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9-23 14:43:02

긴메이 덴노

긴메이 천황에서 넘어옴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AF001F, #BD0029 20%, #BD0029 80%, #AF001F); color: #DCA600"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일본 신화|
전승
]]
<rowcolor=#DCA600> 초대 제2대 제3대 제4대 제5대
진무 안네이 이토쿠 고쇼
<rowcolor=#DCA600> 제6대 제7대 제8대 제9대 제10대
고안 고레이 고겐 가이카 스진
<rowcolor=#DCA600> 제11대 제12대 제13대 제14대
스이닌 게이코 세이무 주아이
[[고훈 시대|
고훈 시대
]]
<rowcolor=#DCA600> 제15대 제16대 제17대 제18대 제19대
오진 닌토쿠 리추 한제이 인교
<rowcolor=#DCA600> 제20대 제21대 제22대 제23대 제24대
안코 유랴쿠 겐조 닌켄
<rowcolor=#DCA600> 제25대 제26대 제27대 제28대 제29대
부레쓰 안칸 센카 긴메이
<rowcolor=#DCA600> 제30대 제31대 제32대
비다쓰 요메이 스슌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아스카 시대|
아스카 시대
]]
<rowcolor=#DCA600> 제32대 제33대 제34대 제35대
스슌 스이코 조메이 고교쿠
<rowcolor=#DCA600> 제36대 제37대 제38대 제39대
고토쿠 사이메이 덴지 고분
<rowcolor=#DCA600> 제40대 제41대 제42대 제43대
덴무 지토 몬무 겐메이
[[나라 시대|
나라 시대
]]
<rowcolor=#DCA600> 제43대 제44대 제45대 제46대
겐메이 겐쇼 쇼무 고켄
<rowcolor=#DCA600> 제47대 제48대 제49대 제50대
준닌 쇼토쿠 고닌 간무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헤이안 시대|
헤이안 시대
]]
<rowcolor=#DCA600> 제50대 제51대 제52대 제53대 제54대
간무 사가 준나 닌묘
<rowcolor=#DCA600> 제55대 제56대 제57대 제58대 제59대
몬토쿠 세이와 요제이 고코 우다
<rowcolor=#DCA600> 제60대 제61대 제62대 제63대 제64대
다이고 스자쿠 엔유
<rowcolor=#DCA600> 제65대 제66대 제67대 제68대 제69대
가잔 이치조 산조
<rowcolor=#DCA600> 제70대 제71대 제72대 제73대 제74대
고산조 도바
<rowcolor=#DCA600> 제75대 제76대 제77대 제78대 제79대
스토쿠 고노에 니조 로쿠조
<rowcolor=#DCA600> 제80대 제81대 제82대
안토쿠 고토바
[[가마쿠라 시대|
가마쿠라 시대
]]
<rowcolor=#DCA600> 제82대 제83대 제84대 제85대 제86대
고토바 준토쿠 주쿄
<rowcolor=#DCA600> 제87대 제88대 제89대 제90대 제91대
고사가 고우다
<rowcolor=#DCA600> 제92대 제93대 제94대 제95대 제96대
후시미 고니조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남북조시대(일본)|
남조
]]
<rowcolor=#DCA600> 제96대 제97대 제98대 제99대
조케이
[[무로마치 시대|
무로마치 시대
]]
<rowcolor=#DCA600> 제100대 제101대 제102대 제103대
쇼코
<rowcolor=#DCA600> 제104대 제105대 제106대
고나라 오기마치
[[아즈치모모야마 시대|
아즈치모모야마 시대
]]
<rowcolor=#DCA600> 제106대 제107대
오기마치 고요제이
[[에도 시대|
에도 시대
]]
<rowcolor=#DCA600> 제107대 제108대 제109대 제110대
메이쇼 고코묘
<rowcolor=#DCA600> 제111대 제112대 제113대 제114대
고사이 레이겐
<rowcolor=#DCA600> 제115대 제116대 제117대 제118대
모모조노
<rowcolor=#DCA600> 제119대 제120대 제121대 제122대
고카쿠 닌코 고메이 메이지
근현대
<rowcolor=#DCA600> 제122대 제123대 제124대 제125대
메이지 다이쇼 쇼와 아키히토
<rowcolor=#DCA600> 제126대
나루히토
}}}}}}}}}}}}

