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10-23 19:43:06

구스노키 마사시게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0 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AF001F, #BD0029 20%, #BD0029 80%, #AF001F); color: #DCA600; min-height: 31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iki style="margin: -5px"
{{{#8D0038,#FFF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tablealign=center><tablewidth=81>
선명한 배경
}}}
및 🎎 표시: 생전 서위
}}}}}}
(서기·양력 서위일 불명)
720년 11월 27일
724년
737년 8월 25일
(화력 서위일 불명)
요로 4년 10월 23일
진키 원년
덴표 9년 7월 25일
(고세노 도코타) 후지와라노 후히토 🎎후지와라노 미야코 🎎후지와라노 무치마로
737년 11월 3일
749년 5월 4일
760년 9월 20일
762년 2월 28일
덴표 9년 10월 7일
덴표칸포 원년 4월 14일
덴표호지 4년 8월 7일
덴표호지 6년 2월 1일
후지와라노 후사사키 🎎타치바나노 모로에 아가타노 이누카이노 미치요 🎎후지와라노 나카마로
770년 10월 23일
785년 6월 14일
785년 10월 31일
788년 6월 21일
호키 원년 10월 1일
엔랴쿠 4년 5월 3일
엔랴쿠 4년 9월 24일
엔랴쿠 7년 5월 13일
🎎후지와라노 나가테 기노 모로히토 후지와라노 다네츠구 후지와라노 다비코
791년 1월
791년 1월
806년 6월
806년 6월
엔랴쿠 9년 12월
엔랴쿠 9년 12월
다이도 원년 6월
다이도 원년 6월
야마토노 오토츠구 하지노 마이모 후지와라노 요시츠구 아베노 고미나
819년 1월 18일
823년 6월 17일
823년 6월 17일
826년 9월 1일
고닌 9년 12월 19일
고닌 14년 5월 6일
고닌 14년 5월 6일
덴초 3년 7월 26일
후지와라노 소노히토 후지와라노 모모카와 후지와라노 모로아네 후지와라노 후유츠구
833년
833년
847년 11월 16일
848년 1월 28일
덴초 10년
덴초 10년
조와 14년 10월 5일
조와 14년 12월 19일
다치바나노 기요토모 다구치노 미치히메 다치바나노 나라마로 다치바나노 우지키미
850년 9월
854년 10월 28일
858년
867년 11월 9일
가쇼(嘉祥) 3년 8월
닌주 4년 10월 4일
덴난 2년
조간 9년 10월 10일
후지와라노 미츠코 미나모토노 도키와 미나모토노 기요히메 후지와라노 요시미
869년 4월
872년 10월 9일
877년 1월
877년 1월
조간 11년 3월
조간 14년 9월 4일
조간 19년 1월
조간 19년 1월
미나모토노 마코토 후지와라노 요시후사 후지와라노 나가라 후지와라노 오토하루
884년 3월 23일
884년 3월 23일
891년 2월 24일
895년 9월 20일
간교 8년 2월 23일
간교 8년 2월 23일
간표 3년 1월 13일
간표 7년 8월 28일
후지와라노 후사츠구 후지와라노 가즈코 후지와라노 모토츠네 미나모토노 토오루
897년 7월 19일
898년 1월 3일
900년 4월 15일
906년 6월 24일
간표 9년 6월 16일
간표 9년 12월 7일
쇼타이 3년 3월 14일
엔기 6년 5월 30일
미나모토노 요시아리 소시 여왕 후지와라노 다카후지 후지와라노 슈쿠시
907년
909년 4월 27일
913년 4월 27일
937년 11월
엔기 7년
엔기 9년 4월 5일
엔기 13년 3월 18일
조헤이 7년 10월
미야지노 렛시 후지와라노 도키히라 미나모토노 히카루 후지와라노 미츠코
949년 9월 13일
949년 9월 13일
962년 11월 17일
967년
덴랴쿠 3년 8월 18일
덴랴쿠 3년 8월 18일
오와 2년 10월 18일
고호 4년
후지와라노 다다히라 미나모토노 쇼시 후지와라노 기시 후지와라노 세이시
969년 12월 2일
970년 6월 26일
