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10-23 16:35:33

덴무 덴노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0 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AF001F, #BD0029 20%, #BD0029 80%, #AF001F); color: #DCA600; min-height: 34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일본 신화|
전승
]]
<rowcolor=#DCA600> 초대 제2대 제3대 제4대 제5대
진무 안네이 이토쿠 고쇼
<rowcolor=#DCA600> 제6대 제7대 제8대 제9대 제10대
고안 고레이 고겐 가이카 스진
<rowcolor=#DCA600> 제11대 제12대 제13대 제14대
스이닌 게이코 세이무 주아이
[[고훈 시대|
고훈 시대
]]
<rowcolor=#DCA600> 제15대 제16대 제17대 제18대 제19대
오진 닌토쿠 리추 한제이 인교
<rowcolor=#DCA600> 제20대 제21대 제22대 제23대 제24대
안코 유랴쿠 겐조 닌켄
<rowcolor=#DCA600> 제25대 제26대 제27대 제28대 제29대
부레쓰 안칸 센카 긴메이
<rowcolor=#DCA600> 제30대 제31대 제32대
비다쓰 요메이 스슌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아스카 시대|
아스카 시대
]]
<rowcolor=#DCA600> 제32대 제33대 제34대 제35대
스슌 스이코 조메이 고교쿠
<rowcolor=#DCA600> 제36대 제37대 제38대 제39대
고토쿠 사이메이 덴지 고분
<rowcolor=#DCA600> 제40대 제41대 제42대 제43대
덴무 지토 몬무 겐메이
[[나라 시대|
나라 시대
]]
<rowcolor=#DCA600> 제43대 제44대 제45대 제46대
겐메이 겐쇼 쇼무 고켄
<rowcolor=#DCA600> 제47대 제48대 제49대 제50대
준닌 쇼토쿠 고닌 간무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헤이안 시대|
헤이안 시대
]]
<rowcolor=#DCA600> 제50대 제51대 제52대 제53대 제54대
간무 사가 준나 닌묘
<rowcolor=#DCA600> 제55대 제56대 제57대 제58대 제59대
몬토쿠 세이와 요제이 고코 우다
<rowcolor=#DCA600> 제60대 제61대 제62대 제63대 제64대
다이고 스자쿠 엔유
<rowcolor=#DCA600> 제65대 제66대 제67대 제68대 제69대
가잔 이치조 산조
<rowcolor=#DCA600> 제70대 제71대 제72대 제73대 제74대
고산조 도바
<rowcolor=#DCA600> 제75대 제76대 제77대 제78대 제79대
스토쿠 고노에 니조 로쿠조
<rowcolor=#DCA600> 제80대 제81대 제82대
안토쿠 고토바
[[가마쿠라 시대|
가마쿠라 시대
]]
<rowcolor=#DCA600> 제82대 제83대 제84대 제85대 제86대
고토바 준토쿠 주쿄
<rowcolor=#DCA600> 제87대 제88대 제89대 제90대 제91대
고사가 고우다
<rowcolor=#DCA600> 제92대 제93대 제94대 제95대 제96대
후시미 고니조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남북조시대(일본)|
남조
]]
<rowcolor=#DCA600> 제96대 제97대 제98대 제99대
조케이
[[무로마치 시대|
무로마치 시대
]]
<rowcolor=#DCA600> 제100대 제101대 제102대 제103대
쇼코
<rowcolor=#DCA600> 제104대 제105대 제106대
고나라 오기마치
[[아즈치모모야마 시대|
아즈치모모야마 시대
]]
<rowcolor=#DCA600> 제106대 제107대
오기마치 고요제이
[[에도 시대|
에도 시대
]]
<rowcolor=#DCA600> 제107대 제108대 제109대 제110대
메이쇼 고코묘
<rowcolor=#DCA600> 제111대 제112대 제113대 제114대
고사이 레이겐
<rowcolor=#DCA600> 제115대 제116대 제117대 제118대
모모조노
<rowcolor=#DCA600> 제119대 제120대 제121대 제122대
고카쿠 닌코 고메이 메이지
근현대
<rowcolor=#DCA600> 제122대 제123대 제124대 제125대
메이지 다이쇼 쇼와 아키히토
<rowcolor=#DCA600> 제126대
나루히토
}}}}}}}}}

<colbgcolor=#BE0026><colcolor=#dca600>
일본 제40대 천황
덴무 천황
天武天皇
파일:external/livedoor.blogimg.jp/f44e2b09.png
출생 631년?
사망 686년 10월 1일 (향년 55세?)
일본 아스카 비조정어원궁 정전
(現 일본 나라현 아스카무라)
능묘 히노쿠마노오오치능가메야마릉([ruby(檜隈大內陵, ruby=회외대내릉)])
재위기간 제40대 천황
673년 3월 20일 ~ 686년 10월 1일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BE0026><colcolor=#dca600> 오오아마([ruby(大海人, ruby=대해인)])
부모 부황 조메이 천황
모황 고교쿠 천황
형제자매 5남 1녀 중 차남
배우자 지토 천황
자녀 10남 8녀
신장 175cm[1]
관저 아스카노키요미하라노미야([ruby(飛鳥浄御原宮, ruby=비조정어원궁)])
한풍 시호 덴무 천황([ruby(天武天皇, ruby=천무천황)])
화풍 시호 천정중원영진인천황
(天渟中原瀛眞人天皇)[2]
연호 슈초([ruby(朱鳥, ruby=주조)], 686년)
}}}}}}}}} ||
1. 개요2. 생애
2.1. 초기 생애2.2. 어머니의 붕어까지2.3. 덴지 천황의 즉위와 황태제 책봉2.4. 진신(임신)의 난2.5. 치세2.6. 장례와 능묘
3. 업적
3.1. 통치 개시와 포부3.2. 관제 개혁3.3. 씨족 및 민정문제3.4. 숙청3.5. 외교3.6. 군사3.7. 새로운 궁궐과 수도3.8. 문화3.9. 종교
4. 인물5. 의문6. 가족관계7. 삼각관계?8. 기타9. 유사역사학

[clearfix]

1. 개요

일본의 제40대 천황.

'일본'이라는 국호[3], '천황'이라는 군주명을 비롯해 전근대 시절 일본의 체제를 확립시킨 인물이자, 천황이 실권을 쥐어본 기간이 생각보다 짧은[4][5] 일본 역사에서 천황이라는 이름에 걸맞은 강력한 전제 권력을 행사한 천황 중 한명이었다.

천년이 넘게 일본의 식문화에 큰 영향을 미친 육식금지령을 내린 것으로도 나름 유명하다.

2. 생애

2.1. 초기 생애

조메이 천황고교쿠 천황의 아들로 태어났다. 훗날 덴지 천황으로 즉위하게 되는 나카노오오에 황자(中大兄皇子)와는 친형제였다. 황후 우노노사가라노 황녀(鸕野讃良皇女)는 후에 지토 천황으로 즉위했다.

덴무 천황의 휘는 오오아마(大海人)였다. 어려서 오아마씨(凡海氏)로부터 양육받은 데에서 연유한 것이었다. 《일본서기》에 직접적으로 그렇게 휘를 적은 것은 아니지만, 덴무 천황이 붕어했을 때 그의 빈소에서 오아마노 아라카마(凡海麁鎌, ? ~ ?)가 '뇌'[6]한 것에서 이렇게 추측한다.

일본식(화풍) 시호는 '아마노누나하라오키노마히토노스메라미코토'(일본어: 天渟中原瀛真人天皇)였다. '오키'(瀛)는 중국 도교에서 말하는 동방 3신산의 하나인 영주산(瀛洲山)을 말하고, '마히토'(일본어: 眞人)란 뛰어난 도사를 가리키므로, 모두 도교적인 단어에서 따온 것이다. 중국풍의 시호인 '덴무'(天武, 천무)는 역대 천황들과 마찬가지로 나라시대에 오미노 미후네(淡海三船, 722~785)에 의해 찬진된 것이었다.

근대에 들어서 모리 오가이는 중국의 《국어》(國語) <초어>(楚語) 하(下)에 나오는
"천사(天事)는 무(武), 지사(地事)는 문(文), 민사(民事)는 충(忠) · 신(信)이라."
라는 구절에서 '덴무(천무)'라는 시호가 유래한 것이라고 주장했다. 따로 전한(前漢)의 세종 무제(武帝)를 모방했다는 설과
"하늘이 무왕(武王)을 세워 나쁜 왕(주왕)을 멸했다."
는 말에서 유래했다는 설도 있다.

2.2. 어머니의 붕어까지

오오아마 황자의 아버지인 조메이 천황이 그가 아직 어렸을 때 붕어했다. 형인 나카노오오에 황자가 고교쿠 4년(645년) 6월 12일에 20세의 나이로 잇시(을사)의 변을 일으켜 소가노 이루카를 참살했을 때, 오오아마는 나이가 어려 암살 음모에는 가담하지 않았다. 이 대사건의 결과로 아스카 시대를 호령했던 소가씨 본종가는 몰락했고, 화가 나 퇴위한 고교쿠 천황의 뒤를 이어 그녀의 남동생인 고토쿠 천황이 즉위했다.

그 뒤 하쿠치 4년(653년)에 외숙부인 고토쿠 천황과 사이가 틀어진 나카노오오에가 나니와(難波)에서 야마토(倭)로 옮길 때 오오아마도 행동을 함께 했다. 이윽고 고립된 고토쿠 덴노가 병으로 죽자, 퇴위했던 고교쿠 상황이 복위하여 사이메이 천황이 되었다.

오오아마는 황태자가 된 형 나카노오오에의 딸, 즉 조카를 차례대로 4명까지 아내로 맞이했다. 백제부흥운동을 지원하기 위한 원병 파병문제로 어머니 사이메이 천황과 형 나카노오오에가 지쿠시(筑紫)로 궁을 옮길 때 오아마도 아내를 데리고 함께 갔다. 그 여행 중인 사이메이 7년(661년) 1월 8일에, 아내 오오타노 황녀는 오오쿠노우미(大伯海)에서 딸 오오쿠노 황녀를 낳았다. 다른 황자인 오오쓰 황자(大津皇子)의 이름도 지쿠시의 나오오쓰(娜大津)에서 태어난 것에서 유래했다고 한다.

