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11-15 17:10:46

데스노트/애니메이션

{{{#!wiki style="margin: -1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 #fff"<table width=100%><table bgcolor=#000><table bordercolor=#000> 파일:데스노트 로고.svg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word-break: keep-all; background-color: #000; color: #fff"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min-width: max(33%, 5em); min-height: 2em"
{{{#!folding [ 세계관 ]
{{{#!wiki style="margin: -5px 0 -5px"
등장인물데스노트사신사신의 눈
키라키라 신도키라 왕국와미즈 하우스
}}}}}}}}}
[ 기타 ]
[ 미디어믹스 ]
||<-4><tablewidth=100%><table bgcolor=#2d2f34> 미디어 믹스 ||
애니메이션실사영화 시리즈미국 영화뮤지컬
}}}||
아라키 테츠로 감독 장편 연출 작품
[ 펼치기 · 접기 ]
||<tablewidth=100%><tablebgcolor=#000><width=200><bgcolor=#fff> 파일:동화총사 아카즈킨 logo.png ||<width=200> 파일:데스노트 애니 로고.jpg ||<width=200> 파일:KUROZUKA logo.jpg ||
파일:2009 만개한 벚나무 숲 아래에서.jpg 파일:학원묵시록logo.jpg 파일:길티 크라운 logo.png
파일:진격의 거인 애니 일본 로고.png 파일:갑철성의 카바네리logo.png 파일:진격거 2기 로고.jpg
파일:진격거 3기 로고.jpg 파일:극장중편 갑철성의 카바네리 해문결전logo.png 파일:buble logo.png

상세정보 링크 열기


1. TVA
1.1. 개요
1.1.1. 제작 동기
1.2. 인기1.3. 특징1.4. 음악1.5. 회차 목록1.6. 해외 공개
1.6.1. 대한민국
1.7. 평가
1.7.1. 작화1.7.2. 연출
2. 리라이트
2.1. 완전결착 리라이트: 보이지 않는 신2.2. 리라이트 2: L을 잇는 자

[clearfix]

1. TVA

데스노트 (2006~2007)
デスノート
Death Note
파일:death_note_keyvisual.jpg
{{{#ffffff,#dddddd {{{#!wiki style="margin: 0px -11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작품 정보 ▼
{{{#!wiki style="margin: -5px 0px -11px"
장르 범죄, 스릴러, 다크 판타지, 느와르
원작 오바 츠구미(스토리)
오바타 타케시(그림)
감독 아라키 테츠로
감독 조수 이토 토모히코
시리즈 구성 이노우에 토시키
캐릭터 디자인 키타오 마사루
총작화 감독 키타오 마사루
카가미 타카히로
소품 디자인 니이츠마 다이스케(新妻大輔)
미술 감독 잇시키 미오(一色美緒)
미술 설정 스기야마 신지(杉山晋史)
색채 설계 하시모토 사토시(橋本 賢)
촬영 감독 야마다 카즈히로
편집 히다 아야(肥田 文)[1]
음향 감독 야마다 치아키(山田知明)
음악 히라노 요시히사
타니우치 히데키(タニウチヒデキ)
프로듀서 나카타니 토시오(中谷敏夫)
타무라 마나부(田村 学)
마루야마 마사오
애니메이션 프로듀서 하시모토 켄타로
애니메이션 제작 매드하우스
제작 DEATH NOTE 제작위원회
방영 기간 파일:일본 국기.svg 2006. 10. 04. ~ 2007. 06. 26.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07. 10. 08. ~ 2008. 01. 15.
방송국 파일:일본 국기.svg 닛폰 테레비 / (수) 00:56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애니원, 챔프TV, 애니박스
스트리밍 Laftel 더빙, 자막
편당 러닝타임 23분
화수 37화
시청 등급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파일:15세 이상 시청가 아이콘.svg 15세 이상 시청가 (폭력성)
관련 사이트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 ||

1.1. 개요

일본 만화 데스노트를 원작으로 한 일본 애니메이션.

제작사는 매드하우스. 감독은 아라키 테츠로. 감독 조수(조감독)는 신인 시절의 이토 토모히코도 참여했다. 캐릭터 디자인은 키타오 마사루.

2006년 10월 4일부터 2007년 6월 26일까지 약 3쿨 분량으로 새벽 1시에 방영되었다.

1.1.1. 제작 동기

인기 만화 원작으로서는 특이하게 감독, 조감독, 서포팅한 프로듀서 등 핵심 스태프들은 대부분 당시 20대였던 젊은 신인급으로 구성되었다. 그 이유는 제작 총괄과 기획을 맡은 마루야마 마사오가 젊은 애들이 좋아하는 작품이니까 재능있는 젊은 친구들이 만드는 게 왠지 좋을 것 같다며 일부러 이렇게 기획했다고 한다.

다만 그거 때문만은 아니고 실상은 급하게 기획된 작품이라 신인급으로 구성시킨 것이다. 실제로 모든 핵심 스태프가 죄다 다른 작품을 하던 도중 통보를 받았다고 한다. 담당 프로듀서인 하시모토 켄타로는 한창 열심히 곤 사토시 감독의 파프리카의 제작진행을 하고 있었는데[2] 갑자기 본작의 감독 아라키 테츠로가 찾아와서 "하시모토 군, 잘 부탁해." 해놓고 가버렸다고 한다. 본인은 당황해서 영문도 모른 채 "네? 저 파프리카 하고 있는데요?"라고 반응하고 갑자기 협의에 끌려가서 프로듀서가 되었다는 말을 뒤늦게 들었다고 한다. # 원래는 제작 데스크 정도로만 참여할 예정이었다고. 감독인 아라키 테츠로도 한창 블랙 라군에서 감독 조수일과 콘티를 맡고 있었는데 감독이 되었다는 이야기를 마루야마 마사오에게 들었다고 한다. 조감독 이토 토모히코호소다 마모루시간을 달리는 소녀 조감독 끝나자마자 불려왔다고 한다. 블랙 라군, 파프리카, 시간을 달리는 소녀 모두 이 작품과 같은 2006년에 나온 작품이라는 것을 감안하면 스케줄 펑크가 안된게 기적일 정도. 그러나 스케줄이 위태로웠던 것은 사실이다. 기획도 짧았기 때문에 최대한 적은 인력으로 급하게 만드는 와중에 아라키 테츠로가 첫 감독작이라는 욕심에 완벽주의가 크게 발동해서 콘티를 미친듯이 리테이크 시켜버렸기 때문. 10년 후 진행한 인터뷰[3]에서 아라키 테츠로가 이 시절 현장을 혼돈으로 만들었다고 자책하기도 했다. 조감독 이토 토모히코가 수습하지 않았다면 완성되지 못했을 것이라고 한다.[4]

