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11-03 15:52:50

2014년 동남권 폭우 사태

주의. 사건·사고 관련 내용을 설명합니다.

사건 사고 관련 서술 규정을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한반도의 폭우
{{{#!wiki style="margin:0 -8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0 -7px"
▶ 한반도의 집중호우 목록
▼ 문서가 존재하는 주요 폭우 사태 목록
<colbgcolor=#ddd,#000><colcolor=#000,#fff> 1925년 <colbgcolor=#fff,#212121><colcolor=#000,#ddd> 7~9월 한반도 전역
1998년 7~8월 구례군, 산청군
2010년 9월 서울특별시
2011년 7월 중부권 전역
2014년 8월 동남권 전역
2016년 8~9월 함경북도
2017년 7월 중부권 전역 · 9월 동남권 전역
2018년 8월 강원 영동권 · 8~9월 한반도 중부 이남
2020년 6~9월 한반도 전역
2022년 6~8월 중부권 전역(수도권)
2023년 5월 한반도 전역 · 6~9월 한반도 전역
2024년 한반도 전역 (7월 압록강 유역)
}}} 둘러보기: 한반도의 폭염 · 한반도의 폭설}}}}}} ||


파일:명륜롯데홍수피해.jpg

얼마나 피해가 컸던지 사진속 롯데백화점 동래점침수된 지 6일이 지난 8월 31일에야 정상 영업을 재개했다고 한다.


부산한 주유소에 떨어진 물폭탄 영상. 참고로 저 주유소는 1999년과 2009년에 벌어진 집중호우 때도 침수가 되어서 큰 피해를 입었다.


부산광역시 북구 화명동. 영상의 제목은 Amazing Mega Flood in Busan이다.[1]

1. 개요2. 누적 강수량3. 원인
3.1. 게릴라성 집중호우3.2. 이 많은 지역적 특성
4. 피해
4.1. 부산광역시
4.1.1. 북구4.1.2. 온천천 일대4.1.3. 기장군
4.2. 울산광역시4.3. 창원시
4.3.1. 시내버스 좌초 사고
5. 피해 복구6. 기타7. 관련 문서

1. 개요

2014년 8월 18일부터 8월 25일에 있었던 부산광역시를 위주로 한 부산·울산권 지역의 호우 사태. 주로 부산광역시에서도 북부 지역[2]창원시에서도 마산합포구, 고성군 지역에 비가 집중되었지만 울산광역시, 김해시, 양산시 등에서도 폭우가 왔다.

2. 누적 강수량

파일:a8cc6da3.png[3]

2.1. 범례

  • 2014년 8월 25일 0시부터 2014년 8월 26일 0시까지의 대한민국 기상청의 누적 강수량 통계를 사용한다.
  • AWS는 자동기상관측장비[4]의 약자이다.
  • AWS가 소재한 행정구역 명칭과 해당 AWS 명칭이 다른 경우 AWS 명칭을 추가 표기한다.
  • 굵은 표시로 처리된 AWS대한민국 기상청 산하 지역 기상대에서 직접 관리하는 AWS 장비이며 그 외 AWS는 주로 항만 AWS. AWS가 표기 안 된 곳은 주로 방재용 AWS로 관측된 지역들이다.

2.2. 부산광역시

2.3. 울산광역시

2.4. 창원시[5]

2.5. 김해시

2.6. 양산시

2.7. 고성군

  • 고성 AWS: 231.5mm
  • 개천 AWS: 143.0mm

3. 원인

위에서 보다시피 일일 누적 강수량만 보면 이 정도의 재난이 벌어진 게 의아할 정도지만 아래에서 서술할 여러 원인으로 인해 피해 규모를 크게 키웠다.

3.1. 게릴라성 집중호우

강수량만 보면 이 정도의 재앙이 벌어진 게 의아할 정도지만 이 강수량의 4분의 3이 13시부터 15시까지 2시간 사이에 모두 쏟아졌다. 즉 시간당 100mm 이상 비가 쏟아진 것이다.

