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f 넘어옴1 != null
''''''{{{#!if 넘어옴2 != null
, ''''''}}}{{{#!if 넘어옴3 != null
, ''''''}}}{{{#!if 넘어옴4 != null
, ''''''}}}{{{#!if 넘어옴5 != null
, ''''''}}}{{{#!if 넘어옴6 != null
, ''''''}}}{{{#!if 넘어옴7 != null
, ''''''}}}{{{#!if 넘어옴8 != null
, ''''''}}}{{{#!if 넘어옴9 != null
, ''''''}}}{{{#!if 넘어옴10 != null
,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if 설명 == null && 리스트 == null
{{{#!if 설명1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if 설명1 != null
{{{#!html 해당 앨범의 아티스트}}}에 대한 내용은 [[가리온(가수)]] 문서{{{#!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를}}}{{{#!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가리온(가수)#s-|]]번 문단을}}}{{{#!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가리온(가수)#|]] 부분을}}}}}}{{{#!if 설명2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를}}}{{{#!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3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를}}}{{{#!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4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를}}}{{{#!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5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를}}}{{{#!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6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를}}}{{{#!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7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를}}}{{{#!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8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를}}}{{{#!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9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를}}}{{{#!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10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를}}}{{{#!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 부분을}}}}}}
#!if 설명 == null
{{{#!if 리스트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if 리스트 != null
{{{#!if 문서명1 != null
* {{{#!if 설명1 != null
해당 앨범의 아티스트: }}}[[가리온(가수)]] {{{#!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가리온(가수)#s-|]]번 문단}}}{{{#!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가리온(가수)#|]] 부분}}}}}}{{{#!if 문서명2 != null
* {{{#!if 설명2 != null
: }}}[[]] {{{#!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3 != null
* {{{#!if 설명3 != null
: }}}[[]] {{{#!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4 != null
* {{{#!if 설명4 != null
: }}}[[]] {{{#!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5 != null
* {{{#!if 설명5 != null
: }}}[[]] {{{#!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6 != null
* {{{#!if 설명6 != null
: }}}[[]] {{{#!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7 != null
* {{{#!if 설명7 != null
: }}}[[]] {{{#!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8 != null
* {{{#!if 설명8 != null
