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대 FIFA 월드컵 지역예선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유럽, 남미, 아프리카, 북중미카리브, 아시아, 오세아니아, 대륙PO | ||||||
1930 FIFA 월드컵 우루과이 | |||||||
1934 FIFA 월드컵 이탈리아/지역예선 | |||||||
1938 FIFA 월드컵 프랑스/지역예선 | |||||||
1950 FIFA 월드컵 브라질/지역예선 | |||||||
1954 FIFA 월드컵 스위스/지역예선 | |||||||
1958 FIFA 월드컵 스웨덴/지역예선 | |||||||
1962 FIFA 월드컵 칠레/지역예선 | |||||||
1966 FIFA 월드컵 잉글랜드/지역예선 | |||||||
1970 FIFA 월드컵 멕시코/지역예선 | |||||||
1974 FIFA 월드컵 서독/지역예선 | |||||||
1978 FIFA 월드컵 아르헨티나/지역예선 | |||||||
1982 FIFA 월드컵 스페인/지역예선 | |||||||
1986 FIFA 월드컵 멕시코/지역예선 | |||||||
1990 FIFA 월드컵 이탈리아/지역예선 | |||||||
1994 FIFA 월드컵 미국/지역예선 | |||||||
1998 프랑스 | 남미, 북중미카리브, 아시아, 아프리카, 오세아니아, 유럽 | ||||||
2002 한국·일본 | 남미, 북중미카리브, 아시아, 아프리카, 오세아니아, 유럽 | ||||||
2006 독일 | 남미, 북중미카리브, 아시아, 아프리카, 오세아니아, 유럽 | ||||||
2010 남아프리카 공화국 | 남미, 북중미카리브, 아시아, 아프리카, 오세아니아, 유럽 | ||||||
2014 브라질 | 남미, 북중미카리브, 아시아, 아프리카, 오세아니아, 유럽 | ||||||
2018 러시아 | 남미, 북중미카리브, 아시아, 아프리카, 오세아니아, 유럽, 대륙PO | ||||||
2022 카타르 | 남미, 북중미카리브, 아시아, 아프리카, 오세아니아, 유럽, 대륙PO | ||||||
2026 캐나다·멕시코·미국 | 남미, 북중미카리브, 아시아, 아프리카, 오세아니아, 유럽, 대륙PO |
1. 개요
2014 FIFA 월드컵 브라질의 지역 예선전 중 아프리카 축구 연맹 소속 52개 팀들의 예선을 설명하는 문서.[1] 2010년까지만 해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의 지역예선과 겸했지만, 네이션스컵의 홀수해 개최로 인해 더 이상 겸해서 치러지지 않게 되었다. 따라서 방식이 바뀌게 되었다.1차 예선으로 2011년 6월 30일 기준으로 FIFA 랭킹이 낮은 29위부터 52위까지의 국가들끼리 먼저 예선전을 치러서 12개팀을 추린다. 그 후, 2차 예선으로 상위 28개 팀과 합쳐서 다시 한 조당 4개 팀씩 총 10개조를 편성한다. 홈 & 어웨이 방식으로 조별 풀리그를 치러서 각 조 1위만이 3차 예선 진출권을 부여 받는다. 마지막 3차 예선은 추첨을 통해 1:1 대진표를 만든 후, 홈 & 어웨이의 PO 승자 5개 팀이 최종적으로 월드컵에 진출한다.