2.3. 덴지 천황의 즉위와 황태제 책봉

사이메이 천황이 붕어한 뒤, 나카노오오에는 즉위식을 행하지 않고 칭제의 형식으로 통치했다. 덴지 3년(664년) 2월 9일에, 오오아마는 형 나카노오오에의 명으로 관위 26계제를 시행했고, 우지카미(氏上, 씨상)을 인정하며, 민부(民部)와 가부(家部)를 정하는 것을 군신에게 선포했다. 덴지 6년(667년) 2월 27일에 간신히 사이메이 천황의 장례의식이 치러졌는데, 고토쿠 천황의 황후인 하시히토 황녀(間人皇女)가 사이메이 천황과 합장되었고, 오오타노 황녀(大田皇女)가 그 능 앞에 묻혔다. 모두 오오아마 황자에게는 어머니, 누나(혹은 여동생) 그리고 아내에 해당하는 이들이었다.

7년(668년) 1월 7일, 나카노오오에는 비로소 즉위식을 거행했다. 《일본서기》 권28 <덴무 천황 즉위전기>에는 이때 오오아마가 동궁이 되었다고 기록했으나, 같은 책의 권27 <천무기>(天智紀)에는 이 기록이 없다. <천무기> 안에서 오오아마는 '대황제'(大皇弟)[7], '동궁태황제'(東宮太皇弟), '동궁'(東宮) 등으로 기록되고 있다.

일본서기》는 진신(임신)의 난 이전부터 오오아마를 '천황'으로 적는 등, 그의 지위에 관해서는 신뢰할 수 없는 부분이 있다. 때문에 기록대로 오오아마가 처음부터 황태자의 지위였다고 보는 학자도 있지만, '대황제' 등의 단어는 진신의 난으로 정권을 찬탈한 덴무 천황의 행동을 정당화하기 위한 수식으로 실제로는 그러한 지위가 아니었다는 설, 단순한 존칭일 뿐 황위 계승 예정자를 의미하지는 않는다는 설 등, 오오아마의 황태자 책봉 사실을 의심하는 설도 유력하다. 그가 황위 계승자로 인정되고 있었는가 어쨌는가의 문제를 떠나, 일단 덴지 천황의 조정에서 그가 매우 중요한 역할들을 수행했던 것만은 분명하다.

하지만 두 사람 사이가 그렇게 좋았던 것 같지도 않다. 후지와라씨(藤原氏)의 집안 전승인 《등씨가전》(藤氏家傳)에 보면, 어느 날 궁에서 벌어진 연회에서 취기로 형왕(兄王)에 대한 감정이 격해진 오오아마가 장창을 가져다 덴지 천황이 보는 앞에서 상판(床板)에 내리꽂았으며 이에 격노한 덴지 천황이 그를 죽이려는 것을 내대신(內大臣)이었던 나카토미노 카마타리의 만류로 무사했다고 전한다. 이 일은 덴지 7년(668년)의 일로 추측되고 있다.

덴지 10년(671년) 1월 2일, 덴지 천황은 아들 오오토모노미코(大友皇子)를 태정대신(太政大臣)으로 임명하고, 좌대신(左大臣) · 우대신(右大臣)과 어사대부(御史大夫)를 보좌로 붙였다(《해동제국기》). 태정대신은 국정을 총람하는 관직으로서 그 직무는 이미 오오아마가 해온 일들과도 겹치는 것이었다. 《일본서기》는 이 직후에 "동궁태황제가 관위 · 법도를 시행시켰다."고 적었지만, "어떤 책에 이르기로는"(或本云) 하고 운을 떼며 오오토모가 이것을 했다고 주석을 붙이고 있다. 또한 《회풍조》(懐風藻)는 오오토모가 덴지 10년에 황태자가 되었다고 적었다. 일본의 대부분의 역사학자들은 《일본서기》에 주석으로 달린 "어떤 책" 쪽을 택하거나, 이 기사를 덴지 3년(664년) 2월 9일의 관위 26층제의 중출로 보기도 한다.

어쨌든 오오토모 황자의 태정대신 임명과 더불어 오오아마는 조정으로부터 사실상 완전히 소외된 것으로 보인다. 오오토모가 태정대신으로서 오오아마의 직무를 행하게 된 것은 오오토모 황자에게 황위를 잇게 하려는 덴지 천황의 의도가 강하게 표출된 것이라는 데에는 반론이 없다.

2.4. 진신(임신)의 난

壬申の乱 (じんしんのらん)

《일본서기》에 따르면, 덴지 천황은 병이 깊어진 10년(671년) 10월 17일에 동생 오오아마를 병상에 불러
"내 병이 심하니 뒷일은 너에게 맡기겠다."
는 말을 했다고 한다. 미리 측근인 소가노 야스마로(蘇我安麻呂, ? ~ ?)로부터 경고를 받은 오오아마는
"황후(야마토히메노 황후)에게 즉위하게 하시고, 오오토모에게 여러 정사를 행하게 하소서. 신은 천황을 받들어 출가수도하고자 합니다."
라며 사양했다. 그리고 그날 오오아마는 삭발하고 요시노(吉野, 지금의 일본 나라현)로 낙향했다. 요시노에서 그는 우노노사가라노 히메미코와 구사카베 황자 등의 가족, 소수의 사인과 궁녀를 거느리고 은둔 생활을 했다고 한다. 한편 오미의 오오쓰노미야(大津宮, 오늘날의 일본 오쓰 시)에서는 덴지 천황의 뒤를 이어 오오토모가 조정의 일을 맡아 후계자가 되었다.[8]

이듬해인 672년 6월 22일, 오오아마는 요시노에서 거병을 결의하고, 무라쿠니노 오요리(村國男依,? ~ 676) 등을 미노에 사자로 파견했다. 그리고 2일 뒤 그 자신은 몇 명의 측근만을 거느린 채 뒤를 따랐다. 오오아마는 후와(不破)의 길을 봉쇄해 오미 조정과 도고쿠(東國, 동국) 사이의 연락을 차단한 뒤, 군사를 일으키는 사자를 히가시야마(東山, 시나노 등지)와 도카이의 오와리 등지에 보냈다. 그리고 야마토 분지에서 오오토모노 후케이(大伴吹負)가 거병하여 아스카의 야마토쿄(倭京)을 급습하고 점령했다. 이윽고 도고쿠에서 수만 명의 대군이 후와에 집결, 오미와 야마토 두 길로 진군했다. 오미 방면으로 진군한 군세가 비와 호 동쪽을 돌아 세키가하라를 비롯한 각지에서 오미 조정측의 군사들을 수차례 격파한 끝에, 7월 23일 오오토모는 자결하고 진신의 난은 막을 내렸다.

진신의 난에서 주로 활약한 씨족은 야마토 분지 소가의 소가씨와 한때 안칸 천황센카 천황을 배출한 오와리의 호족인 오와리(尾張)씨[9]였다. 소가씨와 오와리씨는 친밀한 사이였고, 소가 파벌이 오오아마 황자를 후원해줬다는 것이 특징이다.

을사의 변에서 소가노 에미시소가노 이루카가 죽으면서 소가씨의 가세가 기울었지만, 백강 전투의 대패로 덴지 천황야마토로 못 돌아가고, 오미(近江)에 본거지를 마련했다. 아마도 백강 전투의 대패로 야마토 내에서 소가씨의 힘이 다시 강해졌을 것으로 보인다. 그 때문에 덴지 천황이 즉위한 뒤 을사의 변에서도, 백강 전투에서도 도와주지 않은 오오아마 황자를 황태자로 삼았다는 것이다. 하지만 소가 일족은 오와리 호족과 손잡고 오오아마 황자를 후원해 덴지 정권의 타도를 원했다. 덴지 천황은 은근히 역사에서 붕 뜬 존재인 데다가, 나카토미노 카마타리의 죽음을 두고 소가노 이루카의 저주라고 다들 꼴 좋다고 여긴 걸 보면 야마토 사람들은 중앙집권제를 적극 지지한 개혁파인 소가씨의 편이었을 가능성이 더 높다.

진신의 난은 일본 고대사 최대의 쟁란이자 미스터리한 사건이다. 거의 벌거숭이 상태로 동국으로 도망간 오오아마 황자가 조정의 정규군을 보유한 선황 덴지 천황의 아들 오오토모 황자를 이긴다는 건 상식적으로 쉽게 납득이 되지 않기 때문. 게다가 덴지 천황은 오오아마를 모반죄로 몰아붙이기 위해 양위하겠다는 말까지 했으나 이를 오오아마가 거절해 오오토모 황자에게 계승권이 넘어간 상태였다. 누가 봐도 상식적으로는 오오토모 황자가 이겨야 했다. 하지만 《일본서기》에는 오오아마가 동국으로 도망쳤다는 정보가 오미 조정에 전해진 순간, 조정의 많은 병사들이 무기를 버리고 도주했다고 기록한다.

우선 소가씨의 활약을 보자. 덴지 천황이 병상에서 오오아마를 부르자 주의하라고 진언한 건 소가씨였고, 이를 받아들여 오오아마는 덴지 천황의 함정을 피했다. 다음으로 오미 조정의 주력군이 동쪽으로 진군해 오오아마군의 주력부대와 격돌하는데, 오미군의 대장을 부장인 소가씨가 살해했다. 이때문에 오미군은 변변한 싸움 한번 못 해보고 공중분해되었다. 그리고 오오아마의 군대는 곧바로 오미 조정으로 진격해 들어올 수 있었다. 즉, 진신의 난의 최대 공로자는 소가씨라고 볼 수 있다. 소가씨가 이렇게 적극적으로 도와준 이유는 오오아마의 정체가 덴지 천황의 이부형 아야 황자이고, 그의 아버지인 다카무쿠 왕(高向王)이 소가씨라서 그렇다는 추측이 있다.

동국의 유력한 호족인 오와리씨는 진신의 난이 일어난 직후, 요시노에서 자신에게로 도망친 오오아마 일행을 받아들여 행궁을 짓고 군자금을 모았다. 오오아마가 동국에 들어간 것만으로도 오미 조정이 대혼란에 빠졌다는 점에서 오와리씨가 큰 역할을 했음을 알 수 있다. 하지만 《일본서기》는 오와리씨의 활약을 그냥 빼 버렸다. 《속일본기》에 오와리씨가 진신의 난의 공적을 칭찬받아 자손에게 포상이 있었다는 기사를 통해 활약을 했음을 알 수 있다.

