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1-22 11:22:17

길 수
부수
나머지 획수
<colbgcolor=#fff,#1f2023>
, 7획
총 획수
<colbgcolor=#fff,#1f2023>
11획
미배정
-
일본어 음독
シュウ, ユウ
일본어 훈독
おさ-める, なが-い, ほじし
-
표준 중국어
xiū
*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괄호를 친 독음은 특이한 상용독음을,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독음은 비상용독음 또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1. 개요2. 상세3. 용례4. 유의자5. 상대자6. 모양이 비슷한 한자7. 이 글자를 성부로 삼는 한자

1. 개요

脩는 '길 수'라는 한자로, '길다', '' 등을 뜻한다. 그래서 '포 수'라고도 한다.

2. 상세

뜻을 나타내는 (고기 육)과 소리를 나타내는 (아득할 유)가 합쳐진 형성자이다.

유니코드에는 U+8129에 배당되어 있으며, 창힐수입법으로는 OLOB(人中人月)로 입력한다.

3. 용례

3.1. 단어

3.2. 고사성어/숙어

3.3. 인명

3.4. 지명

3.5. 창작물

3.6. 기타

4. 유의자

5. 상대자

  • 길다
    • (짧을 갈)
    • (짧을 결)
    • /(짧을 궐)
    • (짧을 단)
    • 𥎱[⿰矢犮](짧을 발)
    • 𥏠[⿰矢卑](짧을 비)
    • 𣎓[⿰月旋](짧을 선)
    • 𡯑[⿺尣水](짧을 수)
    • 𥏝[⿰矢亞](짧을 아)
    • 𥐑[⿰矢嬰](짧을 영)
    • (짧을 제)
    • (짧을 조)
    • (짧을 종)
    • 𥎙[⿲矛思目](짧을 창)
    • (짧을 철/절)
    • (짧을 출)
    • 𥐓[⿰矢雚](짧을 환)

6. 모양이 비슷한 한자

  • 𠌪[⿸攸目](눈흰자위많을 도)
  • 𠗆[⿸攸⺀](성씨 동)
  • (갖출 비)[1]
  • (날개소리 소)
  • (닦을 수)
  • //(갑자기 숙)
  • 𨁀[⿸攸足](빠를 숙, 발병날 추)
  • (가지 조)
  • (고삐 조)
  • (끈 조)
  • (물벌레 조)
  • (피라미 조)
  • (햇빛 토/도)
  • 𠎕[⿸攸⿱艹㐄]
  • 𬿧[⿸攸里]
  • 𬿩[⿸攸貝]
  • 𠐃[⿸攸⿱羽心]

7. 이 글자를 성부로 삼는 한자

  • 𦃬[⿰糸脩](끈 도)
  • 𤛛[⿰牛脩](꼬리없는소 수)[2]
  • (나무밋밋할 수)
  • (대벌레 수)
  • (뜨물 수)
  • (부끄러울 수)[3]
  • (쇳덩이 수)
  • (수산 수)[4]
  • 𥉈[⿰目脩](실망하여볼 척)

[1] (갖출 비)의 속자[2] (꼬리없는소 수)의 동자[3] (부끄러울 수)의 동자[4] (수산 수)의 동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