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1-01 22:13:24

DDT(밴드)

ДДТ에서 넘어옴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8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상징 <colcolor=#000,#fff>국기 · 국장 · 국호 · 노동자 마르세예즈 · 인터내셔널가 · 소련 찬가 · 낫과 망치 · 붉은 별
정치 정치 전반 · 소련 공산당 · 소련 공산당대회 · 크렘린 · 레닌 영묘 · 크렘린 벽 묘지 · 소련 최고회의 · 소련 장관회의 · 헌법
블라디미르 레닌 · 이오시프 스탈린 · 니키타 흐루쇼프 · 레오니트 브레즈네프 · 유리 안드로포프 · 콘스탄틴 체르넨코 · 미하일 고르바초프
최고지도자(서기장) · 국가수반 · 대통령
군사 소련군(장비 · 소련 육군 · 소련 해군 · 소련 공군 · 소련 방공군 · 소련 전략로켓군) · 스타프카 · 소련 국방장관 · 스페츠나츠 · 정치장교 · 바르샤바 조약 기구 · 열병식
소련의 핵개발(RDS-1 · 차르 봄바 · 세미팔라틴스크) · 소련군 vs 미군 · 소련군 vs 자위대 · 대외전쟁
치안 체카 · NKVD · KGB
경제 경제 · 경제사 · 소련 루블 ·
인문 민족 · 언어 · 종교
역사 역사 · 러시아 혁명 · 러시아 내전 · 신경제정책 · 대숙청 · 독소 폴란드 점령(카틴 학살) · 대조국전쟁 · 소련-일본 전쟁 · 냉전(6.25 전쟁 · 스푸트니크 쇼크 · 쿠바 미사일 위기 · 소련-아프가니스탄 전쟁 · 1980 모스크바 올림픽) · 글라스노스트 & 페레스트로이카 · 소련 존속 여부 국민투표 · 8월 쿠데타 · 소련 붕괴 · 체르노빌 원자력 발전소 폭발 사고
외교 외교 · 미소관계 · 소련-유고슬라비아 관계(티토-스탈린 결별) · 중소관계(중국-소련 국경분쟁 · 중소결렬) · 나치 독일-소련 관계(독소 불가침조약) · 독러관계 · 북소관계 · 한소관계 · 소일관계 · 소련-몽골 관계 · 소련-대만 관계 · 친소 · 소비에트 제국 · 브레즈네프 독트린 · 인테르코스모스
문화 문화 · 사회주의 리얼리즘 · 사미즈다트
막심 고리키 · 보리스 파스테르나크 · 미하일 숄로호프 · 알렉산드르 솔제니친 · 스트루가츠키 형제
블라디미르 비소츠키 · 세르게이 프로코피예프 · 드미트리 쇼스타코비치 · 드미트리 카발레프스키 · 아람 하차투리안 · DDT(밴드) · 키노
교육
요리
공휴일
우주 콘스탄틴 치올코프스키 · 반작용 추진 연구 그룹 · 세르게이 코롤료프 · 블라디미르 첼로메이 · 유리 가가린 · 발렌티나 테레시코바 · 알렉세이 레오노프
스푸트니크 · 소유즈 우주선 · 보스토크 계획 · 보스호드 계획 · 살류트 프로그램 · 미르 우주정거장
바이코누르 우주기지 · 소유즈-아폴로 테스트 프로젝트 · 인테르코스모스
}}}}}}}}} ||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align=center><table bordercolor=#fff> 파일:데데테 로고.svg 데데테
ДДТ
}}}
파일:데데테 멤버.jpg
<colbgcolor=#f5f5f5><colcolor=#000> 국적
[[소련|]][[틀:국기|]][[틀:국기|]] →
[[러시아|]][[틀:국기|]][[틀:국기|]]
결성 1980년
활동 기간 1980년 - 현재[1]
멤버 유리 셰프추크 (보컬, 기타)
콘스탄틴 슈마일로프 (키보드)
알렉세이 페디체프 (리드 기타)
아르툠 마마이 (드럼)
안톤 비시냐코프 (트럼본)
알료나 로마노바 (백보컬)
로만 네벨레프 (베이스)[2]
장르 하드 록, 포크 록, 얼터너티브 록
레이블 DDT Records, Navigator Records 등
링크 파일:데데테 로고.svg |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 파일:VK 아이콘.svg | 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


