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12-05 23:22:19

데이비스 컵

데이비스 컵®
파일:1920px-Logo_Davis_Cup.svg.png
<colbgcolor=#269373><colcolor=#fff> 정식 명칭 데이비스 컵
영문 명칭 Davis Cup
창설 연도 1900년([age(1900-01-01)]주년)
최근 우승팀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이탈리아(3번째 우승)
최다 우승팀 파일:미국 국기.svg 미국(32회)
링크 공식 홈페이지

1. 개요2. 역사3. 대회 방식 (2019년 개편안)
3.1. 존 그룹3.2. 월드 그룹3.3. 파이널스(최종본선) 진출전3.4. 데이비스 컵 파이널스3.5. 2025년 개편안
4. 역대 대회 일람
4.1. 국가별 우승 기록4.2. 전패준4.3. 선수 개인 기록

[clearfix]

1. 개요

데이비스 컵(Davis Cup)은 ITF에서 주관하는 남자 테니스 국가 대항 토너먼트이다. 1900년 미국과 영국 간의 대결로 처음 시작되었고, 현재는 "테니스계의 월드컵(World Cup of Tennis)"이라고 불리며 매년 열리고 있다.[1]

대한민국은 1960년에 처음 출전하였으며, 1981년, 1987년, 2008년, 2022년, 2023년에 월드 그룹 16강에 진출한 것이 역대 최고 성적이다.

2. 역사

파일:데이비스 컵 트로피.webp
데이비스 컵 트로피

1899년 하버드 대학교 소속 테니스 팀원 4명이 미국과 영국이 승부를 겨루는 대회를 만들자는 아이디어를 고안했고, 미국 테니스 협회 초대 회장인 제임스 드와이트의 지원 하에 양국의 테니스 협회로부터 승인을 받게 되었다. 이에 하버드 선수들 중 한 명인 드와이트 데이비스(Dwight F. Davis)는 토너먼트 형식을 고안해냈으며, 이듬해인 1900년 미국 매사추세츠주 보스턴의 롱우드 크리켓 클럽(Longwood Cricket Club)에서 첫 대회가 열린 것이 시초이다. 처음에는 ‘International Lawn Tennis Challenge' 명칭을 가졌으나, 드와이트 데이비스가 자비로 직접 우승컵을 준비해오면서 그의 이름을 따 ‘Davis Cup’으로 불리게 되었다.

처음 4년간은 미국과 영국 두 나라 간의 대결이었으나, 이후 1904년에 프랑스벨기에가 처음으로 참여하였고, 1905년에는 오스트리아오스트랄라시아(호주·뉴질랜드 연합 팀)가 합류했다. 1912년 국제테니스연맹(ITF)이 창설되면서 연맹 산하 대회가 되었고, 이후 1913년에는 독일, 캐나다, 남아프리카 공화국, 1920년에는 네덜란드, 1921년에는 7개국[2], 1922년에는 루마니아하와이 단일팀이 추가로 참가하며 점점 대회 규모가 커졌다.

아일랜드스위스가 합류하면서 총 18개 국가팀이 모인 1923년에는 '아메리카 존'과 '유럽 존'으로 분리해 조를 나누어 대회를 진행하는 방식을 도입했다. 1971년까지는 전년도 우승팀이 결승전에 자동 진출하는 타이틀 방어전 형식이었기에, 유럽 존과 아메리카 존의 승자가 맞대결을 치르고 이긴 팀이 전년도 우승팀과 결승전을 치르는 방식이었다.

이후로도 매년 꾸준히 참가국이 늘면서 60년대에는 40여개 국, 90년대에는 80여개 국, 현재는 150개국 이상이 참가하고 있다. 따라서 현재는 아메리카 존, 유럽 존, 아시아·오세아니아 존, 아프리카 존으로 나누어 예선전을 진행한다.

1972년에 타이틀 방어전 방식을 폐지하여 이제 전년도 우승팀도 토너먼트를 거치게 되었으며, 1973년부터는 프로 선수들의 참가가 허용되었다. 참고로 1900년부터 1973년까지 74년 동안 단 4개국(미국, 영국, 프랑스, 호주[3])이 우승을 독식했는데, 1974년에 남아프리카 공화국이 상술한 4개국을 제외하고 첫 우승을 차지하였다.