2. 조 편성
2차예선 직행 | 1차예선 참가 | ||||
서열 | 피파랭킹 | 팀명 | 서열 | 피파랭킹 | 팀명 |
1 | 15 | 코트디부아르 | 29 | 103 | 모잠비크 |
2 | 34 | 이집트 | 30 | 123 | 콩고민주공화국 |
3 | 36 | 가나 | 31 | 123 | 토고 |
4 | 39 | 부르키나파소 | 32 | 125 | 라이베리아 |
5 | 43 | 나이지리아 | 33 | 127 | 탄자니아 |
6 | 46 | 세네갈 | 34 | 129 | 콩고 공화국 |
7 | 49 | 남아프리카 공화국 | 35 | 130 | 케냐 |
8 | 50 | 카메룬 | 36 | 134 | 르완다 |
9 | 52 | 알제리 | 37 | 139 | 에티오피아 |
10 | 55 | 튀니지 | 38 | 140 | 나미비아 |
11 | 60 | 가봉 | 39 | 143 | 부룬디 |
12 | 63 | 리비아 | 40 | 150 | 마다가스카르 |
13 | 63 | 모로코 | 41 | 151 | 기니비사우 |
14 | 68 | 기니 | 42 | 155 | 적도 기니 |
15 | 71 | 보츠와나 | 43 | 158 | 차드 |
16 | 72 | 말라위 | 44 | 169 | 스와질란드 |
17 | 74 | 잠비아 | 45 | 175 | 코모로 |
18 | 76 | 우간다 | 46 | 184 | 레소토 |
19 | 77 | 말리 | 47 | 188 | 에리트레아 |
20 | 82 | 카보베르데 | 48 | 191 | 소말리아 |
21 | 86 | 베냉 | 49 | 194 | 지부티 |
22 | 86 | 짐바브웨 | 50 | 195 | 모리셔스 |
23 | 90 | 중앙아프리카 공화국 | 51 | 199 | 세이셸 |
24 | 93 | 시에라리온 | 52 | 203 | 상투메 프린시페 |
25 | 97 | 수단 공화국 | |||
26 | 98 | 니제르 | |||
27 | 100 | 앙골라 | |||
28 | 102 | 감비아 |
3. 1차 예선
모리타니는 대회 시작 전 불참을 통보했고, 모리셔스는 대진 추첨 이후 기권을 통보했다. 그리고 남수단은 FIFA 가입이 늦어지면서 월드컵 데뷔를 다음 대회로 미루게 되었다.1차 예선을 치르기 위한 아프리카의 랭킹 서열이 2011년 7월자 피파랭킹을 기준으로 정해졌고 이에 따라 하위 24개 팀을 제외한 나머지 팀들은 1차 예선을 면제받았다.위의 표에서 랭킹이 낮은 24개 팀이 대진표를 짜서 경기를 벌였고, 결과는 다음과 같다.
<rowcolor=#00296d> 1차전 홈팀 | 합산 | 2차전 홈팀 | 1차전 | 2차전 | ||
세이셸 | 0-7 | 케냐 | 0-3 | 0-4 | ||
기니비사우 | 1-2 | 토고 | 1-1 | 0-1 | ||
지부티 | 0-8 | 나미비아 | 0-4 | 0-4 | ||
모리셔스 | 취소 | 라이베리아 | - | - | ||
코모로 | 1-5 | 모잠비크 | 0-1 | 1-4 | ||
적도 기니 | 3-2 | 마다가스카르 | 2-0 | 1-2 | ||
소말리아 | 0-5 | 에티오피아 | 0-0 | 0-5 | ||
레소토 | 2-2[2] | 부룬디 | 1-0 | 1-2 | ||
에리트레아 | 2-4 | 르완다 | 1-1 | 1-3 | ||
스와질란드 | 2-8 | 콩고민주공화국 | 1-3 | 1-5 | ||
상투메 프린시페 | 1-6 | 콩고 공화국 | 0-5 | 1-1 | ||
차드 | 2-2[3] | 탄자니아 | 1-2 | 1-0 |
4. 2차 예선
자세한 내용은 2014 FIFA 월드컵 브라질/지역예선(아프리카)/2차예선 문서 참고하십시오.5. 최종 예선
최종 예선은 각 조 1위팀만 올라가며 1:1 플레이오프로 본선에 갈 팀을 정한다. 최종 예선에 올라온 팀들끼리 FIFA 랭킹을 비교하여 시드를 다시 매겨서 대진표를 작성하였다.에티오피아가 최종 예선 진출을 눈앞에 두고 보츠와나와의 2차전 경기에서 부적격 선수 출전으로 인해 3-0 몰수패를 당해서 승점 10점으로 줄어서 마지막 경기를 두고 봐야하는 상황이 되었으나, 결국 최종 경기에서 중아공을 상대로 역전승을 거두며 플레이오프 진출권을 따냈다. 이로서 에티오피아는 한때 위기에 몰리기도 했으나 1차 예선 참가팀 중 유일하게 최종 예선까지 도달했다. 튀니지 역시 적도기니의 몰수패로 카보베르데에게 추격을 받게 되어 최종 예선 진출이 보류됐고 결국 탈락하는 듯했는데 카보베르데 역시 부정선수를 출전시킨 게 드러나 몰수패당하면서 우여곡절 끝에 최종 예선 진출에 성공했다. 카메룬도 두 나라처럼 탈락 위기에 놓였지만 징계가 철회되면서 간신히 최종 예선에 진출했다.
