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세 신학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000000 | 중세 신학 | 근세 및 근대 신학 | 현대 신학 |
<colcolor=#fff> 이단설 | <colbgcolor=#fff>영지주의 · 마르키온주의 · 몬타누스주의 · 마니교 · 아리우스주의 · 펠라기우스주의 | ||
안티오키아 학파 | 이냐시오 · 네스토리오스 · 요한 크리소스토모 | ||
알렉산드리아 학파 | 클레멘스 · 오리게네스 · 아타나시오 · 알렉산드리아의 키릴로스 | ||
아프리카 교부 | 테르툴리아누스 · 율리우스 아프리카누스 · 키프리아누스 · 락탄티우스 · 제노 | ||
라틴 교부 | 암브로시우스 · 보에티우스 · 히에로니무스 · 그레고리우스 아니키우스 | ||
비잔티움 교부 | 그레고리오스 · 바실레이오스 | ||
사막 교부 | 이집트의 안토니우스 · 대 파코미우스 | ||
아시아 교부 | 에프렘 · 예루살렘의 키릴로스 · 다마스쿠스의 요한 | ||
아우구스티누스 | |||
신플라톤-신비주의 | 위 디오니시우스 · 프셀로스 · 피치노 · 뵈메 | ||
유대·이슬람 신학 | |||
수니파 사변신학(칼람) | 무타질라 학파 · 아슈아리 학파 · 마투리디 학파 | ||
이슬람 신플라톤주의 | 알 킨디 · 알 파라비 · 이븐 시나 · 이븐 투파일 | ||
이슬람 아리스토텔레스주의 | 이븐 루시드 · 이븐 바자 | ||
이슬람-유대 반사변신학 | 알가잘리 · 유다 하레위 | ||
이슬람-페르시아 신비주의 | 수흐와르디 · 물라 사드라 | ||
이슬람 인문주의 | 아부 하이얀 알 타위디 · 아부 술레이만 시지스타니 | ||
유대 사변신학 | 사디아 가온 · 다윗 이븐 메르완 알 무카마스 | ||
유대 신플라톤주의 | 이븐 가비롤 · 바히야 이븐 파쿠다 | ||
유대 아리스토텔레스주의 | 아브라함 이븐 다우드 · 마이모니데스 · 야콥 아나톨리 | ||
유대 아베이로스주의 | 모세 벤 여호수아 · 엘리야 델 메디고 · 레위 벤 게르숀 | ||
스콜라 신학 | |||
카롤링거 르네상스 | 알퀸 · 피사의 페트로스 · 칸디두스 | ||
아벨라르 · 란프랑쿠스 · 에리우게나 · 롬바르두스 · 라드베르투스 | |||
초기 베네딕토 학파 | 루푸스 세르베투스 · 오세르의 레미기우스 · 오세르의 아이모 | ||
초기 가톨릭 신비주의 | 생 빅토르의 위그 · 빙겐의 힐데가르드 · 클레르보의 베르나르도 | ||
안셀무스 | |||
스콜라 자연신학 | 바스의 아델라르 | ||
보편논쟁 | 실재론 · 온건 실재론 · 유명론 | ||
초기 프란치스코 학파 | 헤일스의 알렉산더 · 보나벤투라 · 로저 베이컨 | ||
유대 아베이로스주의 | 아브라함 바르히야 | ||
세비야 번역학파 | 크레모나의 제라르 · 세비야의 요한 | ||
도미니코 학파 | 대 알베르투스 · 뫼르베케의 빌럼 | ||
토마스 아퀴나스 | |||
후기 프란치스코 학파 | 스코투스 · 페트루스 아우레올리 · 오컴 | ||
가브리엘 빌 | |||
후기 자연신학 | 작센의 알베르트 · 장 뷔리당 · 오트레쿠르의 니콜라스 | ||
저지대 신비주의 | 하더윅스 · 마그데부르크의 마흐틸드 | ||
독일 신비주의 | 에크하르트 · 요하네스 타울러 · 하인리히 수소 · 뤼스브로크의 요한 | ||
영국 신비주의 | 리처드 롤 · 월터 힐튼 · 노위치의 줄리안 | ||
근대 아우구스티누스 학파 | 토마스 브래드워딘 | }}}}}}}}}}}} |
나지안조스의 그레고리오스 관련 틀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제35대 콘스탄티노폴리스 세계 총대주교 나지안조스의 그레고리오스 Γρηγόριος ὁ Ναζιανζηνός | Gregorius Nazianzenus | |
| |
<colbgcolor=#ebd58f,#ebd58f><colcolor=#813525,#813525> 출생 | <colbgcolor=#ffffff,#191919>329년 |
로마 제국 폰투스 관구 카파도키아 아리안조스 | |
사망 | 390년 1월 25일 (향년 60~61세) |
로마 제국 폰투스 관구 카파도키아 아리안조스 | |
종교 | 기독교 |
직업 | 성직자(대주교), 신학자, 시인 |
재임 기간 | 제35대 콘스탄티노폴리스 세계 총대주교 |
379년~381년 | |
성인명 | 가톨릭 그레고리오 정교회 그레고리오스 성공회 그레고리 |
칭호 | 신학자, 교회학자, 카파도키아 교부, 3대 교부 |
상징물 | 오모포리온[1], 복음서, 두루마리 |
축일 | 1월 2일[2] 1월 10일[3] 1월 25일[4] 1월 30일[5] 5월 9일[6] 6월 14일[7] 변모 축일 네 번째 일요일 전날 토요일[8] |
1. 개요
1. 개요
제35대 콘스탄티노폴리스 세계 총대주교, 신학자, 그리고 시인.과거 수사학과 논리학을 습득한 유능한 웅변가이자 철학자로 기독교에 헬레니즘 이념을 도입해 성부, 성자, 그리고 성령 간의 상호적 관계와 그 관계 속에서의 동일한 본질을 확증하는 연구를 진행함으로써 삼위일체론을 확립한 신학계의 거물이다. 이러한 업적으로 그레고리오스는 다양한 칭호를 지니고 있다. 그는 자신의 친구들인 대 바실레이오스와 니사의 그레고리오스 형제와 함께 카파도키아 교부로 불리며, 대 바실레이오스와 요한 크리소스토모와는 3대 교부로 칭송받는다. 또한 그는 서방교회와 동방교회에서 교리 형성에 큰 공헌을 한 인물에게 주어지는 교회학자라는 칭호를 받았으며, 특히 동방교회에서는 추가로 신학자라는 별도의 칭호를 받은 단 세 명의 인물[10] 중 한 명이다.
가톨릭, 정교회, 성공회 등, 교파 상관없이 그를 성인으로 공경하고 있다. 대표적으로 가톨릭과 성공회 축일은 1월 2일, 정교회 축일은 1월 25일이다.
[1] ὠμοφόριον(omophorion), 정교회와 동방 가톨릭에서 주교가 착용하는 전례복.가톨릭에 팔리움과 같은 것이다[2] 가톨릭, 성공회(잉글랜드 국교회) 축일.[3] 루터교회 미주리 시노드(LCMS) 축일.[4] 정교회, 동방 가톨릭 축일.[5] 정교회 3대 교부 축일.[6] 성공회(미국 성공회) 축일.[7] 미국 복음주의 루터교회(ELCA) 축일.[8] 아르메니아 사도 교회 축일.[9] 고전 그리스어. '니프손 아노메마타 메 모난 오프신'이라고 읽는다. 회문이기 때문에 반대 방향으로 읽어도 똑같이 읽을 수 있다.[10] 나머지 두 명은 요한의 묵시록의 저자 파트모스의 요한과 새 신학자 시메온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