1981년 들어 현재의 월드 그룹, 존 그룹 대회 방식이 채택되었다.

3. 대회 방식 (2019년 개편안)

두 국가 간의 맞대결을 하나의 타이(tie)로 칭한다.

라운드 로빈 방식으로 진행되는 존 그룹과 데이비스 컵 파이널스는 하나의 타이가 단식 두 경기와 복식 한 경기로 구성되어 있으며 두 경기를 먼저 이기는 국가가 승리한다.[4] 반면, 홈-어웨이 방식으로 치러지는 월드 그룹과 최종본선 진출전의 경우, 하나의 타이를 이틀에 걸쳐 5판 3선승제로 진행한다. 첫째 날 단식 2경기와 복식 1경기, 둘째 날 단식 2경기를 치르는 게 원칙이나, 만약 한 팀이 첫 날 3승을 모조리 거둔다면 남은 두 경기는 치르지 않는다. 또한 전에는 5세트제였으나 2019년 개편 이후 모든 경기가 3세트제가 되었다.

대회 레벨은 존 그룹, 월드 그룹, 최종본선 진출전, 파이널스, 파이널 8 순으로 올라가며, 최종 16개국이 참가하는 데이비스 컵 파이널스부터가 본격적인 본선이라고 볼 수 있다. 통상적으로 존/월드 그룹과 최종본선 진출전은 1월 말~2월 초에 진행되며, 데이비스 컵 파이널스(조별 리그)는 9월, 최종 8개국이 치르는 파이널 8 토너먼트는 11월에 치러진다.

3.1. 존 그룹

Zone Group (III, IV, V)

존(Zone)은 아메리카 존 / 유럽 존 / 아프리카 존 / 아시아·오세아니아 존 네 구역으로 나뉜다.[5] 각각의 존은 그룹 III~V로 다시 나뉘어져 있으며, 각 그룹 스테이지는 라운드 로빈 방식으로 치러지며, 각 타이는 3판 2선승제다. 하위 그룹에서 좋은 성적을 거두면 다음 해에 상위 그룹으로 승격된다. 예를 들어, 그룹 III에서 최싱위 성적을 거둔 세 국가는 다음 해에 월드 그룹 II 플레이 오프로 승격되고 최하위 두 국가는 그룹 IV로 강등된다.

3.2. 월드 그룹

World Group (Play-offs) I, II

그룹 I, II는 존과 상관 없이 월드 그룹으로 묶인다.[6] 그룹 III~V에서의 라운드 로빈 방식이 아니라 홈-어웨이 방식으로 단 한 번의 타이(5판 3선승제)만 진행하여 승리 팀은 승격, 패배 팀은 강등된다. 가장 낮은 라운드인 월드 그룹II 플레이오프부터 월드 그룹 II, 월드 그룹 I 플레이오프, 월드 그룹 I 순으로 승격된다. 월드 그룹 I에서 승리한 12개국은 데이비스 컵 퀄리파잉 라운드에 진출한다.

3.3. 파이널스(최종본선) 진출전

Davis Cup Qualifying Round

전년도 파이널스에 진출한 16개국 가운데 우승·준우승국과 와일드 카드 둘을 제외한 12개국과 전년도 월드 그룹 I에서 승리를 거둔 12개국 간의 타이로 이루어진다. 홈-어웨이 방식으로 각 타이에서 승리한 팀이 파이널스 조별 리그에 진출한다. 월드 그룹과 마찬가지로 각 타이는 이틀에 걸쳐 5판 3선승제로 치러진다.

3.4. 데이비스 컵 파이널스

Davis Cup Finals

전년도 우승·준우승 국가와 와일드 카드 2개국, 최종본선 진출전에서 올라온 12개국으로 총 16개국이 참가한다.[7] 통상적으로 9월에 치러지며 여기서부터를 본격적인 본선이라고 볼 수 있다. [8]

조별 리그의 경우 4팀씩 4개 조로 나누어 서로 다른 지역(국가)에서 라운드 로빈을 진행한다. 각 타이는 3판 2선승제로 진행하고 2승을 먼저 거두더라도 3경기를 전부 치른다. 이를 통해 결정된 각 조의 1,2위는 파이널 8에 진출하며, 8강전부터는 토너먼트 방식으로 진행된다. 마찬가지로 3판 2선승제이지만, 단식에서 2승을 거둔다면 최종 복식 경기는 진행하지 않는다. 통상적으로 조별 리그는 US 오픈 후 9월 10일 근처, 파이널 8 토너먼트는 ATP 파이널스 후 11월 20일 근처에 치러진다.