<colbgcolor=#BE0026><colcolor=#dca600>
일본 제29대 천황
긴메이 천황
欽明天皇
파일:긴메이 천황.jpg
출생 509년
사망 571년 5월 24일 (향년 62세)
야마토국 기성도금자궁
(現 나라현 사쿠라이시)
능묘 히노쿠마노사카이릉([ruby(檜隈坂合陵, ruby=회외판합릉)])
재위기간 제29대 천황
539년 12월 30일 ~ 571년 5월 24일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BE0026><colcolor=#dca600> 시키(シキ) 추정
부모 부왕 게이타이 덴노
모후 타시라카 황후
형제자매 9남 12녀 중 3남
배우자 이시히메 황후
자녀 15남 8녀
관저 시키시마노카나사시노미야([ruby(磯城島金刺宮, ruby=기성도금자궁)])
별호
[ 펼치기 · 접기 ]
지귀도천황(志歸嶋天皇)
사귀사마천황(斯歸斯麻天皇)
치천하대왕(治天下大王)
야마토 대왕(ヤマト大王)
야마토 대군(ヤマト大君)
한풍 시호 긴메이 덴노([ruby(欽明天皇, ruby=흠명천황)])
화풍 시호 {{{#!wiki style="margin: 0 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15px -11px -11px"
천국압파류기광정천황
(天國押波流岐廣庭天皇)[1][2]
천국배개광정존
(天國排開廣庭尊)[3][4]
천국압파류기광정천황
(天國押波流岐廣庭天皇)[5][6]
아미구이의사파유지비리이파내미기등
(阿米久爾意斯波留支比里爾波乃弥己等)[7]
천국안춘기광정천황
(天國案春岐廣庭天皇)[8]
}}}}}}}}}
}}}}}}}}} ||
1. 개요2. 생애3. 가족관계4. 한국과의 관계
4.1. 백제 성왕과 동일인물이라는 낭설
4.1.1. 진실
4.2. 신라군과의 싸움
5. 《일본서기》 <흠명조>

[clearfix]

1. 개요

아메쿠니오시하라키히로니와노스메라미코토(天國排開廣庭天皇)는 오호도노스메라미코토(男大迹天皇)의 적자(嫡子)이다.
(중략)
겨울 12년 경진삭 갑신에 아메쿠니오시하라키히로니와노스메라미코토가 천황으로 즉위했다. 이때 나이는 천황이 되기에는 어린 나이였다. 황후를 높여서 황태후라 불렀다. 오오토모노 오오무라지 가나무라(大伴大連金村)와 모노노베노 오오무라지 오코시(物部大連尾輿)를 대련으로 삼고, 속아도목숙녜 대신을 대신으로 삼은 것은 모두 예전과 같다.
ㅡ 《일본서기》 권15 <흠명>조 즉위년.

일본의 제29대 천황.

제26대 게이타이 덴노타시라카 황녀의 아들이었다. 한국식 음독으로는 '흠명'(欽明)이다.

'아메노시로시메스 오오키미'(治天下大王)라고 불렸으며, '야마토 대왕'(ヤマト大王/大君)으로도 불리었다고 한다. 그는 아스카 시대를 개막시킨 인물이었다. 시호인 '아메쿠니오시하라키'(天国押波)는 '천지개벽'(天地押波)을 이르는 원시적 단어로, 최근 고언어학 연구에 따르면 화풍 시호가 《일본서기》가 쓰여진 7세기~8세기 무렵에 생긴 것과 달리 언어학적으로 유일하게 그 시대부터 사용된 발음이자 음차 한자로 추정된다고 한다. '천지개벽'이라는 말이 붙은 것으로 보아 당대에 위대한 영웅이자 대왕으로 여겨졌던 것으로 추정된다.

일본서기》에 따르면 긴메이 덴노는 히노쿠마노사카아이노미사사기(檜隈阪合陵, ひのくまのさかあいのみささぎ)에 묻혔다고 기록되었지만 실제로는 나라현 가시하라시의 미세마루야마 고분(見瀨丸山古墳)에 묻혔다고 추정된다. 이 고분은 상당히 거대한 전방후원분으로 고고학 연대 추정을 볼 때 한 번 이장된 것으로 추정되며, 권세가 소가노 우마코의 아버지인 소가노 이나메의 무덤도 근처에 있는 거대한 전방후원분으로 추정된다.

2. 생애

일본서기》의 긴메이 덴노를 설명하는 여러 연대기의 차이 때문에 어떤 이는 그가 실제로 안칸 덴노센카 덴노의 라이벌이었다고 믿는다.

왜국의 대왕인 게이타이 덴노와 황후 타시라카 황녀의 아들로 적자였지만 3남이었다. 적서의 차별이 덜했던 시절인지라 게이타이 덴노 사후 후계 계승을 두고 형제간의 치열한 싸움이 있었는데 처음에는 서장자 안칸 덴노가 즉위하지만 자식 없이 사망하자 안칸 덴노의 자리를 안칸의 친동생이자 긴메이의 이복형인 센카 덴노가 잇는다. 그로 인해 긴메이 덴노는 형 센카 덴노가 죽은 후에 대왕위에 올랐다.