972년 12월 13일
978년 1월 1일
안나 2년 10월 20일
덴로쿠 원년 5월 20일
덴로쿠 3년 11월 5일
조겐(貞元) 2년 11월 20일
후지와라노 모로타다 후지와라노 사네요리 후지와라노 고레타다 후지와라노 가네미치
987년 3월
989년 8월 23일
992년 7월 18일
993년 6월 12일
간나 3년 2월
에이엔 3년 7월 20일
쇼랴쿠 3년 6월 16일
쇼랴쿠 4년 5월 20일
후지와라노 도키히메 후지와라노 요리타다 후지와라노 다메미츠 스가와라노 미치자네
993년 8월 19일
995년 6월 25일
995년 6월 25일
1025년 9월 23일
쇼랴쿠 4년 7월 29일
조토쿠 원년 5월 25일
조토쿠 원년 5월 25일
만주 2년 8월 29일
미나모토노 마사자네 후지와라노 미치카네 미나모토노 시게노부 후지와라노 기시
1029년 11월 25일
1073년 6월
1073년 6월
1075년 11월 16일
조겐(長元) 2년 10월 17일
엔큐 5년 5월
엔큐 5년 5월
조호 2년 10월 6일
후지와라노 긴스에 후지와라노 요시노부 후지와라노 시시 후지와라노 노리미치
(서기·양력 서위일 불명)
1094년
1107년
1146년 11월 9일
(화력 서위일 불명)
가호 원년
가쇼(嘉承) 2년
규안 2년 10월 4일
후지와라노 요시나가 후지와라노 아키후사 후지와라노 사네스에 후지와라노 나가자네
1146년 11월 9일
1166년 9월 8일
1168년 7월
1168년 7월
규안 2년 10월 4일
에이만 2년 8월 12일
닌난 3년 6월
닌난 3년 6월
🎎미나모토노 마사코 고노에 모토자네 다이라노 도키노부 후지와라노 유시
1177년 8월 28일
1190년 5월
1220년
1242년
지쇼 원년 8월 3일
겐큐 원년 4월
조큐 2년
닌지 3년
후지와라노 요리나가 후지와라노 규시 다이라노 지카노리 미나모토노 미치무네
1617년 4월 14일
1628년 7월
1632년 3월 30일
1651년 7월 4일
겐나 3년 3월 9일
간에이 5년 7월
간에이 9년 2월 10일
게이안 4년 5월 17일
도쿠가와 이에야스 사이고노츠보네 도쿠가와 히데타다 도쿠가와 이에미츠
1680년 6월 17일
1709년 3월 4일
1709년 10월 9일
1712년 12월 1일
엔호 8년 5월 21일
호에이 6년 1월 23일
호에이 6년 9월 7일
쇼토쿠 2년 11월 3일
도쿠가와 이에츠나 도쿠가와 츠나요시 도쿠가와 츠나시게 도쿠가와 이에노부
1716년 7월 1일
1752년 7월 20일
1761년 8월 24일
1786년 10월 13일
쇼토쿠 6년 5월 12일
호레키 2년 6월 10일
호레키 11년 7월 24일
덴메이 6년 9월 22일
도쿠가와 이에츠구 도쿠가와 요시무네 도쿠가와 이에시게 도쿠가와 이에하루
1841년 4월 8일
1848년 8월 7일
1853년 9월 23일
1858년 8월 29일
덴포 12년 2월 17일
가에이 원년 7월 9일
가에이 6년 8월 21일
안세이 5년 7월 21일
도쿠가와 이에나리 도쿠가와 이에모토 도쿠가와 이에요시 도쿠가와 이에사다
1866년 8월 29일
1880년 7월 20일
1882년 8월 7일
1885년 7월 20일
게이오 2년 7월 20일
메이지 13년 동월 동일
메이지 15년 동월 동일
메이지 18년 동월 동일
도쿠가와 이에모치 구스노키 마사시게 닛타 요시사다 이와쿠라 도모미
1891년 2월 18일
1898년 3월 18일
1899년 9월 26일
1900년 11월 16일
메이지 24년 동월 동일
메이지 31년 동월 동일
메이지 32년 동월 동일
메이지 33년 동월 동일
🎎산조 사네토미 와케노 키요마로 산조 사네츠무 도쿠가와 미츠쿠니
1901년 5월 16일
1901년 5월 16일
1903년 6월 27일
1904년 3월 17일
메이지 34년 동월 동일
메이지 34년 동월 동일
메이지 36년 동월 동일
메이지 37년 동월 동일
시마즈 나리아키라 모리 다카치카 도쿠가와 나리아키 고노에 다다히로
1908년 4월 2일
1908년 9월 9일
1915년 8월 18일
1917년 11월 17일
메이지 41년 동월 동일
메이지 41년 동월 동일
다이쇼 4년 동월 동일
다이쇼 6년 동월 동일
모리 모토나리 기타바타케 지카후사 도요토미 히데요시 오다 노부나가 }}}}}}}}}