1. 개요2. "데데테"라는 이름의 유래3. 역사 및 특징4. 들어보기5. 디스코그래피

[clearfix]

1. 개요

ДДТ(데데테)는 소련러시아의 락 밴드로, 1980년 여름 현 바시키르 자치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의 수도 우파에서 결성되었다. 밴드의 리더는 락 뮤지션 유리 셰프추크(Юрий Шевчук)[3]로, 결성 이후 현재까지 유일하게 남아있는 원년 멤버이다. 40년 넘게 존속해 오면서 권위나 부조리에 굴하지 않고 진리와 진실을 외쳐온 밴드로 유명하다. 이러한 활동 떄문에 푸틴 행정부의 눈에 찍혔고, 특히 우크라이나 전쟁 이후 공연 강제 취소 등의 탄압을 받고 있지만 많은 이들에게 지지를 받고 있다.

2. "데데테"라는 이름의 유래

밴드명은 살충제DDT(Dichlorodiphenyltrichloroethane)를 러시아어식으로 표기한 것일 뿐이다. 러시아 현지에서는 Дом детского творчества(아이들의 창의력의 집)[4]의 약자에서 따왔다는 썰이 돌고 있으나[5], 리더 셰프추크가 몇 차례의 인터뷰를 통해 이를 일축했다.
— А что такое ДДТ, Юрий? Не аббревиатура, разумеется, а группа, стиль?
— Ну ДДТ, конечно, название сатирическое. Придумали мы его в 1981 году а Уфе, когда только начинали работать. ДДТ — дуст. Им еще недавно всяких тараканов да клопов травили… Только не нужно очень смелых аналогий проводить…
인터뷰어: "데데테"가 무엇인가요, 유리? 물론 약자는 아니라 그랬죠. 그룹, 아니면 스타일?
셰프추크: 데데테란, 물론, 풍자적 명칭입니다. 1981년 우파에서, 막 우리가 활동하기 시작했을 때 우린 이 이름을 떠올렸죠. 데데테, 그러니까 가루 살충제 말이죠. 최근까지만 해도, 사람들은 이걸로 바퀴벌레니 빈대니 하는 놈들을 잡았죠... '용감한' 추측들을 더 끌고 올 필요는 없을 것 같군요...
— «ДДТ» — Дом детского творчества?
— Никакого детского творчества здесь быть не может. Это какой-то идиот придумал. Скорее «ДДТ» — яд, химикат, такой жуткий, в котором человечество видело панацею от всех вредителей, а на самом деле он сам принес большой вред. Фантазируйте! Помню список названий, которые мне пришли в голову, — «Монитор», «Блюминг», еще что-то. Ребятам понравилось «ДДТ». Исамбаев сказал — да, «ДДТ» — это круто. Представляете, вы выходите на сцену — объявляют: Д-э-э Д-э-э Т-э-э! И весь зал: Уу-a-a-a! Мы, конечно, посмеялись. Никто этому не верил, а название осталось…
인터뷰어: 데데테라는 게 "아이들의 창의력의 집"의 약자인가요?
셰프추크: 아이들의 창의력이니 그런 게 끼여들 여지가 여긴 전혀 없습니다. 어떤 바보들이 그런 걸 떠올렸죠. 데데테는 끔찍한 화학 독으로, 인류가 모든 해충에 대한 만병통치약으로 보았지만 사실 더 큰 해악을 가져온 존재입니다. 생각해 봐요! 당시 제가 떠올렸던 (밴드 이름) 몇몇 가지를 기억하고 있습니다. "모니터", "블루밍" 뭐 그런 것들이었죠. 아이들은 "데데테"란 이름을 좋아했습니다. 이삼바예프[6]가 그랬죠. 그 이름이 멋지다고요. 상상해 봐요. 당신이 무대 위에 서 있는데 사람들이 외치는 거죠. "데-데-테!" 그리고 다들 외쳐요. "우-와!" 물론 우린 크게 웃었죠. 아무도 이를 믿진 않았지만, 이름만은 남았죠...[7]