하지만 자식이 없던 안칸 덴노와 달리 센카 덴노는 적자와 서자 모두 있었다고 기록되어 있기 때문에 실제로는 대왕위를 노리고 정변을 일으켜 센카 덴노의 아들들을 몰아내고 자신이 대왕이 되었을 가능성이 높다.[9] 소가씨의 지지를 받아 즉위했다는 것도 자신이 센카 계열을 몰아내고 즉위할 때 소가씨의 도움을 받았음을 암시하고 있다.

일본서기》에 의하면, 539년 12월 5일 긴메이 덴노가 등극하고, 540년을 원년(元年)으로 삼아 1월에 정비(正妃)를 정하게 된다.

소가씨(蘇我氏)의 강력한 지지에 의해 즉위한 긴메이 천황은 소가노 이나메(蘇我稲目)와 모노노베노 오코시(物部尾輿) 등을 대신으로 임명했다. 이후 조정은 소가씨와 모노노베씨(物部氏)의 총지휘하에 놓였다. 그러나 이 두 세력은 '불교 숭배'를 둘러싸고 30년이 넘도록 대립투쟁을 펼쳤다.

긴메이 천황은 그의 궁전인 시키시마노카나자시궁(磯城嶋金刺宮)을 야마토에 세웠다.

일본서기》에 따르면 긴메이 덴노는 571년까지 다스렸고, 히노쿠마노사카합릉(桧隈坂合陵)에 묻혔다고 기록되었지만 실제로는 가시하라 시(橿原市)의 미세마루야마 고분(見瀬丸山古墳)에 묻혔다.

3. 가족관계

센카 계열을 포섭하기 위해서 센카 덴노의 황녀들과 혼인했으며, 공신 소가노 이나메의 세력을 포섭하기 위해 그의 딸들과 혼인했다. 소가노 이나메의 딸인 기타시히메(堅塩媛)와의 사이에서 태어난 자식이 무려 10명이 넘어가는 것을 볼 때 개인적으로 총애를 많이 한 모양이다. 그와 별개로 고려의 태조 왕건처럼 태어난 자녀들은 이복형제들끼리 혼인시키고, 이후에도 대왕가의 족혼을 시키게 해서 귀족들의 혈통이 대왕가에 일정 이상 가까이하지 않도록 했다.

이때까지만 해도 초기 고려처럼 야마토 왕실에서 형제상속이 흔했다지만, 아들 셋과 딸 하나가 오오키미로 즉위한다는 동아시아 역사적으로도 보기 힘든 기록을 세운다. 그 다음으로 많은 건 고려 태조의 아들 셋이 즉위한 것과 고려 현종, 고려 문종의 아들 셋이 즉위한 것이다.

28대 센카 덴노의 딸들
  • 황후: 이시히메 황녀(石姫 皇女)
    • 야타노타마카쓰노오에 황자(箭田珠勝大兄 皇子)
    • 30대 비다쓰 덴노
    • 가사누이 황녀(笠縫 皇女)
  • 비: 구라노와카야히메 황녀(倉稚綾姫 皇女)
    • 이소노카미 황자(石上 皇子)
  • 비: 오이시히메 황녀(小石姫 皇女)
  • 비: 히카게 황녀日影 皇女 - 《고사기》에는 안 나온다.
    • 구라 황자(倉 皇子)

소가노 이나메(蘇我稲目)의 딸들
  • 비: 기타시히메(堅塩媛)
    • 31대 요메이 덴노
    • 이와쿠마 황녀(磐隈 皇女)
    • 아토리 황자(臘嘴鳥 皇子)
    • 33대 스이코 덴노
    • 마로코 황자(椀子 皇子)
    • 오야케 황녀(大宅 皇女)
    • 이소노카미베 황자(石上部 皇子)
    • 야마시로 황자(山背 皇子)
    • 오토모 황녀(大伴 皇女)
    • 사쿠라이 황자(桜井 皇子)
    • 가타노 황녀(肩野 皇女)
    • 다치바나노모토노와카 황자(橘本稚 皇子)
    • 도네리 황녀(舎人 皇女)
  • 비: 오아네노키미(小姉君)
    • 우마라키 황자(茨城 皇子)
    • 가즈라키 황자(葛城 皇子)
    • 아나호베노하시히토 황녀(穴穂部間人 皇女)
    • 아나호베 황자(穴穂部 皇子)
    • 야카베 황자(宅部 皇子)
    • 32대 스슌 덴노

