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12-10 22:49:19

KBS 기상통보

파일:KBS 기상통보.jpg

1. 개요2. 분류
2.1. KBS 기상통보2.2. 어업기상통보
3. 둘러보기

[clearfix]

1. 개요

KBS 제1라디오의 기상예보 프로그램. 05시 55분 및 23시 55분에 방송되는 일반 기상통보, 04시 42분부터 방송되는 어업기상통보 방송으로 분류된다.

야간 시간대 방송을 담당하는 전근배 기상상담사, 박성준 캐스터가 격일로 돌아가면서 방송한다. 이 두 사람은 21~22시대 58분 날씨 진행도 겸임하고 있다.

기상통보에 쓰이는 마림바-실로폰 듀엣 시그널 음악은 1995년부터 사용한 것으로, 2004년 테이프리스 시스템 전면 도입 후부터는 오픈릴 테이프에 녹음하였던 오리지널 시그널을 그대로 WAV 파일로 샘플링하여 쓰다가 음질 열화 문제로 2011년부터는 오리지널 시그널에 따라 똑같이 재연주, 재녹음한 시그널을 사용하고 있다.

오늘의 날씨 프로그램 시절에는 "오늘의 날씨 기상통보 시간입니다"로 프로그램을 안내했으며, 지금은 "KBS 기상통보"라는 멘트만 한다.

1990년대 초반까지는 주간에도 기상통보 형식으로 5분간 날씨 방송을 실시한 바 있는데, 방송 구성은 지역 구분이나 순서에서도 현재 기상통보와 큰 차이는 없다.

2. 분류

2.1. KBS 기상통보

23시 55분, 5시 55분에 방송하는 기상예보로, 기상개황(기상특보, 기상예보, 해상 날씨, 주간 예보) 및 각 지역별 날씨 및 주요 도시[1] 기온을 아래 분류에 따라 알려준다.

23시대, 5시대에 뉴스특보를 수중계하면 방영하지 않을 수 있다. 2021년 1월부터 23시 55분 기상통보는 한민족방송으로도 송출한다.

2.2. 어업기상통보

어업 종사자를 위한 기상통보방송으로 해상 예보에 특화한 프로그램이다. 특보사항 및 일기개황, 각 지역별 해상 날씨[2][3]로 풍향, 날씨, 파고를 설명한다. 이어 기상실황[4]이라 하여 러시아, 북한, 한국, 일본 순으로 각지 풍향, 파고, 날씨[5], 기압, 기온을 알려준다(예: 블라디보스토크 안개 북서 7미터 1021헥토파스칼 영하 5.3도). 과거에는 해상기상통보로 불리기도 했으며, 일기도 해설이라 하여 등압선 등 위치 및 진행 방향 등을 위도와 경도 등으로 설명[6]하기도 했다.

아래 목록은 어업기상통보에서 단골로 등장하는 한반도 인근 연근해 인접 도시이다.[7]

진행은 전근배 기상상담사와 박성준 기상캐스터가 격일로 돌아가면서 맡는다. 전날 11시 55분에 기상통보를 방송하고 꼬박 밤을 새는지라 목소리를 들어보면 잠이 덜 깬 듯 피곤에 쩔어 있고 어눌하다. 진행하는 기상캐스터에 따라 일기실황 전달 순서가 다른데, 전근배 기상상담사는 러시아, 북한, 대한민국, 일본 순서로, 박성준 캐스터는 대한민국, 일본, 러시아 순서로 한다. 하지만, 시간 관계 등으로 북한 및 중국 몇몇 지역은 아예 생략하는 경우가 많았다가, 2021년 7월 말을 끝으로 짦은 방송 시간 할당량을 조정하면서 중국 해역 일기 보도를 잠정 폐지[16]했다가 2022년 2월 28일 방송분부터 다시 중국 지역 안내를 하기 시작했다.

중국 해역 기상 방송을 잠정 폐지했던 이유는 무분별한 중국 어선 남획으로 중국 해역 어족자원이 고갈하여 중국권 연근해 원정 어업률이 낮아지며, 해상별 날씨 범주가 증가(가령 동해 남부 먼바다가 동해 남부 북쪽 먼바다, 남쪽 먼바다로 바뀜)하여 일기실황 전체를 방송하기에 시간이 부족했기 때문이다.

2020년 12월 30일에는 기상청에서 제공한 자료를 기반으로 인공지능 원고 작성 및 음성 합성으로 어업기상통보 시범방송을 한 바 있다. NHK 라디오 제2방송 기상통보에서는 상시 시행하고 있는 방식이다.

2022년 2월 12일(토요일) 어업기상통보 방송분은 이례적으로 주간 시간대 담당인 강혜종 캐스터가 담당했으나, 각 해상별 파고, 풍속 등을 오전 오후 나눠서 일일이 설명하다 보니 한반도, 일본 열도, 러시아 극동 3국 각 지역별 연근해 일기현황(기상실황)을 생략한 채로 마무리 지었다.

