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9-11 03:07:46

골리앗(식스 플래그 뉴 잉글랜드)


문서가 존재하는 미국의 롤러코스터
{{{#!wiki style="border-top: 1px solid currentColor; width: 90%; margin: 5px auto;"
[ 펼치기 · 접기 ]
||<tablewidth=100%><tablebordercolor=#ddd,#383b40><tablebgcolor=#fff,#1c1d1f><width=33%> 자이언트 딥
SFNE
1912~1919
||<width=34%> 그레이하운드
SFNE
1915~1933
||<width=33%> 라이트닝
SFNE
1920~1933
||
훨윈드 레이서
SFNE
1928~1933
와일드 마우스
SFNE
1957~19??
와일드캣
SFNE
1968~1983
골드 러셔
[[식스 플래그 매직 마운틴|
SFMM
]]
1971
매직 플라이어
[[식스 플래그 매직 마운틴|
SFMM
]]
1971
뉴 레볼루션
[[식스 플래그 매직 마운틴|
SFMM
]]
1976
콜로서스
[[식스 플래그 매직 마운틴|
SFMM
]]
1978~2014
더 비스트
KI
1979
사이클론
SFNE
1983~2014
사라예보 봅슬레이
[[식스 플래그 매직 마운틴|
SFMM
]]
1984~1985
Z-포스
SFGAm
1985~1987
쇼크웨이브
[[식스 플래그 매직 마운틴|
SFMM
]]
1986~1988
라 비보라
SFOT
1986~2024
와일드 원
SFA
1986
Z-포스
SFOG
1988~1991
닌자
[[식스 플래그 매직 마운틴|
SFMM
]]
1988
바이퍼
[[식스 플래그 매직 마운틴|
SFMM
]]
1990
쇼크웨이브
[[식스 플래그 그레이트 어드벤처|
SFGAd
]]
1990~1992
아이언 울프
SFGAm
1990~2011
사이클론
[[식스 플래그 매직 마운틴|
SFMM
]]
1991~2006
플래시백
[[식스 플래그 매직 마운틴|
SFMM
]]
1992~2003
배트맨 더 이스케이프
SFAw
1993~2005
배트맨 더 라이드
[[식스 플래그 매직 마운틴|
SFMM
]]
1994
코멧
SFGE
1994
스크리모어 교수의 스카이와인더
SFA
1995
조커의 복수
SFFT
1996~2001
빅 애플 코스터
N
1997
슈퍼맨: 크립톤에서의 탈출
[[식스 플래그 매직 마운틴|
SFMM
]]
1997~2024
알파인 봅슬레이
SFGE
1998~2023
리들러의 복수
[[식스 플래그 매직 마운틴|
SFMM
]]
1998
배트맨과 로빈: 더 칠러
[[식스 플래그 그레이트 어드벤처|
SFGAd
]]
1998~2007
로어
SFA
1998
조커의 징크스
SFA
1999
그레이트 체이스
SFA
1999
디 인크레더블 헐크 코스터
[[유니버설 올랜도 리조트|
U
]]
1999
골리앗
[[식스 플래그 매직 마운틴|
SFMM
]]
2000
슈퍼맨 더 라이드
SFNE
2000
슈퍼맨: 강철의 질주
SFA
2000
머스크랫 스크램블러
SFNO
2000~2005
로드 러너 익스프레스
SFNO
2000~2005
메가 제프
SFNO
2000~2005
지데코 스크림
SFNO
2000~2005
선 오브 비스트
KI
2000~2009
니트로
[[식스 플래그 그레이트 어드벤처|
SFGAd
]]
2001
배트윙
SFA
2001
데자뷰
[[식스 플래그 매직 마운틴|
SFMM
]]
2001~2011