가스가노 히쓰메(春日日抓)의 딸
  • 비: 가스가노 누카코(春日糠子)
    • 가스가노 야마다 황녀(春日山田 皇女)
    • 다치바나노마로 황자(橘麻呂 皇子)

==# 천황 계보 #==
초대
제2대
제3대
제4대
제5대
제6대
제7대
제8대
제9대
제10대
제11대
제12대
제13대
제14대
제15대
    
    
    
    
    
    
    
    
    
    
    
    
    
    
    
    
    
    
    
    
    
    
    
제16대
제17대
제18대
제19대
제20대
제21대
제24대
제23대
제22대
제25대
제26대
제27대
제28대
제29대
제30대
제31대
제33대
제32대
제34대
제35대
제36대
제37대
제38대
제41대
제40대
제39대
제43대
제49대
제44대
제42대
제47대
제50대
제45대
제51대
제52대
제53대
제46대
제48대
제54대
제55대
제58대
제56대
제59대
제57대
제60대
제61대
제62대
제63대
제64대
제65대
제67대
제66대
제68대
제69대
제70대
제71대
제72대
제73대
제74대
제75대
제77대
제76대
제78대
제80대
제79대
제81대
제82대
제86대
제83대
제84대
제87대
제88대
제85대
제89대
제90대
제92대
제91대
제93대
제95대
제94대
제96대
북조 초대
북조 제2대
제97대
북조 제3대
북조 제4대
제98대
제99대
북조 제5대
북조 제6대
제100대
제102대
제101대
제103대
제104대
제105대
제106대
제107대
제108대
제109대
제110대
제111대
제112대
제113대
제114대
제115대
제117대
제116대
제119대
제118대
제120대
제121대
제122대
제123대
제124대
제125대
제126대



4. 한국과의 관계

일본서기》 <긴메이 덴노> 조에는 유달리 6세기 당시 한반도 관련 기사가 많은 편이다. 그것도 신라 계통의 기록이 전해진 것으로 보이는 한국측의 《삼국사기》 등과 달리 《백제본기》 등 백제계 사서를 인용한 것이라 한국사 연구자에게 특히 주목받고 있다.

6세기 당시, 한성 함락으로 인한 국력 약화를 극복한 백제와 대대적으로 성장한 신라 사이에 낀 가야 제국(諸國)의 세력은 점점 약해져 갔고, 백제와 신라는 그런 가야를 차지하려는 움직임을 보였다. 가야 제국은 왜와 손을 잡고 백제와 신라에게 대항하고자 했지만 결국 실패로 끝나고, 하나 둘씩 멸망했다. 이 과정에 있어서 신라가 가야를 멸망시킨 경위는 《삼국사기》에도 어느 정도 기록이 있으나, 백제 및 왜와 가야 제국 간의 교섭은 삼국사기에서는 보이지 않고, 《일본서기》의 <긴메이기>에 기록된 내용에 의거하는 바가 크다.[10]

고고학적으로 보더라도, 일본 열도내의 한반도계 유물/유구 중 백제계가 주축이 되는 것은 어디까지나 6세기 이후의 일이며, 그 이전에는 금관가야, 소가야, 아라가야, 대가야 등의 가야 제국과 신라의 문물이 대부분이다.[11] 반대로 남부지방에서의 일본계 유물과 유적의 발굴도 상당하다.

4.1. 백제 성왕과 동일인물이라는 낭설

백제 성왕이 사실은 긴메이 덴노로, 일본의 대왕(오오키미)을 겸임했다는 설이다. 긴메이 덴노의 기록이 굉장히 소략하기 그지없는 반면에 성왕 기록만 잔뜩 나와서 생긴 오해이다.