3. 역사 및 특징

1980년 여름 데데테가 결성되었다. 이에 대해서는 크게 두 가지 썰이 있는데, 하나는 1980년 우파 텔레비전 센터에서 음악가 블라디미르 시가초프(Владимир Сигачёв)가 당시 정치적 노래를 부르던 3인 밴드의 리더 유리 셰프추크(Юрий Шевчук)를 만나 자신들의 밴드에 들어오라고 제안하여 영입했다는 썰이고, 다른 하나는 시가초프가 속해 있던 밴드 리더였던 겐나디 로딘(Геннадий Родин)이 1979년 12월 말 셰프추크를 자신들이 활동하고 있던 "아방가르드" 문화 궁전(ДК «Авангард»)[8]에 초대했다는 썰이다.

결성 당시 멤버는 보컬 유리 셰프추크, 기타리스트 루스템 아산바예프, 베이시스트 겐나디 로딘, 키보디스트 블라디미르 시가초프와 드러머 리나트 샴수트디노프였다. 당시에는 밴드명도 없었고, 스스로 "겐나디 로딘 주도 하의 앙상블(ансамбль под управлением Геннадия Родина)"[9]라는 명칭을 사용했다. 이들은 같은 해 가정집에서 최초의 앨범[10] "데데테 1집(ДДТ-1)"[11]을 녹음했다. 총 13개 곡이 들어갔으며, 이 중 1곡 "검은 태양(Черное солнце)"[12]을 제외하고는 이후 앨범 제작에 다시 사용되었다.

1982년 봄 겐나디 로딘이 콤소몰스카야 프라브다(Комсомольская правда)지에 실려 있던 "골든 튜닝 페스티벌(Золотой камертон)"에 대한 기사를 가지고 왔다. "젊은 음악가들"을 위한 이 관영 페스티벌은 "소련의 애국적 노래들을 발굴"하는 데 그 목적이 있었다. 참가하기 위해선 총 3가지 곡을 제출해야 했는데, 하나는 평화에 대한 곡[13], 하나는 소련 음악가들의 커버곡, 다른 하나는 자유곡(밴드의 재량에 따라)이었다. 우승자에게는 관영 음반사이자 당시 소련의 하나밖에 없던 음반사 멜로디야에서 데뷔 싱글을 찍을 수 있는 특혜가 주어졌다[14]. 음악 제출 시한이 얼마 남지 않았기에 밴드는 허겁지겁 음악을 녹음했고[15], 밴드 이름도 그 과정에서 정해졌다[16].

밴드는 2차까지 진출했고, 훗날 데데테의 18번이 될 "쏘지 말라!(Не стреляй!)"가 우승을 차지했다. 이에 셰프추크는 멜로디야 취입 기회를 얻어 모스크바에 갔으나, 최종적으로 싱글 음반은 무산되었다. "소련의 공식 음악가들의 곡에 소련의 공식 작사가/시인들의 가사를 붙인 노래를 공연해야 한다"라는 계약 조건을 셰프추크가 거부했기 때문이라고 알려져 있다.[17]