파일:Kusunoki_Masashige.jpg
楠木正成
(1294년 4월 25일(?)[1] ~ 1336년 7월 4일)
1. 개요2. 출신3. 가마쿠라 막부 타도를 외치다4. 겐무 신정 이후5. 미나토가와 전투와 최후6. 후세의 평가7. 대중매체에서

1. 개요

파일:300px-Japanese_crest_Kikusui.svg.png

일본가마쿠라 막부 말기와 남북조 시대의 무장으로 일본에서는 충의의 대명사로 여겨지고 있으며, 법명은 레이코지다이엔요시타츠만도우(霊光寺大圓義龍卍堂). 당시 최후의 승리자였던 아시카가 다카우지를 비롯해 천황에게 대항한 무사들이 많았던 일본에서 천황과 일본 황실에 끝까지 충성을 바쳤기에 충성심의 상징적 존재가 되었다. 군주에 대한 충성을 중요시하는 유교 성리학이 일본에 본격적으로 전래되기 시작한 후로는 평가가 더욱 격상되었으며, 천황에게 실권이 복원된 일본 제국이 성립된 이후로는 오늘날까지 역사적인 충신, 위인으로 여겨지고 있다.

반대로 그와 대결했던 아시카가 다카우지 등은 제국주의 시대에는 역적으로 평가받았다. 제2차 세계 대전 패전 후에는 그냥 양쪽 다 공식적 가치판단은 하지 않고 역사적 위인으로 보게 되었다.

2. 출신

묘비에 따르면 카와치국 이시카와군 아카사카촌 출생이고, 가마쿠라 막부 측 사료에는 악당(惡堂) 구스노기 효에노죠(悪党楠木兵衛尉)라고 기록되어 카와치를 중심으로 활동한 호족이라고 추측한다.

구스노기 마사토의 아들이라고 알려졌지만 사실 여부는 명확하지 않다. 이요 국 타치바나 가문 타치바나 토오야스의 후예라는 말도 있지만, 이전의 계보와 일치하지 않고 카와치 국에는 타치바나 성의 유래가 되는 지역이 없으므로 후세에 지어낸 이야기인 듯하다.

그 밖에 간토 지역 출신 또는 하타 가문의 일족, 조상이 호조씨의 가신으로 카와치로 이주했다는 설 등이 있다.

3. 가마쿠라 막부 타도를 외치다

1331년에 가마쿠라 막부를 타도하기 위해 고다이고 덴노가 카사기 산에서 거병을 시도하자 이에 호응하여 천황 편에서 서서 싸울 것을 결의하여 국수의 가문을 하사받았으며, 시모아카사카 성을 축성하여 군사를 일으켰다. 9월 11일에 시모아카사카 성에서 500명의 군사로 약 20 ~ 30만의 막부군을 상대로 농성을 하면서 유격전을 펼친 아카사카 전투를 벌였지만 포위하는 막부군의 병력이 늘어나면서 수로까지 차단되자 10월에 성에 불을 질러 자살한척 꾸미고 밤에 성 밖으로 도주하여 요시노, 쿠마노 방면으로 잠복했다.

이후 반 년 후에 카미아카사카 성, 치하야 성을 축성하였으며, 1332년 4월에 막부군이 시모아카사카 성에 주둔하면서 군량미 조달에 어려움을 겪자 키이에서 군량미를 보급하려고 하자 키미토우게에서 매복하여 보급품을 탈취하였다. 또한 군사들을 호위병과 인부로 위장하여 쌀 가마니에 병장기 등을 숨기면서 수송대와 구스노키군이 싸우는 것처럼 연기하였는데, 막부군이 수송대가 위험한 것이라 판단하여 이들을 구원하면서 성 안으로 수용하자 가짜 수송대로 쌀 가마니 안에서 병장기들을 꺼내어 유아사 조부츠의 막부군을 공격하여 시모아카사카 성을 탈환하였다.

이후에도 텐노지, 나카노시마 방면에서 막부군을 격파하여 자금을 탈취하였으며, 야마토국의 요시노에서 막부와 싸우고 있는 고다이고 덴노의 황자인 모리요시 친왕과 함께 카미아카사카 성, 콘고우 산의 산성, 치하야 성 등에서 농성하였다. 막부에서 마사시게에게 엄청난 현상금을 걸자 각지에서 수 만의 대군[2]이 치하야 성으로 올 때 마사시게의 병력은 1000명밖에 안되었다고 하며, 치하야 성에서 돌이나 나무를 던지거나 담장을 쌓으면서 짚으로 만든 인형으로 유인하여 열탕이나 분뇨 등을 투하하는 전술 등으로 100일 이상 버텨내는 활약으로 1333년에 막부 타도의 움직임이 확산되어 각지의 반 막부 세력들이 일어나 막부를 멸망시키게 된다.

4. 겐무 신정 이후

고다이고 덴노가 교토로 개선하자 효고까지 마중나가서 호위를 했다고 하며, 고다이고 덴노의 겐무 신정이 시작되자 기록소의 요류도와 잡소결단소의 부교, 사에몬노죠, 쥬고이산, 카와치, 이즈미슈고 등의 관직을 거쳤으며, 고다이고 덴노의 신임을 받아 유우키 치카마츠, 나와 나가토시, 치구사 타다아키 등과 함께 ‘산보쿠잇소‘라고 불렸다. 하지만 1334년 겨울에 호죠 가문의 잔당을 공격하기 위해 교토를 떠난 이후에 모리요시 친왕이 모반 혐의로 체포되어 아시카가 다카우지에게 인도되자 관직을 사직했다.

1335년에 호조 도키유키가 일으킨 나카센다이의 난을 진압하러 간 다카우지가 반란을 일으키면서 고다이고 덴노가 파견한 닛타 요시사다를 격파하여 교토로 진격하자 복귀하여 키타바타케 아키이에와 연계하여 쿄토, 우지 싸움으로 다카우지를 격파하여 교토에서 축출했다.