: }}}[[]] {{{#!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9 != null
* {{{#!if 설명9 != null
: }}}[[]] {{{#!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10 != null
* {{{#!if 설명10 != null
: }}}[[]] {{{#!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 부분}}}}}}
가리온2의 주요 수상 이력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 ||||
올해의 음반 | |||||
서울전자음악단 <Life is Strange> (2010년) | → | 가리온 <가리온2> (2011년) | → | 장기하와 얼굴들 <장기하와 얼굴들> (2012년) | |
최우수 랩&힙합 음반 | |||||
드렁큰 타이거 <Feel gHood Muzik: The 8th Wonder> (2010년) | → | 가리온 <가리온2> (2011년) | → | 시모 & 무드슐라 <Mood Schula> (2012년) |
}}} ||
가리온 시리즈 | ||||
GARION (2004) | → | 가리온2 (2010) | → | 가리온3 (2024) |
가리온2 | |
| |
<colbgcolor=#000000><colcolor=#ffffff> 아티스트 | 가리온 |
발매일 |
2010년 10월 26일 |
장르 | 힙합 • 붐뱁 • 재즈 랩 |
재생 시간 | 1:08:53 |
트랙 | 17 |
타이틀 곡 | 산다는 게 (Feat. 선미) |
기획사 | 타일씨앤피 |
유통사 | 타일뮤직 |
1. 개요2. 상세3. 앨범 소개4. 트랙 리스트
4.1. 다만, 가리온4.2. 약속의 장소 (Remastered Alb. ver.)4.3. 산다는 게 (feat. 선미)4.4. 복마전4.5. 객석 (feat. 샛별)4.6. 수라의 노래4.7. 본전치기4.8. 영순위 (feat. 넋업샨)4.9. 판게아 (feat. P-Type)4.10. 술 푼 사슴4.11. 그 날 이후 (feat. 채영) (Remastered Alb. ver.)4.12. 나는 소망한다4.13. 불가사리4.14. 생명수4.15. 소리를 더 크게 (feat. Sean2slow)4.16. 12월 16일 (feat. Lucy)4.17. 그리고 은하에 기도를
5. 기타6. 여담1. 개요
지켜봐 이 열정은 태양을 물어 삼키고
원래 자기 자리로 가리온
나찰과 메타 이 판에 바친 혼
더 높이 손을 들고 외쳐봐 가리온
다만, 가리온 中
2010년 발매된 가리온의 두 번째 정규 앨범.원래 자기 자리로 가리온
나찰과 메타 이 판에 바친 혼
더 높이 손을 들고 외쳐봐 가리온
다만, 가리온 中
2. 상세
1집이 발매된 후 6년 만에 발매된 정규 앨범으로, 사실 상업적으로는 크게 성공하지 못했다.[1][2] 하지만 많은 평론가들에게 극찬을 받았고, 2011년 제8회 한국대중음악상에서 최우수 힙합 음반과 영순위로 최우수 힙합 노래를 수상하면서 힙합 부문을 싹쓸이하더니, 이 시상식의 대상인 올해의 음반 역시 석권하면서 단일 음반으로 3관왕을 달성했다. 한국대중음악상 최초로 힙합 음반이 올해의 음반을 수상했다.[3]- 2011 (8회) 최우수 랩&힙합-음반 | 가리온 [Garion 2]
- 2011 (8회) 최우수 랩&힙합-노래 | 가리온 '영순위 (Feat. 넋업샨)'
- 2011 (8회) 올해의 음악인 | 가리온[4]
- 2011 (8회) 올해의 음반 | 가리온 [Garion 2]
싱글에 수록됐던 '그 날 이후'와 '약속의 장소'가 2집에 수록되었는데, 원래 이 곡들은 2집의 맛보기 개념으로 나왔던 것이다. 사정상 2집이 발매되기까지의 기간이 너무 길어진 게 문제.
공연 활동에서는 전담 DJ로 DJ SKIP이 참여했으며, 1집과는 달리 The Quiett, Muneshine, Keeproots, Dok2, DJ Mitsu The Beats, Symbolic One a.k.a S-1, Nuol, DJ soulscape, JIN醉, J. Rawls, Fascinating, Primary 등의 국내외 여러 힙합 프로듀서들이 참여했다. 이 중에서 특히, S-1과 J. Rawls의 참여는 외국 아티스트와의 교류를 더욱 넓혀나가고 있다는 점에서 주목할만한 요소이다. 또한, 뉴질랜드의 한국인 프로듀서 모임인 DMP로부터 곡을 받았다. 2집의 프로듀서진이 워낙 다양하기 때문에, JU가 거의 모든 곡을 만들었던 1집에 비해 통일성이 조금은 줄어든 것 같다는 의견도 있지만, 반대로 생각해보면 꽤 다양한 느낌의 곡을 골고루 접해볼 수 있다. 1집도 1990년대에 만들어진 곡들이 많은데, 2집 역시 대부분은 2007년 위주로 오래 전에 작업한 곡들이다. '생명수'는 2집이 발매되기 훨씬 전인, 싱글을 발매하고 활동했을 때 선공개하여 공연에서 많이 선보였고, '객석'도 그 무렵에 선공개했다.
3. 앨범 소개
왕이 다시 돌아오다.
가리온; 한국 힙합의 마지노선, 현재로선 최전선
가리온은 한국 힙합의 탄생과 함께한 살아 있는 역사인 동시에, 현재의 힙합 씬에서도 최전선에 위치한 채, 실험과 도전을 계속하는 진화의 아이콘이다. 경향신문 “한국 대중음악 100대 명반”에 선정되는 등, 평단과 대중의 극찬을 받았던 셀프 타이틀 정규 1집 <가리온 (2004)>은 물론, 한국대중음악상 최우수 힙합 싱글 부문에 선정된 <무투 (2005)>와 <그 날 이후 (2005)> 등, 발표한 결과물들 모두 국내 힙합 음반의 클래식으로 자리 잡는 저력을 보이며, 힙합 씬의 큰 뿌리를 형성하게 되었다.