물론 "쏘지 마시오!"의 곡 성향이나[18], 당시 관련 에피소드를 보았을 때 데뷔 싱글이 제대로 진행되었을 것이냐 본다면 멜로디야에서 데데테의 앨범이 제대로 발매되기는 힘들었을 것이다. 당시 이 곡은 우승곡이었음에도 해당 페스티벌의 TV 상영 당시에는 잘렸다는 점만 봐도 알 수 있다. 이후 KGB 및 지역당은 셰프추크를 "소비에트의 국제주의 병사들이 적군과 맞서 싸우고 있을 때 이러한 비애국적 노래를 공연한 죄(непатриотично исполнять такие песни, когда советские воины-интернационалисты принимают участие в боевых действиях)"라는 참으로 무시무시한 혐의로 고발하기까지 했다. 당시 수사관과 셰프추크가 나눈 대화가 압권이다.
수사관: 우리 조국이 이런 국제적 의무에 매진하고 있는데 무슨 권리로 이딴 노래를 부르고 있나?(Какое право вы имеете ее петь, когда наша страна выполняет интернациональный долг?!)
셰프추크: 하지만 그게 내가 생각한 바란 말이요(А я так думаю!)
당시는 (굳이 따지자면 반체제 성향에 오히려 가까웠던) 유명 바르드 가수 블라디미르 비소츠키가 사망한 지 얼마 되지 않은 시점이었는데, 셰프추크의 곡 성향이나 목소리가 비소츠키와 비슷하다고 보던 KGB 및 지역당 측에서는 데데테를 위험 밴드로 찍어 감시하게 되었다. 그러나 다행스럽게도(?) 셰프추크의 아버지는 바시키르 공산당의 고위 관리였기에 모 시베리아의 홈 밴드와 같은 직접적인 탄압은 당하지 않았다.[19]

이후 데데테는 우파 석유 대학교(Уфимский Нефтяной Институт)에서 데데테는 첫 공연을 가지게 되었는데, 관중의 많은 수가 가짜 표로 들어왔다는 것과 밴드에 대해 아는 것이 거의 없던 지역 관리들이 당시 동독에서 관광차 왔던 버스 두 대 분의 여행객들을 이 공연에 보냈다[20]는 뒤죽박죽 에피소드와 함께 마무리되었다.

1982년 첫 앨범 "무지개 위의 암퇘지(Свинья на радуге)"를 발매했으나, 발매 후 KGB의 감시 대상이 되어 공식 활동을 금지당하고 언더그라운드로 기어 들어갔다. 앨범 수록곡 중 대놓고 반전을 외친 '쏘지 마시오'가 문제가 된 것도 있고, 당시 DDT는 비틀즈 등 서양 밴드의 영향을 많이 받았는데, 이런 종류의 곡은 소련 당국의 검열 대상이었다. 당국에서는 셰프추크에게 소련 음악가들이 작곡한 (그리고 체제의 입장에서 건전한) 노래를 부르라고 명했는데, 셰프추크는 이를 씹었다. 여기다 셰프추크의 목소리가 러시아의 유명 반체제 가수 블라디미르 비소츠키와 흡사해 금지당했다는 소문도 돌았다(실제로 두 사람의 목소리는 꽤 유사한 편이다). 이 때 KGB가 보컬 유리에게 "이 '무지개 위의 암퇘지'가 누구인가? 설마 브레즈네프인가?"라고 물었고, 유리가 "어떻게 알았지?"라고 응수했다는 재미있는 에피소드가 전해진다. 이후 정부의 탄압이 이어지는 가운데 잠시 예카테린부르크에서 활동하다 1986년 리더이자 결성자였던 유리 솁첸코가 가족 전체와 레닌그라드로 이주한 뒤 동명의 밴드를 다시 만들어 지금까지 활동하고 있으므로 레닌그라드 투소프카에도 끼워주는 편이다. 이 쪽도 징크스[21]를 피하지 못해 리더를 제외한 밴드 멤버 전체가 물갈이 된 전력이 있으며, 소속 멤버들 중 두 명이 단명했다.

4. 들어보기


뱀 페트로프(Змеи Петров)


무지개 위의 암퇘지(Свинья на радуге)


조국(Родина)


쏘지 마라!(Не стреляй!)


눈보라(Метель)


나는 소련에서 태어났다(Рождённый в СССР)


FSB 장군이랑 술 한잔 했다네(Я пил у генерала ФСБ)

(대놓고 정치적인 메시지를 전달하지는 않지만) 절묘한 사회 풍자와 반정부적 성격, 그리고 반전 사상으로 유명하다. 이를 대표하는 곡이 소련-아프가니스탄 전쟁 당시 참전한 친구 빅토르 탸핀(Viktor Tyapin)의 말을 듣고 작곡한 곡 "쏘지 마라!(Не стреляй!)"[22]와 제목만으로 무슨 곡인지 설명이 되는 "FSB 장군이랑 술 한잔 했다네(Я пил у генерала ФСБ)".
파일:miru_mir.png
Самая темная ночь перед рассветом
새벽이 오기 전이 가장 어두운 법이다

МИРУ - МИР!
세상에 평화를!