아라키 테츠로는 해당 작품이 회사 내에서 묘하게 유행이라 휩쓸려서 읽게되었는데 상당히 재밌어서 팬이 되었는데 어쩌다 보니 감독까지 맡게 되었다고 한다. 이토 토모히코는 프로듀서와 입사 동기에다가 아라키 감독과도 친한 사이라서 동기의 프로듀서 데뷔작과 친한 선배의 TVA 감독 데뷔작을 도와준다는 느낌으로 참여하였다.

1.2. 인기

심야 애니메이션임에도 평균 3.3%라는 높은 시청률을 기록했다.[5] 특히 37화는 마지막화라는 버프를 받아 4.7%라는 자체 최고기록을 세웠다.

상업적인 면에서도 대성공을 거두었다. DVD 1권 판매량은 자그마치 31,000장이란 엄청난 기록을 세웠다. 한편 2부 시점을 다루는 DVD는 10,000장 초반대로 하락했다. 하지만 최종적으로는 평균 16,000장이 판매되었기에 원작의 명성과 함께 뛰어난 성적을 거두었다고 볼 수 있다. 특히 공포스릴러 작품이 인기가 많은 서구권에서도 많은 판매고를 올렸다.

2016년 10월 19일에 방영 10주년 기념으로 BD판 박스가 발매되었다. 기존 DVD 영상에 업스케일링으로 화질을 개선하였다.

1.3. 특징

작중의 시기는 겉으로 드러나지 않지만 죽은 인물들의 기일을 보면 작품 시점은 언제였으며 그 사건까지 얼마나 걸렸는지 제법 알 수 있다. 라이토가 데스노트를 습득한 2003년부터 2010년(애니메이션은 2006~2013년)[6]까지가 작품 시간대다. 원작 연재시기와 애니판 방영시기가 3년 차이나므로, 작중 타임라인과 등장인물들의 생몰연대도 마찬가지로 3년 차이가 난다.

작화는 한국 회사 디알무비에서 하청을 맡았는데[7] 작화 품질이 꽤 우수하다. 디알무비에서 데스노트에 적힌 범죄자들의 이름 중 일부를 한글로 해두는 소소한 장난도 연출했다.[8]

수입해 온 일본 애니메이션 중 드물게 정극 스타일의 애니메이션이라서 그런지, 한국 성우 더빙의 평가가 매우 좋다. 원작자도 극찬을 했을 정도. 한국어는 억양이 많이 조곤조곤한 편이라 일본의 가벼운 애니메이션 특유의 통통 튀는 억양은 소화하기가 쉽지 않은데 성우들 입장에서도 물 만난 고기인 셈이다.

1.4. 음악


파일:나무위키+유도.pn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애니메이션 데스노트의 OST에 대한 내용은 데스노트/애니메이션/OST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4.1. 주제가

1.4.1.1. OP1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the WORLD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OP1
the WORLD
TV ver.
<colbgcolor=#000000,#000000><colcolor=#ffffff,#ffffff> 노래 NIGHTMARE
작사 RUKA
작곡
편곡 NIGHTMARE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주제가 애니메이션 정보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000000,#000000><colcolor=#ffffff,#ffffff> 콘티 아라키 테츠로
츠네마츠 케이(恒松 圭)
모리야마 요우
연출 츠네마츠 케이
작화감독 미노와 유타카
}}}}}}}}} ||

오프닝 중간에 피에타 오마주 연출이 있는데, 이 연출은 후에 아라키 테츠로빈란드 사가 2기 2쿨 오프닝에서 재활용한다. 해당 장면은 아라키 테츠로 콘티로 보인다.
1.4.1.2. ED1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アルミナ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ED1
アルミナ
알루미나
TV ver.
<colbgcolor=#000000,#000000><colcolor=#ffffff,#ffffff> 노래 NIGHTMARE
작사 사키토(咲人)
작곡
편곡 NIGHTMARE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주제가 애니메이션 정보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000000,#000000><colcolor=#ffffff,#ffffff> 콘티 스즈키 노리미츠
연출
1인 작화
}}}}}}}}} ||
1.4.1.3. OP2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What's up\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OP2
What's up, people?!
TV ver.
<colbgcolor=#000000,#000000><colcolor=#ffffff,#ffffff> 노래 맥시멈 더 호르몬
작사 맥시멈 더 료쿤
작곡
편곡 맥시멈 더 호르몬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주제가 애니메이션 정보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000000,#000000><colcolor=#ffffff,#ffffff> 콘티 아라키 테츠로
연출 마스하라 미츠유키
작화 감독 카토 히로미
원화 와다 타카아키, 바바 미츠코, 이노우에 히데키
}}}}}}}}} ||

오프닝 중 아마네 미사가 꽃 위에 누워있는 장면을 전신샷+부감으로 찍는 연출은 후에 아라키 테츠로스파이 패밀리 오프닝에서 요르 포저로 재활용 한다.

