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캠퍼스 | |||
수원캠퍼스 | 서울캠퍼스 | |||
대학 정보 | ||||
학부 | 대학원 | 강의 | 사건사고 |
1. 수원 캠퍼스
1.1. 스쿨버스
스쿨버스가 상당히 괜찮다. 운행하는 노선은 총 9곳인데 다음과 같다. 스쿨버스 노선 | ||||
부평 | 주안 | 송내 | 강서 | 신도림 |
일산 | 중앙역 | 상록수역 | 안양 |
버스회사와 계약으로 운행하는 스쿨버스는 학생들이 이용하지 않는 비수기에는 일반 대절버스로 이용되기 때문에 비교적 신형이며 시설도 좋은 편. 방학기간인 여행 성수기에 경기대 스쿨버스를 타고 관광버스 춤을 추는 아줌마들을 종종 발견할 수 있다. 또 가끔 공동운수 협정을 맺고 출퇴근 시간 대에 시외버스로 알바를 뛰기도 한다. 게다가 위에서 말한 것처럼 교통편이 애매하기 때문에 스쿨버스의 운행 비율도 상대적으로 높다. 그러나 2011년 3월 새학기 개강과 함께 학교에서 기존 회수권 형태의 스쿨버스 표를 폐지하고 카드 승차를 도입하면서 가격측면에서 문제가 많았다. 결국 학생들의 폭풍까임에 학교와 총학생회에서 문제점을 일부 개선했다. 충전 금액의 제한을 없애고, 카드 환불시 전액 환불하는 걸로 바뀌었다. 식권과 버스표도 1학기에는 계속 판매한다고 밝혔다. 2016년 2학기부터 스쿨버스 카드의 구매와 충전은 정문 옆의 여산관광 사무실에서 가능하다.
현재는 금강고속관광으로 회사가 바뀌었으며 페이코 앱에서 학교인증을 하면 스쿨버스표 예약이 가능하다.#
학교공식사이트에서 통학버스를 검색하면 매년 노선변경이나 공지가 올라오므로 확인하는 것이 좋다.# 매주 스쿨버스표 경쟁이 치열하다.
1.2. 시내버스
수원시 관내 버스 차고지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권역별 차고지 | 수원북부공영차고지 | 수원서부공영차고지 | 수원남부공영차고지 | 수원동부공영차고지 |
그 외 차고지 | 곡반정동차고지 | | 서둔동차고지 | 오목천차고지 | |
영통영업소 | 수원(광교)영업소 | 경희대영업소 | 경기대차고지 |
2020년 3월부터 학교와 버스 회사와 협약을 맺어 경기대학교 정문으로 진입하기 시작했다. 현재 정문 차고지에는 전기버스 충전소가 설치되어 있으며, 연무동차고지 폐쇄와 함께 나머지 노선들도 정문으로 올라온다. 정문 노선은 경기대입구 정류장에서부터 학교 방향으로 무료 승차가 가능하다.