[[식스 플래그 매직 마운틴|
SFMM
]]
2002
스크림!
[[식스 플래그 매직 마운틴|
SFMM
]]
2003
배트맨: 더 라이드
SFNO
2003~2005
제스터
SFNO
2003~2005
레이진 케이준
SFGAm
2004~2013
킹다 카
[[식스 플래그 그레이트 어드벤처|
SFGAd
]]
2005~2024
타츠
[[식스 플래그 매직 마운틴|
SFMM
]]
2006
엘 토로
[[식스 플래그 그레이트 어드벤처|
SFGAd
]]
2006
추파카브라
SFFT
2008
아포칼립스
[[식스 플래그 매직 마운틴|
SFMM
]]
2009
팬서리안
KD
2010
그린 랜턴
[[식스 플래그 그레이트 어드벤처|
SFGAd
]]
2011~2024
로드 러너 익스프레스
[[식스 플래그 매직 마운틴|
SFMM
]]
2011
그린 랜턴: 첫 비행
[[식스 플래그 매직 마운틴|
SFMM
]]
2011~2017
골리앗
SFNE
2012~2019
아포칼립스
SFA
2012~2018
풀 스로틀
[[식스 플래그 매직 마운틴|
SFMM
]]
2013
밴시
KI
2014
레이진 케이준
SFA
2014
트위스티드 콜로서스
[[식스 플래그 매직 마운틴|
SFMM
]]
2015
위키드 사이클론
SFNE
2015
퓨리 325
Ca
2015
스틸 벤전스
[[시더 포인트|
CP
]]
2018
파이어버드
SFA
2019
해그리드 매지컬 크리처스 모터바이크 어드벤처
[[유니버설 올랜도 리조트|
U
]]
2019
웨스트 코스트 레이서
[[식스 플래그 매직 마운틴|
SFMM
]]
2020
저지 데블 코스터
[[식스 플래그 그레이트 어드벤처|
SFGAd
]]
2021
쥬라기 월드 벨로시코스터
[[유니버설 올랜도 리조트|
U
]]
2021
가디언즈 오브 갤럭시: 코스믹 리와인드
[[EPCOT|
EP
]]
2022
원더우먼 용기의 비상
[[식스 플래그 매직 마운틴|
SFMM
]]
2022
트론: 라이트사이클/런
[[매직 킹덤|
MK
]]
2023
밥캣
SFGE
2024
조지아 골드 러셔
SFOG
2025
플래시: 버티컬 벨로시티
[[식스 플래그 그레이트 어드벤처|
SFGAd
]]
2025
락샤사의 분노
SFGAm
2025
콴텀 액셀러레이터
SFNE
2026
미정
[[식스 플래그 매직 마운틴|
SFMM
]]
2026
미정
SFOT
2026
미정
[[식스 플래그 그레이트 어드벤처|
SFGAd
]]
2027
KI: 킹스 아일랜드
SFGE: 식스 플래그 그레이트 이스케이프
SFFT: 식스 플래그 피에스타 텍사스
N: 뉴욕 뉴욕 호텔
SFA: 식스 플래그 아메리카
SFNO: 식스 플래그 뉴올리언스
SFAw: 식스 플래그 아스트로월드
KD: 킹스 도미니언
SFNE: 식스 플래그 뉴 잉글랜드
Ca: 캐로윈즈
EP: EPCOT
SFGAm: 식스 플래그 그레이트 아메리카
SFOG: 식스 플래그 오버 조지아
SFOT: 식스 플래그 오버 텍사스
골리앗
Goliath
파일:SFNE 골리앗 1.jpg
<colbgcolor=#EF3022><colcolor=#ffffff> 개장일 2012년 5월 25일
폐장일 2019년
기종 Giant Inverted Boomerang
위치 식스 플래그 뉴 잉글랜드 크랙캐슬 캐니언
제작사 [[https://www.vekoma.com/|
파일:베코마 로고.svg
]]
디자인 스테판 홀트만(Stefan Holtman)
트랙 길이 367m
운행 시간 1분 32초
추진 방식 Catch Car Lift
리프트(LIft) 2회[1]
최고 낙차 54m
낙하 횟수 3회
최고 높이 58.4m
최고 낙하 각도 90°
탑승인원 32명
인원 수용량 시간당 870명
최고 속도 105.6km/h
최대 중력가속도
(G-Force)
4.5G
트랙 인버전 3회
라이더 인버전 6회
실내 구간 없음
특수 트랙 2개[2]
SIX FLAGS NEW ENGLAND
1. 개요2. 데자뷰 시절3. 특징4. 폐장5. 사건 사고6. 평가7. 여담

1. 개요

파일:SFNE 골리앗 2.jpg
식스 플래그 뉴 잉글랜드에 존재했었던 롤러코스터.