5.1. 조 편성
<rowcolor=#00296d> 포트 1 | 포트 2 |
코트디부아르 19위 | 이집트 50위 |
가나 24위 | 부르키나파소 51위 |
알제리 28위 | 카메룬 61위 |
나이지리아 36위 | 세네갈 66위 |
튀니지 46위 | 에티오피아 93위 |
이후 9월 16일 최종 예선 라운드 대진 추첨 결과, 코트디부아르는 세네갈과, 가나는 이집트와, 알제리는 부르키나파소와, 나이지리아는 에티오피아와, 튀니지는 카메룬과 각각 격돌하게 되었다. 부르키나파소, 에티오피아를 상대하게 된 알제리, 나이지리아는 별다른 이변이 없는 한 본선행이 유력하고, 세네갈을 상대할 코트디부아르 역시 그렇게 나쁘지 않은 대진표를 받아들었다. 이에 비해 튀니지 VS 카메룬, 가나 VS 이집트 경기는 상당한 각축전이 될 것으로 예상된다. 하지만 에티오피아는 1차예선 최강팀으로 남아프리카 공화국을 침몰시키고 올라온 팀이기 때문에 나이지리아로서는 직접 맞붙기 전에는 방심할 수가 없다. 에티오피아야말로 이번 아프리카 지역예선 최고의 고춧가루 팀이었다.
5.2. 경기 결과
<rowcolor=#00296d> 1차전 홈팀 | 합산 | 2차전 홈팀 | 1차전 | 2차전 | ||
부르키나파소 | 3-3 | 알제리 | 3-2 | 0-1 | ||
코트디부아르 | 4-2 | 세네갈 | 3-1 | 1-1 | ||
에티오피아 | 1-4 | 나이지리아 | 1-2 | 0-2 | ||
튀니지 | 1-4 | 카메룬 | 0-0 | 1-4 | ||
가나 | 7-3 | 이집트 | 6-1 | 1-2 |
5.2.1. 부르키나파소 VS 알제리
2014 FIFA 월드컵 브라질 아프리카 예선 3차예선 1차전 2013.10.13.(토) 01:00 (UTC+09:00) | ||
8월 4일 경기장 (부르키나파소, 와가두구) | ||
주심: 재니 시카즈웨 (잠비아)[4] | ||
3 : 2 | | |
알제리 | ||
45+2' [[베니뉀데 피트로이파|{{{#000000,#dddddd 베니뉀데 피트로이파}}}]] 65' [[자카리자 코네|{{{#000000,#dddddd 자카리자 코네}}}]] 86' (PK) [[아리스티데 반세|{{{#000000,#dddddd 아리스티데 반세}}}]] | 50' [[소피앙 페굴리|{{{#000000,#dddddd 소피앙 페굴리}}}]] 68' [[카를 메자니|{{{#000000,#dddddd 카를 메자니}}}]] | |
관중: 31,000명 |
2014 FIFA 월드컵 브라질 아프리카 예선 3차예선 2차전 2013.11.20.(화) 03:15 (UTC+09:00) | ||
스타드 무스타파 차커 (알제리, 블리다) | ||
주심: 바다라 디아타(세네갈) | ||
| 1 : 0 | |
알제리 | ||
49' [[마지드 부게라|{{{#000000,#dddddd 마지드 부게라}}}]] | - | |
관중: 35,000명 |
합산 점수는 3:3으로 동률이나, 원정 골에서 2:0으로 앞서는 알제리가 본선에 진출하였다.