온갖 색을 섞어놓은 채색은 모리야마 요우의 아이디어라고 한다.
1.4.1.4. ED2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絶望ビリー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ED2
絶望ビリー
절망 빌리
TV ver.
<colbgcolor=#000000,#000000><colcolor=#ffffff,#ffffff> 노래 맥시멈 더 호르몬
작사 맥시멈 더 료쿤
작곡
편곡 맥시멈 더 호르몬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주제가 애니메이션 정보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000000,#000000><colcolor=#ffffff,#ffffff> 콘티 이토 토모히코
연출
작화 감독 카가미 타카히로
}}}}}}}}} ||

1.5. 회차 목록

<rowcolor=#ffffff,#dddddd> 회차 제목[9] 각본 콘티 연출 작화 감독 방영일
제01화 新生
신생
이노우에 토시키 아라키 테츠로 아라키 테츠로
츠네마츠 케이
(恒松 圭)
키타오 마사루
카가미 타카히로
日: 2006.10.04.
韓: 2007.10.08.
제02화 対決
대결
타카오카 준이치
(高岡淳一)
이토 토모히코 코바야시 아케미 日: 2006.10.11.
韓:
제03화 取引
거래
사토 신지 츠치야 히로유키
(土屋浩幸)
아오키 마리코
(青木真理子)
日: 2006.10.18.
韓:
제04화 追跡
추적
안노 타카시 하부 나오야스
(羽生尚靖)
미야마에 신이치
(宮前真一)
日: 2006.10.25.
韓:
제05화 駆引
흥정
요네다 미츠히로
(米田光宏)
무라야마 코스케
하마츠 타케히로
(浜津武広)
코모리 히데토
(小森秀人)
日: 2006.11.01.
韓:
제06화 綻び
빈틈
코바야시 야스코 벳쇼 마코토 오유남
(おゆなむ)
김동식 日: 2006.11.08.
韓:
제07화 曇天
담천[10](먹구름)
요네무라 쇼지 히라타 토시오 이토 토모히코 타카오카 준이치
(高岡淳一)
日: 2006.11.15.
韓:
제08화 目線
시선
이노우에 토시키 벳쇼 마코토 코바야시 아케미 日: 2006.11.22.
韓:
제09화 接触
접촉
후쿠다 미치오 오카자키 유키오
(岡崎幸男)
사이죠 타카시
(西城隆詞)
日: 2006.11.29.
韓:
제10화 疑惑
의혹
타카오카 준이치 나가무라 신지
(長村伸治)
키노시타 유키 日: 2006.12.06.
韓:
제11화 突入
돌진
요네무라 쇼지 마츠오 신 하부 나오야스 미야마에 신이치 日: 2006.12.13.
韓:
제12화 恋心
연심
이노우에 토시키 안노 타카시 츠치야 히로유키 아오키 마리코 日: 2006.12.27.
韓:
제13화 告白
고백
후쿠다 미치오 요네다 미츠히로 무라야마 코스케
하타노 요시츠구
(秦野好紹)
하마츠 타케히로
아오노 아츠시
日: 2007.01.10.
韓: 2007.11.05.
제14화 友達
친구
요네무라 쇼지 이토 토모히코 타카오카 준이치 日: 2007.01.17.
韓: 2007.11.06.
제15화 賭け
도박[11]
코바야시 야스코 안노 타카시 오유남 장길용 日: 2007.01.24.
韓: 2007.11.07.
제16화 決断
결단
이노우에 토시키 히라타 토시오 벳쇼 마코토 김동준 日: 2007.01.31.
韓:
제17화 執行
집행
나카무라 료스케 코바야시 아케미 日: 2007.02.07.
韓:
제18화 仲間
동료
요네무라 쇼지 사사키 신사쿠 나가무라 신지 히나타 마사키
(日向正樹)
日: 2007.02.14.
韓:
제19화 松田
마츠다
코바야시 야스코 후쿠다 미치오 니시 에이코
(西 瑛子)
미야마에 신이치 日: 2007.02.21.
韓:
제20화 姑息
고식[12](잔꾀)
이노우에 토시키 사야마 키요코 츠치야 히로유키 아오키 마리코 日: 2007.02.28.
韓:
제21화 活躍
활약
요네다 미츠히로
아라키 테츠로
요네다 미츠히로 하마츠 타케히로
아오노 아츠시
니시이 테루미
日: 2007.03.07.
韓:
제22화 誘導
유도
야마모토 사요 하시모토 나오토
(橋本ナオト)
코바야시 아케미 日: 2007.03.14.
韓:
제23화 狂騒
광란[13]
요네무라 쇼지 사토 유조 이토 토모히코 요코타 마모루
타카오카 준이치
日: 2007.03.21.
韓:
제24화 復活
부활
오오하라 미노루
(大原 実)
시모다 히사토
(下田久人)
히나타 마사키 日: 2007.03.28.
韓:
제25화 沈黙
침묵
이노우에 토시키 아라키 테츠로 마스하라 미츠유키 카가미 타카히로
이노우에 히데키
日: 2007.04.04.
韓: 2007.11.28.
제26화 再生
재생[14]
이토 토모히코 요코타 마모루 日: 2007.04.11.
韓: 2007.12.31.
제27화 誘拐
유괴
이노우에 토시키 사야마 키요코 야마우치 토미오
(山内東生雄)
마루후지 히로타카
(丸藤広貴)
요코타 마모루
日: 2007.04.18.
韓: 2007.12.31.
제28화 焦燥
초조
후쿠다 미치오 니시 에이코 미야마에 신이치 日: 2007.04.25.
韓: 2008.01.01.
제29화 父親
아버지
사사키 신사쿠 이토 토모히코 요코타 신이치
(横田晋一)
타카오카 준이치
日: 2007.05.02.
韓: 2008.01.01.
제30화 正義
정의
요네무라 쇼지 나카무라 료스케 이토 히데키
(伊藤秀樹)
日: 2007.05.09.
韓: 2008.01.07.
제31화 移譲
이양[15]
코바야시 야스코 타카하시 토오루
(高橋 亨)
시모다 히사토 코바야시 아케미
니시이 테루미
日: 2007.05.16.
韓: 2008.01.07.
제32화 選択
선택
사야마 키요코 아오야기 히로노리
(青柳宏宣)
히나타 마사키 日: 2007.05.23.
韓: 2008.01.08.
제33화 嘲笑
조소[16]
요네무라 쇼지 사이토 테츠히토
(斉藤哲人)
신재익 日: 2007.05.30.
韓: 2008.01.08.
제34화 虎視
눈초리
오오하라 미노루 니시 에이코 미야마에 신이치 日: 2007.06.06.
韓: 2008.01.14.
제35화 殺意
살의
이노우에 토시키 이토 토모히코 요코타 신이치
타카오카 준이치
日: 2007.06.13.
韓: 2008.01.14.
제36화[17][18] 1.28 사야마 키요코 히라오 타카유키 타카하시 타쿠로오 日: 2007.06.20.
韓: 2008.01.15.
제37화[19] 新世界
신세계
아라키 테츠로 카가미 타카히로
니시이 테루미
日: 2007.06.27.
韓: 2008.01.15.