일본은 물론이고 한국 역사학계에서 이런 주장을 하는 사람은 없다고 봐도 좋다. 일단 결정적인 근거는 없고, 단편적인 의문점들이 종합되어 구성된다.
  • 재위 기간의 동일
    우선 성왕의 재위 기간은 523~554년으로 32년간이다. 긴메이 덴노는 539~571년으로 33년간이다. 심지어 539년에는 12월에 즉위해서 540년을 원년으로 치는 상황이다. 그럼 32년으로 사실상 동시대에 살았던 양국 지배자의 재위기간이 동일하다.《고사기》에는 긴메이가 528년에 즉위했다고 되어 있고, 이 경우에는 재위 기간이 같았던 긴밀한 관계의 두 왕이 불과 5년 차이로 양국에 있었던 것이 된다. 하여간 성왕과 상당히 유사한 기간동안 통치했었고, 재위기간이 같다는 점이다.
  • 밀접한 관계와 압도적인 차이의 기록량
    31년 동안 재위에 있었던 두 군주에 대한 기록량은 《일본서기》 안에서도 대단히 많이 차이난다. 사실상 긴메이 덴노는 자식 낳은 것과 소소한 내치, 그리고 신라 정벌로 대판 깨진 것과 고구려 정벌로 성공한 것만 나온다. 사실상 긴메이의 기록은 백제 성왕에게 어떤 일을 하라고 지시한 기록만 나오고, 실제로는 거의 모든 과정을 성왕이 직접 다 해치운다.
  • 유일한 대외업적이 성왕의 것
    아래 항목을 보면 알겠지만, 긴메이의 유일한 대외업적이라고 할 수 있는 고구려 정벌은 실제로는 백제 성왕의 업적일 가능성이 매우 높다. 이것 또한 의심스럽다는 주장.
  • 백제궁?
    긴메이의 아들인 30대 비다쓰 덴노가 즉위하고 나서 백제대정궁(百濟大井宮)을 지었다는 기록[12]과 긴메이의 증손자인 조메이 덴노 또한 '백제궁'을 짓고, '백제궁'에서 살다가 '백제궁'에서 붕어했다는 기록[13]이 《일본서기》와 《부상략기》에 모두 실려있다. 물론, 여기서 말하는 백제는 일본의 옛 지명이다. 쿠다라(백제) 천 등 지금도 이어져 내려오는 백제에 관련된 지명이 일본에는 많이 남아있다.
파일:external/imgdata.hoop8.com/507987978876.jpg
일본 나라현 기타카쓰라기군 고료초에 있는 구다라(백제) 마을. 과거 지명은 구다라노(百済野). 즉 백제 들판. 마을에 흐르는 강의 이름은 백제강이었다.
파일:external/imgdata.hoop8.com/524987978876.jpg
백제사의 모습. 화제로 소실된 후 재건을 거쳤고, 남아있는 가장 오래된 건물은 가마쿠라 시대에 재건한 3층탑이다. 창건 당시엔 9층탑이었다. 원래 명칭은 '백제대사'이며 비다쓰 덴노가 백제강을 중심으로 서쪽엔 백제대사, 동쪽엔 백제궁을 짓고 백제궁에 기거하며 백제사를 자주 방문했다는 기록이 있다. 즉, 비다쓰 덴노가 세운 백제궁은 백제에 있는 것이 아니라 나라현에 있는 것이다.
  • 황위 계승의 문제