3.2. 이 많은 지역적 특성

이번에 폭우가 쏟아져서 막대한 피해를 입은 동래구, 북구, 금정구, 기장군, 마산합포구 지역의 공통점은 이 많은 고지대 지역이었다는 것이다. 비구름대가 산 정상 부근에 부딪히면서 비구름대가 폭발적으로 더욱 강해진 것이다. 반면 바다와도 멀리 떨어져있다는 것도 또 하나의 공통점이다.

4. 피해

4.1. 부산광역시

4.1.1. 북구

파일:attachment/20140826000101_0.jpg

구포동에 소재한 양덕여자중학교의 3층까지 물이 차올랐으며 17시 14분쯤에 420명이 구조되었다는 기사가 올라왔다. 하지만 다른 기사에서는 물이 찬 것은 1층의 허벅지 높이 정도이며 1층이 침수되자 2~3층으로 대피했다가 비가 그치고 모두 귀가했다. (이투데이 기사)

지하철 2호선 금곡~덕천구간 침수 및 화명역 침수로 해당구간 열차의 운행을 중단했다. 구포동에 호우로 인한 산사태로 한 경로당이 붕괴됐다. 경혜여고 근처의 경사길에서 60세 여성이 물에 휩쓸려 쓰러지고 그 위를 내리막길에 정차해있다가 폭우에 쓸려온 기아 K5 차량과 뒤에있던 전신주에 깔려 사망하는 끔찍한 사고가 발생하였다. 호우로 인해 일찍 하교하던 여고생들이 사망자를 보고 겁에 질려 울며 집에 갔다고 한다.

북구 화명동에 있는 화명수목원금정산 자락에 있기 때문에 산사태로 인해 심각한 피해를 입었다. 그때 입구와 수목원을 연결하는 연결다리가 무너졌는데[6][7] 1년이 지나도 복구를 못 하고 있었다가 2016년 8월 15일 기준 연결다리가 복구되었다. 그리고 대천천에 있던 유일하게 자전거가 다닐 수 있는 다리가 휩쓸려갔는데 3억을 들여지은 다리인데 예산부족으로 한참동안 복구를 하지 못했다. 아직도 복구를 못하고 흔적만 남아있는걸 보면 복구 할 생각이 아예 없는듯하다.

4.1.2. 온천천 일대[8]

파일:범어사홍수피해.jpg 파일:2014년 부산 폭우 부산대역 근처.jpg

온천천 최상류, 범어사 앞. 이게 하류에 비하면 훨씬 다행인 편이다. 우측 사진은 온천천이 범람하여 물에 잠긴 온천장역에서 부산대역 구간 사이 중앙대로.

파일:2014년 부산 폭우 4호선 동래역.jpg

동래역, 금사역 침수로 4호선 운행이 중단되었다. 이중 4호선 동래역은 에스컬레이터 모터가 완전히 손상되었다가 2014년 10월에 복구되었다. #
오피스텔 지하에서는 40살 조모씨가 익사해 숨지는 등 곳곳에서 사망자가 발생하기도 했다.

25일에는 우장춘지하차도가 지하차도 내부가 침수되었다.그러나 통제가 안되어 이를 미처 알지 못한 쌍용 액티언 차량이 지하차도로 진입해 주행하던 중 차가 멈추자 불안함을 느낀 운전자 박모(39.여)씨가 구조를 요청하기 위해 동승했던 친정어머니 나모(57)씨와 딸 임모양(17)을 차에서 기다리게 한뒤 먼저 내려 터널입구로 나와 119와 112에 신고했으나 전화는 '대기자가 많으니 기다려라'는 말만 반복해 출동시간이 1시간이나 지연되었고 결국 차에 남아있던 두명은 숨진채 발견되기도 했다.

이 외에도 금정구 노포동 스포원파크 인근 회동수원지로 가는 수영강 상류 부근도 폭우로 인하여 완전히 노변이 유실되어 버렸으며[9] 연제구 연산동에서는 온천천과 수영강의 더블 범람으로 과정교차로와 수영강변이 물에 잠겨 버리는 바람에 안 그래도 부산 대표 인구과밀지역+교통지옥 중 하나로 손꼽히는 토곡의 셋밖에 없는 진입로 중 둘이 다운되고 말았다.