1.6. 해외 공개

1.6.1. 대한민국

대원미디어에서 정식으로 수입해 2007년 10월 8일부터 11월 28일까지 1기를, 2007년 12월 31일부터 2008년 1월 15일까지 2기를 산하 케이블 애니메이션 채널인 애니원 & 챔프에서 한국어 더빙 버전으로 방영했다. 번역 이윤미, 연출 심상백, 조연출 이제승. 영상 소스를 4:3 SD로 제공받아 방영했다.

오랜만에 심상백 PD가 연출을 맡아서[20] 당시엔 디시인사이드 성우 갤러리에서 "내 대원을 구원하리라" 라는 짤방이 유명했다.

방송 당시 꽤나 시청률이 좋게 나왔으며, 덕분에 재방송도 많이 했다. 2015년 7월 13일 밤 10시에 애니박스에서도 방영했다.

69명의 성우들이 투입되었으며, 한국의 거의 모든 성우극회에서 골고루 캐스팅이 이뤄졌다.[21] 덕분에 대원계열 작품 중에서 헌터×헌터 (1999)와 함께 보기 드물게 1인 다역이 적었고 각 성우들의 캐스팅도 적절했다. 데스노트에 출연한 한국 성우진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 사망한 성우는 †표시.
<rowcolor=#fff> 성우극회 참여한 소속 성우
KBS 성우극회[22] 곽윤상, 구자형, 김대중, 김정아, 김지혜, 노민, 민지, 배정미, 변현우, 사성웅, 서지연, 신찬혁, 안용욱, 위훈, 유지원, 유호한, 윤동기, 윤현정†, 이광수, 이재웅, 이현주, 임채헌, 장광, 진웅, 최문자, 최정호, 최창석, 최하나, 홍진욱
MBC 성우극회[23] 고성일, 김영선, 노계현, 류승곤, 박영화, 방성준, 송준석, 양준건, 유상우, 이민하, 이상범, 이상훈, 이원찬, 장성호, 정소영, 최한, 한경화
CJ ENM 성우극회[24] 김광국, 김기흥, 김정은, 박만영, 정명준, 한신정, 현경수, 홍범기
EBS 성우극회[25] 김은아, 김창열, 박웅선, 엄상현, 이소영, 전태열, 정영웅, 하성용
대교방송 성우극회[26] 권영호, 신한호, 이상헌, 이장우, 최은애, 홍승표
CBS 성우극회[27] 민응식

이런 역대급 캐스팅과 성우들의 열연 덕분에 대호평을 받아 역대 일본 애니메이션 한국어 더빙판 중 상위권에 놓이는 명품 더빙이라 칭송 받고 있는 작품으로 통한다. 한국판 바카야로이드까지 만들어질 정도로 고연령층 애니메이션 한국어 더빙작 중에선 꽤나 유명한 케이스.

주인공 라이토를 맡은 김영선과 라이벌 L을 맡은 엄상현은 어느 라디오 방송에서 이 애니메이션을 죽을 때까지 잊지 못할 작품이라고 언급했다.

파일:라프텔 로고 화이트.svg
라프텔 ONLY 애니메이션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0 -1px;"
취소선은 판권 만료 등으로 더 이상 서비스되지 않는 작품이다.
<rowcolor=#fff> 작품명 기수 비고
ARIA[1] 1기 · 2기
The OVA ARIETTA · 3기
자막판
마도조사 1기 · 2기·3기·마도조사Q 더빙판·자막판
자체 더빙[2]
괴도 세인트 테일 자막판
공의 경계 1장 · 2장 · 3장 · 4장
5장 · 6장 · 7장 · 종장
미래복음 · 미래복음 OVA
자막판
그 여름 자체 제작
더빙판·자막판
데스노트 더빙판
리마스터·자막판
너에게 닿기를 1기 · 2기 더빙판·자막판
리마스터
카우보이 비밥[3] 더빙판
리마스터
슈퍼 시크릿 자체 제작·더빙
오란고교 사교클럽 더빙판[4]
전직고수 더빙판·자막판
자체 더빙
학원 앨리스 더빙판
마도조사Q 자막판
다!다!다![5] 더빙판
달의 요정 세일러 문 더빙판
가정교사 히트맨 REBORN! 더빙판
충사 자막판
시맨틱 에러 자체 제작·더빙
꿈빛 파티시엘 1기 · 2기 더빙판
리마스터
미궁 블랙 컴퍼니 자막판
빙과 자막판
ID:INVADED 자막판
철야의 노래 자막판
쓰레기의 본망 자막판
토라도라! 자막판
강철의 연금술사 더빙판
듀라라라!! 자막판
Angel Beats! 자막판
사랑하는 소행성 자막판
플라스틱 메모리즈 자막판
시광대리인 -Link Click- 1기 · 2기 · 외전 더빙판·자막판
자체 더빙[6]
투패전설 아카기 자막판
괴 ~ayakashi~ 자막판
미래일기 자막판
스즈미야 하루히의 우울 (2009) 자막판
바보와 시험과 소환수 1기 · 2기 자막판
{{{#!wiki style="margin: 0px 0px -20px" }}}}}}}}}

[1] 22. 04. 30.[2] 3기는 자막판만 제공.[3] 22. 10. 31.[4] 오란고교 호스트부 자막판은 다른 OTT에서도 제공.[5] 23. 11. 30.[6] 더빙판은 1기만 제공.

