 국기.svg (2022) 파일:나무위키:로고2.svg
vs 우루과이 0:0 무
파일:가나 국기.svg (2022) 파일:나무위키:로고2.svg
vs 가나 2:3 패
파일:포르투갈 국기.svg (2022) 파일:나무위키:로고2.svg
vs 포르투갈 2:1 승
파일:브라질 국기.svg (2022) 파일:나무위키:로고2.svg
vs 브라질 1:4 패
1996 AFC 아시안컵 아랍에미리트
파일:아랍에미리트 국기.svg (1996)
vs 아랍에미리트 1:1 무
파일:인도네시아 국기.svg (1996)
vs 인도네시아 4:2 승
파일:쿠웨이트 국기.svg (1996)
vs 쿠웨이트 0:2 패
파일:이란 국기.svg (1996) 파일:나무위키:로고2.svg
vs 이란 2:6 패
2007 AFC 아시안컵 인도네시아·말레이시아·태국·베트남
파일:사우디아라비아 국기.svg (2007)
vs 사우디아라비아 1:1 무
파일:바레인 국기.svg (2007) 파일:나무위키:로고2.svg
vs 바레인 1:2 패
파일:인도네시아 국기.svg (2007)
vs 인도네시아 1:0 승
파일:이란 국기.svg (2007)
vs 이란 0:0 무
(PSO 4:2 승)
파일:이라크 국기.svg (2007)
vs 이라크 0:0 무
(PSO 3:4 패)
파일:일본 국기.svg (2007)
vs 일본 0:0 무
(PSO 6:5 승)
2011 AFC 아시안컵 카타르
파일:바레인 국기.svg (2011) 파일:나무위키:로고2.svg
vs 바레인 2:1 승
파일:호주 국기.svg (2011) 파일:나무위키:로고2.svg
vs 호주 1:1 무
파일:인도 국기.svg (2011) 파일:나무위키:로고2.svg
vs 인도 4:1 승
파일:이란 국기.svg (2011) 파일:나무위키:로고2.svg
vs 이란 1:0 (연장) 승
파일:일본 국기.svg (2011) 파일:나무위키:로고2.svg
vs 일본 2:2 무
(PSO 0:3 패)
파일:우즈베키스탄 국기.svg (2011) 파일:나무위키:로고2.svg
vs 우즈베키스탄 3:2 승
2015 AFC 아시안컵 호주
파일:오만 국기.svg (2015) 파일:나무위키:로고2.svg
vs 오만 1:0 승
파일:쿠웨이트 국기.svg (2015) 파일:나무위키:로고2.svg
vs 쿠웨이트 1:0 승
파일:호주 국기.svg (2015) 파일:나무위키:로고2.svg
vs 호주 1:0 승
파일:우즈베키스탄 국기.svg (2015) 파일:나무위키:로고2.svg
vs 우즈베키스탄 2:0 (연장) 승
파일:이라크 국기.svg (2015) 파일:나무위키:로고2.svg
vs 이라크 2:0 승
파일:호주 국기.svg (2015) 파일:나무위키:로고2.svg
vs 호주 1:2 (연장) 패
2019 AFC 아시안컵 아랍에미리트
파일:필리핀 국기.svg (2019) 파일:나무위키:로고2.svg
vs 필리핀 1:0 승
파일:키르기스스탄 국기.svg (2019) 파일:나무위키:로고2.svg
vs 키르기스스탄 1:0 승
파일:중국 국기.svg (2019) 파일:나무위키:로고2.svg
vs 중국 2:0 승
파일:바레인 국기.svg (2019) 파일:나무위키:로고2.svg
vs 바레인 2:1 (연장) 승
파일:카타르 국기.svg (2019) 파일:나무위키:로고2.svg
vs 카타르 0:1 패
2023 AFC 아시안컵 카타르
파일:바레인 국기.svg (2024) 파일:나무위키:로고2.svg
vs 바레인 3:1 승
파일:요르단 국기.svg (2024) 파일:나무위키:로고2.svg
vs 요르단 2:2 무
파일:말레이시아 국기.svg (2024) 파일:나무위키:로고2.svg
vs 말레이시아 3:3 무
파일:사우디아라비아 국기.svg (2024) 파일:나무위키:로고2.svg
vs 사우디아라비아 1:1 무
(PSO 4:2 승)
파일:호주 국기.svg (2024) 파일:나무위키:로고2.svg
vs 호주 2:1 (연장) 승
파일:요르단 국기.svg (2024) 파일:나무위키:로고2.svg
vs 요르단 0:2 패