파일:2014부산폭우.jpg

다른 지역의 피해상황에 비하면 약과라지만 홈플러스 연산점도 심각했다. 게다가 이 바람에 여기를 지나야 하는 99번, 86번, 87번, 49번 등 수많은 버스들이 토곡이나 연산 자이 쪽 연약지반 언덕으로 우회해서 가야 했다. 금정구 남산동에 캠퍼스를 새로 지어서 이사한 부산외국어대학교 도로가 폭우로 인해 모두 파손되어서 부실공사 논란이 일어나기도 했다. #

4.1.3. 기장군

  • 호우로 인해 고리원전 2호기 수동정지 조치가 내려졌다.
  • 폭우로 도로를 달리던 현대 아반떼 차량이 침수되어 조수석에 탑승했던 50대 남성 홍모씨가 숨졌다. 운전자였던 홍씨의 아내와 장모는 탈출했으나 각각 찰과상, 타박상을 입었다.
  • 호우로 인해 좌광천(정관~임랑) 범람
박근혜 대통령이 28일 현장을 찾아 특별재난지역 선포를 약속했다.

4.2. 울산광역시

1주일 전인 8월 18일 이미 폭우가 쏟아졌는데 또 폭우를 맞이하였다. 폭우로 인해 마근터널 인근에 산사태가 일어나서 동해남부선 운행이 중단되었으며, 온산공단 등 울산 내 공장 곳곳이 침수피해를 입었다. 남구에서는 두왕사거리 일대가 침수되어 도로교통이 통제되었으며, 동구에서는 일산진마을 가옥 20여 채가 침수되는 등의 피해를 입었다. 또한, 홍수의 여파로 울산-김포 항공편 4편이 결항되었다고 한다.

4.3. 창원시

전날 밤부터 계속된 비로 마산 지역 도로 곳곳이 침수되거나 비탈면이 붕괴되어 교통흐름에 애로사항이 꽃피었다.

4.3.1. 시내버스 좌초 사고

진동면에서 71번 시내버스가 침수구간으로 진입하였다가 물살에 휩쓸려 인근 하천에 좌초되어 버스 기사 및 승객 6명 전원이 사망하였다. 당시 원래 운행하던 도로와 우회 도로가 침수로 통제되자 농로로 방향을 잡고 진입하려다 농로 반대편에서 오지 말라는 사람들의 손짓을 보고 서 있다가 물이 불어나자 이에 휩쓸렸다. 버스는 인양된 상태이며 실종자도 전원 시신으로 발견되었다. 현재 해당 차량은 대가야여객으로 팔려가서 잘 달리다가 2023년 6월에 대차되었다. 자세한 내용은 창원 시내버스 좌초 사고 참고.

5. 피해 복구

이후 경찰, 소방, 군 병력을 투입시켜 복구 작업을 진행, 완료되었다. 8월 26일에는 김무성 새누리당 대표와 정종섭 안전행정부 장관이, 8월 28일BIFC 보러 부산에 온지 6일 만에 다시 박근혜 대통령기장군부산의 침수 피해 지역을 방문하여 침수 피해 복구를 위한 특별재난구역 선포를 약속하였다. 특별재난구역 선포를 위해서는 재난으로 인한 피해 액수가 90억원을 초과하여야 하는데 기장군만 해도 100억원이 넘을 것으로 추정된다고 한다.

6. 기타

부산광역시와 창원시는 비슷한 기후를 갖고 있으며, 부산에서 200 mm가 넘는 폭우가 쏟아져서 피해가 발생되면 창원(마산)에서도 폭우 피해가 발생되었다. 2014년 폭우 피해 이전에는 1999년 7월 29일과 30일에 총 이틀에 걸쳐 부산과 창원에는 게릴라성 집중호우가 쏟아졌고, 건물, 도로, 지하차도 침수와 산사태를 겪었다. 2009년에도 7월 7일과 7월 16일에 두 번에 걸쳐서 게릴라성 집중호우가 쏟아졌고, 1999년 폭우와 같은 사례가 집중호우로 인한 피해가 발생했다.