파일:데스노트 ??? 이미지.jpg
2020년 1월 18일 4시 44분부터 라프텔에서 한국어 더빙판을 독점으로 서비스하고 있다.

1.7. 평가

파일:메타크리틱 로고.svg
스코어 없음/100 유저 평점 9.2/10
파일:로튼 토마토 로고 화이트.svg
신선도 100%
관객 점수 95%
파일:IMDb 로고.svg
유저 평점 9.0/10
(IMDb Top 250 TV 27위)
왓챠
사용자 평균 별점 4.2 / 5.0
Laftel
사용자 평균 별점 4.2 / 5.0

매드하우스 불세출의 명작들 중 하나[28]이자 원작의 설정과 스토리를 살린 훌륭한 연출과 성우들의 열연이 돋보이는 애니. 종영 후 10년은 족히 넘은 현재까지도 원작 초월 명작 애니메이션 중 하나를 꼽자면 반드시 최상위권 안에 들어가 있는 작품이다. 특히 이 작품은 20대의 젊은 신인 감독과 20대의 젊은 신인 프로듀서의 데뷔작인데, 상당한 모험이었음에도 불구하고 대중들에게 찬사를 받은 작품이 완성되었다.[29]

1.7.1. 작화

실력파 애니메이터들이 많이 참가하지 않았기 때문에 그림체를 유심히 관찰하면 완벽하다고 할 수 없다. 프로듀서, 감독 모두 이 작품이 데뷔작이었기 때문에 별다른 인맥 섭외를 하지 못했다. 대부분의 애니메이터가 매드하우스 소속 아니면 평소에 매드하우스 작품에 자주 참여하던 프리랜서들로 구성되어있다.[30] 그리고 원작 만화 자체가 그리 동적이지 않기 때문에 [31] 동화매수가 많지 않아서 캐릭터들의 애니메이팅이 매끄럽지 않고 딱딱할 때도 있다. 하지만 팬들 사이에서는 작화가 좋은 일본 애니를 꼽을 때 꽤 많이 거론된다. 그 이유는 다음과 같다.
  • 중요한 장면에만 작화에 섬세한 공을 들였기 때문에 조금이나마 퀄리티를 높였다.
  • 아라키 테츠로 감독 특유의 과감한 색조 배색과 광원 이펙트로 소위 화면 때깔이 좋아서 라이트팬들에게는 작화가 굉장히 좋아 보인다.
  • 무엇보다 원작 만화와 애니가 독특한 소재들로 워낙 유명한 것 덕분에 평소 애니메이션을 잘 안 보는 사람들도 최소한 이 작품은 봤다. 그래서 본 적 있는 작품이 얼마 안 되기 때문에 꼭 이걸 꼽을 수밖에 없다.
전반적으로 섬세한 작화보다는 후보정을 위시한 촬영이 뛰어난 작품으로, 촬영의 중요성을 재조명한 영상물들 중 하나.

1.7.2. 연출

이 문서에 스포일러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이 문서가 설명하는 작품이나 인물 등에 대한 줄거리, 결말, 반전 요소 등을 직·간접적으로 포함하고 있습니다.


가장 인상적인 특징은 작품 특유의 어둡고 사악하며 퇴폐적이고 광기에 가득찬 분위기를 살리는 데에 기여한 광원, 색채, 속도감의 완급 조절을 잘 연출한 것이다. 아라키 테츠로 감독과 이토 토모히코 조감독이 이쪽 방면 연출에 굉장히 특출난 걸로 유명하므로 그 능력을 완전히 발휘한 것으로 볼 수 있다. 특이한 점은 아라키 테츠로 감독은 제작 시점 나이가 28세였으며, 이토 토모히코 조감독은 26세였다. 심지어 아라키 테츠로는 본작이 TVA 감독 데뷔작이었다.

게다가 애니메이터 라인업에 비해 연출가들은 초호화로 구성했다. 당시 매드하우스의 사장이자 기획을 맡은 마루야마 마사오의 인맥이 많이 동원되었다. 안노 타카시[32], 히라타 토시오 등 다른 작품에서는 보기 힘든 거장 감독들부터 이토 토모히코, 사토 유조, 야마모토 사요, 마스하라 미츠유키, 사사키 신사쿠, 벳쇼 마코토, 사야마 키요코, 후쿠다 미치오, 히라오 타카유키, 마츠오 신, 나카무라 료스케, 사토 신지 등 실력 좋은 연출가들이 연출로 대거 참여했다.[33]

한편 이렇게 어두운 분위기를 살리다보니 특정 장면에서 꽤나 극적인, 과장된 연출을 행하기도 한다. 대표적인 예로 1부 초반에 등장하는 라이토의 "감자칩을… 먹는다!"와 작중 미카미 테루의 주 대사인 "삭제!"의 연출[34] 마치 뮤지컬이나 연극을 보듯이 과한 몸짓과 웅장한 음악을 삽입했는데, 그런 연출이 컬트적인 인기를 얻게 되었다. 하지만 감독 본인은 1화에서는 정적인 분위기의 원작을 조금 더 활기있게 만들기 위해서 그렇게 연출한 것인데, 만약 반응이 좋지 않았다면 완전히 호러 스타일로 노선을 변경했을 것이라고 한다. 그리고 반응이 좋아서 계속하게 된 것이라고 한다. 이후 호러 스타일 연출은 그다지 비중을 두지 않았으며, 서스펜스에 더 집중했다고 밝혔다. 나중에 밝히길 계속 대화장면만 연출하니까 움직임의 즐거움이 너무 없는 것 같아서 노트에 적는 장면들만이라도 액션씬 처럼 만들자는 방향을 정했다고 한다.