가리온의 Full-length 정규 2집인 이번 <가리온2> 앨범은 2005년 말에 발매된 두 장의 싱글 앨범들에 이어지는 작업들이다. 앨범의 큰 그림과 방향성은 초기 설정의 틀을 유지하고 있으나, 멤버들은 그간에도 계속 진화를 거듭했고, 이는 <가리온2>를 위한 작업에 지속적으로 반영되어왔다. 몇 개월만 지나도 “지겨운 것”이 되어버리는 패스트-컨텐츠가 주도하는 시장에서, 구상으로부터 만 4년이 훨씬 더 지난 이 앨범이 과연 어떤 방식으로 이해될지에 대해 즐거이 두근거리는 마음은 있어도 걱정은 되지 않는 것은 바로 그런 이유 때문일 것이다. 가리온, 한국 힙합의 마지노선이자 동시에 최전선.
가리온의 힙합이 무엇을 보여줄 수 있으며, 어떠한 지점을 지향해야 할지에 대한 치열한 고민과 각오를 충실히 반영한 앨범을 선보이겠다던 멤버들의 오래된 다짐은, 17트랙이나 빼곡히 채운 앨범의 시작부터 끝까지 오롯이 결이 살아 있다. J.Rawls, Symbolyc One a.k.a. S1, DJ Mitsu The Beats. Munshine 등 외국의 유명 프로듀서들 외에 Keeproots, DJ Soulscape, Primary, Nuol, The Quiett, Dok2 등 국내 힙합 씬의 손꼽히는 프로듀서들과 Fascinating, JIN醉, 뉴질랜드 DMP의 Experienced 1과 JWE등 신예가 고르게 참여한 비트는 가리온이 설정한 음악적 방향성에 부합하는 선택을 위해 지난한 여정을 거쳐온 것들이며, 이후 가리온과 함께 오랜 기간 숙성되며 세심히 다듬어져 온 것들이다. 거기에 Sean2slow, P-Type, 넋업샨 등 화려하고 힘있는 MC들의 도움과 함께 걸출한 funky voice의 채영과 Lucy, 샛별, 선미 등 따뜻한 보컬의 가세는 가리온의 음악에 한결 풍부한 감칠 맛을 더해주었다.
음악을 음악으로서, 보다 집중하여 들어주기를 바라는 마음에서 가사가 포함되지 않고, 디자인 요소가 단출한 매우 불친절한 패키지를 일부러 택했다. 가리온의 유려한 가사를 통해 그들이 전하는 바를 제대로 느끼기 위해서는 집중해서 여러 번 반복해 들을 필요가 있을 것이다. 누군가는 어쩌면 들을 때마다 가리온을 이해할 수 있게 될 것이고, 누군가는 어쩌면 들을 때마다 새로운 경치를 보게 될 것이며, 누군가는 어쩌면 들을 때마다 자신의 생각을 한층 다듬을 수 있을 것이다. 이는 CD나 음원 파일 등에 대한 개별적인 호불호 혹은 매체의 영속성에 대한 견해가 배제된, 온전히 듣기의 태도와 방식에 대한 얘기이다.
가리온은 말한다.
“존중이란 이해와 사랑이다. 가리온은 이 판에 대한 깊은 이해와 사랑으로 달린다.”
힙합이라는 음악과, 지금/여기에서의 이 판과, 그 안의 무수한 사람들에 대한 존중으로부터 시작된 가리온은 지금도 여전히 달린다.
그 안의 사람들이 늘어나도 균형을 잡을 수 있기를 바라며,
그 밖의 무수한 사람들과도 충분히 소통할 수 있기를 바라며,
존중으로 모두 함께 달릴 수 있기를 바라며.
충격과 공포로 시작하되, 사랑과 평화로 마무리되길 바라는 가리온의 오래달리기,
이제 겨우 2집.
-타일뮤직 전수영-
가리온; 한국 힙합의 마지노선, 현재로선 최전선
가리온은 한국 힙합의 탄생과 함께한 살아 있는 역사인 동시에, 현재의 힙합 씬에서도 최전선에 위치한 채, 실험과 도전을 계속하는 진화의 아이콘이다. 경향신문 “한국 대중음악 100대 명반”에 선정되는 등, 평단과 대중의 극찬을 받았던 셀프 타이틀 정규 1집 <가리온 (2004)>은 물론, 한국대중음악상 최우수 힙합 싱글 부문에 선정된 <무투 (2005)>와 <그 날 이후 (2005)> 등, 발표한 결과물들 모두 국내 힙합 음반의 클래식으로 자리 잡는 저력을 보이며, 힙합 씬의 큰 뿌리를 형성하게 되었다.