부르키나파소는 홈 경기에서 알제리에 승리했지만, 동시에 2골을 내주는 바람에 원정경기서 알제리에게 패하게 되면 본선 티켓은 물건너갈 위험이 있다. 그러나 비기기만 해도 본선에 진출한다. 이제 부르키나파소는 알제리 원정에서 반드시 최소 한두 골 이상 득점해야 사상 첫 본선에 안전하게 진출 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알제리는 11월에 홈에서 벌어지는 2차전에서 무조건 이기면서 세 골 이상 내주지 말아야 2회 연속 본선 진출에 성공하게 된다. 결국 알제리가 1-0으로 이기면서 원정 다득점으로 2회 연속 본선에 진출했다. 에티오피아와 마찬가지로 돌풍을 일으키며 첫 월드컵 진출에 나선 부르키나파소는 눈물겨운 탈락. 한편 알제리가 간신히 예선을 통과하면서 지난 대회 개최국인 남아공을 제외한 5개 아프리카 국대가 이번에도 또다시 본선에 진출하는 진기록을 세웠다. 또한, 알제리마저 탈락했다면 1974 FIFA 월드컵 서독 이후 40년만에 북아프리카 전멸이 될 뻔했으나 알제리의 본선 진출로 그런 상황은 일어나지 않았다.
한편, 부르키나파소 축구협회는 알제리 측이 마지드 부게라가 경고 누적으로 출전 정지되었음에도 경기에 출전시켰다고 주장하며 FIFA에 소청을 제기했으나 기각되었다.
5.2.2. 코트디부아르 VS 세네갈
2014 FIFA 월드컵 브라질 아프리카 예선 3차예선 1차전 2013.10.13.(토) 02:00 (UTC+09:00) | ||
스타드 펠릭스 호포에-보이니 (코트디부아르, 아비장) | ||
주심: 라진드라파사드 세춘 (모리셔스) | ||
3 : 1 | ||
3' (PK) [[디디에 드로그바|{{{#000000,#dddddd 디디에 드로그바}}}]] 14' (OG) [[루도비치 사네|{{{#000000,#dddddd 루도비치 사네}}}]] 49' [[살로몬 칼루|{{{#000000,#dddddd 살로몬 칼루}}}]] | 90+4' [[파피스 치세|{{{#000000,#dddddd 파피스 치세}}}]] | |
관중: 30,000명 |
2014 FIFA 월드컵 브라질 아프리카 예선 3차예선 2차전 2013.11.17.(토) 04:00 (UTC+09:00) | ||
모하메드 5세 경기장 (모로코, 카사블랑카)[5] | ||
주심: 자멜 하이모디 (알제리) | ||
1 : 1 | ||
72' [[무사 소|{{{#000000,#dddddd 무사 소}}}]] | 90+4' [[살로몬 칼루|{{{#000000,#dddddd 살로몬 칼루}}}]] | |
관중: 15,000명 |
코트디부아르가 총합 점수 4:2로 본선에 진출하였다.
코트디부아르는 홈에서 세네갈을 3:1로 제치고 본선 진출에 유리한 고지를 차지했다. 다만 세네갈에게 1골을 내주는 바람에 세네갈 원정에서 2골 이상 득점해야 안정적인 본선행을 기대할 수 있게 되었다. 그나마 세네갈이 자국내 여러 문제로 홈 경기를 자국이 아닌 모로코의 카사블랑카에서 치르게 되는 바람에 홈 어드밴티지를 기대할 수 없게 되었다는 점이 코트디부아르로서는 위안이 될 듯. 그리고 카사블랑카에서 벌어진 2차전에서는 세네갈이 선제골을 넣었으나 인저리타임에 코트디부아르가 만회골을 넣어 1-1로 비겼다. 결국 세네갈은 2002년 월드컵 당시 본선에 올라 디펜딩 챔피언 프랑스와 죽음의 조를 뚫고 올라온 스웨덴을 이기고 8강에 진출했던 과거의 영광을 재현하는 데에 실패했다.