5. 미나토가와 전투와 최후

1336년에 규슈에서 군대를 재정비한 다카우지가 교토를 공격하려고 하자 고다이고 덴노에게 요시사다를 멀리하고 다카우지와 화목하자는 의견을 냈지만 묵살되었으며, 5월 25일 요시사다 휘하에서 2천명의 병력으로 아시카가 타다요시가 이끄는 수 만의 병력[3]을 상대로 미나토가와 강 전투를 벌이게 된다. 이 전투를 앞두고 아들 마사츠라(正行)를 사쿠라이에서 가와치로 돌려보낼 때 마사츠라에게 자신이 죽더라도 포기하지 말고 구스노키 가문과 남조 조정을 위해 계속 싸워줄 것을 당부했다고 하며, 이때 마사시게가 마사츠라에게 전한 유훈을 노래로 각색한 것이 사쿠라이의 결별(桜井の訣別)이다. 다만 태평기 자체가 엄밀한 역사서는 아닌 점 등으로 인해 정식 역사적 사실이라기보다는 각색된 전설로 여겨진다.

현재 JR시마모토역 앞에 그 사쿠라이 역 터가 공원처럼 조성되어 있다. 이 사쿠라이의 결별이라는 일화는 후술할 칠생보국과 더불어 태평기에서 가장 유명한 두 씬 중 하나이다. 태평기 16권 <마사시게 효고로 내려가 자식에게 유훈을 남기다>에서는 다음과 같이 전한다.

"사자는 새끼를 낳은 지 3일째 될 때 수천 길 낭떠러지 아래로 던진다.[4] 사자로서의 기량이 갖추어져 있으면 가르쳐주지 않아도 살 것이다. 너는 벌써 열 살이 넘었으니 지금부터 하는 말을 기억하고 이를 지키도록 해라.[5] 이번 전투는 천하를 가를 전투가 될 것이고 이번 생에 네 얼굴을 보는 것은 이것이 마지막이 될 것이다. 네가 내가 전사했다는 소식을 듣는 때에는 이미 세상은 다카우지의 것이 되어 있을 것이다. 하지만 세상이 그렇게 되어 있다 할지라도 네 한 목숨 살려고 오랜 충절을 버리고 항복하는 일이 있어서는 안 된다. 친척이든 부하든 우리 집안의 사람이라면 곤고센(金剛山)으로 들어가, 적이 쳐들어 온다면 설령 그게 초나라 활의 명수였던 양유기라 할지라도 목숨을 걸고 맞서, 유방 대신 죽은 기신[6] 같이 충절을 다해라. 그것이 네가 할 수 있는 가장 큰 효도다"라고 눈물을 흘리며 말하고는 서로가 각자 동서로 헤어졌다.

에게야마에 진을 쳐서 16차례 돌격하여 타다요시의 본진 근처까지 올라갈 정도로 유리한 싸움을 진행하지만 해로로 진군한 다카우지의 군세의 양동 작전에 낚인 걸린 요시사다가 동쪽으로 이동하여 마사시게가 이끄는 군사들과 떨어지자 바다와 육지로부터 포위되어 고립된다. 포위된 상황에서 다카우지군을 상대로 계속 싸우다가 이쿠타지 숲에서 교토로 패주하는 요시사다의 퇴로를 지키기 위해 밤낮으로 병력 2천으로 버티다가 병력의 열세를 극복하지 못하고 패배하여 잡힐 지경까지 오게되자 가신들과 함께 할복하여 사망한다. 이때 구스노키는 동생 구스노키 마사스에(楠木正季)와 함께 서로 찌르는 방식으로 자결하였다고 한다.

구스노키의 최후 역시 『태평기』에서 매우 유명한 씬 중의 하나이다. 태평기 16권 <마사시게 전사>에서는 마사시게와 동생 마사스에의 최후의 대화를 다음과 같이 전한다.
"인간은 마지막 순간의 일념에 의해 내세의 선악이 결정된다고 한다. 구계(九界)[7] 중 너는 어디에 가기를 바라느냐"
"일곱 번이고 인간 세상에 다시 태어나서 이 손으로 조적(朝敵)을 멸하고 싶습니다"
"참으로 죄가 깊고 악한 소원이구나. 하지만 나도 그러하고 싶다. 자, 그렇다면 같이 다시 태어나서 이 바람을 이루도록 하자" 라고 약속하고는 서로를 찔러 같은 곳에 쓰러져 죽었다.
여기서 마사스에의 '일곱 번이고 인간 세상에 다시 태어나서'라는 말이 유명해져서, 일곱 번을 다시 태어나더라도 나라를 위해 헌신한다는 뜻의 '칠생보국'이라는 말이 생겨났다.

수급은 다카우지에게 보내졌지만 그의 무용에 감탄하면서 존중하여 그 수급은 유족들에게 보내졌다고 한다.