Юрий Шевчук, 2022
유리 셰프추크, 2022년[23]
Родина, друзья, это не жопа президента, которую надо все время мусолить, целовать. Родина – это бабушка нищая на вокзале, продающая картошку. Вот это — родина.
조국이란 건 말입니다, 친애하는 여러분, 언제나 애무하고 키스해 줘야 하는 대통령의 후장이 아닙니다. 조국이란 기차역에서 감자를 팔고 있는 거지 노파입니다. 그것이 바로 조국이란 것입니다.
유리 셰프추크, 2022년 05월 우파 공연 중 발언

5. 디스코그래피

  • 데모 앨범, 스튜디오 정규 앨범, 라이브 앨범[24], 유리 셰프추크 솔로 앨범 등 중요하거나 대표적으로 간주되는 앨범 전부 포함.
연도 앨범 특이사항
1981 데데테 1집(ДДТ-1)"무지개 위의 암퇘지" 이전 테스트 삼아 가정에서 녹음한 데모 앨범.
공식 발매된 적은 없으며, 마그니티즈다트로만 유포
1982 무지개 위의 암퇘지(Свинья на радуге)1982년 마그니티즈다트로 유포, 1999년 공식 발매.
1983 타협(Компромисс)밴드 'Рок-Сентябрь'와 협업.
1983년 마그니티즈다트로 유포, 1997년 공식 발매.
1983 지방 촌동네(Периферия)녹음 도중 KGB의 압수수색으로 인해 녹음을 끝내지 못했으며, 원본은 압수 후 분실.
1983년 엔지니어가 만들어 둔 복사본을 마그니티즈다트로 유포, 1991년 공식 발매.
1985 화부(Кочегарка)우파를 떠나 레닌그라드에서 데뷔한 셰프추크가 바실라초프와 진행한 솔로 공연 앨범.
1985 시간(Время)1985년 마그니티즈다트로 유포, 1995년 공식 발매.
1987 해빙(Оттепель)1987년 5월 레닌그라드 슈사리(Шушары)에서 개최된 락-니바(Рок-Нива) 축제실황.
공식 발매된 적은 없으며, 마그니티즈다트로만 유포.
1989 나 이 역할을 맡았네(Я получил эту роль)데데테 역사상 최초로 공식 발매된 스튜디오 앨범.
1989[25] 내란의 불길한 예감
(Предчувствие гражданской войны)
공연 프로그램 "플라스툰"(Пластун) 관련 사운드트랙 모음.[26]
공식 발매를 목적으로 작업한 것이 아니나 이후 유출됨.[27]
1991 해빙(Оттепель)1987년 실황 녹음과는 다른 정규 앨범.
1992 여배우 봄(Актриса Весна)
1993 검은 개 페테르부르크
(Чёрный пёс Петербург)
동명의 공연 실황 앨범.
1995 이것이 전부(Это всё)타이틀곡은 이후 싱글컷되어 발매됨.
1995 플라스툰(Пластун)
1996 사랑(Любовь)타이틀곡은 이후 싱글컷되어 발매됨.
1997 소련에서 태어났네(Рождённый в СССР)동명의 공연 실황 앨범.
1999 0번 세상(Мир номер ноль)타이틀곡은 이후 싱글컷되어 발매됨.
1999 스쳐 지나갔네(Просвистела)[28]컴필레이션 앨범으로 타이틀곡 "스쳐 지나갔네"(Просвистела)가 첫 수록된 앨범.
2000 8월의 눈보라(Метель августа)
2001 두 개의 공연. 어쿠스틱
(Два концерта. Акустика)
2001년 11월 17/21일 모스크바와 상트페테르부르크에서 진행한 솔로 공연 앨범.
2002 통합 1(Единочество I)
2004 창문 없는 도시. 입구/출구
(Город без окон. Вход/Выход)
동명의 공연 실황 앨범.
2003 통합 2. 라이브(Единочество II. Живой)
2005 실종된 이들(Пропавший без вести)
2007 아름다운 사랑(Прекрасная любовь)"유리 셰프추크와 데데테 밴드"(Юрий Шевчук и группа ДДТ) 명의로 발매.[29]
2011 그렇지 않다면(Иначе)
2011 P.S.(P.S)"그렇지 않다면"의 확장판에 포함된 앨범.
1985-2010년 사이 작곡했으나 기존 앨범에 실리지 않은 곡들을 모은 컴필레이션 앨범.
2014 그렇지 않다면. 2013년 에센 실황
(Иначе. Live in Essen 2013)
2013년 독일 에센에서 있었던 공연 실황 앨범.
2014 투명한(Прозрачный)
2014 투명한/민스크 공연
(Прозрачный/Концерт В Минске)
2014년 벨라루스 민스크에서 있었던 공연 실황 앨범.
2018 가자, 갈랴(Галя ходи)
2021 허공 속 창의성(Творчество в пустоте)클라우드펀딩을 통해 발매.
2022 허공 속 창의성 2(Творчество в пустоте 2)클라우드펀딩을 통해 발매.
2023 사격장 속 늑대들(Волки в тире)유리 셰프추크와 드미트리 에멜리야노프(Дмитрий Емельянов) 명의로 발매.
클라우드펀딩을 통해 발매.