5.2.3. 에티오피아 VS 나이지리아
2014 FIFA 월드컵 브라질 아프리카 예선 3차예선 1차전 2013.10.13.(토) 22:00 (UTC+09:00) | ||
아디스아바바 (에티오피아, 아디스아바바) | ||
주심: 시디 알리움 (카메룬) | ||
1 : 2 | | |
57' [[베하일루 아세파|{{{#000000,#dddddd 베하일루 아세파}}}]] | 67, 90' (PK) [[엠마누엘 에메니케|{{{#000000,#dddddd 엠마누엘 에메니케}}}]] | |
관중: 22,000명 |
2014 FIFA 월드컵 브라질 아프리카 예선 3차예선 2차전 2013.11.17.(토) 00:00 (UTC+09:00) | ||
U. J. 에수에네 스타디움 (나이지리아, 칼라바르) | ||
주심: 바카리 가사마 (감비아) | ||
| 2 : 0 | |
20' (PK) [[빅터 모지스|{{{#000000,#dddddd 빅터 모지스}}}]] 81' [[빅터 오비나|{{{#000000,#dddddd 빅터 오비나}}}]] | - | |
관중: 8,000명 |
나이지리아가 총합 스코어 4:1로 본선에 진출했다.
1차전에서 나이지리아는 에티오피아 원정에서 2:1 역전승을 거두고 본선 진출의 가능성을 높였다. 반면 남아프리카공화국의 벽을 가뿐히 뛰어넘었던 에티오피아는 나이지리아가 남아프리카공화국과는 클래스가 다르다는 것만 뼈저리게 느꼈다. 2차전에서는 오히려 나이지리아가 에티오피아를 마음껏 유린하며 2-0으로 승리를 거두어 총합 4-1로 나이지리아가 에티오피아를 제치고 본선에 합류했다. 패배한 에티오피아는 거의 밑바닥 피파랭킹으로 1차 예선부터 여기까지 치고올라오는 아름다운 도전을 했으나 그 아름다운 도전은 여기에서 마침표를 찍었다. 에티오피아는 비록 본선에는 진출하지는 못했지만 이 월드컵이 좋은 추억으로 간직될 것이다.
5.2.4. 튀니지 VS 카메룬
2014 FIFA 월드컵 브라질 아프리카 예선 3차예선 1차전 2013.10.14.(월) 02:00 (UTC+09:00) | ||
스타드 올랭피그 드 라데 (튀니지, 튀니스) | ||
주심: 코망 쿨리발리 (말리) | ||
0 : 0 | ||
튀니지 | 카메룬 | |
- | - | |
관중: 50,000명 |
2014 FIFA 월드컵 브라질 아프리카 예선 3차예선 1차전 2013.11.17.(일) 23:30 (UTC+09:00) | ||
스타드 아흐마도우 아히조 (카메룬, 야운데) | ||
주심: 라진드라파사드 세춘 (모리셔스) | ||
4 : 1 | ||
카메룬 | 튀니지 | |
5' [[피에르 웨보|{{{#000000,#dddddd 피에르 웨보}}}]] 29' [[뱅자맹 무칸조|{{{#000000,#dddddd 뱅자맹 무칸조}}}]] 65', 85' [[장 마쿤|{{{#000000,#dddddd 장 마쿤}}}]] | 50' [[아흐메드 아카이치|{{{#000000,#dddddd 아흐메드 아카이치}}}]] | |
관중: 35,570명 |
카메룬이 총합 스코어 4:1로 본선에 진출하였다.
만약 카보베르데가 여기로 왔다면 카메룬으로서는 2013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지역예선에서의 패배를 설욕할 기회가 주어졌겠지만, 카보베르데가 몰수패를 당해서 튀니지로 바뀌는 바람에 무산. 튀니지는 하위 시드 팀 중 상대하기 껄끄러운 카메룬을 만났다. 비록 카메룬이 지난 대회 3전패 탈락과 2012년~2013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연속 지역예선 탈락 등의 삽질을 하면서 FIFA 랭킹을 거하게 깎아먹는 바람에 하위 시드로 내려앉긴 했으나 여전히 강호급으로 꼽히고 있기 때문에 튀니지로서는 가장 만나기 싫은 팀이었을 것이다.
