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4-10 20:16:21

인천과학고등학교

ISHS에서 넘어옴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if 넘어옴1 != null
''''''{{{#!if 넘어옴2 != null
, ''''''}}}{{{#!if 넘어옴3 != null
, ''''''}}}{{{#!if 넘어옴4 != null
, ''''''}}}{{{#!if 넘어옴5 != null
, ''''''}}}{{{#!if 넘어옴6 != null
, ''''''}}}{{{#!if 넘어옴7 != null
, ''''''}}}{{{#!if 넘어옴8 != null
, ''''''}}}{{{#!if 넘어옴9 != null
, ''''''}}}{{{#!if 넘어옴10 != null
,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if 설명 == null && 리스트 == null
{{{#!if 설명1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if 설명1 != null
{{{#!html 이 문서는 인천광역시 중구에 있는 과학고등학교에 관한 문서입니다. 인천광역시 연수구에 있는 과학예술영재학교}}}에 대한 내용은 [[인천과학예술영재학교]] 문서{{{#!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를}}}{{{#!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인천과학예술영재학교#s-|]]번 문단을}}}{{{#!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인천과학예술영재학교#|]] 부분을}}}}}}{{{#!if 설명2 != null
, {{{#!html 인천광역시 부평구에 있는 과학고등학교}}}에 대한 내용은 [[인천진산과학고등학교]] 문서{{{#!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를}}}{{{#!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인천진산과학고등학교#s-|]]번 문단을}}}{{{#!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인천진산과학고등학교#|]] 부분을}}}}}}{{{#!if 설명3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를}}}{{{#!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4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를}}}{{{#!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5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를}}}{{{#!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6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를}}}{{{#!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7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를}}}{{{#!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8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를}}}{{{#!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9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를}}}{{{#!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10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를}}}{{{#!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 부분을}}}}}}
#!if 설명 == null
{{{#!if 리스트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if 리스트 != null
{{{#!if 문서명1 != null
 * {{{#!if 설명1 != null
이 문서는 인천광역시 중구에 있는 과학고등학교에 관한 문서입니다. 인천광역시 연수구에 있는 과학예술영재학교: }}}[[인천과학예술영재학교]] {{{#!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인천과학예술영재학교#s-|]]번 문단}}}{{{#!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인천과학예술영재학교#|]] 부분}}}}}}{{{#!if 문서명2 != null
 * {{{#!if 설명2 != null
인천광역시 부평구에 있는 과학고등학교: }}}[[인천진산과학고등학교]] {{{#!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인천진산과학고등학교#s-|]]번 문단}}}{{{#!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인천진산과학고등학교#|]] 부분}}}}}}{{{#!if 문서명3 != null
 * {{{#!if 설명3 != null
: }}}[[]] {{{#!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4 != null
 * {{{#!if 설명4 != null
: }}}[[]] {{{#!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5 != null
 * {{{#!if 설명5 != null
: }}}[[]] {{{#!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6 != null
 * {{{#!if 설명6 != null
: }}}[[]] {{{#!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7 != null
 * {{{#!if 설명7 != null
: }}}[[]] {{{#!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8 != null
 * {{{#!if 설명8 != null
: }}}[[]] {{{#!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9 != null
 * {{{#!if 설명9 != null
: }}}[[]] {{{#!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10 != null
 * {{{#!if 설명10 != null
: }}}[[]] {{{#!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 부분}}}}}}


이 문서는 학교 관련 문서이며, 로그인 후 수정 가능합니다. 다음과 같은 서술은 작성 시 편집권 남용으로 간주되어 제재될 수 있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
  • 현황과 역사를 불문하고 학교 간 우열이나 서열을 확정·조장하는 서술과 학교 수준을 비하하는 서술
  • 학교 내 특정 임의 단체(급식, 매점 등)와 교내 학생 단체(동아리, 학생회 등)에 관한 서술
  • 언론에 보도되지 않은 학교 관련 사건 사고에 관한 서술
  • 학교 밖에서 알려지지 않은 교사나 학생에 관한 서술
  • 템플릿:학교에 존재하지 않는 문단에 관한 서술
  • 편집지침에 어긋나는 서술