공교롭게도 이 시기의 창원시 강수량은 동일하게 268.0 mm였고, 부산광역시의 강수량은 이틀 간에 걸친 1999년 7월 29일~30일의 폭우와 2009년 7월 15일~16일의 폭우를 합하면 전자는 319.8 mm, 후자는 354.0 mm를 기록했다. 이때 당시 1999년 폭우와 2009년 폭우는 2014년의 폭우를 애교로 보일 정도로 피해가 제일 심각했으며, 산이 도시 경계안에 있는 마산과 진해를 포함한 창원시와 산이 도시 한 가운데에 있는 부산광역시의 특성상 아파트 등 주거시설이 몰려있어서 폭우로 인한 산사태에 취약했다.

그리고 상업지구도 역시 산비탈이거나 산과 산 사이에 있는 저지대인 평지에 많이 밀집되어있다 보니 부산, 창원(마산) 시민들과 상인들이[10] 느끼고 있는 피해는 2014년보다 1999년과 2009년의 폭우가 상상을 초월했다. 1999년과 2009년 폭우는 게릴라성 호우를 둘째치고 비가 엄청나게 내려서 비교적 산 위쪽인 주거 지대도 결코 안전하지는 않았고, 폭우에 의해 산에서 쓸려 내려온 토사가 지하주차장을 메워 버렸으며, 지하도들은 청소가 힘드니 며칠이 지나도 뻘밭이었다. 이 지하도들을 대부분 포함하는 7번 국도도 당연히 마비가 되었다.

김해와 양산도 역시 낙동강이 지나며 평야를 비롯한 저지대가 많다 보니, 도로, 건물, 농경지, 지하시설 침수에 취약했다. 1999년과 2009년 때 200~300 mm 폭우로 비가 집중적으로 내린 지역인데다 경남에서 보기 드문 평야 지역이기 때문에 저지대가 곳곳에 많았다. 그 곳들은 1999년과 2009년 동남권(경남권) 폭우때 저지대 뿐만 아니라 평지의 지하시설들도 거의 초토화가 되었으며, 모조리 피해를 입었다. 다만 2009년의 경우는 대비를 잘한 덕분인지, 피해가 적었을 뿐이다.

참고로 박근혜 대통령이 온 기장군 좌천이라는 마을은 호우로 인해 피해를 입었다고 뉴스에 나왔지만 또 다른 의견으로 저수지 댐이 붕괴되어 좌천마을이 피해를 입었다는 의견이 나와 기장군과 좌천마을 사람들과 재판했었는데 좌천마을이 승소했다. 또한 부산과 창원에서 긴급재난 문자가 발송되었다.

파일:external/scontent.xx.fbcdn.net/10382313_566448126816603_6710801265812645332_o.jpg
[소방방재청]
25일13시 부산광역시, 경상남도(진주시, 양산시)지역 호우경보, 상습침수지역 대피, 위험지역 통제등 안전에 주의
한국전기안전공사에서 알려드립니다. 부산지역 침수지역은 전기감전 사고 발생 우려가 있으니 전기시설에 접근을 금하시고 전기고장신고는 1588-7500으로 신고바랍니다. -한국전기안전공사(1588-7500)-

7. 관련 문서



[1] 참고로 해당장소는 대천천이다.[2] 동래구, 북구, 금정구[3] 2014년 8월 25일 하루 누적 강수량이다.[4] Automatic Weather System[5] 북창원 AWS와 창원 AWS는 2010년 통합 전에는 각각 구. 창원시 AWS, 구. 마산 AWS였다. 두 개 모두 창원기상대(구. 마산기상대)에서 관리하는 AWS이며 이름에 낚이면 안 된다.[6] 계곡으로 인하여 입구랑 수목원이 다리를 사이에 두고 서로 분리되어 있다.[7] 다행히 위쪽에 차량들이 지나다닐 수 있는 다리가 하나 더 있어서 그 쪽으로 왕래할 수 있었다.[8] 금정구, 동래구, 연제구, 수영구[9] 수영강변을 연결하는 연결다리도 완전히 유실되어 버렸다.[10] 정확히는 김해와 양산도 포함이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352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352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