아내는 미나미에 마사타다의 딸 히사코이며 자식으로는 후세에 아버지를 이어 소(小) 남공이라 불린 구스노키 마사쓰라(正行)를 필두로 구스노키 마사토키(正時)ㆍ구스노키 마사노리(正儀)가 있다. 이들도 아버지가 섬겼던 천황을 따라 남조에 가담해 다카우지와 맞서 싸웠다. 다만 장남 마사쓰라, 차남 마사토키만 열심히 싸웠으나 20대에 전사했고, 마사노리는 줏대 없이왔다갔다하는 모습을 보여 남조에 실망하고 북조에 투항하니 이후 구스노키가는 쇠약해졌다.

6. 후세의 평가

오랫동안 내전과 지방분권을 겪어온 일본사에서 천황에게 절대적으로 충성한 보기드문 충신이다. 이때문에 성리학적 충성을 강조했으면서도 천황을 허수아비 취급한 모순을 가지고 있던 에도 막부에서의 평가와 대정봉환 이후 천황의 권력이 복구된 일본 제국에서 그를 평가했던 시각에 상당한 격차가 있으며, 현대 일본에서 보는 시각도 약간 차이가 있다. 간단히 말해 막부, 지방분권주의자라면 이 사람은 시대착오적인 사람이고, 천황, 중앙집권주의자라면 이 사람은 시대를 앞서간 충신인 것이다.

남조의 시각에서 남북조 시대를 그린 고전 태평기에서 그의 공적을 유난히 강조해 서술하였으며, 아시카가 집안의 사서인 매송론에서는 그를 동정적인 시점으로 서술하여 지, 인, 용을 겸비한 무장이라고 평가받았다. 그 이유에 대해서는 전사한 마사시게의 목을 본 다카우지가 "죽고 없다 한들, 가족은 필시 만나고 싶을 게지."라며 그의 목을 정중하게 유족에게 돌려보내는 등, 청렴했던 그에게 보인 다카우지의 경의 때문이기도 했다는 분석이 있다. 또 미나토 강에서 자결할 때까지 아시카가 군과 16번의 전투를 치렀고, 전황이 구스노키에게 불리하게 돌아가던 후반에 다카우지는 구스노키가 그냥 자신에게 투항하기를 바라는 마음에 잠시 동안 공격을 멈추고 그가 올 때까지 기다렸다는 설이 있다. 이 이야기는 NHK 역사 다큐멘터리 「그때 역사가 움직였다」에서도 인용되었다.

1337년에 고다이고 덴노가 직접 조각한 마사시게 조각상에 제사를 지낸 것을 시작으로 하여 고무라카미 덴노가 나기 명신으로 신의 칭호를 주었으며, 타케미쿠마리 신사의 섭사인 나기 신사에 구스노키 마사시게를 신으로 모시고 있다.

일본 전국시대인 1559년에 마사시게의 자손이라 하는 구스노키 마사토라가 조정의 적이 된 것을 사하여 달라는 탄원을 하여 오기마치 덴노가 그 죄를 사하였다고 한다. 당시 무로마치 막부 쇼군이던 아시카가 요시테루도 이를 용인했다.

에도 막부 시대에 들어서면 구스노키를 비롯한 남조의 역사에 큰 관심이 몰리게 된다. 미토학[8]미토 고몬으로 유명한 미토 번의 번주 도쿠가와 미쓰쿠니는 특히 마사시게를 좋아하여 미나토가와에 마사시게의 추모비를 세운 것이 유명하다. 고다이고 천황이 창건한 미나토가와 근처[9]의 고곤지(廣嚴寺)에는 마사시게의 목상을 봉납하기도 했다.

스이카 신도로 유명한 사상가 야마자키 안사이도 마사시게를 매우 숭상해, 야마자키 안사이의 학파인 기몬(崎門)[10] 학파를 망남(望楠) 학파라고 하기도 한다. 막부 말기 사쓰마 번사였던 아리마 신시치가 안사이의 학문과 마사시게를 존경하여, 앞서 말한 고곤지의 목상을 사쓰마로 가져가기도 한다. 요시다 쇼인[11], 가쓰 가이슈, 사이고 다카모리도 마사시게를 충신으로서 존경하여 마사시게나 남조 무장들에 관한 한시를 여러 수 남기고 있다. 막말기 당시에는 심지어는 민간에서는 '조슈 님께서는 正成(마사시게)를 하신다'라는 표현도 유행했고, 반대급부로 기도 다카요시는 누군가의 뒷담화(...)를 할 때 '저 자식은 다카우지 중의 다카우지다'라는 표현을 썼다고 한다.[12] 양이지사나 유신지사와 같은 말로 유명한 '지사(志士)'란 말이 막부 말기에 유행한 것도, 원래 출전은 맹자이지만 태평기에서 그것을 인용한 것이, 에도 시대에 태평기가 유행하면서 지사라는 말이 같이 유행한 결과라고도 한다.[13]

메이지 시대에 들어서면 1880년에 정일위에 추서되어 남공(楠公)[14]으로 불리거나 미토 번에서 융성했던 미토학의 존왕주의 사가들에 의해 마사시게는 충신으로 추대되어 재조명되기 시작한다. 에도 막부 후기에는 존왕파에 의해서 빈번히 그의 제사가 올려졌고[15], 그 움직임은 그 후 1872년에 미나토가와 신사 창건으로 결실을 맺었다. 이는 야스쿠니 신사 등의 초혼사 창건에도 큰 영향을 주었다. 또한 오늘날의 게릴라전과도 유사한 전술을 장기로 구사했던 마사시게의 병법이 유행하여 에도 시대에는 구스노키류 군학으로 널리 알려져, 마사시게의 자손이라 하는 구스노키 마사타츠의 제자였던 유이 쇼세츠가 구스노키류 군학을 강연하기도 했다.