파일:인천과학고등학교 로고.png
인천과학고등학교
Incheon Science High School
생활 시설 본교
인천과학고등학교
仁川科學高等學敎
Incheon Science High School
파일:인천과학고등학교 로고.png
<colbgcolor=#302f7c><colcolor=#ffffff> 개교 1994년
유형 과학고등학교
성별 남녀 공학[1]
운영형태 공립
교장 정두원
교감 김경수
교사수 37명 (2024)
학생수 204명 (2024)
주소 인천광역시 중구 영종대로227번길 74-37 (운서동)
홈페이지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1. 개요2. 교훈 및 상징3. 학교 연혁4. 학교 특징5. 학교 시설6. 학교 생활7. 출신 인물8. 이용 가능한 대중교통9. 기타10. 둘러보기

1. 개요

인천과학고등학교
파일:인천과학고 전경.png
인천과학고등학교 홍보영상 (2020)
창조융합형 과학인재 육성
인천광역시 중구운서동에 위치한 과학고등학교로 줄임말은 인곽이다. 인천국제공항이 있는 영종국제도시에 위치한다. 인천과학고등학교에 재학하는 학생들은 인곽인이라고 불린다.

인천광역시 최초의 과학고등학교이다.

2. 교훈 및 상징

파일:스크린샷 2024-09-18 234054.png

교화는 열정, 아름다움을 상징하는 장미이고, 교목은 상호협력을 상징하는 곰솔이다. 그래서 학교 축제를 곰솔제라고도 한다.

학교상징 및 교가

사족으로 학교행사 등지에서 실제로 불리는 교가의 가사가 학교 홈페이지에 등록된 것과 묘하게 다르다.[2]

3. 학교 연혁

  • 1994년 3월 3일 개교(1기, 2학급 60명)
  • 1994년 9월 26일 중구 운서동 신축교사로 이전
  • 2004년 8월 15일 개교 10주년 기념식 및 인천과학고 10년사 발간
  • 2006년 4월 15일 인천과학고등학교 부설 인천광역시교육청 과학영재교육원 개강
  • 2007년 8월 11일 중국 호남성 장사시 장사26중학교 자매결연
  • 2009년 11월 24일 신축기숙사 청명관 개관 및 생태공원 조성
  • 2020년 ?월 ?일 신관 (자주관) 완공
자세한 사항은 인곽역사-학교연혁 참고바람.

4. 학교 특징

섬이라는 지형적 특성상 오지 과학고 중 하나로 꼽히나, 영종대교 및 공항철도가 생기고 연이어 인천대교가 세워짐으로써 이전보다 접근성이 훨씬 나아졌다. 그러나 영종대교가 생기기 이전에는 배 타고 다녔다. 이때의 학생들은 2주에 한 번 토요일 오전 수업을 마치고 귀가하고 일요일 저녁 배로 입도하여 귀교했다. 심지어 개교 당시에는 본관조차 완공되지 않아 인천중앙초등학교[3] 부속건물로 반 년 정도 통학해야 했고, 그 후에도 기숙사가 완공되지 않아 잠시 배를 타고 통학하였다. 기상이 좋지 않으면 교사들이 육지에서 건너오지 못해 간혹 수업을 못 하는 경우가 생기기도 했으며 [4] 이런 경우 토요일에 두 교시가 배당되어 있는 동아리 활동을 당겨서 하기도 했다.