일본서기》는 오와리씨의 동족인 오오아마(大海人)씨가 덴무의 양육을 맡았다고 기록했다. 이로써 덴무 천황과 동국의 대호족 오와리씨가 서로 가까웠음을 알 수 있다.

2.5. 치세

오오토모가 자결한 뒤에도 오오아마는 한동안 미노에 머무르며 전후 처리를 모두 끝낸 다음에야 아스카의 시마궁(島宮)을 거쳐 오카모토궁(岡本宮)에 들어갔다. 여기에 더해 동남쪽으로 조금 떨어진 곳에 새로이 대극전(大極殿)을 지었다. 두 궁을 아울러 '아스카기요미하라궁'이라 이름붙인 것은 만년의 일이다.

673년 2월 27일에 즉위식을 거행한 덴무 천황은 우노노사라라노 히메미코를 황후로 삼고, 재위기간에 한 명의 대신도 두지 않으며 자신이 직접 정무를 살폈다. 또한 천황은 딸 오오쿠노 황녀를 재궁(齎宮)으로 삼아 아마테라스 여신을 모시는 이세 신궁을 관리하게 하고, 앞서 조메이 천황이 지었던 백제대사(百濟大寺)를 옮겨 다카이치노오데라(高市大寺, 고시대사)로 삼는 등 신토불교를 아울러 진흥시키는 정책을 펼쳤다. 덴무 천황의 여러 정책을 아래에 설명했다. 그는 국호을 일본으로 확정하고, 그간 군주의 명칭인 대왕(오오키미)을 천황(덴노)으로 바꿨다. 그리고 《일본서기》를 쓰게 했다.

황자들이 성장하자 덴무 8년(679년) 5월 5일에 황후와 덴무 천황 소생 4명, 선황 덴지 천황 소생의 2명과 함께 요시노노미야로 가서 6일에 그곳에서 천황과 황후는
여섯 명을 한 부모를 둔 자식처럼 대우하고 자식들끼리는 서로 협력한다.
는, 요시노 맹약을 행했다. 하지만 6명은 평등한 관계를 유지할 수 없었는데, 구사카베 황자가 첫 번째, 오오쓰 황자가 다음, 가장 연장자였던 다케치 황자(高市皇子)가 세 번째로 맹세했으며 이 서열은 덴무 천황의 치세 내내 유지되었다.

덴지 천황의 소생은 황태자 자리에서 밀려났지만 덴무 천황의 소생인 구사카베는 덴지 천황의 딸 아베노 히메미코(阿閉皇女, 훗날의 겐메이 천황)와 혼인했고, 오오쓰는 야마베 황녀(山辺皇女)와 혼인했다. 덴지 천황의 소생인 가와시마 황자(河島皇子)는 덴무 천황의 딸인 하쓰세베 황녀(泊瀬部皇女)와 결혼했다.

천황과 황후는 덴무 10년(681년) 2월 25일에 율령(형법과 행정법)을 정할 계획을 세웠고, 동시에 구사카베 황자를 황태자로 세웠다. 하지만 12년(683년) 2월 1일부터는 오오쓰 황자에게도 조정의 일을 맡게 했다. 오오쓰 황자는 여러 가지 재능이 많다는 칭송이 있었다. 재위 14년 만인 덴무 15년(686년) 5월 24일, 덴무 천황은 병을 얻었다. 불법의 영험을 빌어 쾌유를 빌었지만 효과를 보지 못하고, 황후와 황태자에게 7월 15일에 정치를 위임했다. 7월 20일에는 새로운 연호가 '슈초'(朱鳥)로 정해졌다. 그 뒤로도 신불에 쾌유를 비는 것은 이어졌지만 아무런 소용도 없이, 9월 9일에 덴무 천황은 숨을 거두었다.

2.6. 장례와 능묘

덴무 천황이 죽고 한 달이 지난 10월 2일에 오오쓰 황자가 모반 혐의로 붙잡혀 바로 다음날 처형되었다. 빈소에 모셔진 시신은 오랫동안 매장되지 않았는데, 황태자가 백관을 인솔해 몇 번이나 의식을 반복한 후 지토 2년(688년) 11월 21일에야 오오우치능(大内陵)에 안장했다. 지토 3년(689년) 3월 13일에 구사카베 황태자가 죽었으므로, 황후 우노노사라라노 히메미코가 천황으로 즉위했다(지토 천황). 능은 히노키기미오우치능[10], 노구치 오우노하키(野口王墓) 고분이다. 지토 천황의 무덤과 함께 조성된 부부합장릉이다.

일본 고대 천황의 능으로는 드물게 그 능묘 비정에 의심의 여지가 전혀 없다고 여겨지지만, 가마쿠라 시대인 분랴쿠(文曆) 2년(1235년)에 도굴당해 대부분의 부장품을 도둑맞았다. 관도 외부 공기에 노출되었지만 유해는 그대로 보전되었는데, 천황의 두개골에 그때까지도 흰 머리카락의 흔적이 남아 붙어 있었다고 한다. 지토 천황의 유골은 화장되어 으로 만든 유골함에 담겨져 있었지만, 유골함만 도굴범이 훔쳐가고 유골은 근처에 아무렇게나 내버려졌다. 후지와라노 사다이에(藤原定家)의 일기 《메이게쓰키》(明月記)에 도굴의 전말이 실려 있다. 또한 도굴당했을 때 작성된 《아후노야마료우키》(阿不幾乃山陵記)에 석실의 모습이 실려 있다.

3. 업적

3.1. 통치 개시와 포부

《일본서기》에 따르면 진신의 난이 승리로 끝난 직후, 덴무 천황은 형 덴지 천황의 궁이 있었던 오미의 오오쓰노미야가 아니라 아스카의 옛 수도로 갔다. 덴무 2년(673년) 윤6월에 왜국에 도착한 탐라(耽羅)의 사신 앞에서 천황은 8월 25일,
"즉위를 축하하는 사절은 받겠지만 선왕(덴지 천황)에 대한 조문 사절은 받지 않겠다."
는 조를 내렸다고 한다. 진신의 난으로 새롭게 천하를 평정하고, 처음으로 즉위했다고 고함으로써, 덴지 천황의 후계자가 아닌 새로운 황통의 창시자로서 자신을 평가하려고 했던 것이다. 사실 생존의 위협을 느끼고 거의 쫓기다시피 내려간 요시노에서 은거하다가 몇 안 되는 측근을 거느리고 동국으로 향해, 금세 수만 명의 대군을 일으켜 불과 반년만에 승리를 얻어 천하를 움켜쥔 덴무 천황의 입지전적인 삶은 당시 사람들에게는 강렬한 인상을 주었다.

일본에서 군주가 처음으로 천황(天皇)을 칭한 것은 덴무 천황이 최초라는 설이 오늘날에는 가장 유력하다. 일설에는 이 호칭이 처음에는 덴무 천황이라는 이 위대한 군주 단 한 명만을 위해 바쳐진 존칭이었고, 후대의 천황들이 그의 강력한 카리스마를 이어받고자 '天皇'을 군주의 칭호로 삼아 지금까지 전해지게 되었다고 한다.

치세 동안에 단 한 명의 대신도 두지 않고 법관, 병정관 등을 자신의 직속으로 두어 스스로 정무를 보았던 덴무 천황은 조정의 요직에 황족을 등용했는데(황친정치) 그렇다고 해서 황족이 기존의 귀족 세력을 제치고 국가를 장악하게 된 것은 아니었으며(덴무 천황 자신도 그것을 바라지 않았다.) 권력은 어디까지나 천황 개인에게 집중되어 있었다. 중신에게 정무를 맡기는 일도 없이, 신하의 합의나 동의에 의지하는 일도 없이, 천황 스스로가 군림하고 통치함으로써 그는 일본 역사상 보기 드문 최고도의 권력 집중을 이루어냈다. 천황의 강한 카리스마는 고대 일본의 역사에서 천황 전제의 정점이 되었다.

하지만 아무리 천황 중심의 전제정치가 고도화로 이루어졌다 해도, 중국이나 한국에서 한 것과 같은 초야로부터의 대대적인 인사 발탁은 일절 이루어지지 않았고, 진신의 난에서 공을 세운 공신이라 해도 지방 출신자는 여전히 기존의 귀족층 아래에 놓여진 채로 있었다. 진신의 난이 본질적으로 같은 황실 내부의 황위 계승 다툼의 범주를 벗어나지 못했던 탓이기도 하지만, 덴무 천황이 추진한 이 고도의 전제군주화도 결국 귀족제적인 한계를 넘지는 못했다는 지적이 있다.

3.2. 관제 개혁

즉위하고 얼마 되지 않은 덴무 2년(673년) 5월 1일, 천황은 처음으로 궁정에서 일할 사람을 '대사인'(大舍人)으로 하여, 재능에 따라 직무를 맡기는 제도를 준비했다. 아울러 부녀로서 바라는 사람에게는 모두 궁에 들어와 근무할 수 있도록 허락했다. 덴무 5년(674년) 1월 25일에는 기나이(畿內)[11] · 미치노쿠(陸奥)[12] · 나가토(長門)[13] 이외의 국사는 '대산'(大山, 다이산) 이하로만 임명하도록 정했다(이는 관위상당의 단초가 되었다). 또한 기나이 이외의 다른 구니의 '오미'(臣) · '무라지'(連)· '토모노미야츠코'(伴造)· '쿠니노미야츠코'(国造)의 자손과 재능이 뛰어난 서민이 궁에 출근하는 것을 허락했다. 7년(678년) 10월 26일에는 매년 관리의 고선(考選, 근무평가제)을 행하여 그에 따라 위계를 올려주는 제도를 정했고, 그 사무를 법관, 법관의 관리는 대변관(大弁官)이 맡도록 했다. 14년(685년)에는 새로운 관위를 정했다.