파일:external/userdisk.webry.biglobe.ne.jp/c03_IMG_1538.jpg
메이지 유신 이후에 정부에서 그의 자손들을 수소문했지만 찾을 수 없었다고 한다.[16] 명분 상으로 천황을 주축으로 한 메이지 시대에는 국가와 천황을 향한 충성을 강조하기 위해 천황을 지킨 충신으로서의 상징으로 부각되어 1890년부터 10년에 걸쳐 천황이 사는 황거 바깥 정원에 마사시게의 동상을 건립하였다.

또한 남북조정윤론이 제기되어 남조가 정통성을 가진 것으로 여겨지면서 다이난공(대남공)으로 불리게 되었으며, 강담 등에서는 삼국지연의 속의 천재 전략가 제갈량(諸葛亮)과 견주어 참모적인 이미지가 거듭 붙여졌다. 시바 료타로에 따르면[17] 메이지 10~20년대 오사카의 서민가(시타마치)에서는 매일 제갈공명이나 마사시게 등의 영웅담을 길거리에서 버스킹처럼 돈 받고 이야기하는 변사 내지 이야기꾼들이 자주 등장했다고 한다. 이처럼 막부가 멸망하고 일본 제국이 성립된 이후로는 충무를 시호로 받은 역사적인 충신 제갈량에 비견될 정도로 평가가 격상되었다.

그의 패도인 코류 카게미츠야마다 아사에몬의 손을 거쳐 메이지 덴노의 패도로 사용되었는데 메이지 덴노청일전쟁 중 대본영이 히로시마로 옮겨질 때도 이 칼을 차고 갔다고 한다. 현재 이 패도는 도쿄국립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다. 또한 제2차 세계 대전 중 황국 사관의 영향으로 대의를 위해 죽을 각오로 전투에 임하는 충신의 표상, 일본인의 귀감이라 찬양되어 수신[18] 교육에도 영향을 주었다. 참고로 위 동상은 일본 황거에 있는 동상.[19]

국화무늬 물이 흐르는 국수(菊水. 키쿠스이)깃발을 사용했는데 2차대전 후기 오키나와 전투의 자살특공작전인 키쿠스이 작전이 여기서 따온 이름이다. 전함 야마토를 포함한 자살특공대원들이 비리법권천 깃발을 두른 것도 구스노키가 국수기와 비리법권천기를 두르고 출정했다 알려졌기 때문이다(비리법권천 일화는 에도 시대에 윤색된 내용이다).

제2차 세계대전 이후에는 중세사 연구가 진행되어 가마쿠라 막부 말기의 사적 무력집단을 지칭하는 "악당"으로서의 성격이 강조되었는데 대표적인 것이 소설가인 요시카와 에이지[20]의 소설 사본태평기(私本太平記)에서는 제2차 세계대전 이전까지와는 다른 마사시게를 그려냈다.[21] 다만 이 "악당"으로서의 성격은 어디까지나 역사학에서의 이야기이고 아직까지도 마사시게는 일본인들에게는 영웅으로서의 이미지가 대중적으로 자리잡고 있다. 일본 NHK 방송의 TV 다큐멘터리 프로그램 「당당 일본사(堂々日本史)」에서 「겐무신정의 파괴, 악당 구스노키 마사시게 할복」이라는 타이틀로 방송한 것에 미나토가와 신사가 항의하는 사건이 일어나기도 했다.[22]

천황에게 충성한 일화들이 일제 프로파간다에 악용당한 역사 때문에 억울하게 후세에 평가가 왔다갔다한 인물이 되어서 전후에는 구스노키의 이름 자체가 일종의 금기가 되었지만, 이후 그의 인물상에 대해서는 상당한 재평가와 연구가 이루어졌다. 단순히 고다이고 천황에게 맹목적인 충성을 바치는 구스노키라는 프로파간다성 이미지에서 탈피해서 '악당'이라는 단어에 대해서도 보다 객관적인 평가가 이루어지는 중이며, 고다이고의 겐무 정권이나 구스노키라는 인물의 여러 측면이 활발하게 재조명받고 있다.

현대에는 니가타 현에 마사시게의 직계 후손으로 미나미 씨가 있다고 한다. 이 외에도 자손이라고 자칭하는 집안이 몇 개 있기는 한데, 다만 검증은 불가능하다. 15-16세기에 구스노키 집안은 막부의 적으로 씨를 말리다시피 했으니 진짜 자손이 살아남았을 가능성은 매우 낮다.