주일에 섬 밖으로 나가지 못해 예배, 미사를 못 하는 학생들을 위해 종교 동아리가 설립되었다. 주일에 나갈 수 있는 현재도 존재하기는 한다.[5] 10여 분 거리에 떨어진 2013년 개업한 롯데리아를 제외하고는 편의점 등 편의시설이라고는 눈 씻고 찾아볼 수 없다. 개발이 계속 늦어지는 영종하늘도시에 위치해서 그렇다. 계획대로라면 바로 옆에 아파트단지와 초등학교도 있어야...

지금은 영종대교인천대교도 있으며 공항철도도 있어 등하교에 큰 어려움을 겪진 않는다. 옛날에는 인천의 왼쪽 끝에 있는 월미도에 차로 도착한 후, 월미도에서 30분 동안 배를 타고 영종도에 도착해서 학교에서 대절한 버스로 영종도를 가로질러, 산길 2차선 노선을[6] 굽이굽이 달려 펜션 지나고 민박 지나고 해서 올라왔으나 2009년부터 영종하늘도시 개발이 본격화되면서 활주로만큼 넓은 도로가 신설된 상태이다. 노선별로 스쿨버스가 5~6대 다녔으나 2010년 경 교육청에서 태클을 먹고 없어졌다. 지금은 주로 학부모들이 데려다 주거나 단체로 버스[7]를 타고 다니거나 대중교통[8]을 이용하여 등하교한다. 하지만 주변에서 영종도민을 볼 수가 없으니[9] 사실 오지 과학고라는 건 절대 변치 않는다.[10]

이 오지에 기숙학교라는 것을 악용하여 1학년 학생들이 2, 3학년 학생들에게 고개 및 허리를 숙여 인사 및 2, 3학년들의 저녁 간식을 챙겨줘야 했고, 제대로 안 했을 시 2학년들이 빵꾸를 적립해뒀다가 취침 전 점호 시간에 2학년 학생부 인원들이 전 1학년에게 얼차려를 주는 부조리가 있었다.[11]2010년대 초반까진 존재하고 있었는데 지금은 상상도 할 수 없는 일이다. 기본적으로 지나가면서 서로 인사하는 문화만 존재하고 강압적이고 퇴폐적인 선후배 문화는 모두 사라졌다.

위쪽에 인천광역시교육연수원이, 맞은편에는 인천교육과학연구원, 인천학생과학관, 인천국제고등학교가 있다. 국제고등학교가 있던 자리에 원래 잔디구장이 있었으나 국제고의 건립에 의해 현재는 잔디구장이 없어진 상태. 개교 시 만들어진 기존 운동장이 있으나 규모가 작다.그리고 정사각형이다

여담으로 부지가 매우 넓지만 본관과 실험실 동은 그닥 크지가 않다. 과거에는 기숙사 1층의 특정 공간을 이용해서 지하를 통해 학교를 빠져나가는 것이 가능했으나, 약 15기쯤에 발각되어 엄청 욕먹고나갈 길이 사라졌다고 한다.

16년 들어 조졸 축소, 과고의 수 증가 등으로 교사들 사이에서 수능에 대한 대비가 필요하다는 의견이 다수 존재한다. 이에 모의고사를 3회 정도 치렀는데 교육과정과 전혀 일치하지 않았음에도 상당한 성적을 거두었다. 때문에 인곽에서 모의고사는 내신의 절망감을 치유시키는 '자존감 향상 프로젝트' 라고도 불린다. 3학년에 진학하는 학생들 중 모의고사 성적이 높은 학생들을 대상으로 내신을 포기하고 수능을 공부하라는 교사들의 권유가 있었으나 그쯤이면 공부 안 해도 내신이 평균 이상이거나 성실히 공부하지만 아직 공부의 완성도가 부족하거나 둘 중 하나라 '수능 할 바엔 내신 챙겨서 연고대나 갈 거야' 라는 의견이 우세하다.실제로 진학 성적을 보면 충분히 가능한 일이다.