덴무 10년(681년) 2월 25일, 천황은 율령을 정하고 법식을 고치는 대사업에 착수했다. 이는 관리들에게 분담시켜 진행되었지만 천황이 살아있는 동안에는 완성을 보지 못하고, 지토 3년(689년) 6월 29일에야 영(令)만 발포되었다(《아스카 기요미하라 령》). 관위 제도는 덴지 천황이 정한 '다이치'(大織)에서 '쇼켄'(小建)까지의 관위 26계제를 답습했다. 덴무 천황 당시를 살았던 신하들이 받은 관위는 미노 왕(美濃王)과 다이마노 도요하마(當麻豊浜)가 받은 '쇼쟈'(小紫)가 기록상 보이는 가장 높은 것이다. 이와 병행해 덴무 4년(675년) 3월 16일에 여러 황족을 대상으로 하여 4, 5위 등 숫자에 '위'를 붙이는 위계가 만들어졌다. 기록상 덴무 당시의 황족들이 받은 위로서는 3위에서 5위까지가 보이고 있다. 덴무 14년(685년) 1월 21일에 새로운 관위 48층제를 정했다. 황족과 신하에게는 다른 위계가 마련되었고, 황태자에게도 하사되었다. 실제로 하사할 수 있었던 가장 높은 위는 구사카베 황자에게 내려진 '세이코이치'(淨廣壹)였다.

덴무 천황이 확립한 여러 제도는 후대의 《다이호 율령》이나 《요로(養老) 율령》과는 미묘하게 다른 부분이 있지만 실질적인 의의나 내용은 같으며, 이는 율령관인제의 골격을 이루고 있다. 또한 덴무 천황 당시의 관제는 명확히 알려지지 않고 있지만, 정무를 논의하는 여러 명의 납언(納言)으로 구성된 태정관(太政官), 그 아래에 민관(民官) ・ 법관(法官) ・ 병정관(兵政官) ・ 대장(大蔵) ・ 이관(理官) ・ 형관(刑官)의 6관과 나머지 다른 관사가 있었을 것으로 보인다. 학자에 따라 덴무조가 가지는 의의를 다르게 평가하기도 하지만, 덴무 정권 아래서 일본 율령체제의 기초가 정해졌다고 보고, 덴무조의 의의를 높게 평가하는 이들이 대다수다.

3.3. 씨족 및 민정문제

중앙집권국가의 건설을 향한 새로운 정책을 적극적으로 추진했던 덴무 천황은 호족과 사사(社寺, 절과 신사)가 토지와 백성을 사적으로 지배하는 것을 일체 부정하고, 여러 호족을 천황 중심의 관리 질서에 짜넣어 국가의 지배를 관철하려는 정책을 펼쳤다.

우선 덴무 4년(675년) 2월 15일, 선대 덴지 3년(664년)부터 모두에게 인정되었던 부곡과, 황족 · 신하 · 사원에게 인정되었던 산택 · 섬과 포구 · 임야 · 연못을 다시 거둬들인다는 조를 내렸다. 나아가 현지의 유력자가 사적으로 지배하는 것을 부정하고 관위나 관직, 공적에 따라 개인에게 봉호(식봉)를 주는 형식으로 전환했다.

이러한 봉호 도입 자체는 덴무 천황 이전부터의 것이었지만, 내막의 전환은 단계적으로 진행되었다. 우선 5년(676년) 5월 14일에 서쪽 지방에 있는 봉호의 세를 거두어 도고쿠로 옮기고, 한 사람을 장기간 같은 장소에 봉하는 것으로 생겨나는 피봉자와 현지와의 주종적 관계를 끊으려고 했다. 8년(679년) 8월 2일에 '쇼킨'(小錦) 이상의 황족과 신하에게 일괄적으로 식봉을 지급함으로써 신제도로의 전환이 완료되었다.

이를 전후해 8년(679년) 4월 5일, 사찰의 식봉 조사를 명하고, 9년(680년) 4월에 그 연한을 30년으로 한정했다. 11년(682년) 3월 28일에 이르러 식봉을 없애긴 하지만, 실제로는 그 뒤로도 봉호가 계속 이루어졌다. 뭔가 제도 개정(아마 식봉의 관리에의 관여를 금지하는 조치)이 이루어진 것은 아닐까 여겨진다.

황제의 의도는 귀천의 차이를 자신이 정한 질서대로 정하려 한 것이었고, 한미한 씨족의 '가바네'(姓, 성)를 승진시켜 우대하는 조치를 취하며 덴무 13년(684년) 10월 1일, 고대의 가바네 제도를 전면적으로 재편성했다. 이것이 야쿠사노 가바네(八色之姓, 팔색지성)이다.[14] 황족에 준하는 가바네를 마히토(眞人), 기존의 오미(臣)를 아손(朝臣), 무라지(連)는 스쿠네(宿禰) 등으로 삼고, 여기에 진신의 난에서 세운 공적도 가미하여 가바네를 정했다.

일본 최초의 화폐로 여겨지는 부본전(富本錢)이 주조된 것도 덴무 천황의 시대였다. 다만 부본전은 주술용일 뿐 실제 시장에서 거래된 화폐는 아니었다는 설, 부본전보다 앞서 '무문은전'(無紋銀錢)이 통용되고 있었다는 설도 있다.

3.4. 숙청

덴무 천황은 고위 황족 신하에게 유배 이하의 처분을 많이 내렸다. 이는 덴무 4년(675년) 4월 8일에 조참(朝參)이 금지된 다이마노 히로마로(當摩廣麻呂)와 구누노 마로(久努麻呂)를 시작으로, 4월 23일에 이나바에 유배당한 3위 황족 오미 왕(麻続王) 같은 고관에까지 이르렀다. 11월 3일에는 궁의 동쪽 산에 올라가 '요망한 말'을 지껄이고 자살한 사람이 나왔다. 5년(676년) 9월 12일에는 지쿠시다자이(筑紫大宰)였던 황족 야가키 왕(屋垣王)이 도사(土左)에 유배되었고, 6년(677년) 4월 11일에는 구이타노 나쿠라(杙田名倉)가 이즈 섬(伊豆島)에 유배되었다.

위협적인 조도 여러 차례 내렸다. 4년(675년) 2월 19일, 천황은 군신·백료와 천하의 백성을 향해
"모든 악을 하지 말라!"
는 조를 내렸다.

6년(677년) 6월에는 야마도노아야(東漢)[15] 집안이 정치 모의에 참여했던 수십 년전의 일까지 끄집어내 꾸짖으면서,
"큰 은혜를 내려 용서하겠지만 앞으로는 용서하지 않는다."
는, 야마도노아야 집안으로서는 위협적인 언사를 던졌다. 8년(679년) 10월 2일에는
"왕경(王卿) 등이 태만하여 악인을 간과하고 있다!"
며 경고하기도 했다.

이러한 처벌은 한국이나 중국의 전제군주와도 크게 다를 것이 없었다. 천황이 이러한 숙청이나 위협적인 조를 내리는 시기는 주로 덴무 4년(675년)부터 6년(677년)에 몰려있는데, 그 무렵 천황은 부곡과 산택을 호족으로부터 거두어들여 국가공령화하는 조를 내리고 한창 식봉 개혁을 진행시키고 있었다. 천황의 정책으로 피해를 보게 된 기존 기득권층의 반발을 사서 처벌이라는 방법으로 누를 수밖에 없었다는 것이다. 또한 진신의 난의 전후 처리를 봐도, 고관에게 사형을 선고한 것은 없다. 처벌만큼이나 은사도 자주 내려서 8년(679년) 12월 2일의 은사에 의해 그때까지 유배된 사람도 사면되었을 것으로 보인다.

3.5. 외교

덴무 천황이 진신의 난을 일으킨 것은, 웅진도독부(熊津都督府) 장군의 자격으로 왜국에 파견되었던 당나라의 사자 곽무종(郭務悰)이 5월 30일에 귀국하고 나서 약 한 달이 지난 6월 22일의 일이었다. 백강구 전투 패전으로 한반도에서 백제부흥운동이 끝난 뒤, 신라당군을 몰아내기 위한 전쟁을 벌이는 한편으로 일본과 통교하여 외교적인 여건이 약간 호전되고 있었다. 일본은 당과 신라가 힘을 합쳐 일본으로 쳐들어오는 것을 경계했고, 신라도 당과 싸우는 동안 일본이 뒤에서 귀찮게 구는 것을 경계했으므로, 신라와 일본이 서로 친하게 지낼 동기가 생긴 것이다. 기록된 것만 보면 덴무 천황은 신라와 여러 차례 사신을 주고받은 반면 당나라와는 별로 사신을 주고받지 않았다. 신라뿐 아니라 탐라국에서도 사절이 왔고, 684년에는 탐라국으로 견탐라사를 보내기도 했다. 급변하는 동아시아 정세 속에서 외교 다각화를 적극적으로 시도한 흔적이 엿보인다.

서쪽 한반도뿐 아니라 남쪽 너머와 동쪽 너머의 이민족에 대해서도 조치를 취했는데, 11년(682년) 7월 25일에는 가고시마 남쪽에 있는 다네(多禰, 지금의 다네가섬), 야쿠섬(掖玖), 아마네(阿麻禰)의 섬 사람들에게 녹이 내려졌다. 동북쪽 도호쿠에서는 11년(682년) 4월 22일에 고시(越)의 에미시(蝦夷)의 땅 이코키나(伊高岐那)에 고리(評)를 두었다.

보통 친백제적 성향의 형인 덴지 천황과는 달리 친신라적 성향을 가졌던 것으로 평가받는다. 사실 백제는 본국이 사라졌고 신라가 어찌됐든 한반도를 실효지배하기 시작했으므로 더 이상 예전처럼 백제와 친하고 신라를 적대하기만 할 수는 없는 상황이 되기도 했다. 하지만 그렇다고 신라계 도래인을 훨씬 우대하지도, 백제계 도래인을 너무 푸대접하지도 않았다. 덴무 2년(673년) 윤6월 6일에 사택소명(沙宅昭明), 3년(674년) 1월 10일에 구다라노고니키시 사이쇼(百濟王昌成)에게 관위를 추증했으며, 14년(685년) 10월 4일에는 옛 백제의 승려 상휘(常輝)에 대한 봉호 30호 지급 등 백제 유민에 대해 많은 혜택을 주고 있다. 그리고 한반도로부터 귀화한 도래인에게는 자신의 원년(674)부터 10년(681)까지 과세를 면제해 주었고, 10년이 지난 8월 10일에는 입국할 때에는 아이였던 자들에게도 면제해주었다.