7. 대중매체에서

징기스칸 4에서는 시니라오 2에서 나오는데, 능력치는 정치, 전투, 지모 순으로 33/89/78에 적성은 보병, 궁병, 기병, 수군 순으로 SBAE이다.

전투력과 적성은 다카우지보다 높지만, 총합과 정치, 지력은 다카우지보다 낮더러 등장시기가 오래 걸린다. 플스판에서는 전투력이 91, 지모가 83까지 상승했다. 전투 특기는 기동, 화공, 공성, 복병. 병과 적성과 전투 특기만 놓고 보면 무사보다는 보병을 이끌기 좋게 되어 있지만, 능력치가 워낙 좋으므로 전투를 통해 다른 특기를 습득시키면 된다.
파일:楠木正成.jpg
100만인의 노부나가의 야망

노부나가의 야망 천하창세의 합전 트라이얼 모드 일본사 편 4번째 스테이지에 아군 총대장으로 등장하는데, 여기서는 전투 99에 지략 100이라는 오버스탯. 징기스칸 4와는 달리 적 총대장 아시카가 다카우지를 능력치로 확실하게 바른다. 워낙 먼치킨이다 보니 다소 난이도가 있는 일본사 편 중에서는 이 스테이지가 제일 쉽다.

차나왕 요시츠네의 작가 사와다 요시후미의 작품 <산적왕>에서 주인공의 주군으로 등장한다. 작중에선 주인공과 함께 먼치킨으로 그려진다. 여기서는 가마쿠라 막부를 타도할 중요한 5명의 인물이 각각 몸에 별 모양의 점을 가지고 있는데 막부 타도 후에는 이 별이 몸에서 사라진다. 호죠 정권 타도 시점에서 작품이 끝나서 마사시게의 이후 행보는 나오지 않는다.

국내에서는 미즈키 시게루의 '전원 옥쇄하라!'가 인기를 끌면서 대대장이 좋아하는 인물로 구스노키가 유명해졌다. 군국주의 정권이 천황에 대한 맹목적 충성의 모범으로 구스노키를 꼽았고 구스노키가 최후를 맞은 미나토가와 전투를 자살적 옥쇄의 모범적 예시로 생각했기 때문인데, 이 군국주의 사상에 찌든 대대장이 작중 허구헌날 언급하는 '다이난 공(大楠公)'이 이 사람이다. 그런데 정작 구스노키 마사시게는 무작정 옥쇄하기보다는 아군의 피해를 줄이고 적군에게 피해를 강요하는 유능한 명장이었다. 그래서 작품 내에서도 역잘알 부하들은 '다이난 공을 모범으로 삼는다면 그러면 안되는데......'라며 회의감을 가지는 모습이 나온다.

위에서 언급되었다시피 군국주의에 빠진 일본제국시절 당시 구스노키는 '죽을 각오로 전투에 임하는 충신의 표상'으로 여겨져, 수신 교과와 국어독본에서도 교육되는 등 신민교육에 크게 부각된 인물로[23], 1930년대 후반에는 조선에서도 교과서뿐만 아니라 신문이나 라디오 등의 매체를 통해 여러차례 소개되기도 했다.#동아일보 기사

당시 일본인들에게 프로파간다의 대상이자 인지도가 높았던 인물이었던만큼, 위의 전원 옥쇄하라와 마찬가지로 비슷한 시기 일본 본토 소시민의 일상을 다룬 작품인 이 세상의 한구석에에서도 언급된다. 전쟁으로 인해 본토 서민들의 식량 사정이 최악을 기던 상황에서, '구스노키 장군이 농성을 벌일 때의 식량 증량법'이라면서 쌀을 불려먹는 방법이 맛은 없었던 모양이지만 작중에서 등장한다. 난코우반(楠公飯)이라고 해서 쌀을 제대로 도정해 먹을 수 없으니 현미를 볶은다음 하루종일 불린 뒤 쪄내는 식으로 먹는 밥으로 사실 밥맛을 기대하는건 불가능.
파일:니게와카 쿠스노키.png 파일:니게와카 쿠스노키2.png
멀쩡할 때 도망자 모드

도망을 잘 치는 도련님에서도 등장하는데, 주인공 일행이 교토에서 아시카가 타카우지 암살을 획책하면서 도주로를 확보하던 도중 우연히 마주치는데, 얼굴은 효우게모노에서나 볼법한 찌그러진 얼굴로, 내내 굽신굽신 거리는 충격적인 모습으로 등장한다.

The Mimic의 통제의 책에서는 주인공의 조상으로 등장하며 인물의 동상도 챕터 2와 4에 그대로 나온다. 이름은 구스노키가 아닌 쿠소노키로 등장하며 대부분의 등장인물의 성씨인 마사시게도 이 인물의 이름을 따왔다. 작품에서는 세계를 위협하는 '네 짐승'을 신성한 검으로 봉인을 하였으나, 네 짐승 중 하나인 킨토루는 쿠소노키의 딸인 샤쿠를 인질로 하여 쿠소노키를 킨토루의 꼭두각시로 만들며 쿠소노키의 혈통 전체가 저주에 걸린다. 그러나, 샤쿠를 인질로 삼은 것은 모두 킨토루의 속임수였으며 아직 저주의 영향이 미치지 않은 주인공은 킨토루를 토벌한다.