가리온의 Full-length 정규 2집인 이번 <가리온2> 앨범은 2005년 말에 발매된 두 장의 싱글 앨범들에 이어지는 작업들이다. 앨범의 큰 그림과 방향성은 초기 설정의 틀을 유지하고 있으나, 멤버들은 그간에도 계속 진화를 거듭했고, 이는 <가리온2>를 위한 작업에 지속적으로 반영되어왔다. 몇 개월만 지나도 “지겨운 것”이 되어버리는 패스트-컨텐츠가 주도하는 시장에서, 구상으로부터 만 4년이 훨씬 더 지난 이 앨범이 과연 어떤 방식으로 이해될지에 대해 즐거이 두근거리는 마음은 있어도 걱정은 되지 않는 것은 바로 그런 이유 때문일 것이다. 가리온, 한국 힙합의 마지노선이자 동시에 최전선.
가리온의 힙합이 무엇을 보여줄 수 있으며, 어떠한 지점을 지향해야 할지에 대한 치열한 고민과 각오를 충실히 반영한 앨범을 선보이겠다던 멤버들의 오래된 다짐은, 17트랙이나 빼곡히 채운 앨범의 시작부터 끝까지 오롯이 결이 살아 있다. J.Rawls, Symbolyc One a.k.a. S1, DJ Mitsu The Beats. Munshine 등 외국의 유명 프로듀서들 외에 Keeproots, DJ Soulscape, Primary, Nuol, The Quiett, Dok2 등 국내 힙합 씬의 손꼽히는 프로듀서들과 Fascinating, JIN醉, 뉴질랜드 DMP의 Experienced 1과 JWE등 신예가 고르게 참여한 비트는 가리온이 설정한 음악적 방향성에 부합하는 선택을 위해 지난한 여정을 거쳐온 것들이며, 이후 가리온과 함께 오랜 기간 숙성되며 세심히 다듬어져 온 것들이다. 거기에 Sean2slow, P-Type, 넋업샨 등 화려하고 힘있는 MC들의 도움과 함께 걸출한 funky voice의 채영과 Lucy, 샛별, 선미 등 따뜻한 보컬의 가세는 가리온의 음악에 한결 풍부한 감칠 맛을 더해주었다.
음악을 음악으로서, 보다 집중하여 들어주기를 바라는 마음에서 가사가 포함되지 않고, 디자인 요소가 단출한 매우 불친절한 패키지를 일부러 택했다. 가리온의 유려한 가사를 통해 그들이 전하는 바를 제대로 느끼기 위해서는 집중해서 여러 번 반복해 들을 필요가 있을 것이다. 누군가는 어쩌면 들을 때마다 가리온을 이해할 수 있게 될 것이고, 누군가는 어쩌면 들을 때마다 새로운 경치를 보게 될 것이며, 누군가는 어쩌면 들을 때마다 자신의 생각을 한층 다듬을 수 있을 것이다. 이는 CD나 음원 파일 등에 대한 개별적인 호불호 혹은 매체의 영속성에 대한 견해가 배제된, 온전히 듣기의 태도와 방식에 대한 얘기이다.
가리온은 말한다.
“존중이란 이해와 사랑이다. 가리온은 이 판에 대한 깊은 이해와 사랑으로 달린다.”
힙합이라는 음악과, 지금/여기에서의 이 판과, 그 안의 무수한 사람들에 대한 존중으로부터 시작된 가리온은 지금도 여전히 달린다.
그 안의 사람들이 늘어나도 균형을 잡을 수 있기를 바라며,
그 밖의 무수한 사람들과도 충분히 소통할 수 있기를 바라며,
존중으로 모두 함께 달릴 수 있기를 바라며.
충격과 공포로 시작하되, 사랑과 평화로 마무리되길 바라는 가리온의 오래달리기,
이제 겨우 2집.