긴 역사답게 졸업생도 많고 상도 많고 시설도 많다. 타 과학고에 비하면 크게 특출나지는 않을 수도 있겠으나, 다른 학교 학생이나 신입생에게는 놀랍다. 졸업생에 대한 정보와 상은 본관 1층에 모두 전시되어 있다. 시설은 실험실에 집중되어 있는데, 화학실이나 생물실의 약품의 경우 최신식 약품보관실 안에 엄청난 약품들이 깃들어 있다. 대부분의 돈은 창의재단에서 지원받으며 한번에 많이 들어오기 때문에 통 큰 기구들을 많이 볼 수 있다. 하지만 대부분의 기구들은 먼지만 폴폴 날리는 경우가 많다.


과학고답게 수학과 과학의 비중이 압도적이다. 2학년의 경우 수학이 6단위, 물리, 화학, 생물, 지구과학이 각각 3단위씩을 차지하고 있으며 영어가 3단위, 국어가 2단위이다. 3학년의 경우에는 수학이 7단위, 과학 선택과목 두 개가 각각 5단위이다.

2학년은 실험과목과 대학입시에 대비한 논술준비가 대부분이므로 1학년 때 진도를 매우 빡세게 굴려야만 한다. 이름도 잘 기억안나는 교과서가 있지만 사용하지 않고, 수학의 정석과 일반물리학 등의 책이 사실상의 교과서가 된다.

보통 고등학생들이 1년에 걸쳐 배우는 10-가, 10-나를 입학식도 하기 전에 사전교육 기간에 끝내버리고 입학하면 하루에 정석 한 단원을 끝내버리기도 한다. 진도를 나갈 시간이 1년밖에 없는 것도 있지만, 물리교사들이 물리를 가르칠 때 애들이 미적분을 몰라서 힘들다고 수학교사들을 독촉하는 것도 진도를 더 빨리 빼는 이유가 된다.

2학년 때는 실험과목들이 주가 되는데 매주 하나씩 실험을 하고 보고서를 제출하게 된다.

2학년 2학기가 되면 평소에 하던 수업은 거의 사라지고 각자 전공별로 모여 전문성 평가를 준비하게 된다. 그리고 11월쯤 입시가 끝나면 PC방이 되어있는 교실을 볼 수 있다.

노트북을 가져오는 것이 자유임은 물론 노트북 허가증도 면불 만큼 자유로운 편이다. 2019년부터는 노트북 허가증이 필요 없이 그냥 노트북을 쓸 수 있게 되었다.

법 때문인지 입학 전의 사전학습이 강요되지는 않는다.[12] 게다가 하술할 조기졸업 및 조기진학을 하기 위해서는 대부분 한다.

「조기진급 등에 관한 규정」제 4조에 명시되어있듯, 「고등교육법 시행령」 제33조에 따라 대학들은 각자의 기준에 따라 고등학생들을 조기진학시킬 수 있다! 그러니까 각 대학에서 조기졸업 또는 조기진학 대상자가 아닌 학생들을 뽑을 수 있게 되었다. 물론 모든 대학이 그렇진 않고 관련 특별법이 재정된 학교 (KAIST,GIST,UNIST,DGIST 등) 한정이며, 이마저도 과기원에서 제시한 조건을 만족해야 한다. 명확히는 대학에서 일반전형 지원자격을 부여하는 것으로, 자격 부여 이후에는 다른 지원학생들과 동등한 취급을 받는다. 이를 고등학교 2학년 입학 지원자격이라고 한다. 과기원에서 제시하는 조건은 매번 다르며, 자격을 아예 부여하지 않기도 하다. 또한 이는 과고생에게만 국한되는 것이 아니다. 21기 입시에서는 지스트와 디지스트에 성적제한 없이 지원자격 부여 대상에 지원 (지원자격을 부여하기 위해 평가를 하는데, 평가에 지원하는 것을 말한다.) 할 수 있었고, 카이스트에 지원자격 부여대상에 지원하려면 수, 과학 성적이 2학년 1학기까지 모두 4등급 이내여야 했다. 유니스트에서는 지원자격을 부여하지 않았다. 전국적으로 이 방법으로 진학하는 학생들이 많았다고 한다. 그리고 21기 조기진학 예정자들에 대하여 서울대학교에서는 지원자격을 부여하지 않았기 때문에 이들은 서울대에 지원하지 않았다.