3.5. 2025년 개편안

2025년부터는 파이널 8에 진출하는 8개 팀을 가리는 방식이 달라진다. 16개국이 4개 팀으로 나뉘어 치르는 파이널스 조별 리그 대신, 홈-어웨이 방식의 최종본선 진출전(Qualifiers)을 두 라운드로 나누었다.
1월 말~2월 초에 치러지는 1라운드에서 전년도 파이널스에 진출한 14개국[9]과 전년도 월드 그룹 I에서 승리한 12개국, 총 26개국이 홈-어웨이 방식으로 5판 3선승제 타이를 치른다. 그리고 9월 중순 2라운드에서 전년도 준우승 팀과 1라운드에서 승리한 13개국, 총 14개국이 홈-어웨이 방식으로 5판 3선승제 타이를 치러 승리한 7개 팀이 전년도 우승 팀과 함께 파이널 8에 합류한다. 이후 11월에 최종 8개이 결선 토너먼트를 치르는 것은 전과 같다.

4. 역대 대회 일람

<rowcolor=#fff> 연도 개최 장소 우승팀
1900 보스턴 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1902 뉴욕시 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1903 보스턴 파일:영국 국기.svg 영국
1904 런던 파일:영국 국기.svg 영국
1905 파일:영국 국기.svg 영국
1906 파일:영국 국기.svg 영국
1907 호주·뉴질랜드 연합팀
1908 멜버른 호주·뉴질랜드 연합팀
1909 시드니 호주·뉴질랜드 연합팀
1911 크라이스트처치 호주·뉴질랜드 연합팀
1912 멜버른 파일:영국 국기.svg 영국
1913 런던 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1914 뉴욕시 호주·뉴질랜드 연합팀
1919 시드니 호주·뉴질랜드 연합팀
1920 오클랜드 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1921 뉴욕시 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1922 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1923 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1924 필라델피아 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1925 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1926 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1927 파일:프랑스 국기.svg 프랑스
1928 파리 파일:프랑스 국기.svg 프랑스
1929 파일:프랑스 국기.svg 프랑스
1930 파일:프랑스 국기.svg 프랑스
1931 파일:프랑스 국기.svg 프랑스
1932 파일:프랑스 국기.svg 프랑스
1933 파일:영국 국기.svg 영국
1934 런던 파일:영국 국기.svg 영국
1935 파일:영국 국기.svg 영국
1936 파일:영국 국기.svg 영국
1937 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1938 필라델피아 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1939 해버포드 파일:호주 국기.svg 호주
1946 멜버른 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1947 뉴욕시 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1948 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1949 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1950 파일:호주 국기.svg 호주
1951 시드니 파일:호주 국기.svg 호주
1952 애들레이드 파일:호주 국기.svg 호주
1953 멜버른 파일:호주 국기.svg 호주
1954 시드니 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1955 뉴욕시 파일:호주 국기.svg 호주
1956 애들레이드 파일:호주 국기.svg 호주
1957 멜버른 파일:호주 국기.svg 호주
1958 브리즈번 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1959 뉴욕시 파일:호주 국기.svg 호주
1960 시드니 파일:호주 국기.svg 호주
1961 멜버른 파일:호주 국기.svg 호주
1962 브리즈번 파일:호주 국기.svg 호주
1963 애들레이드 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1964 클리블랜드 파일:호주 국기.svg 호주
1965 시드니 파일:호주 국기.svg 호주
1966 멜버른 파일:호주 국기.svg 호주
1967 브리즈번 파일:호주 국기.svg 호주
1968 애들레이드 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1969 클리블랜드 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1970 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1971 샬럿 파일:루마니아 국기.svg 루마니아
1972 부쿠레슈티 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1973 클리블랜드 파일:호주 국기.svg 호주
1974 -[10] 파일:남아프리카 공화국 국기.svg 남아프리카 공화국
1975 스톡홀름 파일:스웨덴 국기.svg 스웨덴
1976 산티아고 데 칠레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이탈리아
1977 시드니 파일:호주 국기.svg 호주
1978 랜초미라지 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1979 샌프란시스코 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1980 프라하 파일:체코 국기.svg 체코슬로바키아
1981 신시내티 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1982 그레노블 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1983 멜버른 파일:호주 국기.svg 호주
1984 예테보리 파일:스웨덴 국기.svg 스웨덴
1985 뮌헨 파일:스웨덴 국기.svg 스웨덴
1986 멜버른 파일:호주 국기.svg 호주
1987 예테보리 파일:스웨덴 국기.svg 스웨덴
1988 파일:독일 국기.svg 서독
1989 슈투트가르트 파일:독일 국기.svg 서독
1990 세인트피터즈버그 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1991 리옹 파일:프랑스 국기.svg 프랑스
1992 포트워스 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1993 뒤셀도르프 파일:독일 국기.svg 독일
1994 모스크바 파일:스웨덴 국기.svg 스웨덴
1995 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1996 말뫼 파일:프랑스 국기.svg 프랑스
1997 예테보리 파일:스웨덴 국기.svg 스웨덴
1998 밀라노 파일:스웨덴 국기.svg 스웨덴
1999 니스 파일:호주 국기.svg 호주
2000 바르셀로나 파일:스페인 국기.svg 스페인
2001 멜버른 파일:프랑스 국기.svg 프랑스
2002 파리 파일:러시아 국기.svg 러시아
2003 멜버른 파일:호주 국기.svg 호주
2004 세비야 파일:스페인 국기.svg 스페인
2005 브라티슬라바 파일:크로아티아 국기.svg 크로아티아
2006 모스크바 파일:러시아 국기.svg 러시아
2007 포틀랜드 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2008 마르델플라타 파일:스페인 국기.svg 스페인
2009 바르셀로나 파일:스페인 국기.svg 스페인
2010 베오그라드 파일:세르비아 국기.svg 세르비아
2011 세비야 파일:스페인 국기.svg 스페인
2012 프라하 파일:체코 국기.svg 체코
2013 베오그라드 파일:체코 국기.svg 체코
2014 파일:스위스 국기.svg 스위스
2015 겐트 파일:영국 국기.svg 영국
2016 자그레브 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 아르헨티나
2017 파일:프랑스 국기.svg 프랑스
2018 파일:크로아티아 국기.svg 크로아티아
2019 마드리드 파일:스페인 국기.svg 스페인
2021 파일:러시아 국기.svg 러시아[11]
2022 말라가 파일:캐나다 국기.svg 캐나다
2023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이탈리아
2024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이탈리아