-타일뮤직 전수영-
4. 트랙 리스트
가리온2 | |||||
<rowcolor=#fff> 트랙 | 곡명 | 작사 | 작곡 | 재생 시간 | 비고 |
1 | 다만, 가리온 | MC 메타, 나찰 | The Quiett | 2:57 | [5] |
2 | 약속의 장소 (Remastered Album Version) | Muneshine[6] | 4:07 | [7] | |
3 | 산다는 게 (Feat. 선미[8][9]) | Keeproots | 4:00 | ||
4 | 복마전 | Dok2 | 4:05 | ||
5 | 객석 (Feat. 샛별[10]) | DJ Mitsu The Beats[11] | 5:11 | [12] | |
6 | 수라의 노래 | Symbolic One a.k.a S-1[13] | 4:41 | ||
7 | 본전치기 | Nuol | 4:08 | ||
8 | 영순위 (Feat. 넋업샨) | MC 메타, 나찰, 넋업샨 | Keeproots | 4:17 | |
9 | 판게아 (Feat. P-Type) | MC 메타, 나찰, P-Type | DJ soulscape | 3:51 | [14][15] |
10 | 술 푼 사슴 | 나찰 | JIN醉[16] | 3:09 | [17][18] |
11 | 그 날 이후 (Feat. 채영[19]) (Remastered Album Version) | MC 메타, 나찰, 박채영 | 장범용[20] | 3:45 | [21] |
12 | 나는 소망한다 | MC 메타, 나찰 | J. Rawls[22] | 3:37 | [23] |
13 | 불가사리 | Fascinating | 4:07 | ||
14 | 생명수 | Primary | 3:56 | [24] | |
15 | 소리를 더 크게 (Feat. Sean2slow) | MC 메타, 나찰, Sean2slow | Xperienced 1[25] | 4:37 | [26] |
16 | 12월 16일 (Feat. Lucy) | MC 메타 | JWE[27] | 4:10 | [28] |
17 | 그리고 은하에 기도를 | MC 메타, 나찰 | J. Rawls | 4:16 |
인터뷰에서 언급했듯이, 가리온 2집은 음반을 처음부터 끝까지 순서대로 죽 들어보면, 트랙 구성이 역순으로 되어있다. 과거, 현재, 미래의 기승전결이 잘 짜여진 하나의 이야기이다. 트랙 구성이 역순인 것은 박하사탕(영화)을 보고 영감을 얻어서 앨범의 유기적인 구성을 구상한 것이라고 밝혔다.
4.1. 다만, 가리온
"다만, 가리온" 가사 |
|
4.2. 약속의 장소 (Remastered Alb. ver.)
[29]
"약속의 장소 (Remastered Alb. ver.)" 가사 |
|
4.3. 산다는 게 (feat. 선미)
[30]
"산다는 게 (feat. 선미)" 가사 |
|
4.4. 복마전
"복마전" 가사 |
|
4.5. 객석 (feat. 샛별)
"객석 (feat. 샛별)" 가사 |
|
4.6. 수라의 노래
"수라의 노래" 가사 |
|
4.7. 본전치기
"본전치기" 가사 |
|
4.8. 영순위 (feat. 넋업샨)
"영순위 (feat. 넋업샨)" 가사 |
|
4.9. 판게아 (feat. P-Type)
"판게아 (feat. P-Type)" 가사 |
|
4.10. 술 푼 사슴
"술 푼 사슴" 가사 |
|
4.11. 그 날 이후 (feat. 채영) (Remastered Alb. ver.)
"그 날 이후 (feat. 채영) (Remastered Alb. ver.)" 가사 |
|
4.12. 나는 소망한다
"나는 소망한다" 가사 |
|
4.13. 불가사리
"불가사리" 가사 |
|
4.14. 생명수
"생명수" 가사 |
|
4.15. 소리를 더 크게 (feat. Sean2slow)
"소리를 더 크게 (feat. Sean2slow)" 가사 |
|
4.16. 12월 16일 (feat. Lucy)
"12월 16일 (feat. Lucy)" 가사 |
|
4.17. 그리고 은하에 기도를
"그리고 은하에 기도를" 가사 |
|
5. 기타
6. 여담
- 수록곡 중 영순위는 원래 타이거 JK의 피처링으로 계획되었으나, 녹음 파일이 손상되어버리는 바람에(...) 그리고 인터뷰에서 밝혀진 당시의 어쩔 수 없는 상황들로, 결국 넋업샨의 피쳐링으로 대체했다고 한다. 그리고 넋업샨은 여기서 본인의 인생 가사를 남긴다.