[1] 에도 시대 라이 산요(頼山陽)가 저서《일본외사(日本外史)》에서 에이닌 2년(1294)생으로 추측해 향년 43세로 언급한 것이 후세에 관용처럼 인용된다.[2] 남조 측에서 쓴 태평기의 기록으로 100만 대군이라 기록되었지만 마사나리의 공적을 높였기 때문에 과장된 수치일 것이다.[3] 기록에는 50만이지만 앞의 사례처럼 과장일 것이다.[4] 우리가 흔히 말하는 '사자는 새끼를 절벽으로 떨어뜨린다'는 말은 여기서 처음 유래한다. 실제 사자는 당연히 저런 짓 안 한다. 애초에 저 시대 일본에 진짜 사자가 있을 리가 없긴 하지만.[5] 마사시게의 이 말은 '태어난 지 사흘 된 사자 새끼도 누가 안 가르쳐 줘도 저렇게 한다는데 무사의 자식이고 열 살이나 먹은 네가 짐승보다 못하다는 것은 아니겠지?'라는 뉘앙스로, 사자가 막 태어난 자기 새끼를 절벽으로 떨어뜨려서 기어올라오는 자식을 키우는 것이 포인트가 아니라 태어난 지 얼마 안 된 사자 새끼가 절벽에 떨어져서 누가 가르쳐 주지도 않았는데 자기가 알아서 판단하고 자기 힘내서 기어 올라오는 것이 포인트다.[6] 기신은 형양성에서 초군에게 포위되었을 때 자신이 유방으로 변장해서 항복을 하는 척을 해 주의를 끌었고, 그 틈을 타 유방이 탈출할 수 있게 하였다. 이를 뒤늦게 알아챈 항우는 크게 노하여 기신을 화형시켜 죽였다. 유방에 고다이고 덴노를 대입하면 얼마나 비장한 비유인지 알 수 있다.[7] 불교에서, 육도(六道 : 지옥도, 아귀도, 축생도, 수라도, 인간도, 천상도)에 성문계, 연각계, 보살계, 불계를 더한 10계 중 불계를 뺀 나머지 아홉 가지[8] 존황양이 사상의 기초가 된 학문이다.[9] 미나토가와 신사를 이곳에 세운 것을 계기로 메이지 시대에 들어가면 아예 이 동네 지명을 구스노키초(楠町)라고 짓는다. 이 지명은 현재도 유지되고 있다.[10] 야마'자키' 일문이라는 뜻.[11] 요시다 쇼인의 경우는 제자들과 함께 태평기를 읽었다는 기록도 남아 있다.[12] 반면에 아시카가 다카우지가 처음 거병한 단바 지역에서는 '다카우지'는 자랑이나 칭찬의 표현이기도 했다고 한다.[13] 심지어 도쿠가와 이에야스조차도 태평기를 좋아했다는 말이 있다. 이에야스 자신은 닛타류 겐지, 즉 닛타 요시사다의 후손을 자처한 바 있다.[14] 또는 아들인 마사쓰라(소남공)에 대비해서 대남공으로 불리기도 했다. 근대 이후엔 구스노키를 주로 楠木라고 쓰지만, 전근대에는 楠라고 쓰는 경우가 많았다.[15] 산조 사네토미가 여러 번 제사를 지낸 것으로 유명하다. 심지어 8월 18일 정변-금문의 변으로 인한 도피생활 중에도 조슈에서 구스노키제를 지낸 기록이 있다.[16] 자손이라 자칭하는 집안은 꽤 있었지만 아무도 증명을 할 수 없었다.[17] 시바 료타로는 소설가지만, 해당 글은 실제 메이지 시대를 살았던 사람들을 인터뷰한 내용이다.[18] 일본제국 시절의 도덕·사상교육 교과목[19] 하지만 이 동상도 2대째이다. 처음 세웠던 동상은 태평양 전쟁 중에 공출로 나갔다. 유명인의 동상이라고 예외는 아니었다.[20] 국내에는 요시카와 에이지 삼국지로 잘 알려진 소설가. 미야모토 무사시에 대해서도 소설을 썼고 국내에도 번역되어 있다.[21] 이 소설은 또한 그 전까지 역적으로 이미지가 박히다시피 했던 아시카가 다카우지의 대중적인 재조명에도 크게 한몫했다는 평가를 받는다.[22] 단 여기서의 '악당'은 문자 그대로 악의 세력이라는 뜻이 아니라 중세 지역사회에서 기성 질서에 대항하는 세력을 말한다. 악당(일본사)항목 참조. 惡이라는 글자에는 나쁘다는 뜻 뿐만이 아니라 강하다라는 뜻도 있다.[23] 박제홍, <교과서의 등장인물을 통한 同化教育의 実際 -조선총독부편찬 제Ⅲ기 보통학교용 교과서를 중심으로->, 20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