조기졸업 축소에 따라 조기졸업 또는 조기진학하는 학생들과 아닌 학생들로 이원화되어 2학년 2학기가 운영되었다. 조기졸업 또는 조기진학하는 학생들은 대학입시에 초점을 맞추어 여러 특별프로그램이 진행되었고, 다른 학생들은 2학년 1학기와 같이 수업하였다. 고등학교 2학년 입학 지원자격으로 지원자격을 얻은 학생들은 조기졸업 또는 조기진학 외의 학생들과 함께 수업을 들었다. 그러나 대학에 합격하고 나서는 조기졸업 또는 조기진학하는 학생들과 함께했다.

조기졸업이 축소되어 상대적으로 다수인, 3학년 재학생들을 초점으로 하여 교육과정이 개편되었고, 이는 22기부터 적용되었다. 이전과 비교하여 상당히 큰 폭으로 수업 진도가 느슨해졌다. 24기부터는 더욱 느슨해져 서류상으로는 일반고와 다를 것이 없다.

3학년 인원이 늘어남에 따라 면학실, 교실, 기숙사의 확충이 불가피했다. 그러나 건물을 새로 짓기엔 돈이 없어 결국 원래 있던 건물들을 이용하기로 했다. 폐쇄되어 사용하지 않던 청운관 구 여기숙사를 개방하여 신입생 남자기숙사로 사용하게 되었고, 청명관 4, 5층을 여자 기숙사로 사용하던 것을 3층 일부로까지 확장하였다.[13] 그리고 청운관은 남자기숙사로 사용하게 되었는데 학년별 분리를 제대로 안해놔서 1, 2, 3학년이 모두 섞인 층도 존재한다....중구난방 23기부터 학생 수가 92명에서 80명으로 줄어 22, 23, 24기가 공존하는 17년도부터는 구 여자기숙사를 사용하지 않는다. 다행히 1, 2, 3학년이 공존하는 일은 다시 일어나지 않을 듯 싶다.

그리고 교실의 경우, 3학년 교무실과 창의영재부, 3학년 교실이 있던 별관 1층을 1학년 교실로 사용하게 되었다. 때문에 3학년 교무실과 창의영재부를 헐어 교실로 만들었고, 3학년 교무실은 2학년 교무실과 같이 3층으로, 창의 영재부는 2층으로 이동했다. 회의실은 1층의 가우스실로 옮겨졌고, 가우스실은 그대로 증발.

마지막으로 면학실의 경우, 3학년으로 진학하는 학생들은 이전까지 2학년 때 사용하던 가장 넓고 좋은면학실을 사용하고, 2학년, 1학년은 그 면학실과 이전까지 1학년 면학실로 사용하던 곳에 섞여들어가게 되었다. 이건 남학생들의 이야기이고, 여학생들은 기숙사 면학실을 사용하게 되었다. 이는 사전교육 때의 이야기고, 개학 후에는 3학년과 2학년 조졸/조진 대상자가 좋은 면학실을 쓰고 다른 면학실에 1학년과 나머지 2학년이 들어간다.

의혹에 가깝지만 조기졸업 또는 조기진학 대상자가 아닌 학생들의 3학년 진급에 대비하여 곰솔제가 축소되었고, 영상제와 합창제가 취소되었다. 자세한 사항은 관련 항목 참고.

그래도 조졸 비율이 타 과고에 비해 40%로 많은 편이다.[14] 타 학교는 10% 내외다.