- 공연 무대에서 몇곡은 Live Band Set으로 새롭게 편곡하여 선보이기도 했다. 특히, 광주 MBC의 문화콘서트 난장에서 TV 방송으로 나오기도 했다.
194회 한국 힙합의 신화 가리온 (2011년 4월 30일 방송)[32][33]
가리온 with Soul Steady Rockers '그 날 이후 (Live Band Version)'
가리온 with Soul Steady Rockers '약속의 장소 (Live Band Version)'
MC Meta with Soul Steady Rockers '12월 16일 (Live Band Version)'
가리온 with Soul Steady Rockers '술 푼 사슴 (Live Band Version)'
306회 한국 힙합의 역사 그리고 독보적인 존재 가리온 (2014년 4월 5일 방송)[34][35]
가리온 with Live Band and Linda from Rápercussion '생명수 (Live Band Version)'
가리온 with Live Band and Linda from Rápercussion '그 날 이후 (Live Band Version)'
가리온 with Live Band '소리를 더 크게 (Live Band Version)'
- 2006년 2월부터 그 날 이후의 뮤직비디오를 제작한다는 소식이 소속사를 통해서 나왔는데, 무슨 이유에서인지 한참 지난 뒤에도 완성본이 계속 공개되지 않았다. 참고로 당시에 가리온의 소속사는 타일뮤직이었다.[36] 결국 2집이 발매되고 나서 몇 달이 지난 뒤에 제작사에서 했는지 모르겠지만,
유출 형식으로유튜브에 공개되었다. 얼마 전부터 저작권 문제인지 유튜브에서는 다 삭제되었는데, 이미 많이 퍼져서 블로그 등에서는 볼 수 있다.
- 2집은 무슨 이유인지 알려진 바가 없는데, 스포티파이와 애플뮤직 등의 외국 음원 사이트에는 등록되지 않아서 리스너들의 불만이 많다. 당시의 소속사와 관련한 여러 가지 문제로 추정된다.
[1] 자세하게 알려진 바는 없지만, 대략 3만장 이상은 가뿐하게 판매되었다고 한다. 요즘 한국의 인디씬에서는 1만장 이상이 판매된 정도라면 대박이라고 본다.[2] 발매 이후 2012년 5월 힙합엘이에서 공개한 불한당 인터뷰에서 DJ SKIP은 자신이 프로모션을 맡았으면 좋았을 거라는 언급을 했다. 당시 소속사의 홍보 부족 등, 다소 아쉬운 부분이 있다는 의미다. 그래도 명성과 상징성이 있는 가리온인데, 좀 더 체계적이고 추진력이 있었다면, 이보다 더 대중들에게 각인되었을 거라는 의견도 있다.[3] 현재는 E SENS의 The Anecdote와 BEENZINO의 NOWITZKI와 함께 셋뿐만이 가진 기록이다.[4] 후보에 오르기만 해도, 그에 대한 리뷰가 작성된다.[5] 이후에 더콰이엇이 본인의 믹스테입인 'BACK ON THE BEATS VOL.2'에서 새로운 가사로 리메이크했다.[6] Pete Rock과 함께한 자신의 솔로 데뷔 앨범 Opportunity Knocks을 발표했고, Lightheaded의 프로듀서로도 알려져있다.[7] 2005년 무투 싱글 수록곡.[8] 흔히들 알고 있는 원더걸스 출신의 그녀가 아닌, 전혀 다른 사람이다. 발매 당시에 착각한 사람들이 많았다. 이 영향으로 멜론 등의 음원사이트 순위에 오르기도 했다는 의견도 있다.[9] CCM 위주로 활동하는 가수라고 하며, Power Flower의 멤버였던 보컬 샛별과 친구라고 한다.[10] 불한당 소속의 채영과 함께 Power Flower의 멤버였던 보컬이다.[11] DJ Mitsu The Beats, Hunger, DJ Mu-R로 이뤄진 일본 힙합 그룹 GAGLE의 멤버이며, 내한 공연도 몇번 했었다. K-Otix, Promoe (Looptroop), Big Pooh & Phonte (Little Brother), Dwele 등이 참여한 솔로 데뷔 앨범 New Awakening을 비롯하여, 각종 리믹스 및 믹스셋을 꾸준히 발표하면서 세계적으로 인정받고 있다.