3.6. 군사

덴무 4년(675년) 10월 20일, 여러 오키미(王, 왕) 이하 초위(初位) 이상의 관인의 무장이 의무화되었다. 5년(676년) 9월 10일에는 실제로 무기를 검사했다. 8년(679년) 8월에 적견역(迹見驛)의 집에서 왕경(王卿)들의 말을 달리게 했고, 11월에는 닷타(竜田) 산과 오사카(大坂) 산에 관을 두고, 나니와에는 외벽을 쌓아 올리게 했다. 9년(677년) 9월 9일에는 나가라(長柄) 신사에서 대산위 이하 관인들의 말을 조사한 뒤 기사(騎射)를 시켰다. 그 후 12년(683년) 11월 4일에 여러 쿠니(국)에 진법을 가르치도록 명령했으며, 13년(684년) 윤 4월 5일에는
"정치의 요점은 군사다."
라 선포하고, 문무 관인과 여러 사람에게 용병과 승마를 배우되 재차 무장이 부족한 사람은 처벌한다는 조를 내렸다. 그리고 이듬해 14년(685년) 8월 11일, 쿄와 기나이 지역의 인부들의 무기를 검사했다. 11월 4일에는 군대에서 쓰는 지휘용 도구와 대형 무기를 고오리의 역소에 납입하게 했다.

율령제하에서 국군 주력의 위치에 있던 군단은 이 시대에는 아직 설치되어 있지 않았다. 덴무 천황은 관인과 기나이의 무장 강화를 특별정책으로 삼았지만, 이러한 관리 무장 정책은 덴무·지토 조 이후로는 보이지 않는다. 관인의 무장화는 군단 창설 이전의 사정에 대응한 것으로 지휘용 도구를 고오리에 거두게 한 것 등 당시의 전국적인 병제에 대해서는 학설이 나뉘고 있다. 고오리의 지방관이 인솔하는 병사들이 있었다는 설이나 후대의 군단과 거의 같은 것이 성립해 있었다는 설, 전통적으로 구니노미야쓰코가 지배해오던 현지 백성을 모아 편성한 구니노미야쓰코군이 그대로 유지되었다고 보는 설이 있다.

3.7. 새로운 궁궐과 수도

진신의 난이 끝난 뒤에도 덴무 천황은 한동안 미노에 머물렀다. 9월이 되어 천황은 오카모토궁(아스카오카모토궁, 飛鳥岡本宮)에 들어갔고 이 해에 새롭게 궁실을 지어 거기로 옮겨 살았다. 이때 덴무 천황이 새로 지은 궁은 그가 죽기 두 달 전인 슈초 원년(685년) 7월 20일에 '아스카기요미하라궁'으로 명명되었다.

현재 일본의 고고학 발굴조사 결과 아스카궁(아스카이타부키궁, 飛鳥板蓋宮) III-B기에 해당하는 건물 유적군이 이곳으로 여겨지고 있다. 사이메이 천황때의 아스카오카모토궁을 그대로 사용하면서 에비노코곽(エビノコ郭)을 추가한 것이 주요부를 이루고 있다는 것이 고고학의 설명이다. 에비노코곽에는 큰 건물터가 하나 있고 당시에는 이곳이 대극전으로 쓰였다.

아스카기요미하라노미야(飛鳥浄御原宮) 주변에는 미야코(京, 경)로도 불리는 도시적인 확대가 있었지만, 후대의 후지와라쿄(藤原京)나 헤이조쿄(平城京), 헤이안쿄(平安京)와 같은 동서남북으로 구획된 바둑판같은 길이 정연하게 직교하고 있는 형태의 도시계획은 이루어지지 않았다. 궁궐의 북북동에는 아스카노이케 유적(飛鳥池遺跡)이라 불리는 국가 공방이 있었고 궁과 관청에서 쓰는 여러 가지 물건, 그리고 부본전 등의 화폐도 이곳에서 주조되었다고 알려져 있다.

덴무 천황은 이 궁에 만족하지 않았는데, 국가의 '대변혁'에 걸맞은 새로운 궁궐, 영원히 이어질 수도를 건설할 포부를 세우고서 걸맞은 땅을 찾았다. 그렇게 찾아낸 것이 신성(新城), 훗날 '후지와라쿄'라 불리게 될 새로운 수도였고, 그 공사가 덴무 5년(676년) 시작되었다. 《만요슈》에 이 공사를 읊은 노래가 두 수 실려 있는데, 땅을 평평하게 고르고 도로마다 도랑을 파며, 이 때까지 방위로 규제되어 있지 않던 기존의 도로와 건물들을 철거하고 남북으로 뻗은 대로를 주축으로 하는 바둑판 모양의 수도를 조영했지만, 천도는 하지 못했다.

덴무 11년(682년) 3월 1일, 천황은 미노노 오오키미 등에게 명령해 지형을 답사하게 하고, 16일에는 그 자신도 직접 이곳을 찾았다. 이듬해 12년(683년) 7월 18일에 미야코를 세울 땅을 둘러본 뒤, 13년(684년) 3월 9일에 궁실을 지을 부지를 정했다.[16] 이 새로운 수도의 건설은 천황의 죽음으로 중단되었지만, 천황의 능은 새로운 수도의 중심축이 되는 선을 남쪽으로 연장한 바로 앞에 쓰였다.

덴무 천황 사후 즉위한 지토 천황에 의해 새로운 수도의 건설은 다시 재개되어 마침내 완성되었고, 이곳은 일본 최초의 본격적인 '도성'으로 평가받고 있다. 또한 천황은 모름지기 수도란 2, 3개는 더 필요하다고 생각해서(부도제) 새로운 수도의 건설계획이 한창 진행되던 12년(683년) 12월 17일에 나니와쿄(難波京)를 부수도로 설치했는데, 이곳의 건물은 선대 고토쿠 천황이 지은 나니와노미야(難波宮)을 그대로 이어받은 것이었다. 이듬해 2월 28일에는 시나노에도 부수도를 만들 부지를 살펴보기 위한 목적으로 추측되는 사신을 파견했지만, 이것은 일단 실행에는 옮겨지지 않았다.

3.8. 문화

덴무 천황은 일본 고대의 전통적인 문예·전승을 발굴하는 데에 힘을 쏟았다. 외래의 것이 배척된 것은 아니었지만, 덴무 이전과 이후의 여러 천황들과 비교해볼 때, 일본 토착 문화의 발굴과 정돈을 향한 그의 노력은 현저하다. 야마토(倭)라는 국호를 '日本'으로 정하고, 군주의 호칭을 '天皇'으로 칭한 것은 덴무가 최초라는 것이 유력하다.

또한 덴무 천황은 그 전까지 민간에서 전해지던 습속을 적극적으로 포용해 그것을 국가 단위의 제사로 소급시키는 데에 성공했다. 오늘날 대부분의 역사학자들은, 후술할 신도의 제사를 포함해 후대까지 전통으로 전해진 주요 궁정 의식의 대부분은 덴무 천황에 의해 창시(혹은 집대성)되었다고 추정하고 있다. '오절무'(五節舞)는 그 확실한 예로 꼽히며, '신상제'(新嘗祭)를 국가 제사로 승격시켜 '대상제'(大嘗祭)를 마련한 것도 덴무 천황이었다.

예술적으로도 살펴보면, 덴무 4년(675년) 2월 9일에 기나이와 그 주변 지역에서 노래에 뛰어난 남녀·난쟁이·기인들을 궁정에 모으도록 명령하고, 4월 23일에 그들에게 녹을 주었다. 6년(677년)에 처음으로 시•부(詩賦)를 지었다. 14년(685년) 9월 15일에는 뛰어난 노래와 피리 연주를 자손에게 전하도록 명령했고 이듬해 15년(686년) 1월 18일에는 배우와 가인(歌人)들에게 포상을 내렸다는 기록이 남아 있다.

정치적으로는 덴무 10년(681년) 3월 17일에 황태자와 여러 신하들에게 역사책을 편찬하도록 명령했다. 이는 훗날 완성되는 《일본서기》 편찬 사업의 효시로 여겨지고 있다. 또한 히다노 아레(稗田阿礼)로 하여금 역대 천황의 계보와 선대로부터 전해지는 구사(舊辭) 등의 기록을 암송하도록 명령했는데, 이것이 오노노 야스마로에 의해 성문화된 것이《고사기》였다. 모두 천황 사후에야 완성되었으며, 오늘날 현존하는 일본 최고의 사서로 꼽힌다. 한편 천문에도 조예가 깊었던 덴무 천황은 재위 4년(675년) 1월 5일에 일본 최초의 천문관측기구인 점성대(占星臺)를 세우도록 했다.

덴무 4년 4월 17일(서기 675년 5월 19일), 천황은 <육식금지령>을 내렸는데, 그것은 4월 1일(5월 3일)부터 9월 30일(10월 27일) 동안 어린 물고기를 잡거나 먹지 말고 보호할 것과 다섯 종류의 가축( · · · 원숭이 · )의 고기를 먹는 것을 금지하는 것이었다. 때문에 일본은 메이지 유신 당시에 <육식금지령>이 해제될 때까지 제대로 된 육식을 하기가 힘들었다. 자세한 것은 문서 및 링크 참조.

율령국가를 목표로 한 정책의 일환으로 덴무 11년(681년)에는 기존의 일본 고유 머리 모양이었던 쌍상투를 바꾸도록 명령했다. 이후 일본인들의 머리 모양은 관을 쓰기에 적합한 형태로 바뀌게 되었다. 또한 덴무 12년(682년)에는 위계를 나타내기 위해 관모의 색깔을 구별하던 것을 바꾸어, 관모가 아닌 조복의 색깔로 구별하도록 변경했다.

3.9. 종교

3.9.1. 신토

일본의 전통적인 토속신에 대한 제사를 중시했던 덴무 천황은 지방에서 행해지던 제사의 일부를 국가 단위의 제사로 승격시켰다.

덴무 천황이 특별히 중시한 것은 이세 신궁이었다. 일찍이 진신의 난 때, 군사를 거느리고 이세를 찾았던 그는 세키타가와(迹太川) 부근에서 아마테라스 오미카미가 있는 방향을 향해 절을 올렸는데, 이는 구체적으로는 이세 신궁에서 모시고 있는 신이기도 한 아마테라스에게 전승을 기원한 것으로 보인다.