파일:F4w7hg2.gif

파일:aZRRiQe.gif

원작에는 나오지 않는 오리지널 장면도 추가해서 작중 분위기와 캐릭터의 감정을 최대한 살린 연출도 돋보인다. 대표적인 장면이 미소라 나오미의 최후. 라이토가 "키라니까요"라고 선언한 후, 그 짧은 순간에 모든 진실을 알아차린 듯 안색이 절망감으로 새파래짐과 동시에 몇 초 전까지 키라를 직접 잡을 수 있었다는 희망으로 초롱초롱하던 눈빛이 그 찰나의 순간 동안 절망으로 변하는 연출이 압권이다. 이때의 표정변화는 말 그대로 '희망과 절망의 상전이'. 원작에서는 "대체 그게 무슨……?"이라며 당황하다 데스노트의 룰에 따라 그냥 자리를 떠서 조금 밋밋한 느낌을 주지만, 애니판에선 소름끼치게 각색되었다. 그리고 라이토를 등지고 길을 걸어가는 장면에 교수대 위로 올라가는 모습을 겹치게 보여주며 그녀가 데스노트에 적힌대로 조용히 죽음을 맞이하러 간다는 설정을 간접적으로 보여줘 정말 소름끼치게 한다.

25화에서는 L라이토의 발을 닦아주는 장면도 자주 회자되는데 신약성서에 나온 예수유다의 배신을 눈치챘음에도 발을 닦아주었던 유명한 일화의 오마쥬라고 한다. 성서에선 죄를 저지른 제자 유다를 스승 예수가 용서한다는 의미이지만, 여기선 라이토를 키라로 확신하고 있지만 결정적인 증거를 잡지 못해 안절부절하지 못하는 L의 심정을 나타내는 장면이라고 볼 수 있다.[35]

그리고 그 25화의 도입부에서 과거 와미즈 하우스와 와타리의 손을 잡고 처음 들어오게 된 어린 L의 모습, 그리고 자길 찾아와서는 아무 말도 안하는 L을 본 와타리가 평소와 다르게 '왜 그러니?'라고 말하는 장면이 나온다. 이는 원작에서 추리 기계로 묘사된 L의 인간적인 면모와 고뇌를 상징한다.

그리고 최종화에서 모든 게 까발려지고 창고에서 도망친 라이토가 류크에 의해 숨을 거두며 눈빛이 예전의 초롱초롱한 때로 돌아온 오리지널 장면도 방송당시 엄청난 화제를 몰고 왔다. 원작과 다르게 연출된 부분이기 때문에 '감독이 여성 오타쿠 세력과 결탁했다'고 질타한 경우도 있지만 그보다는 감독이 '원작과는 다른 결말'을 그리고 싶었던 것으로 보인다. 당시엔 감독이 신인이었기에 이런 말이 나온 것이지만, 아라키 테츠로 감독의 성향을 고려한다면 브라이언 드 팔마를 비롯한 네오 느와르 영화[36]의 오마주적인 느낌으로 그런 결말을 지은 것으로 보인다. 애초에 그 라이토조차도 잠깐이나마 범죄자라도 사람의 생명은 존귀하다 생각하는 묘사가 있었던 데다가, 대척점인 L도 니아도 멜로도 절대선으로 묘사된 적이 없기 때문에 저런 장면이 나와도 딱히 이상할 게 없다.

캐릭터들이 마음 속으로 생각 중일 때의 특정 컬러를 부각시키는 연출도 박수를 받았다. 대표적으로 라이토에게 강렬한 빨간색 / L에게 파란색을 부여해 라이벌인 두 캐릭터가 색깔로도 대비되는 느낌이 나도록 만들었다.[37] 성우들의 연기도 호평을 받은 건 두말하면 입아픈 수준.[38]

하지만 등장인물들의 심리상태 묘사 및 대사는 꽤 많이 생략되었거나 축약된 건 아쉬운 부분으로 꼽힌다. 대표적으로 24~25화 부분에서(원작은 55~57화)와 2부 전반에 빠진 내용이 꽤나 많다[39]. 그래서 멜로를 비롯한 일부 캐릭터들의 비중이 줄었고 니아는 박수무당 이미지가 생겼다. 또한 1부에 등장하는 3번째 키라(히구치 쿄스케)가 원작에서는 장기간 실루엣으로 처리하며 비밀스러움을 강조했는데, 애니판에선 매우 빨리 드러난 것 또한 아쉬운 점 중 하나다. 인터뷰에 따르면 아라키 테츠로 감독은 대사를 줄이는 방향으로 제작했다고 한다. 대사보다는 영상, 미장센 등으로 스토리텔링을 하는 방침으로 연출했으며, 특히 1부의 클라이막스인 25화는 원작의 어마어마한 대사를 최대한 줄여서 본인만의 방식으로 유종의 미를 거두고 싶었다고 한다.[40] 실제로 25화는 몽타주 연출과 아라키 감독 특유의 고속 편집이 적극 활용되었다. 이게 아니더라도 원작의 대사량이 다른 만화에 비해 지나치게 길어 이걸 애니에 그대로 반영하면 이야기 전개가 극도로 느려진다.

ufotable 하청으로 만든 36화도 호평받았다. 최종화 직전 빌드업과 서스펜스 연출이 극에 달한 에피소드다. 다만 36화 콘티는 사야마 키요코가 맡았는데 정작 연출은 전형적인 아라키 테츠로 스타일이다.[41]

최종화인 37화에서는 원작의 콘크리트 자유형에 비견되는 환상의 봉산탈춤을 보여주었다. 이후 니코니코 동화 등에서 방영된 직후부터 현재까지도 각종 개그 동영상의 필수적인 소재로 주구장창 활용되고 있다.

2. 리라이트

파일:Deathnote_relight1.jpg

TVA와는 별도로 데스노트 완전결착 Rewrite라는 애니메이션이 존재한다. 극장판 형식으로 총 2편의 리라이트 애니메이션이 만들어졌다.

사신계로 돌아간 류크에게 어떤 사신이 나타나 인간계에서 있었던 일을 묻는다. 이걸 류크가 회상하는 식으로 라이토의 행적을 말하는 게 주된 내용. 즉, TVA 스토리의 총집편이라는 뜻이다.

한국에서 더빙도 이뤄졌다. 2편의 경우 대원방송 성우극회가 설립된 이후 제작되었기 때문에 일부 조역급 배역[42]이 당시 전속이던 1기 성우들로 교체되었다. 한국 방영일의 경우 1탄은 2008년 3월 3일, 2탄은 2011년 6월 29일.