2. 데자뷰 시절

파일:SFMM 데자뷰 2.jpg
데자뷰
2001년 식스 플래그 매직 마운틴에서 데자뷰라는 이름으로 오버 조지아, 그레이트 아메리카의 동명의 동일기종 코스터와 동시에 개장하였다. 이후 함께 개장한 두 기종들이 폐장될 동안까지도 홀로 남아 계속 운행되었다.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데자뷰(식스 플래그 매직 마운틴)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데자뷰(식스 플래그 매직 마운틴)#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데자뷰(식스 플래그 매직 마운틴)#|]]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2011년 8월 16일, 매스라이브(MassLive)에서 식스 플래그 뉴 잉글랜드가 2012 시즌을 위해 쉡렉 폴스 부지에 Giant Inverted Boomerang을 설치할 계획이라고 보도했다. 8월 18일, 아가왐 도시계획위원회에서 해당 계획이 승인되었고, 다음 날 LA타임즈는 매직 마운틴의 데자뷰가 뉴 잉글랜드로 이전될 예정이라고 보도했다.

9월 1일, 식스 플래그 측에서도 공식적으로 해당 이전을 발표하였고, 새 이름은 골리앗 (Goliath)이 될 것이라고 밝혔다.

2011년 10월 16일, 매직 마운틴에서 데자뷰가 마직 운행을 마쳤고, 같은 시기에 뉴 잉글랜드에서도 쉽렉 폴스가 철거되었다.

2012년 2월 29일, 구조물 상단 설치 공사가 완료되었고, 2012년 5월 25일에 공식적으로 개장하였다.

2019년부터 아무런 예고 없이 운행이 중단되었고, 그대로 방치되다가 2021년에 공식적으로 폐장이 발표되었다. 자세한 내용은 아래 폐장 문단 참조.

3. 특징

파일:SFNE 골리앗 5.jpg
베코마의 Giant Inverted Boomerang 모델로, 기존의 일반 부메랑의 인버티드 버전으로 출시된 인버티고 (Invertigo)의 후속 모델이다. 인버티고의 업그레이드 버전인 만큼 일반적인 인버티드 코스터와는 달리 셔틀형 구조를 기반으로 한다. 이 말은 출발 지점으로 되돌아오는 완전한 순환 트랙이 아닌, 왕복 형태의 선로에서 전진과 후진 모두를 경험하는 설계라는 의미이다. 해당 구조는 상하 방향 모두에서의 강한 중력 가속을 반복적으로 제공하며, 특히 후진으로 인버전을 통과할 때 예상 불가능한 타이밍으로 인해 강한 긴장감을 유발한다.

인버티고와 비교할 경우 일단 최고 높이가 무려 58m로, 규모 자체가 비교도 안될 정도로 더 거대하다. 코브라 롤과 루프 또한 각각 33m, 31m에 달할 정도로 거대해졌고, 단순히 크기만 무식하게 커진게 아니라 타워형 수직 케이블 리프트를 채택하였다. 이로써 일반적인 부메랑들보다도 공간을 절약함과 동시에, 수직 낙하로 스릴 강도를 순식간에 높아졌다. 최고 속도도 76km/h였던 기존 부메랑들과 달리 105.6km/h에 달하며 100km/h를 넘어섰다. 레이아웃에도 변화가 생겼더. V자 형태의 레이아웃을 보유하고 있던 기존 부메랑들과 다르게 골리앗은 X자 형태의 레이아웃으로, 루프가 트랙 한 중간에 교차하는 형식으로 구성되어 있었다.

거대한 두 개의 수직 리프트 타워를 중심으로 두고 있는 구성에 멀리서도 존재감이 엄청났고, 일반적인 롤러코스터보다 훨씬 크고 인상적인 실루엣을 가졌다. 중간 인버전 요소들이 직선적으로 연결돼 있어 마치 대형 기계 장치 같은 인상을 주기도 했다.

또 하나의 주요 특징은 Premier Rides에서 공급한 전용 차량이다. 기존 데자뷰 시절에 사용되었던 베코마 열차는 한줄에 4명이 일자로 앉는 형태가 아니라 가운데에 두명이 앞으로 튀어나와있고, 그 옆에 각각 한명씩 가운데 좌석보다 뒤에 앉아 안쪽 좌석의 경우 일행과 같이 앉을 수 있지만, 바깥쪽은 혼자 떨어져 앉는 V자 형태의 줄을 사용하고 있었다. 이는 더 나은 시야 확보를 위한 베코마의 의도적인 설계였지만, 이 때문에 먼저 두명의 탑승객이 앞좌석에 앉고, 그 뒤에 한명이 앞좌석을 지나쳐 제일 끝에 있는 좌석으로 걸어가 앉고, 마지막 남은 한명이 앞에 남아있는 바깥 좌석에 앉는 복잡한 탑승 방식을 가지게 되었다. 이 때문에 탑승 절차를 제대로 이해하지 못한 승객들이 의도치 않게 새치기를 하는 등, 혼란을 야기하였다. 또 각 좌석에 무릎 안전벨트와 좌석과 안전바를 연결시키는 안전벨트가 공존하는 이중 안전장치를 채택하고 있었고, 이 때문에 안전 장치를 점검하는 데에만 시간이 오래걸려 탑승 준비 시간이 매우 길어졌다.