5. 학교 시설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인천과학고등학교/시설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인천과학고등학교/시설#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인천과학고등학교/시설#|]][[인천과학고등학교/시설#|]]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6. 학교 생활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인천과학고등학교/생활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인천과학고등학교/생활#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인천과학고등학교/생활#|]][[인천과학고등학교/생활#|]]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7. 출신 인물

8. 이용 가능한 대중교통

운서역금강펜테리움아파트/영종LH2단지 중구 공영버스 5, 중구 공영버스 6-1, 인천 버스 204, 인천 버스 206, 인천 버스 307
인천국제공항철도 운서역에서 204, 206, 307, 중구5번을 타서 영종LH2단지에서 내리면 된다.

9. 기타

  • 2020년부터 코로나로 학교의 다양한 행사들이 취소되고 미뤄지고 축소되며 간식이나 생파, 단대같은 문화들이 대를 잇지 못하고 있다.
  • 동아리 관련 내용은 입학 후 나눠주는 교지 <곰솔>에서 확인할 수 있다.
  • 학교에 벌레가 상당히 많다. 백운산 밑이라서 그런지 온갖 벌레들을 다 볼 수 있다.
  • 개요 문단에 서술한 것처럼 이 학교는 인천광역시에 설립된 최초의 과학고등학교이다.
  • 개교 30주년을 기념하여 뉴턴의 사과나무 5대손을 심었다

10. 둘러보기

파일:인천광역시 휘장_White.svg 인천광역시 특수목적고등학교 영재학교
{{{#!folding [ 펼치기 · 접기 ]
자율형 사립고등학교인 인천하늘고등학교, 인천포스코고등학교는 해당 틀이 아닌 틀:인천광역시의 자율형 사립고등학교로 분류됩니다.
<colbgcolor=#005eb8> 과학고등학교 인천과학고등학교 인천진산과학고등학교
외국어고등학교 미추홀외국어고등학교 인천외국어고등학교
마이스터고등학교 인천전자마이스터고등학교 인천해사고등학교
국제고등학교 인천국제고등학교
예술고등학교 인천예술고등학교
체육고등학교 인천체육고등학교
영재학교 인천과학예술영재학교
}}} ||

인천광역시 과학고등학교
인천과학고등학교 인천진산과학고등학교

'''[[대한민국|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 대한민국 과학고등학교'''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0px -10px"
파일:서울특별시 휘장_White.svg 서울특별시
파일:한성과학고 교표.png 한성과학고등학교 파일:세종과학고등학교 로고.png 세종과학고등학교
파일:부산광역시 휘장_White.svg 부산광역시
파일:Y7bgD6N.png 부산과학고등학교 파일:일과고 로고.jpg 부산일과학고등학교
파일:대구광역시 휘장_White.svg 대구광역시
파일:일과고 로고.png 대구일과학고등학교
파일:인천광역시 휘장_White.svg 인천광역시
파일:인천과학고등학교 로고.png 인천과학고등학교 파일:인천진산과고.png 인천진산과학고등학교
파일:대전광역시 휘장_White.svg 대전광역시 파일:울산광역시 휘장_White.svg 울산광역시
파일:동곽로고.png 대전동신과학고등학교 파일:울산과고로고.png 울산과학고등학교
파일:경기도 휘장_White.svg 경기도 파일:강원특별자치도 휘장_White.svg 강원특별자치도
파일:O5MXaMk.png 경기북과학고등학교 파일:external/k100400011.school2.gweduone.net/F012837338901181.gif 강원과학고등학교
파일:충청북도 휘장_White.svg 충청북도 파일:충청남도 휘장_White.svg 충청남도 파일:전북특별자치도 휘장_White.svg 전북특별자치도 파일:전라남도 휘장_White.svg 전라남도
파일:NEW CBSH LOGO.png 충북과학고등학교 파일:충남과고(4).jpg 충남과학고등학교 파일:[고화질] 전북과학고등학교 교표.png 전북과학고등학교 파일:전남과학고등학교(교표).jpg 전남과학고등학교
{{{#!wiki style="margin: -15px -10px" 파일:경상북도 휘장_White.svg 경상북도 파일:경상남도 휘장_White.svg 경상남도 파일:제주특별자치도 휘장_White.svg 제주특별자치도
파일:경북과고 로고.png 경북과학고등학교 파일:cBiO1E7.png 경산과학고등학교 파일:경남과학고.png 경남과학고등학교 파일:LOGO_COLOR2.jpg 창원과학고등학교 파일:제주과학고등학교 교표.svg 제주과학고등학교 }}} }}}}}}}}}