4.1. 국가별 우승 기록

  • 토너먼트 방식으로 치러진 1972년 이후부터의 우승 기록이다.
<rowcolor=#fff> 우승 횟수 최근 우승년도
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9회 2007
파일:스웨덴 국기.svg 스웨덴 7회 1998
파일:호주 국기.svg 호주 6회 2003
파일:스페인 국기.svg 스페인 2019
파일:프랑스 국기.svg 프랑스 4회 2017
파일:러시아 국기.svg 러시아 3회 2021
파일:체코 국기.svg 체코 2013
파일:독일 국기.svg 독일 1993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이탈리아 2024
파일:크로아티아 국기.svg 크로아티아 2회 2018
파일:캐나다 국기.svg 캐나다 1회 2022
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 아르헨티나 2016
파일:영국 국기.svg 영국 2015
파일:스위스 국기.svg 스위스 2014
파일:세르비아 국기.svg 세르비아 2010
파일:남아프리카 공화국 국기.svg 남아공 1974
  • 타이틀 방어전 방식으로 치러진 1971년 이전 대회를 합산한 우승 기록이다.
<rowcolor=#fff> 우승 횟수 최근 우승년도
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32회 2007
파일:호주 국기.svg 호주[12] 28회 2003
파일:프랑스 국기.svg 프랑스 10회 2017
파일:영국 국기.svg 영국 2015
파일:스웨덴 국기.svg 스웨덴 7회 1998
파일:스페인 국기.svg 스페인 6회 2019
파일:러시아 국기.svg 러시아 3회 2021
파일:체코 국기.svg 체코 2013
파일:독일 국기.svg 독일 1993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이탈리아 2024
파일:크로아티아 국기.svg 크로아티아 2회 2018
파일:캐나다 국기.svg 캐나다 1회 2022
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 아르헨티나 2016
파일:스위스 국기.svg 스위스 2014
파일:세르비아 국기.svg 세르비아 2010
파일:남아프리카 공화국 국기.svg 남아공 1974