식스 플래그 측은 해당 문제점들을 보완하기 위해 새로운 기차 디자인을 Premier Rides에 의뢰하였고, 이에 따라 일반적인 코스터들처럼 4개의 좌석이 일자로 되어 있고, 안전벨트도 하나로 줄인 새로운 디자인이 채택되었다. 신규 열차가 완성됨과 동시에 골리앗의 열차는 즉시 교체되었고, 대기시간을 줄이고 고객들의 만족도 향상 차원에서 도입된 이 열차는 골리앗을 최악의 코스터 중 하나로 바꿔버리는 데에 기여하게 된다. 자세한 내용 아래 평가 문단 참조.
▲ 탑승 영상
탑승 스테이션에는 ‘치킨 출구(Chicken Exit)’라는 출구가 마련되어 있어, 타기 직전에 무서워진 손님이 빠져나갈 수 있도록 되어 있었다.

스테이션에서 열차가 앞이 아닌 뒤로 움직이며, 곧바로 58m 높이의 리프트 타워에 부착딘 캐치카가 열차를 끌어 상승한다. 이 때 리프트가 수직 형태로 되어 있어 탑승자들은 완벽하게 90도로 앞으로 누워진 상태로 땅을 바라보며 상승한다. 이후 54m 높이에서 캐치카가 열차를 놓으면서 툭하고 끊어지 듯이 90도의 각도로 수직 하강한다. 떨어진 열차는 곧바로 105km/h의 속도로 스테이션을 지나 절반의 루프를 지난뒤 콕스크류를 통해 빠져나오는 구조의 사이드와인더 좌우대칭으로 되어있는 형태의 33m짜리 코브라 롤을 지난다. 이후엔 31m 높이의 루프를 지났다가 두번째 리프트에 진입한다. 리프트가 90도라서 이번에도 마찬가지로 탑승객들은 90도로 누워진 상태로 상승하게 된다. 다만 이번에는 땅이 아닌 하늘을 보는 구조이다. 두번째는 체인 리프트를 사용하는 일반 부메랑들과 달리, 골리앗은 두번째 리프트도 첫번째와 동일한 캐치카 리프트를 사용해 이번에는 캐치카가 54m 높이에서 열차를 놓으며 수직 하강을 하고, 뒤로 움직이면서 지금까지 왔던 코스를 거꾸로 질주한다. 이 과정에서 코브라 롤도 거꾸로 지나가는 데, 이 때도 5.2G를 선사하는 일반 부메랑들 보다는 덜하지만 4.5G라는 상당한 G-포스가 가해진다. 이후 스테이션을 지나 그대로 첫번째 리프트까지 상승하며 서서히 감속한다. 이후 이번에는 천천히 리프트에서 내려가며 스테이션으로 서서히 돌아오는 구조이다.

4. 폐장

파일:SFNE 골리앗 6.jpg
철거 중인 골리앗
골리앗은 2016년에 리프트가 끊어지는 사고가 발생한 이후 잠시 폐쇄되었고, 이를 기점으로 몇달 동안 주기적으로 운행이 중단되었다가 재개장하는 듯, 불안정한 운행 현황을 보여줬다.

이후 2019년에 골리앗의 운행이 또 다시 중단되었다. 그러나 이전과 달리 운행 중단 기간이 너무 길었고, 이로 인해 이번에 골리앗이 첡거될 것이라는 루머가 파크 내에 돌기 시작하였다.

코로나 19 팬데믹에 대한 우려가 커지면서, 식스 플래그는 2020년 3월 13일에 전 지점의 운영을 중단한다고 발표할 때까지도 골리앗은 재개장하지 않고 그대로 방치되어 있었다. 이후 2020년 후반, 뉴 잉글랜드가 재개장하였을 때에도 골리앗은 그대로 방치되어 있었고, 2021 시즌이 열릴 때까지도 이는 변하지 않았다.