기타 경기
파일:일본 국기.svg (1997) 파일:나무위키:로고2.svg
vs 일본 2:1 승
파일:태국 국기.svg (1998) 파일:나무위키:로고2.svg
vs 태국 1:2 (연장) 패
파일:브라질 국기.svg (1999)
vs 브라질 1:0 승
파일:브라질 국기.svg (2002) 파일:나무위키:로고2.svg
vs 브라질 2:3 패
파일:오만 국기.svg (2003) 파일:나무위키:로고2.svg
vs 오만 1:3 패
파일:몰디브 국기.svg (2004) 파일:나무위키:로고2.svg
vs 몰디브 0:0 무
파일:튀르키예 국기.svg (2004)
vs 터키 2:1 승
파일:독일 국기.svg (2004)
vs 독일 3:1 승
파일:중국 국기.svg (2010) 파일:나무위키:로고2.svg
vs 중국 0:3 패
파일:일본 국기.svg (2011) 파일:나무위키:로고2.svg
vs 일본 0:3 패
파일:중국 국기.svg (2017)
vs 중국 0:1 패
파일:카타르 국기.svg (2017)
vs 카타르 2:3 패
파일:일본 국기.svg (2017) 파일:나무위키:로고2.svg
vs 일본 4:1 승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min-width:max(25%, 8em); min-height:2em"
{{{#!folding [ 연령별 대표팀 ]
{{{#!wiki style="margin:-5px 0 -5px"
<colbgcolor=#423f3f> 2014 인천 아시안 게임 남자 축구
파일:말레이시아 국기.svg (2014) 파일:나무위키:로고2.svg
vs 말레이시아 3:0 승
파일:사우디아라비아 국기.svg (2014) 파일:나무위키:로고2.svg
vs 사우디아라비아 1:0 승
파일:라오스 국기.svg (2014) 파일:나무위키:로고2.svg
vs 라오스 2:0 승
파일:홍콩 특별행정구기.svg (2014) 파일:나무위키:로고2.svg
vs 홍콩 3:0 승
파일:일본 국기.svg (2014) 파일:나무위키:로고2.svg
vs 일본 1:0 승
파일:태국 국기.svg (2014) 파일:나무위키:로고2.svg
vs 태국 2:0 승
파일:북한 국기.svg (2014) 파일:나무위키:로고2.svg
vs 북한 1:0 (연장) 승
2018 자카르타·팔렘방 아시안 게임 남자 축구
파일:바레인 국기.svg (2018) 파일:나무위키:로고2.svg
vs 바레인 6:0 승
파일:말레이시아 국기.svg (2018) 파일:나무위키:로고2.svg
vs 말레이시아 1:2 패
파일:키르기스스탄 국기.svg (2018) 파일:나무위키:로고2.svg
vs 키르기스스탄 1:0 승
파일:이란 국기.svg (2018) 파일:나무위키:로고2.svg
vs 이란 2:0 승
파일:우즈베키스탄 국기.svg (2018) 파일:나무위키:로고2.svg
vs 우즈베키스탄 4:3 (연장) 승
파일:베트남 국기.svg (2018) 파일:나무위키:로고2.svg
vs 베트남 3:1 승
파일:일본 국기.svg (2018) 파일:나무위키:로고2.svg
vs 일본 2:1 (연장) 승
2022 항저우 아시안 게임 남자 축구
파일:쿠웨이트 국기.svg (2023) 파일:나무위키:로고2.svg
vs 쿠웨이트 9:0 승
파일:태국 국기.svg (2023) 파일:나무위키:로고2.svg
vs 태국 4:0 승
파일:바레인 국기.svg (2023) 파일:나무위키:로고2.svg
vs 바레인 3:0 승
파일:키르기스스탄 국기.svg (2023) 파일:나무위키:로고2.svg
vs 키르기스스탄 5:1 승
파일:중국 국기.svg (2023) 파일:나무위키:로고2.svg
vs 중국 2:0 승
파일:우즈베키스탄 국기.svg (2023) 파일:나무위키:로고2.svg
vs 우즈베키스탄 2:1 승
파일:일본 국기.svg (2023) 파일:나무위키:로고2.svg
vs 일본 2:1 승
2017 FIFA U-20 월드컵 코리아
파일:기니 국기.svg (2017)
vs 기니 3:0 승