그렇게 내란을 승리로 이끈 뒤, 천황은 딸인 오오쿠노 히메미코를 이세 신궁에 보내어 사이오(齋王, 재왕)로서 이세 신궁을 섬기게 했다. 덴무 4년(675년) 2월 13일에는 딸 도오치노 히메미코(十市皇女)와 조카(덴지 천황의 딸) 아베노 히메미코(阿閉皇女, 훗날의 겐메이 천황)이 이세 신궁에 참배했다. 이세 진구의 모든 신전을 20년에 한 번씩 다시 짓는다는 식년천궁(式年遷宮)의 제도를 처음 발안한 것도 덴무 천황이었다. 이세 신궁을 이스즈 강(五十鈴川)가의 현 위치에 세운 것도 덴무 천황으로, 그 이전에는 미야가와(宮川) 상류의 다키하라궁(滝原宮)에 이세 신궁이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아마테라스 오미카미라는 신격을 처음으로 창조한 것이 다름아닌 덴무 천황이었다는 설도 있다. 재궁이라는 것도 《고사기》나 《일본서기》에 따르면 유랴쿠 천황 때부터 시작해 스이코 천황 때까지 있었다고 하나, 실제로는 덴무 천황의 딸인 오오쿠노 히메미코가 최초의 재궁이라는 설도 있다.[17]

그 밖에, 덴무 3년(674년) 8월 3일에는 이소노카미 신궁에 오사카베노 미코(忍壁皇子)를 보내어 그곳에서 소장하던 신보(神寶)를 다듬게 했다. 이듬해 1월 23일에 여러 신사에 제사드린 것을 두고 '기년제'(祈年祭)의 시초로 보기도 한다. 4월 10일에는 닷타(竜田)의 풍신(風神)을 모시기 위해서 미노 왕 등을 파견했고, 히로세(廣瀬)의 대기신을 모시기 위해 하시히토노 오오카이(間人大蓋) 등을 사자로 파견했다.

3.9.2. 불교

이미 즉위 전에 요시노로 낙향하기에 앞서, 승려로서 출가했던 경력이 있었던 천황은 재위 2년(673년) 3월에 가와라데라(川原寺)에서 《일체경》(一切經)을 필사하게 하는 대규모 사경 작업을 행했다. 5년(676년)에는 전국에 사자를 파견해 《금광명경》(金光明經)과 《인왕경》(仁王經)을 설법하게 했으며, 8년(679년)에는 궁중 및 야마토쿄(倭京)의 24개 절에서 《금광명경》을 설법하게 했다.

사원 건립에 있어서는 《일체경》사경을 명했던 덴무 2년(673년) 12월 17일에 미노노 오오키미와 기노 가타마로(紀訶多麻呂)를 조고시대사사(造高市大寺司)에 임명하고 선대 조메이 천황이 지었던 백제대사(百濟大寺)를 다케치(高市)로 옮겨 다카이치노오테라(高市大寺, 고시대사)로 삼았다. 9년(680년) 11월 12일에 황후의 병에 임해 야쿠시지 건립을 기원하기도 했으며, 그 자신의 병에 즈음해서도 여러 가지로 불교에 의지하는 등의 방식으로 쾌유를 바랐다.

덴무 14년(685년) 3월 27일, 천황은 집집마다 불사(佛舍)를 짓고 예배·공양하라는 조를 내렸다[18]. 이 무렵까지 기나이를 제외하고 다른 지방에 불교 사찰의 수는 적었지만, 덴무·지토 조에 이르러 전국에 우지데라(氏寺, 씨사)가 활발히 축조되었다. 유적에서 발굴된 기와를 통해, 중앙에 위치한 소수의 사찰마다 지역을 분담해 건설을 지도하는 등 정책적인 지지가 이루어졌음을 상정할 수 있다.[19]

그러나 이러한 천황의 불교 보호는 승려들에게 사찰에 틀어박혀 천황이나 국가를 위한 기도에 전념할 것을 요구하는 것으로, 불교를 국가에 종속시키기 위한 것이기도 했다. 국가신토가 너무 세력이 강성해지는 것을 원하지 않아 견제하고자 했던 천황의 '국가불교'인 셈이었다. 덴무 4년에 여러 사찰에 내려졌던 산림과 천택을 거두어들이고 8년에는 식봉을 내리는 등 사찰의 수입을 국가가 관리하기도 했다. 중앙통제기관으로는 스이코 천황때 설치되었다가 폐지되었던[20] 승정·승도 등을 부활시켜 승강제를 정비했다.

천황의 불교 이해나 그 대하는 자세도 내세보다는 현세에서의 이익을 추구한 피상적인 것이었다는 지적이 있다. 대표적인 예로 천황이 수도와 각 지방의 사찰에서 설법하게 한 것은 《금광명경》이나 《인왕경》같은 호국불교적 사상에서 중시하는 경전으로, 개인의 구제나 불교적인 깨달음을 얻는 데에 관심했다는 증거는 없다. 덴무 천황 개인의 입장에서 불교에 요구한 것은 황후와 자신의 병이 낫게 하려는 기복일 뿐, 딱히 불교의 깊은 뜻을 따르고자 하지는 않았다.

3.9.3. 도교

덴무 천황의 종교관에서 가장 두드러져 보이는 것은 도교적인 요소였다. 천황이 제정하게 한 '야쿠사노 가바네'의 최상위는 '진인'(眞人, 마히토)이였다. 또한 천황 자신의 일본식 시호는 '아마노누나하라오키노마히토'(天渟中原瀛眞人)였는데 여기서 '오키'(瀛)는 도교에서 동해 바다 위에 있다는 3신산의 하나인 영주산이었으며, '마히토'는 선인의 상위 계급에 속하는 것이었다. 일본식 시호를 놓고 볼 때 천황의 시호는 '하늘의 한가운데, 영주산에 살고 있는 진인(眞人)'으로서 도교의 최고위 신이라는 풀이가 가능하다. 《일본서기》에서 덴무 천황 스스로 조예가 깊었다고 전하는 천문둔갑은 도교적인 기능이다. 또한 덴무 천황의 무덤에 사용된 8각분(八角墳)은 동서남북의 사방에 북동·북서·남동·남서를 더한 8방을 가리키는 것으로 이것도 도교적인 방위관에서 나온 것이라는 해석이 있다.

4. 인물

덴무 천황은 종교나 초자연적인 힘에 관심이 많았고, 신령이나 부처를 믿는 믿음도 두터웠다.

고사기》에는 덴무 천황이 꿈 속에서 들은 노래의 내용을 풀이하여 한밤중의 물에 던져, 자신이 황위에 오를 것을 알았다고 적고 있다. 《일본서기》에는 천문둔갑에 뛰어났다는 기록이 있다. 또한 진신의 난에서는 스스로 점을 쳐서 장차 천하가 양분될 징조를 예측했다거나 여러 신들에게 기도하여 뇌성폭우를 그치게 하는 등 능력을 보였다고 하는데,이는 모두 도교적인 기능이다. 즉위 뒤에도 종교나 의식에 계속 관심을 두었고 운세를 알아보거나 신령에게 기원하여 목적을 달성하려고 한 때가 많았다. 그의 이러한 예언자적 능력은 후세에 천황이 사람들 사이에서 신이나 다름없는 카리스마성을 몸에 지니게 하는 결과를 초래했다.

덴무 천황이 읊은 와카로는 후지와라 부인과 주고받은 듯한 것과 요시노의 '요시'를 반복하는 노래, 그리고 요시노의 외로운 길을 노래하는 어두운 분위기의 노래 등이 전하지만, 한시를 읊었다는 사료는 없다.

천황의 취미는 수수께끼 내기와 같은 서민적인 모습이 많았는데, 덴무 14년(674년) 9월 18일에 황궁 대안전에서 바쿠치(博戯) 대회를 열기도 하는 등의 유협적인 면도 있었다. 그가 각종 예능자를 후대했음도 개신적인 취향과 관련 있었을 것이다. 이를 통해 천황이 민심을 살피는 데에 뛰어났다고 평가하기도 한다.

분랴쿠 2년(1235년)에 덴무·지토 합장릉이 도굴당했을 때의 조사기록인 《아후노야마료우키》(阿不之山陵記)에는 생전 덴무 천황의 체격을 엿볼 수 있는 기록이 남아있는데, 도굴시 외부에 노출된 덴무 천황의 유골은 머리가 보통 사람보다 조금 크고 검붉은 색을 하고 있었으며, 정강이뼈는 1자 6치(48 cm), 팔꿈치 길이가 1자 4치(42 cm)였다는 것이다.

이것으로 추정한 천황의 키는 175 cm 정도 되는데, 중세시절까지도 일본인들의 평균 신장이 150cm 이하였다는 것을 생각한다면 당시 기준으로는 대단한 장신에 기골이 장대했다. 현대 기준으로도 작은 키는 결코 아니다. 당시의 공경이였던 후지와라노 사다이에의 일기인 《메이게쓰키》에는 무덤의 유골에 뼈와 흰 머리카락까지 그대로 남아있었다고 하는데, 그때는 덴무 천황이 죽은 지 대략 700년쯤 지난 뒤였다.

5. 의문

덴무 천황의 삶과 업적에 대한 기록은 《일본서기》 <덴무기>(天武紀) 밖에 없다. 하지만 이 역사서는 그의 부인과 아들이 다스리고 있을 때 덴무 천황의 아들이 쓴 것이기 때문에 기록의 정확성에 의문을 가질 수 있다.

가마쿠라 시대에 성립된 《일대요기》(一代要記)나 《본조황윤소운록》(本朝皇胤紹運録), 《황년대략기》(皇年代略記)에는 그의 사망년도가 조금씩 다르게 기재되어 있는데, 이것을 기준으로 그의 탄생년도를 거슬러 계산해보면 스이코 천황(推古天皇) 30년(622년)과 31년(623년)이 나온다. 이는 《일본서기》에 그의 형이라 기재된 덴지 천황보다도(스이코 천황 34년) 훨씬 앞서는 것이다.

다만 위에서 말한 사료들 안에서, 덴지 천황을 덴무 천황보다 연하로 적은 기사는 보이지 않는다. 또한 덴지 천황의 생년에 대한 사료비판을 차치하고, 덴무 천황의 생년만 계산해서 그만큼을 《일본서기》에 기록된 덴지 천황의 생년과 비교한다고 했을 때 역전이 생긴다는 것이다. 어쨌든 덴무 천황의 정확한 생년은 미상이다.