    26대 게이타이 덴노의 뒤를 이은 27대 안칸 덴노와28대 센카 덴노의 통치기는 합쳐도 10년이 안 된다. 기록을 보자면 센카 덴노가 사망한 시점에서 긴메이 외엔 게이타이 덴노의 자식들이 모두 사망했으니, 긴메이가 즉위하기 이전부터 내려오던 천황의 승계에 뭔가 문제가 생겼음을 짐작할 수 있는 일이다. 긴메이 덴노는 일단 안칸 덴노와 센카 덴노의 배다른 형제로 기록되어 있으나, 이에 대한 구체적인 기록이 적으며 그가 즉위한 시기 즈음에 백제 사람이 건너왔다는 기록이 존재한다. 《고사기》에는 게이타이의 사망이 527년이고, 긴메이의 재위가 528년부터 시작되는데.. 아래 항목을 보면 528년 긴메이 재위 시작설도 있다. 그렇다면 안칸과 센카는 존재하지도 않았던 천황일 수 있다는 것이다.
  • 백제 관료들의 왜 파견
    성왕이 전사하기 이전까지 성왕 치세의 백제 관료들이 꾸준하게 왜국에 파견되었다.
  • 백제 위덕왕의 아들은 왜국에 남았다
    백제 성왕의 아들인 부여창은 백제 왕이 되었지만, 위덕왕의 아들인 아좌태자는 위덕왕이 죽은 이후에도 그대로 일본에 남게 된 것으로 되어 있다. 아좌태자는 쇼토쿠 태자의 스승이 되었다고 하는데, 그 이후로는 별다른 기록이 없다. 쇼토쿠 태자의 실존이 의문시 되는 상황에서 아좌태자는 어떻게 된 것일까?
    이 외에도 위덕왕이 성왕의 모습을 본떠 만들었다는 구세관음상은 호류지 몽전에 안치되어 있는 등 이상한 점이 있다는 주장이다.
  • 고구려 정벌과 연도 문제
    일본서기》에는 551년(긴메이 12년)에 성왕이 신라와 임나(가야)군을 거느리고 고구려를 쳐서 한성을 되찾았고, 554년(긴메이 15년)에 왕자 여창(餘昌:《삼국사기》의 부여창, 후의 위덕왕)이 임나와 함께 신라로 처들어갔는데, 성왕이 그를 방문하다가 신라군에게 잡혀 죽고, 562년(긴메이 23년)에 임나가 신라에 의해 망했으며, 7월 왜군이 신라에 갔다가 패한 다음 갑자기 난데없이 8월에 고구려를 쳐서 고구려 왕궁을 점령했다고 쓰여 있다.
    삼국사기》에는 551년에 백제와 신라가 각자 공동으로 북상해 고구려 남부 한강 유역을 빼앗았고, 554년에 관산성 전투에서 성왕이 신라군에 의해 전사했으며, 562년에 신라 장군 이사부대가야를 공격하여 신라에 합병시켰다고 쓰여 있다. 대체로 시기에 대한 언급이 모순적인 것이 종종 있는 《일본서기》지만, 그래도 이 시기는 어느정도《삼국사기》의 기록과 교차 검증이 된다. 그런데 대체 고구려를 쳐서 고구려 왕궁(평양성?)까지 점령했다는 다소 황당무계한 기록은 왜가 갑자기 고구려를 친 이유는 고사하고 대체 어디서 튀어나온 기록인지 근거가 희박하다. 560년 즈음에는 왜는 커녕 백제가 고구려를 친 기록마저 다른 역사서에는 등장하지 않는다. 게다가 7월의 전투는 매우 상세해서 사실로 보이는데,[14] 거기서 대패해놓고는 8월에 또 고구려와 전쟁을 할 수 있을 리가 없다. 게다가 7월의 전투와 달리 기록이 매우 간략하며, "백제의 계책"을 써서 고구려를 격파했다고 쓰여 있다. 그런데 《고사기》에는 재미있는 사실이 실려있다. 긴메이의 즉위년이 528년으로 기록되어 있는 것이다. 이것에 긴메이의 재위 기간을 맞춰보면 긴메이 23년은 550년이 되는데, 550년에는 백제 성왕이 양원왕 시기(양원왕 6년)의 고구려를 쳐서 도살성을 함락시킨 일이 있다. 그런데, 《고사기》에 맞추게 되면 성왕이 한강을 수복했다는 긴메이 12년은 539년이 되게 된다. 그렇다면 《삼국사기》에 기록된 538년과 불과 1년 차이로 좁혀지게 된다.