파일:중구(인천광역시) CI_White.svg 인천광역시 중구 고등학교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letter-spacing: -1px"
남자고등학교
,
여자고등학교
,
이외 남녀공학

※: 자사고, ⊙: 자공고, ▣: 특목고, ◈: 특성화고, 이외 일반계고
광성고등학교 영종국제물류고등학교 인성여자고등학교 인일여자고등학교 인천공항고등학교
인천과학고등학교 인천국제고등학교 인천반도체고등학교 인천여자상업고등학교 인천영종고등학교
인천중산고등학교
인천중앙여자고등학교 인천하늘고등학교 인천해사고등학교 제물포고등학교
}}}}}}}}} ||
초등학교 · 중학교 · 고등학교
학교 틀 둘러보기

[1] 보통 남녀 비율이 3:1에서 5:1이다.[2] 2번째 줄 엮어가는 → 열어가는 / 마지막 글자 인→고, 박자도 조금 다르다.[3] 연수구의 현 위치가 아닌 현인천반도체고등학교 위치. 당시 1기들은 야간자율학습 저녁식사를 후문 뒤에 있는 용화반점에서 해결하는 경우가 적지 않았다. 1994년 당시 자장면 가격은 3천원.[4] 1기 두 반 밖에 없던 1994년 2학기, 안개가 심해 선생님이 타고 와야 할 배가 뜨지 못한 적이 있었다. 당일 1교시 선생님들이 전날 사감을 맡던 규칙에 따라 당시 사감은 국어선생님과 윤리선생님. 오전 내내 두 반을 번갈아가며 수업 후 지나치게 앞서나간 진도(당시 두 과목 모두 1주일에 1~2시간 수준)로 오후에 자율체육으로 전환. 신난 학생들은 이런 날이 또 오기를 손꼽아 기다렸고, 드디어 안개가 다시 꼈으나 당일 1교시는 학생들을 앞에 불러내 문제를 풀고 설명하게 하는 수학, 그리고 학생들이 돌아가며 본문을 읽고 해석하는 방식으로 수업이 진행되던 영어. 하루 13교시 중 영어 6교시, 수학 7교시를 겪은 학생들은 야간자율학습 시간에 단체로 기절하는 풍경을 연출했다.[5] 본래 천주교와 개신교 동아리가 있었으며, 현재는 개신교 동아리만 남아있다.[6] 비포장도로도 섞여 있었다.[7] 학원 버스 기사들이 운행한다.[8] 320번이나 공항철도를 타고 운서역에 와서 택시타고 학교에 오는 등의 방법이 있다.[9] 주변에 나가서 뭐 사먹고 할 것도 없고 오직 우리 학교밖에 없다는 소리다. 진짜다.[10] 다만 인근에 초등학교와 아파트가 들어오고 있긴 한다.[11] 엎드려 뻗쳐, 오토바이 자세 등등. 개교 초기에는 존재하지 않던 악습.[12] 물론 어디까지나 강요되지 않는 것이지, 실질적으로 사전학습이 필요할 수밖에 없는 구조이다.[13] 이렇게 하면 같은 층 안에서 남, 여가 모두 생활하는 것이 되는데 그 사이는 벽으로 막았다.[14] 조졸 20% + 조기진학 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