일본서기》 이외의 주요 사료에 기록된 덴지 천황과 덴무 천황의 생년은 다음과 같다.
자료 덴지 천황 덴무 천황
《일대요기》 스이코 천황 27년(619년) 스이코 천황 30년(622년)
《인수경》(仁壽鏡) 스이코 천황 22년(614년) 불명
《고후쿠사약년대기》(興福寺略年代記) 조메이 천황 3년(631) 조메이 천황 12년(640)
《신황정통기》(神皇正統記), 《여시원연대기》(如是院年代記) 스이코 천황 22년(614년) 스이코 천황 22년(614년)
《신황정통록》(神皇正統録),《본조황윤소운록》 스이코 천황 22년(614년) 스이코 천황 30년(622년)
《황년대략기》 스이코 천황 22년(614년) 스이코 천황 31년(623년)

이에 대해서 일본 사람들은 《일대요기》를 필사하는 과정에서 56(五十六)을 65(六十五)로 잘못 기재한 것으로 보고, 덴무 천황의 탄생년도는 이를 기준으로 역산해서 631년이라고 여겨왔다. 그런데 패전 뒤, 계도상 아버지가 조메이 천황으로서 덴지 천황의 남동생으로 되어 있는 것과는 달리 실제로는 덴무 천황이 덴지 천황의 형이었던 것이 아닐까 주장하는 학설이 등장하게 되었다.

일본서기》의 기록에 따르면 본래 이들의 어머니인 타카라 황녀(고교쿠, 사이메이 천황)는 타무라 황자(조메이 천황)에게 시집가기 이전, 다카무쿠노 오키미(高向王)라는 사람과의 사이에서 아야 황자(漢皇子)라는 아들을 낳았다고 한다. 조메이 천황의 장남은 소가노 우마코의 딸인 호테노이라쓰메에게서 태어난 후루히토노오오에 황자(古人大兄皇子)였지만, 이 기록대로라면 덴지 천황에게 이복형 외에 이부형도 하나 있었다는 소리가 된다.

다카무쿠노 오키미와 아야 황자는 소가씨와도 접점이 있는 인물들이었다. 덴무 천황의 시호 '아마노 누나하라오키노 마히토노 스메라미코토'(天渟中原瀛真人天皇)에는 누ヌ=누瓊(구슬 경)=히스이ヒスイ(옥玉, 비취)가 들어 있는데, 본래 소가씨는 야요이 시대부터 신보(神寶)였던 '히스이' 산업을 독점하던 일족이었다. 이 때문에 일부 학자들은 덴무 천황의 정체가 덴지 천황의 이부형 아야 황자이며, 아야 황자의 아버지 다카무쿠노 오키미가 소가씨 출신이라는 가설을 내놓았다. 즉 진신의 난에서 소가씨가 오오아마 황자의 편을 들었던 것도, 잇시의 변에서 덴지 천황을 돕지 않았던 것도, 백강 전투 이후 국내에서 세력이 약해진 덴지 천황이 오오아마 황자를 태자로 삼은 것도 그가 소가씨와 밀접한 관계였기 때문이라는 것이다.

6. 가족관계

  • 황후皇后: 일본 제41대 천황 지토 천황
  • 비妃: 오오타노 황녀(大田皇女, ?~667) - 황후 지토 덴노의 동모 언니
    • 차녀: 오오쿠노 황녀(大来皇女 또는 大伯皇女, 661~701)
    • 3남: 오오쓰노 황자(大津皇子, 663~686)
  • 비妃: 오오에노 황녀(大江皇女, ?~699)
    • 7남: 나가노 황자(長皇子, ?~715)
    • 9남: 우게노 황자(弓削皇子, ?~699)
  • 비妃: 니이타베노 황녀(新田部皇女, ?~699) - 덴지 천황의 딸
  • 부인夫人: 히카미노이라츠메(氷上娘, ?~682)
    • 딸: 다지마노 황녀(但馬皇女, ?~708)
  • 부인夫人: 이오에노이라츠메(五百重娘) - 나카토미노 카마타리의 딸. 덴무 천황 사후에 이복오빠 후지와라노 후히토와 재혼.
    • 10남: 니이타베 친왕(新田部親王, ?~735)
  • 부인夫人: 오호누노이라츠메(大蕤娘, ?~724) - 소가노 아카에(蘇我赤兄, 623~?)의 딸
    • 5남: 호즈미 친왕(穂積親王, ?~715)
    • 딸: 기노 황녀(紀皇女)
    • 딸: 다카타노 황녀(田形皇女, 674~728)
  • 채녀采女[21]: 누카타노오키미(額田王) - 센카 천황의 아들 호노오 황자의 후손인 카가미노 왕(鏡王)의 딸
    • 장녀: 도오치노 황녀(十市皇女, 653?~678) - 고분 천황의 황후
  • 빈嬪: 아마코노이라츠메(尼子娘) - 무나카타노 도쿠젠(胸形徳善)의 딸
  • 궁인宮人: 가지히메노이라츠메(カヂ媛娘) - 宍人大麻呂의 딸
    • 4남: 오사카베노 황자(忍壁皇子, ?~705)
    • 아들: 시키노 황자(磯城皇子)
    • 딸: 하츠세베노 황녀(泊瀬部皇女, ?~741)
    • 딸: 다키노 황녀(託基皇女, ?~751)

==# 천황 계보 #==
초대
제2대
제3대
제4대
제5대
제6대
제7대
제8대
제9대
제10대
제11대
제12대
제13대
제14대
제15대
    
    
    
    
    
    
    
    
    
    
    
    
    
    
    
    
    
    
    
    
    
    
    
제16대
제17대
제18대
제19대
제20대
제21대
제24대
제23대
제22대
제25대
제26대
제27대
제28대
제29대
제30대
제31대
제33대
제32대
제34대
제35대
제36대
제37대
제38대
제41대
제40대
제39대
제43대
제49대
제44대
제42대
제47대
제50대
제45대
제51대
제52대
제53대
제46대
제48대
제54대
제55대
제58대
제56대
제59대
제57대
제60대
제61대
제62대
제63대
제64대
제65대
제67대
제66대
제68대
제69대
제70대
제71대
제72대
제73대
제74대
제75대
제77대
제76대
제78대
제80대
제79대
제81대
제82대
제86대
제83대
제84대
제87대
제88대
제85대
제89대
제90대
제92대
제91대
제93대
제95대
제94대
제96대
북조 초대
북조 제2대
제97대
북조 제3대
북조 제4대
제98대
제99대
북조 제5대
북조 제6대
제100대
제102대
제101대
제103대
제104대
제105대
제106대
제107대
제108대
제109대
제110대
제111대
제112대
제113대
제114대
제115대
제117대
제116대
제119대
제118대
제120대
제121대
제122대
제123대
제124대
제125대
제126대



7. 삼각관계?

고대 일본사에서 유명한 삼각관계의 주인공이다. 아내 중 하나인 누카타노오키미를 훗날 형 덴지 천황NTR빼앗아가는 바람에 형제가 불화하는 원인이 되었고 끝내 진신의 난을 일으키게 되었다는 주장이 있다. 누카타노오키미는 와카 시인이었으며, 그녀의 가 고대의 와카 시집 《만요슈》(万葉集, 만엽집)에 수록되어 있는데 이를 바탕으로 한 설이다.[22]

그러나 이에 대해서는 찬반 양론이 있다. 왜냐하면 누카타노오키미가 덴지 천황과 혼인한 게 맞는지가 확실하지 않기에 진위 여부가 확인되지 않았다고 한다. 또한 실제로는 출생 문제 때문에 그냥 본래부터 사이가 나빴거나, 권력관계로 불화했을 가능성이 더 높다고 한다. 사실이라면 원래 사이가 나빴는데 여자 문제 때문에 더 틀어졌을 거라고 볼 수도 있기는 하다.

다만 문학사적으로는 상당히 의의가 있는 이야기인데, 두 사람이 주고받았던 와카가 유명하기 때문이다. 668년 5월, 두 사람은 '쿠스리가리'(薬狩)라는 들놀이 행사에서 만나게 되는데 그때는 이미 누카타노오키미가 덴지 천황의 아내가 된 후였다고 한다. 이때 누카타노오키미가 남긴 시는 다음과 같다.
あかねさす紫野行き標野行き野守は見ずや君が袖振る
(해가 붉게 비쳐드는) 지치꽃 핀 들녘을 지나며 금원(禁園)을 지나며 들 지키는 이가 보지 못할까요?(아니, 보았겠지요) 당신이 소매를 흔드는 것을
답가는 다음과 같다.
紫草のにほへる妹を憎くあらば人妻ゆゑに我恋ひめやも
지치꽃처럼 아름다운 그대가 싫었다면 남의 아내인데 내가 사랑했을까?(아니, 사랑하지 않았겠지)
각자 《만요슈》에 수록된 와카이다.

참고로 저 '茜さす'(아카네사스)라는 표현은 '紫'(무라사키)의 枕詞(마쿠라코토바; 주로 와카에 나타나는 수사로 특정한 말의 앞에 위치시켜 어조를 정리하거나 정서를 곁들이는 표현)이다. 해가 붉게 비쳐드는 모습을 의미하며 오늘날에는 석양을 떠올리나 옛날에는 일출을 의미했다고 한다.

8. 기타

참고로 지토 천황읓 포함하여, 자신의 조카들인 덴지 천황의 네 황녀(!)를 부인으로 삼았다. 즉 자매와 모두 결혼한 셈이다. 덴무 천황은 덴지 천황의 딸 중, 동복자매 2명과 이 동복자매들과 어머니가 다른 자매 2명을 자신의 부인으로 삼았다. 그리고 저 이복자매들 중 덴지 천황의 7녀가 준닌 천황의 아버지 도네리 친왕의 어머니인 니이타베노 황녀였다. 지토 천황의 아들이자 겐메이 천황의 남편인 구사카베 황자는 후에 오카노미야 천황으로 추존되었으나, 도네리 친왕은 이복형과 달리 천황으로 추존되지 못했다.

정변과 숙청을 통해 정권을 잡았고, 강한 권력을 휘둘렀으며 자신이 다스린 나라의 제도적 기틀을 마련했다는 점에서, 한국사로 비유하면 동시대를 살았던 신라신문왕이나 뒷날 고려광종, 조선태종과 비슷한 유형의 군주이라고도 볼 수 있다. 물론 이들은 육식금지령같은거 내리진 않았다만.