시기가 난잡하게 흩어지긴 했지만, 어느 정도 사실에 근거했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묘하게 특정 사건과 그 관계에 있어서는 사실을 엿볼 수 있는 모습을 보여주기도 한다.

그래서 결론적으로, 이러한 이유들 때문에 긴메이가 사실은 성왕이었다는 주장이 나온다. 다만 동일인물설에도 몇 가지 차이점들이 있다.

4.1.1. 진실

그럴듯 해보이지만 아마추어 역사가들이나 주장하지, 학계에서는 일설로조차 성립하지 못한다.
  • 재위 기간
    재위 기간이 엇비슷한 것만으로는 동일인물의 증거로서 불충분한 것은 주지의 사실이다. 그 때문에 《고사기》를 인용하여 두 군주의 즉위년이 최대한 비슷하게 보이려 한 듯 하지만[15], 《고사기》에서 긴메이의 즉위년은 528년이 아니다. 긴메이의 아버지인 게이타이의 사망 연도가 527년으로 나온 점에서 착안한 것 같지만, 《고사기》에서는 엄연히 긴메이 이전에 안칸/센카 덴노가 즉위한 것을 기록한 데다[16], 안칸의 사망이 535년으로 《일본서기》와 같으므로 '《고사기》에 충실히 따를 경우' 528년 즉위는 있을 수가 없다. 긴메이가 게이타이 바로 다음에 즉위했다는 기술이 《상궁성덕법왕제설》에 있으나, 여기서는 531년을 게이타이 사망/긴메이 즉위로 기록하고 있다. 한편, 527년이 게이타이의 사망 연도라고 보는 설에서도, 안칸-센카가 531년까지 즉위했던 것으로 보아 《백제본기》와의 정합성을 맞춘다(이 경우, 안칸의 사망이 535년이라는 부분은 무시하게 되지만.). 요는, 이런저런 설에서 입맛에 맞는 부분만 골라내야만 528년이라는 즉위년이 성립한다는 것. 그러나 긴메이의 즉위가 528년일 경우, 531년의 《백제본기》 인용 천황 사망 기사가 붕 뜬다.
  • 고구려 정벌과 연도 문제
    간단히 말하면, 538년에 성왕이 한강 유역을 탈환했다는 기록은 《삼국사기》에 없다. 백제의 한강 유역 회복은 《삼국사기》 <신라본기>나 <거칠부전>을 근거로 551년으로 보는 것이 통설이다. 한편, 551년 이전에 한수 등의 지명이 나오는 것을 근거로, 백제가 실지를 회복한 것이 보다 이르다는 주장도 적지 않지만, 이러한 지명은 538년 이전에도 나오므로 538년의 한성 회복은 근거가 없다. 사실 그냥 백과사전만 찾아봐도 아는 거지만, 성왕이 538년에 한 일은 사비 천도다.
    백제의 한성 수복에 관하여 <긴메이기>의 연대를 앞당길 필요가 없다면, 562년의 고구려 공격을 굳이 550년에 가져다 붙일 필요도 없다. 기사 전체가 조작일 가능성도 없지 않고, 《삼국사기》에서는 누락된 고구려와 백제의 전투를 그냥 아전인수적으로 왜곡한 것일 수도 있다.
  • 백제 관련 지명
    일본에 백제 관련 지명이 여기 저기 있는 이유는, 말 그대로 백제 사람들이 가서 살아서 그렇다. 백제 외에도 신라, 고려(고구려)와 관련된 지명이 여기저기 남아있다. 예를 들면 시가현 오츠시의 신라선신당(新羅善神堂), 사이타마현의 코마가 등. 야후재팬 맵이나 구글 지도에서 高麗, 新羅 등으로 검색하면 전국 곳곳에 옛날부터 내려오는 지명으로 남아있는 것이 상당히 많이 있다.

    긴메이의 아들이라는 점에서 비다쓰 덴노를 꺼낸 듯 하나, 백제대사를 세운 건 7세기 인물인 34대 조메이 덴노다. 《일본서기》 <조메이기> 11년(639) 7월조에 백제천(百濟川) 옆에 궁궐과 절을 세우도록 지시하여, 서쪽 백성은 궁궐을, 동쪽 백성은 절을 지었다는 기록이 있다. 쿠다라노오오이(百濟大井, くだらノおほゐ)에 비다쓰가 궁궐을 만든 것과 백제대사는 무관한 것이다.

이렇듯 논거의 중요한 부분들이 가장 기초적인 사실 관계조차도 무시하고 있다는 점에서, 학계에서 아무도 동일인물설을 제기하지 않는 이유를 알 수 있다고 하겠다.

사실이면 성왕관산성 전투에서 전사하지 않았다는 뜻이 된다.

4.2. 신라군과의 싸움

562년 7월 임나(반파국 등)가 신라의 대대적인 침입을 받자 구원하기 위해 병력을 보냈다가 신라에 대패한 기록이 있다. 가야멸망전 문서 참조. 뭔가 전개가 기승전병스러운데다, 어째서 이런 기록이 남아있는지 의심스러울 정도로 추태를 보이기도 한다.

전투 내용을 요약하자면 왜국은 신라가 임나를 친 것을 복수하기 위해 키노오미 오마로노 스쿠네(紀臣 男麻呂宿禰)를 대장군으로 삼아 신라로 출정을 가는데, 임나에 가서 코모츠메베노 오비토 토미(薦集部首登弭 こもつめべノおびと とみ)라는 장수가 처갓집에서 자다가 군사계획이 든 서류를 길에서 잃어버린다.[17] 그걸 얻은 신라가 거병했으나 패배하고, 승리한 왜군은 임나에 입성하지 않고 백제로 돌아온다. 그 후에 키노오미 오마로노 스쿠네가 부하들에게 하는 말을 들어보면 승리한 장군이 하는 말이 아니다. 실제로는 패배했거나, 간신히 신라군의 공세를 막아내고, 백제군과 합류한 것으로 보인다.

한편 부장군 카와베노 오미 니에(河邊臣瓊缶 かはべノおみ にへ)는 홀로 나아가서 연승하고, 이미 항복한 신라군이 백기를 들고 또 항복한다. 그런데 군사에 밝지 않은 카와베노 니에가 자기도 백기를 들고 혼자 앞으로 나왔다가[18] 신라군의 반격에 도망쳤으나 결국 잡혔다. 이 패배로 지휘관급 인물 중에는 야마토노쿠니노 미야츠코 테히코(倭國造手彦)만이 빠른 말을 타고 있어서 간신히 달아났고, 나머지는 모두 잡히거나 죽었다고 한다.