2.1. 완전결착 리라이트: 보이지 않는 신

DEATH NOTE : R - 幻視する神 (데스노트 리라이트 - 보이지 않는 신)

작중 시간대는 니아가 키라에게 승리한 후. 즉, 야가미 라이토가 죽은 후. 사신계로 돌아온 류크에게 ST라는 사신이 찾아오면서 이야기가 진행된다.

기본적으로 류크의 회상식으로 진행되는데 라이토가 데스노트를 주운 시점부터 L의 사망까지의 스토리를 복습하는 작품이다. 중간중간 오리지널 TVA에는 없는 장면이 추가되었다. 반대로 오리지널 애니에서는 삭제되었거나 요약, 또는 축약된 장면도 있다.

또 원작이랑 달라진 장면도 많다. 예를 들어 경찰이 보낸 가짜 키라에 대한 제2의 키라의 답변 영상을 봤을 때 원작에서는 수사 사람들 전원이 같이봤는데 완전결착에서는 L이 있는 시설에 영상상영실 같은 곳에서 L과 라이토 단 둘이 본다. 원작에서 L은 영상에서 제2의 키라가 사신을 언급할 때 기겁을 하는데 완전결착에서는 이미 영상을 보고 라이토의 반응을 보고 떠보는 상황으로 바뀌었다. 이 자식 안 되겠어 빨리 어떻게든 하지 않으면(駄目だこいつ…早く何とかしないと…)이라는 대사는 재더빙으로 인해 억양이 조금 달라지긴 했다.

그리고 L이 사망한 이후, 라이토가 L의 무덤에서 조롱하는 장면이 추가되었는데 꽤나 오싹하다.[43]
"이걸로 방해꾼은 전부 사라졌어. 다른 자들은 날 철석같이 믿고 있지. 경찰을 지배하는 것도 시간문제야! 어떠냐, L! 완전히 나의 승리다! 나의 승리야!"[44]

2.2. 리라이트 2: L을 잇는 자

DEATH NOTE : R2 - Lを継ぐ者 (데스노트 리라이트 2 - L을 잇는 자)

L의 사망 후 라이토와 니아의 대결의 총집편 2시간 스페셜. 이번에도 마찬가지로 오리지널 TVA에서 수정된 장면, 추가된 장면이 많다. TVA와는 연출이나 작화가 미묘하게 다른 부분도 있는데 재녹음으로 인해 연기톤도 달라졌다. 특히 마지막에 라이토가 마츠다에게 "바카야로!!"와 이후에 나오는 대사를 외칠 때 가장 차이가 난다.

결말은 같지만 스토리 전개부분에서 상당히 많이 달라졌다. 특히 멜로의 비중이 많이 줄어들었다. 멜로가 저지른 경찰청장 납치, 야가미 사유 납치 사건은 나오지 않았다. SPK 멤버 대부분을 죽인 것도 멜로가 아닌 라이토의 명령을 받은 미카미 테루로 변경되었다. 멜로 소탕 작전에 대한 내용도 사라져 야가미 소이치로가 죽는 장면도 나오지 않았다.

그리고 TV 프로그램에서 키라를 지지하는 사람들과 키라를 반대하는 사람들 사이에서의 토론이 벌어지는데 라이토의 지시를 받은 미카미가 키라를 반대하는 사람들을 데스노트로 학살하는 장면이 TV 생중계로 그대로 방송되는 섬뜩한 장면도 나온다.

또한 원작과 기존 애니메이션에서는 L의 사망 이후 라이토가 경찰청 내부에 있으면서 라이토 본인이 사신의 눈을 가진 아마네 미사의 도움을 받아서 직접 범죄자 심판을 하고 있었다는 설정이었다.[45] 완전결착에서는 경찰청 입성과 동시에 미카미에게 범죄자 심판을 지시하는 장면이 나왔다.

그래서 마지막의 바카야로! 부터 재녹음했다고 볼 수 있다. 리라이트 2에서는 야가미 소이치로가 수사를 할 수 없는 상황이라고 라이토에 의해 언급되며 단 한 번도 등장하지 않았다. 사유와 사치코도 마찬가지로 미등장, 원작과 애니메이션에서 집안이 풍비박산난 것[46]에 비하면 나은 결말이긴 하다.