[12] 2집 발매 전에 2006년 11월 25일 서울 홍대 클럽 TOOL에서 열린 DJ MITSU THE BEATS & MC HUNGER (GAGLE) LIVE IN SEOUL - SPECIAL GUESTS : GARION & PRIMARY SKOOL에서 처음으로 공개되었다. 곡을 만든 DJ Mitsu The Beats의 내한공연이다.[13] Strange Fruit Project의 멤버이며, 이미 여러 명곡들을 만들어낸 유명 프로듀서다.[14] 원래 이 곡의 초안은 굉장히 오래 전에 이미 나와있었다고 한다. 디제이 소울스케이프의 첫 번째 정규 앨범 180g Beats에 나찰의 솔로곡으로 수록될 예정이기도 했지만, 사정상 누락되었다는 말이 있다. 무투 싱글 발매 소식이 리드머에 처음으로 나왔을 때, 트랙리스트에 표기되어 있었는데, 이후에 곧바로 수록곡들이 수정되고 변경되어 많은 사람들이 모른다. 게다가 사이트의 큰 사고로 예전의 자료들이 전부 다 사라지는 바람에 (리드머 문서 참고바람.) 현재로선 정확하게 확인할 수 없다. 가리온 2집 리드머 인터뷰에서 언급된 걸로는 2006년 10월에 처음으로 녹음되었고, 2007년에 최종적으로 편곡되었다고 한다. 초안과는 비트가 많이 바뀌었을 가능성도 있다.[15] 이 곡에서 메타는 후렴구만 한다.[16] 현재는 Boyrock이라는 이름으로 활동 중이다.[17] 나찰 솔로곡.[18] 메타가 후렴구를 했다.[19] 부산을 거점으로 하는 소울/펑크 밴드 Power Flower 출신의 보컬이며, 현재 불한당 소속이다.[20] Power Flower의 베이스 기타 멤버이며, 현재 D-Finga라는 이름으로도 활동 중이다. 2022년 뿌리깊은나무 공연에서 '가리온 & 이렇게' JAZZMAL REMIX에 함께했다.[21] 2005년 '그 날 이후' 싱글 수록곡.[22] Lone Catalysts의 멤버이며, 이미 여러 명곡과 명반에 많이 참여했고, 솔로 및 여러 프로젝트로도 왕성하게 활동하고 있는 유명 프로듀서다.[23] MC Meta의 가사는 1절과 3절의 문장이 서로 정 반대의 순서로 이루어져있다.[24] 이 앨범 수록곡 중에서는 이례적으로 EBS 스페이스 공감을 통해 대중들에게 선공개 되었다. #[25] 뉴질랜드의 한국인 프로듀서 모임 DMP 소속.[26] 라이브 공연 무대에서 나찰이 후렴 부분에 "헤이~ 호~"라고 외치는 것은 Naughty By Nature의 Hip Hop Hooray의 후렴구를 인용한 것이다.[27] 뉴질랜드의 한국인 프로듀서 모임 DMP 소속.[28] MC Meta 솔로곡. 그의 자전적 이야기다. 12월 16일은 메타의 생일이기도 하다.[29] 영상의 제목은 '산다는 게'로 표기되어 있지만, 영상에 삽입된 음원은 '약속의 장소'다. 업로더의 실수로 추정.[30] 영상의 제목은 '약속의 장소'로 표기되어 있지만, 영상에 삽입된 음원은 '산다는 게'이다. 역시 업로더의 실수로 추정.[31] 대팔이 촬영과 편집을 맡았다.[32] 2010년 12월 10일 V-HALL에서 열린 GARION2 ALBUM RELEASE CONCERT와 같은 구성이다.[33] 가리온의 2집 발매 시기에 가리온과 같은 소속사인 타일뮤직에 있었던 밴드 Soul Steady Rockers (소울 스테디 락커스)와 함께했다.[34] 2013년 12월 14일 KT&G 상상마당 라이브홀에서 열린 가리온 15주년 콘서트 '뿌리깊은나무' 그리고 2014년 12월 12일 yes24 MUV HALL에서 열린 가리온 단독 콘서트 '뿌리깊은나무'와 같은 구성이다.[35] 라퍼커션 소속의 여성 보컬 린다와 함께했다.[36] 타일뮤직 관련하여 여러 안좋은 사항들이 밝혀졌기에, 대부분은 혹시나가 역시나라고 여기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