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11-13 13:46:56

속 리
부수
나머지 획수
<colbgcolor=#fff,#1f2023>
, 7획
총 획수
<colbgcolor=#fff,#1f2023>
13획
고등학교
-
일본어 음독
일본어 훈독
うら, うち
표준 중국어
*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괄호를 친 독음은 특이한 상용독음을,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독음은 비상용독음 또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1. 개요2. 상세3. 용례4. 유의자5. 상대자6. 모양이 비슷한 한자7. 이 글자를 성부로 삼는 한자

1. 개요

裏는 '속 리'라는 한자로, '속', '안쪽', '내면' 등을 뜻한다.

2. 상세

훈을 나타내는 (옷 의)와 음을 나타내는 (마을 리)가 합쳐진 형성자이다. 중국어 간화자에서는 里에 병합되어 里가 '마을 리'와 '속 리' 두 개의 뜻을 가진다.

유니코드에는 U+88CF로 배정되어 있고, 창힐수입법으로는 YWGV(卜田土女)로 입력한다.

로도 표기할 수 있지만 한국과 일본에서는 裏가 더 많이 쓰이고, 대만의 경우 반대로 가 더 많이 쓰인다. 그래서 한자검정시험에서 는 裏[1]보다 높은 급수인 1급으로 분류된다.[2] 이리시를 裡里市라고 썼으며, 표준국어대사전에서 접사 '리'는 裏와 를 혼용하고 있다.

3. 용례

3.1. 단어

3.2. 고사성어/숙어

3.3. 인명

3.4. 지명

3.5. 창작물

4. 유의자

5. 상대자

6. 모양이 비슷한 한자

  • (곤룡포 곤)
  • (쌀 과)
  • (성씨 배)
  • (모을 부)
  • (더러울 설)
  • (쇠할 쇠)
  • (도울 양)
  • (슬플 애)
  • (우거질 유, 소매 수)
  • (옷 의)
  • (속마음 충)
  • (기릴 포)
  • (겉 표)[4]

7. 이 글자를 성부로 삼는 한자


[1] 유니코드에는 U+88CF에 배당되어 있고, 창힐수입법으로는 YWGV(卜田土女)로 입력한다.[2] 그래도 웬만한 이체자(强, 戱 등)가 준특급에 배정된 것을 감안하면 나름 특별 대우를 받는 것으로 볼 수 있다.[3] 일본에서는 표리라는 단어도 쓰이지만 거꾸로 뒤집은 이표(裏表, 우라오모테)라는 말도 사용한다.[4] 일본방송사가 TV로 야구 중계방송을 할 때 表(선공)와 うら/ウラ(후공)로 표기하는 이유가 이 때문이다.[5] (잉어 리)의 동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