이후 2021 시즌이 열림과 동시에 골리앗이 파크 지도에서 사라진 것이 확인되었다.

식스 플래그 측은 공식적으로 골리앗의 폐장과 철거에 대해 아무런 답변도 내놓지 않았고, 묵묵부답으로 상대했고, 오히려 비공식 팬 사이트인 SFNE Online에서 골리앗이 2022년 1월에 철거된다 발표하였다.

이후 SFNE Online에서 공지한 대로 2022년, 골리앗의 철거가 시작되었고, 조각조각 해체되면서 역사 속으로 사라지게 된다. 대부분은 골리앗의 철거가 이미 사실상 확정되었던 것이며, 불가피한 일이 코로나 19로 인해 잠시 지연된 것 뿐이라는 평시 많다.

제미있는 점은 골리앗 옆에 있던 일반 부매랑인 플래시백은 골리앗보다 먼저 개장해 골리앗이 폐장한 지금까지도 운행되고 있다는 점이다. 플래시백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단 참조.

골리앗이 폐장된 이후, 해당 부지는 사용되지 않고 빈 공터로 남아있다가 2025년 해당 부지에 2026년 개장 예정인 인타민의 패밀리 런치 코스터 콴텀 액셀러레이터의 건설이 시작되었다.

5. 사건 사고

  • 2016년 7월 11일, 1번 타워에서 사용되던 케이블 하나가 끊어지는 사고가 발생했다. 이로 인해 골리앗은 장기 운휴에 들해가서 정비를 거친 후 재개장하였다. 게당 사고 이후로 골리앗의 운휴 기간이 눈에 띄게 늘었다.

6. 평가


||<table align=center><table width=500><table bordercolor=#37474F><bgcolor=#37474F>
기준일:
2025-07-08
파일:Captin Coaster 로고.svg ||
#1222위


||<table align=center><table width=500><table bordercolor=#37474F><bgcolor=#37474F>
기준일:
2025-07-08
파일:Captin Coaster 로고.svg ||
[[https://captaincoaster.com/en/coasters/2067/goliath-six-flags-new-england| 2/5 (32.8%)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font-size:.9em"]]
HEADBANGING
FIRST DROP
RATTLE


데자뷰의 퇴역 이후, 뉴 잉글랜드에서 골리앗이라는 이름으로 재개장한 이 코스터는 외형상으로는 동일한 베코마의 자이언트 인버티드 부메랑이었으나, 평가 면에서는 훨씬 더 혹독한 비판을 받았다. 이유는 간단하다. 탑승감의 열화, 유지비 상승, 그리고 시각적 매력의 부재가 겹쳤기 때문이다. 실제로 Captin Coaster에서 데자뷰 시절 75%였던 평점이 골리앗으로 변경되면서 절반 가량인 32.8%으로 내려갔다.

개장 초기에는 데자뷰 시절과 별반 차이 없이 운행을 시작해, 데자뷰 시절과 마찬가지로 좋은 평가를 받았다. 저널리스트 조지 델라일은 '골리앗은 라이더에게 휼륭한 첫번째 낙하, 여러 번의 인버전, 엄청난 중력가속도, 그리고 매우 강령한 경험을 선사한다. 이 모든 것이 나이든 나의 든, 목 어깨에 과도한 부담을 주지 않았다. 스릴 강도는 높지만 고통스럼진 않은 편안한 스릴이다.'이라며 호평을 남겼고, 특히 부드러운 탑승감을 높게 평가했다. 그러나 이러한 호평은 골리앗의 여러 변화들로 인해 오래가지 못했다.

우선 가장 큰 변화는 위에 상술한 차량이었다. 데자뷰 시절 사용되던 베코마의 열차가 아닌, 프리미어 라이드 자체 개발의 새로운 트레인으로 교체되면서, 기존보다 훨씬 거칠고 둔탁한 승차감이 되었다. 특히 어깨 너머로 고정된 안전장치에 머리를 계속 부딪히는 등, 매우 덜컹거리는 불편한 탑승감이 발생하였고, 이후 해당 기종의 세계적 실패에도 일조하게 된다. 선글라스를 착용할 경우 귀가 선글라스에 부딪힐 수 있고, 귀걸이를 착용할 경우 귀걸이를 빼라고 권유할 정도로 귀가 빨갛게 충혈되고 심한 두통을 겪는 일이 드물지 않게 발생하였다. 탑승객들은 골리앗의 열차를 세계 최악의 코스터 중 하나로 평가하기도 했다. 실제로 실버우드의 애프터쇼크는 여전히 원본 베코마 열차를 사용하며 탑승객들에게 여전히 높은 평가를 받고 있다.