[1] 1985-1986년경 일시적이긴 해도 실질적으로 해체되었다가 재결성된 전력이 있다.[2] 이상 2024년 기준[3] 한국에서는 셰프추크, 솁축, 솁추크 등의 호칭이 혼용된다. 과거 유튜브 자동번역에서는 "유리 셰우추크"로 잘못 표기되던 적이 있었다. 셰프추크라는 성씨가 우크라이나 계열인 건 맞지만, 유리 셰프추크 본인은 러시아인이고 러시아 정체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4] 러시아 정부 측에서 제공하는 아동 교육 시설의 명칭.[5] 이 외에도 "좋은 오후요, 동지들(добрый день, товарищи)"의 약자라는 등 바리에이션이 많다.[6] 당시 데데테의 멤버 중 하나 - 번역자 주[7] 출처: "모스크바 콤소몰(Московский Комсомолец)" 인터뷰, 1988년 11월 11일[8] 문화 궁전(Дворец культуры, 줄여서 ДК)은 진짜 궁전이 아니라 쉽게 말해 문화 활동을 할 수 있는 홀이나 극장 같은 큰 시설을 말하는 러시아식 명칭이다. 이런 큰 규모의 시설을 러시아어로 "드보레츠"라고 하는데, 원래 이게 궁전이라는 의미였다 보니 직역한 게 현재까지 이어지고 있는 것. 북한 등지에서 궁전 운운하는 건 소련의 영향이다.[9] 소련에서 밴드 등 음악 단체는 "앙상블"이라고 불렸다.[10] 릴 테이프가 아닌 카세트 테이프로 제작되었다. 당시 소련의 앨범 제작 환경에 대해 짚고 넘어가자. 소련 시절 밴드(보컬-기악 앙상블, 일명 ВИА. 원래는 음악 밴드 전체를 일컫는 말이였지만 현재는 소련 당시 관제 밴드를 가리킨다)로 활동하기 위해선 문화부 등록 과정을 거쳐야 했다. 검열은 필수였지만 그 대가로 TV 방영, 스튜디오 앨범 제작(당시 소련의 정규 음반사는 관영 음반사였던 "멜로디야(Мелодия)" 한 곳이 전부였다) 등을 보장받았다. 이런 관제 밴드가 아닌 언더그라운드 밴드의 경우 TV 등을 통해 홍보를 할 수가 없었고, 직업이 음악인으로 인정되지 않았으므로 무직이 범죄였던 당시 형법에 의거 투잡을 뛰어야 했으며, 제대로 된 악기나 녹음 환경을 보장받지 못했다. 당시 소련 락의 최전선이었던 레닌그라드나 모스크바 같은 곳에서는 뇌물을 주고 정규 스튜디오를 빌리는 사례도 있었지만, 깡촌 우파의 데데테에게 있어서 스튜디오 녹음은 사치였다. 저기 시베리아 쪽으로 가면, "드럼이 없어 피오네르 장난감 드럼이나 쇳덩이를 두들기던" 그라즈단스카야 오보로나나 "스튜디오 대신 대학 기숙사에서 앨범 녹음을 진행한" 얀카 댜길레바 같은 사례도 있었다.[11] 러시아에서 (밴드 이름)-(숫자)는 "(해당 밴드)의 (숫자)번째 앨범"을 의미한다.[12] 이 곡은 이 앨범과 극초기 라이브를 제외하면 찾아볼 수 없다.