丙 남녘 병 | |||
부수 및 나머지 획수 | <colbgcolor=#ffffff,#1c1d1f> 一, 4획 | 총 획수 | <colbgcolor=#ffffff,#1c1d1f> 5획 |
중학교 | |||
- | |||
일본어 음독 | ヘイ | ||
일본어 훈독 | ひのえ | ||
- | |||
표준 중국어 | bǐng | ||
丙의 획순
1. 개요
丙은 \'남녘 병'이라는 한자로, '셋째 천간'을 뜻한다.[1] 그래서 '셋째천간 병'이라고도 한다.2. 상세
간지 | 干支 | ||||||||||||||||||||||
십간 | ||||||||||||||||||||||
{{{#!wiki style="margin: -16px -11px;" | }}} | |||||||||||||||||||||
십이지 | ||||||||||||||||||||||
- 丙은 10천간의 3번째이면서, 물상으로는 큰불, 태양, 햇빛, 빛에 해당하고, 지지에서 巳화와 같은 물상이다.
- 색상은 빨간색, 분홍색이다.
2.1. 납음 오행
丙이 들어 있는 오행- 병자(丙子) 澗下水, 간하수
- 병인(丙寅) 爐中火, 노중화
- 병진(丙辰) 沙中土, 사중토
- 병오(丙午) 天河水, 천하수
- 병신(丙申) 山下火, 산하화
- 병술(丙戌) 屋上土, 벽상토
3. 상세
유니코드는 U+4E19에 배당되었고, 창힐수입법으로는 MOB(一人月)로 입력한다.희생물을 얹는 큰 제사상을 본떠 만든 상형자이다.
당나라 시기에는 고조의 아버지의 휘와 겹치는 바람에 경(景)으로 고쳐 써야 했다. 신라가 이 영향을 받게 되었고, 이 사실은 역사 기록으로 남게 되었다.
일제강점기 당시 성적 체계에서 을보다 낮고 정보다 높았다.
4. 용례
4.1. 단어
- 병과(丙科)
- 병년(丙年)
- 병란(丙亂)
- 병방(丙方)
- 병배세(丙配稅)
- 병별강(丙別講)
- 병부(丙部/丙付)
- 병사(丙舍)
- 병술(丙戌)
- 병시(丙時)
- 병신(丙申)
- 병야(丙夜)
- 병오(丙午)
- 병월(丙月)
- 병인(丙寅)
- 병일(丙日)
- 병자(丙子)
- 병종(丙種)
- 병좌(丙坐)
- 병진(丙辰)
- 병침(丙枕)
- 부병(付丙)
4.2. 고사성어/숙어
4.3. 인명
- 견지병(甄志丙)
- 다이치 아키타로(大地 丙太郎)
- 민병갈(閔丙葛)
- 민병억(閔丙億)
- 민병주(閔丙疇): 민형식(閔衡植)의 아들
- 이병도(李丙燾): 대한민국 제7대 문교부장관
- 이병래(李丙來): 1964년생
- 이헤이 하이루(伊丙 入)
- 정병조(鄭丙朝)
- 천병(天丙): 웹툰 작두의 등장인물
4.4. 지명
4.5. 창작물
[1] 훈이 '남녘'인 것은 셋째 천간에 대응하는 방위가 남쪽이기 때문이지, 丙 자체에 '남녘'이라는 뜻이 있는 것은 아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