4.2. 전패준

1971년 대회까지는 타이틀 방어전이라는 대회 특성 때문에 전패 준우승이 나올 수 있었고, 총 4번의 전패준이 나왔다.
<rowcolor=#fff> 연도 우승팀 점수 준우승팀
1900 미국 3:0 영국
1920 미국 5:0 호주·뉴질랜드 연합팀
1946 미국 5:0 호주
1955 호주 5:0 미국

4.3. 선수 개인 기록

  • 오픈 에라(1974년) 이후 기록이다.
<rowcolor=#fff> 역대 최다 대회 우승
순위 이름 국적 우승 횟수
1 라파엘 나달 파일:스페인 국기.svg 스페인 5회
펠리시아노 로페스
2 아서 애시 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4회
존 매켄로
3 마츠 빌란데르 파일:스웨덴 국기.svg 스웨덴 3회
칼 우베 스티브 파일:독일 국기.svg 독일
안드레 애거시 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다비드 페레르 파일:스페인 국기.svg 스페인
페르난도 베르다스코
<rowcolor=#fff> 역대 최다 경기 승리 (단·복식 통합)
순위 이름 국적 승리 횟수
1 일리에 너스타세 파일:루마니아 국기.svg 루마니아 71회
2 알렉스 메트레벨리 파일:러시아 국기.svg 러시아 51회
3 리앤더 페이즈 파일:인도 국기.svg 인도 48회
발라즈 타로치 파일:헝가리 국기.svg 헝가리
야르코 니에미넨 파일:핀란드 국기.svg 핀란드
6 다나이 우돔초케 파일:태국 국기.svg 태국 42회
레이튼 휴이트 파일:호주 국기.svg 호주
8 니콜라스 라펜티 파일:에콰도르 국기.svg 에콰도르 41회
이형택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존 매켄로 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1] 참고로 여자 테니스 국가 대항전으로는 빌리 진 킹 컵(구. 페더레이션 컵)이 있다.[2] 인도, 일본, 필리핀, 체코슬로바키아, 스페인, 아르헨티나, 덴마크.[3] 오스트랄라시아 시절 포함.[4] 다만 라운드 로빈 방식으로 치르는 그룹 스테이지에서는 2:0으로 한 국가의 승리가 확정난 상황에서도 마지막 경기를 진행한다. 3경기를 모두 치러야 경기 승패와 세트 승률을 따져 조별 순위를 정확히 가릴 수 있기 때문.[5] 본래 유럽과 아프리카는 하나의 존으로 통합되어 있었으나, 유럽 국가들의 선수 풀이 독보적으로 강력해서 2020년부터 따로 분리되었다.[6] 기존에는 본선 진출 16개국을 월드 그룹이라고 불렀지만, 2019년 룰 개편 이후 '데이비스 컵 파이널스'라고 부르기로 했다. 따라서 이제는 존과 상관 없이 경기를 치르는 그룹 I~II 라운드가 월드 그룹에 해당한다.[7] 2021년까지는 전년도에 4강 진출한 4개국이 자동 출전권을 얻어 총 18개국이 참가했는데, 2022년부터 16개국으로 줄었다. 18개국 참가 시기에는 조별 리그를 3팀씩 6개 조로 나누었다.[8] 보통 "데이비스 컵"이라고 하면 이 단계 혹은 8강전부터를 가리키는 경우가 많다.[9] 전년도 우승 팀은 8강 직행, 준우승 팀은 본선 진출전 2라운드로 직행한다.[10] 인도가 남아프리카공화국의 아파르트헤이트에 반대하며 결승전에서의 남아공 원정을 거부했다.[11] 러시아 국기 사용과 국가 연주는 되지 않았다.[12] 호주·뉴질랜드 연합팀 시절의 기록을 포함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