튀니지로서는 상대적으로 전력이 강한 카메룬을 맞이하여 홈에서 비겼다. 그래도 상대편을 무득점으로 막았다는 것이 위안거리. 튀니지는 카메룬 원정에서 골을 넣으면서 비기게 되면 월드컵에 진출하게 된다. 하지만 전반전에 카메룬이 2골을 넣으면서 전반 종료. 튀니지로선 후반전에 최소 2골을 넣으며 비겨야 하는 불리한 상황에 놓였다. 튀니지는 할 수 있는 모든 것을 쏟아붓는다는 심정으로 총력을 다하여 후반 4분에 1골을 넣으면서 희망을 이어가나 했지만 연이어 실점당하면서 결국 4:1 대패로 4년 전 모잠비크에게 덜미를 잡혀 본선 문턱에서 좌절한 데 이어 이번에도 2회 연속 월드컵 본선 탈락했고 카메룬이 2회 연속 본선진출에 성공했다.
5.2.5. 가나 VS 이집트
2014 FIFA 월드컵 브라질 아프리카 예선 3차예선 1차전 2013.10.16.(화) 01:00 (UTC+09:00) | ||
바바 야라 스타디움 (가나, 쿠마시) | ||
주심: 부샤이브 엘 아흐라시 (모로코) | ||
6 : 1 | ||
가나 | 이집트 | |
5', 53' [[아사모아 기안|{{{#000000,#dddddd 아사모아 기안}}}]] 23' (OG) [[와엘 고마아|{{{#000000,#dddddd 와엘 고마아}}}]] 44' [[압둘 와리스|{{{#000000,#dddddd 압둘 와리스}}}]] 72' (PK) [[설리 문타리|{{{#000000,#dddddd 설리 문타리}}}]] 88' [[크리스찬 아추|{{{#000000,#dddddd 크리스찬 아추}}}]] | 41' (PK) [[모하메드 아부트리카|{{{#000000,#dddddd 모하메드 아부트리카}}}]] | |
관중: 38,000명 |
2014 FIFA 월드컵 브라질 아프리카 예선 3차예선 1차전 2013.11.20.(화) 01:00 (UTC+09:00) | ||
6월 30일 경기장 (이집트, 카이로) | ||
주심: 누만디즈 두에 (코트디부아르) | ||
2 : 1 | ||
이집트 | 가나 | |
25' [[아므르 자키|{{{#000000,#dddddd 아므르 자키}}}]] 83' [[모하메드 아파시|{{{#000000,#dddddd 모하메드 아파시}}}]] | 88' [[케빈프린스 보아텡|{{{#000000,#dddddd 케빈프린스 보아텡}}}]] | |
관중: 25,000명 |
가나가 합산점수 7:3으로 본선에 진출하였다.
1차전에서 가나가 6:1로 승리를 거두면서 본선 진출에 가장 유리한 고지에 올라와 있다. 가나의 안방에서 거하게 털린 이집트는 2차전에서 무려 5골 차[6] 이상으로 이겨야 하는 불리한 처지에 놓였다.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결승에서 가나를 꺾고 우승하던 게 엊그제 같은데 어쩌다 이런 대패를 당했다. 이집트의 이런 대패는 2011년 이후 민주화운동으로 정치적 혼란이 극대화된 여파일지도 모른다. 실제로 민주화운동 바로 전해까지 3회 연속 우승의 위업을 올렸으나 민주화운동과 무바라크 정권 붕괴 등이 이어진 2011년부터는 부진한 상황. 국내의 정치적, 사회적 혼란이 극심한 상황에서 축구 쪽도 이런 혼란의 영향을 안 받을 수 없었던 것으로 보인다. 2차전에서는 2:1로 이집트가 승리했지만, 1차전의 대량 실점이 발목을 잡혀 탈락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