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6-25 18:33:41

김한서

1 이창근
VC
· 2 정강민 · 3 노동건 · 4 김현우 파일:부상 아이콘.svg · 6 홍정운 · 7 공민현 파일:부상 아이콘.svg · 8 주세종
C
· 9 구텍 파일:부상 아이콘.svg · 10 호사 · 11 김인균 파일:부상 아이콘.svg · 12 김승대 파일:부상 아이콘.svg
· 13 이동원 · 14 김준범 파일:부상 아이콘.svg· 15 임덕근 · 16 김경환 · 17 천성훈 · 19 신상은 파일:부상 아이콘.svg · 20 음라파 · 22 오재석 23 강성윤 · 24 박진성 · 25 이준서
· 26 정우빈 · 27 임유석 · 28 아론 파일:부상 아이콘.svg · 29 김한서 · 30 배서준 · 32 김태현 · 33 이정택 · 36 박정인 · 37 이은재 · 40 유선우 파일:부상 아이콘.svg · 41 안태윤 · 42 정진우 파일:부상 아이콘.svg
· 44 이순민 · 45 이한빈 · 66 이선호 · 70 레안드로 파일:부상 아이콘.svg · 71 강윤성
VC
· 72 김민기 파일:부상 아이콘.svg · 73 이준규 파일:부상 아이콘.svg · 77 윤도영 · 80 김민수 · 81 김도윤
· 88 박준서 · 91 송창석 · 95 김문환 · 98 안톤 파일:부상 아이콘.svg
VC
· 99 정산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황선홍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명재용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배효성|{{{-2]]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김일진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박성균
※본 문서는 간소화한 것입니다. 스쿼드에 대한 자세한 정보는 여기를 참고해 주시기 바랍니다.
※B팀 스쿼드에 대한 자세한 정보는 여기를 참고해 주시기 바랍니다.
※타 구단으로 임대한 선수는 제외했습니다. 임대 선수에 대한 자세한 정보는 여기를 참고해 주시기 바랍니다.
파일:24시즌 29. 김한서.png
<colbgcolor=#007e6e><colcolor=#ffffff> 대전 하나 시티즌 No. 29
김한서
金漢書 | Kim Han-seo
생년월일 2003년 2월 14일 ([age(2003-02-14)]세)
국적
[[대한민국|]][[틀:국기|]][[틀:국기|]]
신체 174cm / 체중 67kg
포지션 중앙 미드필더, 수비형 미드필더, 윙어
주발 오른발
소속 <colbgcolor=#007e6e><colcolor=#ffffff> 선수 대전 하나 시티즌 (2024~)
정보 더 보기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007e6e><colcolor=#ffffff> 학력 한양중학교
충남기계공업고등학교
전주대학교
}}}}}}}}} ||
1. 개요2. 클럽 경력3. 플레이 스타일4. 여담

[clearfix]

1. 개요

"중원의 신형 MZ, 미드필더 김한서"[1]
대전 하나 시티즌 소속의 축구선수이다.

2. 클럽 경력

2.1. 대전 하나 시티즌

한양중학교를 졸업 후 충남기계공고에 진학하며 대전 유스로 입단했다.

전주대학교 2학년에는 1,2학년 대회에서 주장을 맡는 등 에이스로 활약하다가 2학년을 마치고 대전의 우선 지명을 받고 대전으로 합류했다.

2.1.1. 2024 시즌

등번호는 29번.

K리그1 1라운드 전북 현대 모터스 와의 원정경기에서 22세 이하 자원으로 선발출전하면서 프로 데뷔전을 치렀으며, 전반 30분경 이규동의 역습시도를 깔끔한 슬라이딩 태클로 제지하는 56분 동안 좋은 모습을 보여주었다. 연이은 제주 유나이티드 원정도 선발 출장해 전반전만 소화하고 교체 아웃됐다.

리그 3라운드 홈 개막전 강원과의 경기에서 후반 32분 이동원과 교체로 투입됐고 후반 42분 페니엘 음라파의 동점골을 어시스트하며 첫 공격포인트를 기록했다.

16R 대구 FC와의 경기에서는 선발 출전하여 80여분을 소화하며 승리에 기여했다.

3. 플레이 스타일

김한서는 넓은 시야를 활용한 볼 배급 및 공간 전환이 탁월하며 특유의 적극성과 활동량으로 수비뿐만 아니라 공격 가담 능력도 뛰어난 선수이다. 또한 U-22세 의무 출전 규정에 부합하는 U-22세 자원으로 전술적으로 활용도가 높다.

4. 여담


[1] 장내 아나운서 멘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