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 (2017)
vs 아르헨티나 2:1 승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2017)
vs 잉글랜드 0:1 패
파일:포르투갈 국기.svg (2017)
vs 포르투갈 1:3 패
2019 FIFA U-20 월드컵 폴란드
파일:포르투갈 국기.svg (2019)
vs 포르투갈 0:1 패
파일:남아프리카 공화국 국기.svg (2019)
vs 남아프리카 공화국 1:0 승
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 (2019)
vs 아르헨티나 2:1 승
파일:일본 국기.svg (2019) 파일:나무위키:로고2.svg
vs 일본 1:0 승
파일:세네갈 국기.svg (2019) 파일:나무위키:로고2.svg
vs 세네갈 3:3 무
(PSO 3:2 승)
파일:에콰도르 국기.svg (2019) 파일:나무위키:로고2.svg
vs 에콰도르 1:0 승
파일:우크라이나 국기.svg (2019) 파일:나무위키:로고2.svg
vs 우크라이나 1:3 패
2023 FIFA U-20 월드컵 아르헨티나
파일:프랑스 국기.svg (2023) 파일:나무위키:로고2.svg
vs 프랑스 2:1 승
파일:온두라스 국기.svg (2023) 파일:나무위키:로고2.svg
vs 온두라스 2:2 무
파일:감비아 국기.svg (2023) 파일:나무위키:로고2.svg
vs 감비아 0:0 무
파일:에콰도르 국기.svg (2023) 파일:나무위키:로고2.svg
vs 에콰도르 3:2 승
파일:나이지리아 국기.svg (2023) 파일:나무위키:로고2.svg
vs 나이지리아 1:0 (연장) 승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2023) 파일:나무위키:로고2.svg
vs 이탈리아 1:2 패
파일:이스라엘 국기.svg (2023) 파일:나무위키:로고2.svg
vs 이스라엘 1:3 패
U-17 대표팀
파일:브라질 국기.svg (2015)
vs 브라질 1:0 승
기타 경기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2003)
vs 네덜란드 1:0 승
파일:일본 국기.svg (2012) 파일:나무위키:로고2.svg
vs 일본 2:0 승
파일:일본 국기.svg (2016) 파일:나무위키:로고2.svg
vs 일본 2:3 패
파일:뉴질랜드 국기.svg (2021)
vs 뉴질랜드 0:1 패
파일:멕시코 국기.svg (2021)
vs 멕시코 3:6 패
파일:인도네시아 국기.svg (2024) 파일:나무위키:로고2.svg
vs 인도네시아 2:2 무
(PSO 10:11 패)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min-width:max(25%, 8em); min-height:2em"
{{{#!folding [ 여자 대표팀 ]
{{{#!wiki style="margin:-5px 0 -10px"
2015 FIFA 여자 월드컵 캐나다
파일:브라질 국기.svg (2015)
vs 브라질 0:2 패
파일:코스타리카 국기.svg (2015)
vs 코스타리카 2:2 무
파일:스페인 국기.svg (2015)
vs 스페인 2:1 승
파일:프랑스 국기.svg (2015)
vs 프랑스 0:3 패
2019 FIFA 여자 월드컵 프랑스
파일:프랑스 국기.svg (2019)
vs 프랑스 0:4 패
파일:나이지리아 국기.svg (2019)
vs 나이지리아 0:2 패
파일:노르웨이 국기.svg (2019)
vs 노르웨이 1:2 패
2023 FIFA 여자 월드컵 호주·뉴질랜드
파일:콜롬비아 국기.svg (2023) 파일:나무위키:로고2.svg
vs 콜롬비아 0:2 패
파일:모로코 국기.svg (2023) 파일:나무위키:로고2.svg
vs 모로코 0:1 패
파일:독일 국기.svg (2023) 파일:나무위키:로고2.svg