데즈카 오사무의 만화 《불새/태양 편》에서도 주요 인물로 등장한다. 불교 세력을 내세워 토착종교를 배척하는 형 덴지 천황에 맞서 토착신앙을 옹호하는 세력의 대표로 등장하며, 과거 토속신에게 바쳐진 신성한 땅에서 사냥을 행하는 형 덴지 천황에게 "이건 권력을 내세운 폭거"라고 한다거나, 절이 벼락을 맞아 전소되자 하늘의 노하심이라고 주장하기도 한다. 작중 불교에 대한 태도가 즉위 이전과 이후가 다른데, 즉위 이전에는 "이 나라의 주인은 왕인 나이며 나에게 거역하는 자는 누구도 용납할 수 없다"는 형 덴지 천황의 강압적인 태도에 분개해 면전에서 장창을 집어던지거나, 자신을 출가시키라고 하는 말이 나왔다는 말에 "내가 얼마나 중들을 싫어하는지 잘 알면서"라며 분개하지만, 사후 오오토모가 즉위하는데 오오아마가 방해가 될 것을 염려한 덴지 천황이 병상에서 "오오토모의 나이는 너무 어리니 내가 죽은 뒤에는 네가 즉위하라"고 떠보는 자리에서 스스로 승려로써 출가할 뜻을 밝히고 요시노로 내려간다. 반란을 일으켜 조카 오오토모를 내쫓고 즉위한 뒤에는 "아무래도 대왕위를 지키려면 형님이 하셨던 대로 불교가 유용하겠다"며 불교를 옹호하는 태도를 보이며, 자신의 자리를 넘보는 사람들이 있을지 몰라 "형님의 그 성격이 이해가 된다"는 발언을 하고, 태양을 일본의 새로운 상징으로 삼는다.

사토나카 마치코의 만화 《천상의 무지개 - 지토 천황 이야기》에도 등장하는데, 2015년 6월 10일자 <역사비화 히스토리아>에서 지토 천황을 다루면서 작중 함께 등장했다. 성우는 요시노 히로유키로 본편이 지토 천황이 주된 주인공이다 보니 그냥 조연에 가깝다.[23] 상대역인 지토 천황 역을 맡은 성우는 미즈키 나나.

일본의 만화가 나카무라 마리코(中村 真理子)가 그린 덴지 천황과 덴무 천황을 주역으로 한 《덴지와 덴무-신설 일본서기》(天智と天武-新説・日本書紀)란 만화[24]에서는 어머니 사이메이 천황이 소가노 이루카와 관계해서 낳은 자식으로 묘사된다. 얼굴도 작중 소가노 이루카와 똑같이 생겼다. 즉 이 만화에서는 덴무 천황이 덴지 천황이부형제로 묘사되는 셈인데, 아버지인 이루카의 복수를 위해 덴지 천황을 파멸시키려는 인물로 그려진다. 작중에서는 덴무 천황=덴지의 이부형 아야노미코 설을 따른 것으로 보이며, 친아버지 다카무쿠노 오키미가 소가씨와 연관된 사람이라는 추측 때문에 다카무쿠노 오키미를 소가노 이루카로 설정한 것으로 보인다.

만화 《토우게오니》에서 중요 인물 중 하나로 등장한다. 통치자로서 뛰어난 재능을 가진 인물로서, 자신의 앞날에 놓인 잔인한 운명을 알면서도 거스르지 못하고 고뇌하는 인물로 묘사된다.

9. 유사역사학

유사역사학에서는, 고구려의 권신 연개소문이 고구려 사정이 노답이라 일본에 건너가서 덴지를 쳐바르고 덴무 천황이 되었다고 주장한다. 심지어 김산호는 신라인 대해인이라고 주장한다. 그리고 덴무의 후계자인 몬무 천황은 신라의 문무왕인데 사실은 연개소문의 친자라고 주장하기도 한다. 흥미롭게도 이 주장을 한 사람은 일본인인 고바야시 야스코로, 이를 국내의 유사역사학자들이 베껴 쓰기도 했다.

고바야시 야스코[25]의 이야기와 가장 비슷한 것은 이영희 작가가 2000~2001년 조선일보에 연재한 "속 노래하는 역사". 우리나라에서는 그 때 비로소 소개되었지만, 이미 일본에서는 10여년 전인 1990년에 두 사람이 같은 매체에 연개소문=덴무 천황 설을 기고한 바 있는데,[26] 둘 사이에 그 전부터 이에 관한 교감이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사실 덴무 천황이 워낙 갑자기 등장한 (일본 내에서는) 먼치킨 캐릭터라 강력한 외부 세력이 쳐들어와서 갈아엎은 건 아닐까, 하며 솔깃한 것 같아도 유심히 생각해보면 이상하다는 걸 알 수 있는데, 일단 연개소문은 594년에 출생했고, 666년에 병사했다. 그는 마지막까지 패배하지 않았는데, 연개소문이 죽자마자 2년만인 668년 고구려는 내분으로 멸망한다. 국가의 최고 지도자라는 사람이 멸망 직전의 나라에서 아들만 남겨놓고 튀었다는 건가? 또 덴무 천황의 즉위 시기는 673년인데, 그러면 연개소문이 80살이다. 고대인 중에서도 오래 산 사람이 있었다지만 이건 너무하다. 마지막으로 연개소문은 도교를 우대하고 불교를 탄압했는데, 덴무 천황은 정반대로 불교적인 색채를 일본에 드리웠다. 한마디로 비슷한 부분이 영 없다.

[1] 덴무·지토 합장릉이 도굴당했을 때의 조사기록인 《아후노야마료우키》(阿不之山陵記)에 기록된 정강이뼈 길이와 팔꿈치 길이에 대한 기록을 토대로 추정한 신장이다.[2] 오호야마토네코아메노히로노히메노미코토[3] 다만 일본 국호는 701년에 확립되었다는게 좀 더 정설이긴 하다.[4] 초기에는 소가씨를 비롯한 여러 호족들 간의 연합체였으며, 최근 연구 결과, 후지와라씨의 섭관정치는 헤이안 시대가 아니라 아스카 시대 말기부터 나라 시대 초기에 이미 시작된 것이 확인되었기 때문이다. 당시에는 경쟁자가 많았기 때문에 헤이안 시대에 가서야 적수가 없어지기는 했지만. 즉 천황가가 전제군주권을 행사한 것은 정말로 몇십 년 안 된다는 소리가 된다.[5] 헤이안 중기에 섭관정치의 예외로 명목상으로 천황 친정을 수행했던 천황들이 일부 존재했었다. 우다 천황(관평/간표의 치), 다이고 천황(연희/엔기의 치), 무라카미 천황(천력/덴랴쿠의 치)가 사례인데, 이들은 친정으로 태평성대를 이룩했다는 이미지가 있다. 다만 실상을 파고들면 연희의 치와 천력의 치에서 명목상의 섭관은 없었지만 그에 준하는 실권을 가진 대신이 사실상 섭관정치를 수행했다. 따라서 헤이안 시대의 섭관정치기에 섭관 없이 친정을 행한 천황은 우다 천황 정도라고 할 수 있지만, 그도 항목에서 알 수 있듯 재위기가 짧았을뿐더러 전제적 권력을 온전히 행사한 군주라기에는 무리가 있다.[6] 誄, 문체의 하나. 죽은 사람의 살았을 적 덕행을 적어 놓은 글. 옛날에는 이 뇌로써 '시호'(諡號)를 짓는 근거를 삼았다.[7] 황제의 제(帝)가 아니라 남동생을 뜻하는 제(弟)이다.[8] 다만 즉위했는지 어땠는지에 대해서는 확실하지 않다.[9] 안칸 천황과 센카 천황의 어머니 오와리노 메노코히메(尾張目子媛, ? ~ ?)는 오와리의 호족 오와리노 무라지 구사카(尾張連草香, ? ~ ?)의 딸이다. 오와리는 당시 에미시의 땅이었던 관동과 대치하는 군사적 요충지였기 때문에 대왕(오오키미)을 둘이나 배출한 것으로 보이지만, 구 황실인 타시라카 황녀의 아들인 긴메이 천황에게 밀려났다.[10] 檜隈大内陵, 지금의 일본 나라 현 다카이치 군 아스카무라 오오치노구치[11] 지금의 일본 긴키 지방이다.[12] 지금의 일본 도호쿠 지방.[13] 지금의 일본 혼슈 서쪽 일대.[14] 야쿠사노 가바네 제정은 이웃 나라 신라골품제를 많이 참조했다는 설이 강하다.[15] 도래인 출신 가문이다.[16] 수정된 도시계획으로 공사가 재개된 것도 그때였다.[17] 고대사학자 겸 군마대학 명예교수 모리타 테이(森田悌)의 설[18] 여기서의 '집'이 어느 정도의 인원수의 단위인가는 불명하지만, 불교를 널리 포교하기 위한 목적이었다.[19] 불교사학자 다무라 엔츄(田村圓澄)의 설[20] 스이코 천황에게 이러한 직책의 설치를 주장한 것이 백제의 승려 관륵이었다.[21] 궁녀의 계급중 하나다.[22] 에도 시대에 반 노부토모(伴信友)가 주장한 것이다.[23] 해당 다큐멘터리 방영분이 사토나카 마치코의 만화 《천상의 무지개 - 지토 천황 이야기》의 줄거리를 바탕으로 전개되며 원작의 주요 장면을 캡처하고 성우가 더빙하는 형식의 보이스 드라마 방식을 도입한 신선한 전개.[24] 백제의 부여풍도 등장하는데 나카토미노 카마타리 = 부여풍 설을 따라서 부여풍이 후지와라 가문의 시조로서 덴지 천황을 돕는 것으로 나온다.[25] 小林惠子. 1936년생으로 오카야마(岡山) 대학 법문학부에서 동양사를 전공했다. 본인 책 작가 소개에는 일본 ​​고대사를 항상 국제적 시야에서 바라보고, 종래의 정설을 뒤집는다고 주장하고 있다.[26] 李寧煕, "天武と持統", 文藝春秋社(1990); 小林惠子, "白村江の戦いと壬申の乱, 現代思潮社(1986); 小林惠子, "天武は高句麗から来た"(別冊文藝春秋 1990年夏号), 文藝春秋社(19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