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4-17 18:07:20

니플헤임(미키 17)


이 문서에 스포일러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이 문서가 설명하는 작품이나 인물 등에 대한 줄거리, 결말, 반전 요소 등을 직·간접적으로 포함하고 있습니다.


파일:mickey17black.png파일:mickey17.png
파일:미키 17 로고 영어.png파일:미키 17 로고 영어 화이트.png

[ 등장인물 ]
||<tablewidth=100%><tablebgcolor=#fff,#1c1d1f><width=1000> 미키 17 ||<width=20%> 미키 18 ||<width=20%> 나샤 배릿지 ||<width=20%> 케네스 마샬 ||<width=20%> 일파 마샬 ||
티모 카이 캇츠 지크 아케이디 도로시
앨런 메니코바 크리퍼 (마마 크리퍼 · 조코 · 루코)
[ 관련 문서 ]
||<tablewidth=100%><tablebgcolor=#ffffff,#1f2023><tablealign=center><width=1000> 줄거리 ||<-2><width=66.6%> 설정 (니플헤임 · 멀티플 · 크리퍼) ||
사운드트랙 평가 흥행
<colbgcolor=#cdd1c9,#101010><colcolor=#fff> 미키 17의 설정
니플헤임
Niflheim
파일:mickey-breathe.png
위치 불명
주거 종족 크리퍼
1. 개요2. 설정3. 기타

1. 개요

미키 17에 등장하는 외계 행성. 어원은 북유럽 신화에 등장하는 아홉 세계중 하나인 니플하임이다.

2. 설정

얼마나 멀리 있는지는 모르지만, 추정상 태양계에서 아주 멀지는 않은 것으로 보인다. 작중에서는 4와 2/3년[1]이 걸린다고 묘사되는데, 현실에서 광속의 90% 정도로 여행할 경우 알파 센타우리 행성계가 딱 이 정도 거리다. 이 곳 역시 주변에 태양 같은 항성이 있다.

대기 성분은 인간도 숨쉴 수 있을 정도이다. 하지만 대기 중 인간에게 매우 위험한 바이러스가 있어서[2] 백신 개발을 위해 미키는 거의 5번 정도 죽고 복제되기를 반복해야 했다.

크리퍼라는 종족이 살고 있다. 해당 항목 참조.

나중에 가면 살짝의 반전이 존재하는데, 겨울 행성이 아니다. 영화 대부분의 시간 동안 얼음에 덮인 모습으로 그려져서 얼음 행성, 겨울 행성처럼 여겨졌지만, 그저 개척단이 도착했을 때가 겨울이었다. 영화 말미에 나오는 봄이 온다. 또한 겨울이더라도 가만히 있으면 얼어죽을 거라고 예상하긴했지만 미키 17이 장시간 외부에서 체온 조절 장치가 고장난 상태로 있었음에도 저체온증 등의 심각한 문제가 있는 묘사가 없는 것을 보면 극지방 같은 인류가 살 수는 있는 추운 지역과 비슷한 정도로 보인다.

작중 이후 인류가 더 편히 살기 위해 테라포밍으로 온도를 조절할 수도 있겠지만, 크리퍼들이 그걸 허락할 지는 의문.

3. 기타

미래의 인류가 살게 될 추운 환경이라는 점에서 설국열차의 얼어붙은 지구를 떠올리게 한다.

얼음행성이라는 컨셉상, 대량의 소금을 깔아 설원을 구현했다고 한다. 런던 북쪽의 카딩턴(Cardington) 비행장에 소금 2,700톤을 깔고 촬영했으며 봉준호 감독은 약 4주간 소금 세트에서 촬영하면서 스니커즈가 다 삭아버렸다고 한다. #1 #2
[1] 환산하면 약 4년 8개월.[2] 묘사상으로는 바이러스 감염 후 얼마 안 가 입에서 대량의 피를 토하면서 절명하게 된다. 원작 소설에서는 폐출혈이라고 나온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