vs 독일 1:1 무
2022 항저우 아시안 게임 여자 축구
파일:미얀마 국기.svg (2023) 파일:나무위키:로고2.svg
vs 미얀마 3:0 승
파일:필리핀 국기.svg (2023) 파일:나무위키:로고2.svg
vs 필리핀 5:1 승
파일:홍콩 특별행정구기.svg (2023) 파일:나무위키:로고2.svg
vs 홍콩 5:0 승
파일:북한 국기.svg (2023) 파일:나무위키:로고2.svg
vs 북한 1:4 패
U-17 대표팀
파일:일본 국기.svg (2010)
vs 일본 3:3 무
(PSO 5:4 승)
기타 경기
파일:북한 국기.svg (2017)
vs 북한 1:1 무
파일:중국 국기.svg (2022)
vs 중국 2:3 패
}}}}}}}}}}}}
파일:나무위키:로고2.svg: 독립 문서로 등재


[1] 사실 프랑스나 스위스나 어느 나라 간에 마찬가지였다. 그나마 토고 선수들 중에 프랑스 리그 1에서 뛰던 선수가 몇 있어서 프랑스와 스위스 측에서는 대한민국이 토고 분석하는 것보다는 분석이 수월했을지도 모른다.[2] 구 토골란드 지역의 토착민들이 전쟁, 혹은 사냥에서 승리했을 때 추는 전통적인 춤이라고 한다.[3] 훗날 기성용K리그에서 FC 서울 소속으로 수원 삼성 블루윙즈를 상대로 득점한 뒤 이 세리모니를 했는데, 공교롭게도 상대 골키퍼가 이운재였다.[4] 대부분의 커리어를 프랑스 아미앵 SC에서 보냈다. 프랑스 1부 리그 출전 경험은 없다. 독일 월드컵을 앞두고 부산 아이파크 입단 테스트를 받았었다.[5] 이미 전반 막판에 토고 선수들이 위협적인 프리킥을 시전했으나 이운재가 당연하다는듯이 쳐냈다. 이운재의 노련함을 알 수 있었던 장면.[6] 당시 기사 프리킥 상황 공을 뒤로 돌린 것에 대한 네티즌의 비판, '향후에 골 득실을 따지는 상황이 오면 그 장면이 두고두고 떠오를 것'이라는 어느 네티즌의 비판까지 포함되어 있다.[7] 만약 비겼다면 스위스는 골득실 +2, 대한민국은 +1이기 때문. 끝까지 토고가 프랑스와 무승부를 유지했거나, 프랑스가 1:0으로 토고를 이겼다면 16강 진출도 가능했겠지만 프랑스는 32강 조별리그 3차전에서 토고를 상대로 2골차 승리를 얻었다.[8] 그런 측면 보다는 아무리 체력이 떨어져서 추가득점이 어렵고 승부가 결정된 상황이라도 공격 시도는 할 수 있었는데 다소 비신사적이라고 보일수 있는 시간 끌기를 한 것이 옥의 티라고 할 수 있다.[9] 당시 토고 선수들의 움직임은 2014년 브라질 월드컵 당시 대한민국에게 알제리 쇼크를 안겨주었던 알제리보다도 더 민첩했다. 실제로 월드컵 이전 평가전에서 아랍에미리트를 무려 5:0이라는 스코어로 털었을 정도였다. 세네갈을 제치고 본선에 올라온 것이 기적이 아니었음을 증명하듯 같은 대회에서 16강(13위) 기록한 가나도 1:0으로 밟아버리고 온 것은 덤.[10] 당시 호주는 오세아니아 팀으로 출전하였다.[11] 그 동안 대한민국은 월드컵에서 유럽과 북중미, 남미 팀들하고만 대결을 했다. 이후 2018년 러시아 월드컵을 제외한 모든 대회에서 아프리카 팀을 만났지만 1무 2패의 성적을 거두며 한 차례도 이기지 못했다. 다만 2010년 남아공 월드컵에서 나이지리아를 무승부 탈락시키며, 사상 첫 원정 2라운드(16강) 진출이라는 결과를 낳았다.[12] 해당 경기 도중 쥐가 난 이을용의 다리를 주무르는 그의 신사적인 모습이 당시 국내 언론에서도 소소한 화제가 된 바가 있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158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158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125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125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