운영 측면에서도 상황은 좋지 않았다. 데자뷰 시절보다 개선된 점 없이 센서 불량, 감속 실패 사고 등의 고질병이 계속되었고, 심지어 상술하였지만 2016년에는 리프트가 끊어지는 사고도 발생했다. 이에 따라 골리앗 시즌 내내 정상 운행일이 손에 꼽힐 정도로 낮았다. 심지어 마지막 시즌인 2019년에는 ‘운영한다고 게시만 해놓고 실제론 항상 닫혀 있다’는 비아냥까지 나왔으며, 결국 2021년 말 철거되며 쓸쓸히 사라졌다.

한편 외형적으로도 데자뷰의 압도적인 존재감을 계승하지 못했다. 뉴잉글랜드의 숲이 우거진 환경 속에서 튀지 않는 색상과 배치, 시각적 리뉴얼 없는 설치는 지역 팬덤 사이에서 “조립식 느낌”, “시멘트 위에 덩그러니 놓인 쇳덩어리”라는 혹평을 받았다. 심지어 코스터 라인업이 적은 뉴잉글랜드 내에서도 이 코스터는 운행 안정성이 떨어져 주요 어트랙션으로조차 인식되지 않았다.

결론적으로 골리앗은 포텐셜은 확실했으나, 설계적 결함과 현장 적용의 미숙함이 겹친 대표적인 실패 사례다. 팬덤에서는 데자뷰가 불안정하지만 사랑받은 기구였다면, 골리앗는 애초에 환영받지 못한 이전이었다는 점에서 대비되며 기억된다.

7. 여담

  • 초록색 트랙과 파란색 지지대를 가지고 있었다. 이는 데자뷰 시절에도 동일했다.
  • 맨처음에 매직 마운틴의 데자뷰를 뉴 잉글랜드로 이전시킬 것이라 발표되었을 때에는 대부분 왜 그런 선택을 했는지 이해가 가지 않는다는 반응이 많았다. 왜냐하면 이미 뉴 잉글랜드에는 플래시백(Flashback)이라는 오래된 일반 베코마 부메랑이 운행 중이기 때문. 그리고 상술했듯 골리앗이 빈 부지에 도입된 것도 아니고, 원래 그 자리에 위치해있던 어트랙션 쉽렉 폴스를 철거시켜 부지를 마련한 후 도입한 경우라서 차라리 플래시백을 철거시키고 그 자리에 도입하지 왜 플래시백은 냅두고 쉽렉 폴스를 철거한건지 의문이라는 반응이 많았다. 그리고 더더욱 사람들을 당황시켰던 건, 그렇게 개장한 자리가 바로 플래시백의 건너편이었던 것. 안 그래도 둘이 포지션이 겹치는 코스터인데 누가봐도 상위호환인 골리앗을 떡하니 플래시백이랑 왜 붙여둔건지 모르겠다는 반응이 많았다.
  • 왼쪽 리프트에는 골리앗 (GOLIATH)이라는 글씨가, 오른쪽 리프트에는 타워 (TOWERS)라는 글씨가 크게 붙어있었다.
  • 뉴 잉글랜드의 지형이 꽤 평지에 가까운데, Giant Inverted Boomerang 같은 대형 수직 탑 코스터는 원래 좀 더 공간감 있는 공원에 적합하지만 협소한 North End 구역에 억지로 꽂아 넣는 바람에, 뒷편 경관도 안 보이고 트레인의 다이나믹함도 죽었다는 평이 있었다.
  • 탑 꼭대기엔 녹색, 주황색 조명이 야간마다 번쩍번쩍 켜지는 구조였지만, 2013년 이후에는 종종 불이 안 들어왔고, 심지어 케이블 수리 이후엔 탑 전체가 까만 기둥으로만 보이는 일이 많았다.
  • 운영하지 않는 겨울철엔 수직 리프트에 케이블도 없고, 트레인도 분리된 채 방치되어 있었다.


[1] Catch Car Vertical Lift (2)[2] 110.0 ft tall Cobra Roll, 102.0 ft tall Lo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