3. 둘러보기

||<-8><tablealign=center><tablewidth=100%><tablebordercolor=#fff,#1f2023><tablebgcolor=#fff,#1f2023>
파일:KBS 1Radio 로고 화이트.svg
||
<rowcolor=#fff>
05:00 KBS 제1라디오 5시 뉴스 건강 365
05:05 건강 365
05:55 KBS 기상통보
06:00 KBS 뉴스광장(1TV 수중계) KBS 1R 6시 뉴스
06:05 경제세미나
06:15 오늘 아침 1라디오
06:56 바른말 고운말
07:00 뉴스와 화제 KBS 제1라디오 7시 뉴스
07:05 라디오 매거진 위크 앤드
07:20 정창준의 전격시사 1, 2, 3부
08:00
09:00 KBS 제1라디오 9시 뉴스
09:05 성공예감 이대호입니다 1부 성공예감
별책부록
통일사용설명서
10:00 KBS 제1라디오 10시 뉴스
10:05 성공예감 이대호입니다 2부 KBS 뉴스월드
10:53 이은선의 영화관, 정여울의 도서관
11:00 KBS 제1라디오 11시 뉴스
11:05 KBS 1라디오 오늘 세계는 1, 2부 경제세미나 와이파이
한국인
스페셜
11:30
12:00 KBS 제1라디오 정오 종합뉴스 KBS 제1라디오 정오 종합뉴스
12:10 정관용시사본부 1, 2부
12:20 세상의 모든 정보 1, 2부
13:00
14:00 뉴스 중계탑 KBS 제1라디오 14시 뉴스
14:05 시대음감
14:20 라디오 전국일주 1, 2부
15:00 KBS 제1라디오 15시 뉴스
15:05 주말 생방송 정보쇼 1, 2부
15:26 연중기획 <내마음의 동요>
15:30 임수민지금 이 사람
16:00 KBS 제1라디오 16시 뉴스
16:05 성기영경제쇼
17:00 KBS 제1라디오 17시 뉴스
17:05 뉴스레터K 1부 와이파이
한국인
스페셜
성공예감
별책부록
17:56 희망충전 대한민국
18:00 뉴스레터K 2부 KBS 제1라디오 18시 뉴스
18:05 생방송 주말 저녁입니다 1부
19:00 KBS 제1라디오 저녁 종합뉴스 KBS 제1라디오 19시 뉴스
19:05 생방송 주말 저녁입니다 2부
19:20 KBS 열린토론
19:58 주말 58분 날씨
20:00 생방송 주말 저녁입니다 3부
20:30 스포츠 스포츠 함께하는 세상 국민과 함께
국군과 함께
21:00 KBS 뉴스 9(1TV 수중계) KBS 뉴스 9(1TV 수중계)
21:20 주말 스포츠 스포츠
21:30 임수민지금 이 사람
22:00 KBS 제1라디오 22시 뉴스
22:05 오늘 밤 1라디오 1, 2부 시대음감
23:00 KBS 제1라디오 23시 뉴스
23:05 KBS 무대 라디오 문학관
23:55 KBS 기상통보
24:00 KBS 제1라디오 자정 뉴스
24:05 문화 공감
01:00 KBS 열린토론 명사들의 책읽기 다큐멘터리 역사를 찾아서
01:40 정다운 가곡
02:00 경제로 통일로 통일사용설명서
02:10 경제로 통일로
02:50 5분 여행기, 구석구석 코리아
03:00 세월따라 노래따라
04:00 KBS 오디오북-최고의 클립
04:20 소설극장
04:42 어업기상통보
04:53 여기는 제1라디오
xx:58 KBS 58분 날씨
기울임체 표시는 재방송 / 관악산 97.3 기준 매월 셋째 주 수요일 계획정파

파일:KBS 로고.svg파일:KBS 로고 컬러 화이트.svg AM 프로그램



[1] 일부 도시는 제외하기도 한다.[2] 서해 중부 앞바다, 서해 중부 먼바다, 서해 남부 앞바다, 서해 남부 먼바다, 남해 서부 앞바다, 남해 서부 서쪽 먼바다, 남해 서부 동쪽 먼바다, 제주도 앞바다, 제주도 남쪽 먼바다, 남해 동부 앞바다, 남해 동부 먼바다, 동해 남부 앞바다, 동해 남부 남쪽 먼바다, 동해 남부 북쪽 먼바다, 동해 중부 앞바다, 동해 중부 먼바다, 서해 북부 앞바다, 서해 북부 먼바다, 동해 북부 앞바다, 동해 북부 먼바다, 대화퇴, 연해주, 동중국해, 규슈 서해, 규슈 남해 순서대로 불러주고 있다.[3] 1999년에는 연해주가 없는 대신 울릉도 및 독도 해상 날씨를 불러주었다. 연해주는 명태잡이 원정어선을 위한 것이다.[4] 기상청 홈페이지에서 제공하는 바다날씨-아시아연안관측실황 자료다.[5] 2017년 현재는 비나 안개 등 특이기상요소가 있을 때만 멘트를 하고 맑음인 경우 생략하고 있다.[6] 과거 어민들과 낙도 주민이 일기예보를 듣고 일기도를 그리기 위해 방송한 흔적이라 볼 수 있다.[7] 드물게 입력 자료가 없는 지역은 입력된 자료가 없다고 멘트하고 다음 지역으로 바로 넘어간다. 주로 북한 지역에서 그런 사례가 있고 2021년 7월 이전까지는 아주 드물게 중국 지역도 입력한 자료가 없는 날이 있었다.[8] 이시카와현 와지마시.[9] 시마네현 오키 섬.[10] 와카야마현 구시모토초(串本町).[11] 나가사키현 쓰시마 섬(대마도).[12] 가고시마현 아마미 군도.[13] 오가사와라 제도.[14] 방송 통보에서는 만주어 표현인 테튜헤(Те́тюхе)를 사용하며, 데찌에로 읽는다.[15] 거의 샤먼까지만 알려주고 방송을 종료하나 드물게 타이베이까지 알려주는 경우가 있었음.[16] 일시적인 기상청 자료 전송 중단 때문으로 전해졌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1056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1056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