[1] 아라키 테츠로의 아내.[2] 당시 파프리카는 미디어 예술제 출품 때문에 제작이 길어졌다고 한다.[3] 2017년 후지츠 료타가 진행한 감독들의 관리 경영 특집 인터뷰[4] 아라키 테츠로는 2017년 인터뷰 말고도 2009년 인터뷰에서도 자신의 신인 시절 감독작들은 리더로서 부적합했다고 자학해왔다.[5] 보통 소수점으로 나오기 때문에 1%만 넘어도 이례적인 일로 평가받는다. 3%를 넘은 건 매우 크게 성공한 것이다.[6] 애니메이션이 원작보다 라이토가 태어난 해가 3년 늦기 때문에 라이토의 사망 년도가 다르다. 작품 자체의 시대적 배경 역시 3년 느리다. 원작에서 라이토가 데스노트를 습득한 시기가 2003년 11월 28일이며 애니메이션에서는 2006년 11월 28일이다.[7] 이전부터 매드하우스의 하청을 자주 맡았다.[8] 복수국적자는 불명이지만, 단일국적자이며 죽이고 싶은 사람의 이름을 반드시 대상의 모어로 해야 한다는 데스노트의 규칙 + 한국계 범죄자들도 라이토가 처단했을 가능성이 높으니 설정을 충실히 지킨 장난이라 볼 수 있다.[9] 한국어 번역 제목은 정식 방영사인 애니원, 챔프TV 방영판을 기준으로 한다.[10] 흐린 하늘[11] 賭け는 거래라는 뜻도 있음.[12] 일시적 변통. 임시변통. 탈이 없는 잠시동안의 안정.[13] 광란은 狂乱이고 狂騒는 광조(狂躁), 광소. 시끄럽게 떠들어댄다는 뜻.[14] 이 방영분의 앞쪽 절반은 이전까지의 내용을 L이 만든 보고서의 형태로 총집한 것이다. 원작에는 잘 나오지 않는다.[15] 남에게 넘겨주는 일[16] 비웃음[17] ufotable 하청 편.[18] 원화 나카무라 마코토, 이노우에 히데키, 코바야시 아케미, 소우자키 노부요시(宗崎暢芳), 이마무라 타이키(今村大樹), 이바루 타카히코(阿比留隆彦), 니이츠마 다이스케(新妻大輔), 카토 히로미, 키타오 마사루.[19] 원화 니시이 테루미, 바바 미츠코, 이노 마리에, 우마코시 요시히코, 카가미 타카히로, 타카하시 카즈노리, 시다 나오토시, 사토 마사유키, 하마스 히데키, 이노우에 히데키, 키타오 마사루 등.[20] 그가 연출을 맡은 최후의 작품으로, 이후엔 대원방송 관련 실무 업무만 맡고 있다.[21] 참고로 대원방송 성우극회는 2008년에 창설되어 1기 성우를 뽑았기 때문에 시기 상 목록에 이름이 존재할 리 없으며, CPBC 성우극회는 소속 성우들의 애니메이션 출연이 거의 없다시피 하므로 논외. 다만 후술한 것처럼 대원방송 성우들은 완전결착 2에서 출연하기는 했다.[22] 극회 내와 성우진 전체적으로 최고참이자 최고령은 노민.[23] 극회 내 최고참이자 최고령은 박영화.[24] 극회 내 최고참은 김광국, 김정은, 박만영, 정명준(남) / 한신정(여). 최고령은 정명준.[25] 극회 내 최고참은 이소영. 최고령은 박웅선.[26] 극회 내 최고참은 권영호이장우. 최고령은 권영호.[27] 현재 CBS에 소속되어 있는 출연자는 민응식 1명이다.[28] 매드하우스에서 만든 일본 애니메이션들 중 2차 매체 판매량 10,000장이 넘은 다섯 작품들 중의 하나이다.[29] 엄밀히 따지면 아라키 테츠로 감독의 경우 이미 30분 짜리 단편 OVA로 데뷔했었지만, 제대로 된 장편 TVA 데뷔작은 이 작품이다.[30] 물론 간혹 우마코시 요시히코, 이노우에 히데키 같은 사람들이 게스트로 참여는 했지만 비중이 크진 않다.[31] 데스노트는 점프에서도 사도에 속하는 만화라 머리 싸움이 대다수고 몸을 움직이는 액션 장면은 상대적으로 많지 않다. 오바타 타케시의 작화도 회화적인 경향이 강한 편.[32] 안노 타카시는 본작의 감독 아라키 테츠로가 존경하는 인물 중 하나다.[33] 다만 이 인물 중 절반은 신인 시절 아라키 테츠로의 리테이크 강행군에 질려서 불만을 표출하고 이후로 협업하지 않고 있다. 여기서 이후로도 협업하는 이토 토모히코, 사토 유조, 히라오 타카유키 같은 사람은 아라키 테츠로와 사적으로 매우 친한 지인이라 협업하는 것으로 아라키와 별로 이전에 접점이 없었던 인물들은 사실상 다 손절했다고 봐도 무방하다.[34] 사실 노트를 적는 행위를 칼부림으로 사람을 죽이는 듯한 연출로 만들었다고 할 수 있다.[35] L은 라이토와 미사가 키라라는 증거를 다수 모아서 100% 증명하기 직전까지 갔으나, 라이토가 노트의 소유권을 포기하면 관련 기억을 몽땅 잊는다는 룰을 교묘하게 이용해 자신과 미사의 결백을 증명할 증거를 역으로 쫘악 깔아놓았다. 여기에 제대로 놀아난 L은 여태까지 강하게 밀어붙힌 라이토 키라설이 부정되어 키라 수사본부 내에서의 입지가 엄청나게 좁아진 상황이라 저런 행동을 보일만 하다.[36] 예를 들자면 스카페이스.[37] 원작에선 라이토가 무색투명 / L은 금색의 테마색을 배정받았다.[38] 단, 스즈미야 하루히의 우울 TVA를 바탕으로 당시 급푸쉬를 받는 과정에서 캐스팅된 것으로 보이는 아마네 미사 역의 히라노 아야는 미스캐스팅 + 연기 퀼리티가 좋지 않다는 지적을 많이 받았다.[39] 당연한 것이 비슷한 권수의 분량인데 2부는 1부의 절반의 화수밖에 매당받지 못했기 때문이다.[40] 25화 콘티는 아라키 테츠로 감독 본인이다.[41] 원래 아라키 테츠로는 콘티를 많이 고치는 것으로 유명하다. 그래서 콘티의 경우 크래딧을 100%신뢰하기 힘든 감독이다. 특히 데스노트 같은 초기작들은 심한 편.[42] 이때 교체된 배역은 모기 칸조, 이데 히데키, 와타리, 앤소니 레스터, 스테판 제반니, 할 리드너.[43] 이를 지켜보는 류크도 소름끼쳐하는 표정이 압권이다.[44] 이 대사 직전에 TVA판 최종화의 광소 장면을 그대로 사용한 연출로 웃는 모습이 나온다.[45] 원작과 애니메이션에선 미사의 데스노트가 계속 땅에 묻혀있어서(라이토가 미국 전역의 마피아들을 데스노트로 전멸시킬 때에 다시 땅에서 꺼내오기는 했다), L의 사망 이후로 약 4년 동안 범죄자 심판은 야가미 라이토가 렘이 죽으면서 남겨놓은, 렘의 데스노트로 본인이 실행하였다.[46] 아버지는 순직, 아들은 키라라는 정체가 발각되고 사망(모든 진실이 극소수의 인물만 아는 형태로 은폐된 것을 생각하면 표면상 순직 처리되긴 했을 것이다.), 딸은 요양원 신세를 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