이에 카와베노 니에와 그 가족들을 사로잡은 신라 장군은 카와베노 니에의 아내인 우마시히메(甘美媛 うましひめ)를 보고 카와베노 니에에게
"네 목숨이 더 소중하냐? 네 아내가 더 소중하냐?"
고 물었고, 이에 카와베노 니에는
"자신의 목숨이 더 소중하다."
정직하게 대답한다. 그러자 카와베노 니에의 대답을 들은 신라 장군은 모두가 보는 앞에서 우마시히메를 강간한다. 뒤에는 둘 다 풀어준 모양이지만 이후 우마시히메는 카와베노 니에를 엄청나게 비난하고 끝내 따르지 않았다고 한다.

또 이 신라 장군은 츠키노키시 이키나(調吉士伊企儺 つきノきし いきな)라는 왜군 장수를 보더니 이키나의 바지를 벗긴 후 엉덩이를 왜국 방향으로 돌리게 한 다음, 이키나에게 라고 외치라고 시킨다.(...) (아무래도 일본 섬을 바라보고 하라고 했으니 천황을 조롱한 것이었을 가능성이 있지만, 《일본서기》에서 '대장'이라고 바꾼 것 같다.) 하지만 이키나는 고통 속에서도 끝까지
"신라 왕은 이 엉덩이를 먹어라"
라고 외치며 저항했고, 결국 아들과 같이 죽었다고 기록되어 있다.

《일본서기》 입장에서 전혀 도움이 안 될 것 같은 이런 내용이 기재된 이유는, 아마도 위와 같이 그 충절을 기려서 간접적으로 천황을 높이기 위해서가 아닐까 싶다.

파일:엉덩이먹어라.jpg

츠키노키시 이키나(調吉士 伊企儺)의 일화를 표현한 그림

5. 《일본서기》 <흠명조>

긴메이 덴노 번역본을 보려면 동북아시아역사재단에서 온라인으로 제공하는 링크 참조.


[1] 아메쿠니오시하라키히로니와노스메라미코토[2]고사기》.[3] 아메쿠니오시하라키히로니와노스메라미코토[4] 《일본서기》.[5] 아메쿠니오시하루키히로니와노천황[6] 《일본서기》.[7] 《천수국수장》(天寿国繍帳).[8] 《원흥사가람연기》(元興寺伽藍縁起).[9] 고대 원시체제의 왕실에서 적장자가 아닌 형제나 삼촌이 적장자를 몰아내고 왕이 되는 경우는 흔했다.[10] '한국 관련 기록을 빼고 나면 긴메이 덴노가 누군지 묘사조차 안 되는 수준' 이라는 서술이 본 항목에 있었는데, 원래 《일본서기》 내용의 큰 축은 대외관계에 대한 기록이다.[11] 박천수《새로 쓰는 고대 한일교섭사》(2007, 사회평론) 참조.[12] 皇太子卽天皇位是月, 宮于百濟大井 : 황태자(민달, 즉 비다쓰)가 천황에 즉위했다. 이 달 백제의 대정에 궁을 지었다.[13] “조메이 천황은 비다쓰 천황의 친손자로 백제강(百濟川) 강변에다 '백제궁'과 '백제대사'(百濟大寺)를 지었으며 9중탑(九重塔)도 세웠다.”[14]삼국사기》 <신라본기> 진흥왕 23년 가을 7월, 백제가 공격해오자 1,000여 명을 죽이거나 사로잡고, 9월 가야의 모반에 이사부를 보냈다고 나와 있으며, <백제본기> 위덕왕 8년 가을 7월, 신라 변경을 공격했다가 패하여 사망자가 1,000여 명이었다라고 나온다.[15] 《고사기》가 《일본서기》보다도 정식 사서가 아닌 사서인 점은 제쳐두고라도[16] 게이타이의 자녀 중 즉위한 사람에 관한 부분에서는 긴메이를 안칸/센카 두 명보다 앞에 기록하고 있으니 528년이 맞지 않냐고 할 수도 있을 것 같지만...이 순서가 정말 맞다면, 안칸/센카는 긴메이 사후에 즉위한 게 된다. 왕조 병립설을 가져다 쓸 수도 있겠지만, 애초에 병립설의 전제 중 하나는 게이타이의 사망이 531년이라는 점이다[17] 그런데 미국 남북 전쟁앤티텀 전투에서도 남군의 장교가 군사기밀을 길에다 떨어뜨린 것을 북군이 주운 덕분에 유리한 전투를 할 수 있었던 걸 보면 이 일도 실제로 있었던 일일 수도 있을 것이다.[18] 아마 항복을 평화적으로 받아들이겠다는 자기 나름의 표현이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