[13] 당시가 소련-아프가니스탄 전쟁 시기였다는 것과 무관하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14] 거기에다 TV 중계까지 되었기에 무명 밴드들에게 있어선 좋은 홍보 기회였다.[15] 외계인(Инопланетянин), 검은 태양(Чёрное солнце), 쏘지 말라!(Не стреляй!) 이렇게 자작곡 3개를 녹음했고, 커버곡으로는 유리 안토노프의 "모든 건 예전과 같이(Все как прежде)"를 녹음했다. 최종적으로는 "검은 태양", "쏘지 말라", "모든 건 예전과 같이" 3곡을 제출했다.[16] 블라디미르 시가초프가 "데데테"라는 이름을 제안했다고 한다.[17] 다만 일설에 따르면 이에 동의하고 친구 몇몇에게 소련 작사가의 곡을 녹음해 들려주었다는 증언도 있다.[18] 이 곡은 지금도 러시아에서 인기 있는 반전 가요이다.[19] 셰프추크가 길거리에서 경찰과 시비가 붙어 감옥에 간 적이 있었을 때 손을 써서 아들을 풀어준 적도 있었다고 한다. 다만 본인은 자신이 이런 "마조르"(소련의 금수저)라는 점을 별로 좋아하진 않았고, 나중에는 마조르들을 까는 노래를 발표하기도 했다.[20] 이 관광객들은 공연에 만족했다는 뒷이야기가 전해진다.[21] 1980-90년대 러시아 락가수들이 단명하거나 밴드들이 오래 가지 못하고 해체된 것을 두고 이르는 말로, 팬들은 이 시기를 '암흑기'라고 부르기까지 한다. 자세한 사항은 마이크 나우멘코 문서 참조.[22] 가사 내용은 사격 실력이 출중하던 한 남자가 전쟁에 참전했고 이후 PTSD를 앓게 된다는 이야기다.[23] 우크라이나 전쟁 개전 이후 데데테의 공식 사이트에 걸린 배경. 셰프추크의 친필이다.[24] 라이브 앨범의 경우 가능한 VHS나 DVD 발매가 아닌, CD나 LP 등 음악 앨범의 형태로 발매된 앨범을 우선하여 기재함.[25] 1990년이라는 설 있음.[26] 당시 데데테는 소련에서 "플라스툰" 투어를 돌았고 이를 TV 송출용으로 녹화하였다. 하지만 기술적 문제점 등으로 인해 음향의 질이 매우 떨어졌고, 결국 음악을 스튜디오 환경에서 전부 재녹음한 뒤 공연 영상과 싱크를 맞추는 식으로 영상을 재제작하여 유통하였다.[27] 스튜디오 "경종"(Колокол)에서 녹음하였는데, 원본 테이프가 복사되어 유출되었다. 현재도 인터넷에서 구할 수 있다.[28] 2001년 재발매판은 제목이 스쳐 날아갔네(Пролетела)로 바뀜.[29] 검은색 커버의 디럭스 에디션이 발매되었는데, "총검을 땅에 묻었네"(Закопали штыки)라는 노래가 보너스로 추가된 것 말고는 같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