정문 노선
수원 버스 7-1
수원 버스 13
수원 버스 16-2
수원 버스 35
수원 버스 37
후문(창룡대로) 노선
화성 버스 11
수원 버스 19
경기광주 버스 60
수원 버스 80
화성 버스 400
화성 버스 400A
경기광주 버스 700-2
경기광주 버스 720-1
광역버스
화성 버스 1007
수원 버스 1007-1
수원 버스 3007
수원 버스 4000
성남 버스 4500
수원 버스 7000
수원 버스 7001
수원 버스 8800
버스 M5115
1.2.1. 정문 차고지
정문 밑 동네에 있던 연무동차고지를 대체하는 차고지로 수원여객이 이용하고 있으며, 전기버스 충전소가 설치되어 있다.운행 노선
- 수원 버스 7-1 (동탄1차고지 - 경기대정문)
- 수원 버스 16-2 (경기대정문 - 수원역환승센터)(조원동, 화서역 경유)
- 수원 버스 35 (경기대정문 - 향남택지지구)
- 수원 버스 37 (경기대정문 - 한국민속촌)(화서역, 구운동 경유)
1.2.2. 후문 차고지
기존 광교웰빙타운에서 종착하던 노선들이 경기대 내부로 진입하면서 만들어진 차고지이다. 광교운수가 사용하고 있다.운행 노선
- 수원 마을버스 2 (경기대후문 - 광교호반마을)
1.3. 철도
수도권 전철 신분당선 노선도 |
역 개통 당시, 역 명칭으로 인해 말이 많았는데, 광교신도시 개발과 함께 수원캠퍼스 옆에 광교차량사업소가 들어서면서 차량기지 인입선 상에 역이 들어서게 되면서 광교신도시 주민들과의 논쟁 끝에 광교(경기대)역으로 명칭을 확정했다.[2][3] 이 역은 차량기지 구내에 세워진 장암역, 서동탄역 등과 달리 죽전역처럼 차량기지 인입선 상에 있어서 입출고 열차도 모두 정차할 수 있다. 어찌됐건 신분당선 개통이후 강남이나 분당, 수지에 거주하는 학생들은 2016년부터 신분당선을 통해 편하게 통학할 수 있게 되었다.
광교중앙역에서 분기할 예정인 신분당선 연장선(광교-호매실) 구간을 이용하면 화서역에서 1호선과도 환승 할 수 있다.
군포시가 추진중인 신분당선 지선 연장(광교~반월)이 현실화되면 의왕역에서 1호선, 반월역에서 4호선과 환승 할 수 있다.
2. 서울캠퍼스
서울중심지에 위치해있고 근교에 대로와 지하철역이 있다보니 교통이 꽤 좋은편이다. 서울 도심(광화문,종로,중구)과 가장 가까운 대학 캠퍼스이기도 하다.[4] 지하철 2호선, 5호선 환승역으로 충정로역(부역명 경기대입구)이 있다. 실제 학교와의 거리는 5호선 충정로역의 다음 역인 서대문역이 더 가깝다. 다만 지하철역이나 버스정류장을 가기 위해서는 약간 내려가야하니 그 점에서는 다소 아쉽다.서대문역 1번 출구에서 직진후 큰 길목에서 오른쪽으로 꺾은 뒤 5분~8분 정도 오르막길을 오르면 정문이 나온다. 정문에 도착한 뒤엔 가파른 경사의 계단을 또 오르면 된다. 일명 66계단으로 불리며 서울캠 학생들에게 악명이 높다. 하지만 난이도는 광교산에 위치하고 있는 수원캠퍼스 정문이나 다른 대학교(예를 들면 여기나, 여기)에 비하면 동네 마실 수준. 걷는게 귀찮다면 서대문역 앞에서 정차하는 마을버스를 타고 후문쪽에서 하차하면 된다. 다만 마을버스 순환이 15분 단위 인 건 기억해두자.
마을버스를 타려면 충정로역이 더 편리하다. 02번 마을버스가 약 5분 내외 간격으로 오고, 학교 후문에서 바로 내려주기 때문이다. 다만 오거리행 버스를 타야하고, 독립문행 버스를 타면 엉뚱한 방향으로 가니 유의해야 한다. 과거 총학에서 오거리행 버스를 오거리-경기대후문 행으로 바꿔보려고 했다는데 결국 흐지부지 된 모양이다.
즉, 걸어온다면 서대문역을 이용하고, 마을버스를 타려면 충정로역을 이용하는게 낫다.
[1] 단, 신분당선은 다른 철도 노선과 환승할인이 되지 않는다.[2] 광교신도시 주민들의 희대의 병크는 광교역 항목 참조. 대학이 아닌 지역주민이 까이는 사례다.[3] 광교(경기대)역은 엄연한 병기역명이다. 부역명과 병기역명은 그 위상부터 다르다.[4] 그 외에 동국대학교나 숙명여자대학교, 성균관대학교, 서울대 연건캠퍼스 정도가 서울 도심에 인접한 대학이다. 이 중에서도 광화문을 기준으로 하면 경기대가 가장 가깝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