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4-23 15:38:13

델타 자인

DZ-001
델타 자인
デルタザイン │ Delta Zayin
파일:DZ-001_Delta_Zayin_29.webp 파일:Delta_Zayin_29.webp
<rowcolor=#fff> MS 형태 웨이브라이더 형태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제원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colbgcolor=#79879b><colcolor=#08146B> 형식 번호 DZ-001
명칭 델타 자인
デルタザイン
타입 뉴타입 전용 프로토타입 가변 모빌슈트
제작 애너하임 일렉트로닉스
설계
소속 아젠트 킬
조종 리니어 시트형 콕피트에 파일럿 1명
파일럿
발주
배치 U.C.0096.05
전고
중량
장갑재 건다리움 합금
동력원 초소형 미노프스키 핵융합 엔진
출력
추력
시스템 감지 센서
웨이브 라이더 가변 시스템
고정무장 60mm 발칸포x2
옵션무장 빔 라이플
실드(사이코 프레임 내장, 빔 사벨 장비)
}}}}}}}}}
1. 개요2. 상세3. 무장4. 모형화
4.1. HGUC
5. 여담6. 둘러보기

1. 개요

기동전사 건담: 은회의 환영의 주역기.

2. 상세

애너하임 일렉트로닉스에서 비공식 용병 조직 '아젠트 킬'에 공여한 뉴타입 전용 가변 모빌슈트. MSN-001A1 델타 플러스를 개조한 기체이다. 사용된 부품들은 거래상 밀약의 사정으로 모두 규격 외품이 사용되었다. 본래는 MSN-001 델타 건담에 준한 사양(델타 자인 에센스)[1]으로 완성될 예정이었지만, 이 기체를 수령 받기로 예정된 아젠트 킬에서 조직의 플래그십으로 쓸 수 있도록 건담 타입으로서의 이미지를 강화하고, 부대의 에이스 파일럿이자 뉴타입 소양을 가지고 있던 픽지 픽스에 맞춰 실드에 I-필드와 사이코 프레임을 탑재할 것을 요구했다. 때문에 머리는 다른 계획에서 진행되고 있던 MSN-001X 건담 델타 카이와 동형품을 유용했고, 실드는 I-필드와 사이코 프레임을 투입해 뉴타입 전용기로서의 성능을 확보했다. 여담이지만 이러한 개수가 더해지면서 델타 플러스를 기반으로 한 몸체에 델타 건담과 동일한 상체 장갑, 건담 델타 카이의 머리를 갖게 되어 델타 건담 계열의 총본산 같은 디자인이 되었다.

기체의 개발은 U.C.0093년 초에 진행되었던 것으로 보이며[2], 사양 변경까지 끝났으나 제2차 네오지온 항쟁에서 픽지가 전사했기 때문에 픽지 전용기로서 제작된 델타 자인은 결국 U.C.0096년 5월, 라플라스 사변 때 배치되어 부대에 참가한지 얼마 되지 않은 신입(주인공)에게 주어졌다.

3. 무장

  • 60mm 발칸포: 두부에 탑재된 근접 실탄 기관포. 주로 견제에 사용된다.
  • 빔 라이플: Z 건담의 빔 라이플을 개량한 것을 사용한다.
  • 빔 사벨: 다른 델타 건담 계열들과 마찬가지로 근접 전투용 무기로도 쓸 수 있고, 수납시에는 빔 건으로 기능한다.
  • 실드: 사이코 프레임과 I-필드를 내장한 실드. 실드 양측면에 핀 판넬 유닛을 유용한 메가 입자 가속대와 소형 제네레이터가 탑재되어 있다. I-필드 가동시 메가 입자 가속대가 90도 가량 전개되어 제너레이터를 드러내 빔을 차단한다. 또한 실드 중앙 측면에서 선단에 이르기까지 마치 칼날과 같은 형태의 사이코 프레임이 장착되어 있다. '글로잉 사이코 프레임'이라고 부른다. 사이코 프레임은 파일럿의 감응파를 수신해 I-필드의 트리거로서 기능한다. 그뿐만 아니라, 파일럿의 뉴타입 능력에 호흥하면 붉은색으로 발광하며, 판넬로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추진제 없이 움직이는 걸 보면 유니콘 건담의 실드 판넬과 같은 원리로 보인다.

4. 모형화

4.1. HGUC

프리미엄 반다이 한정판 발매.

5. 여담

  • 서양 건담 위키에서는 제너레이터 출력이 3,100kW, 두정고가 19.8m, 전비 중량 61.5t 등, 상세한 스펙치가 적혀있는데 출처가 정확히 확인되지 않았다. 델타 자인의 공식 설정표가 함께 기재되어야 할 HGUC 설명서에서는 그러한 스펙치가 없고, 델타 자인의 설정이 실린 <MS図鑑 U.C.0090年代の地球連邦軍のモビルスーツ>이나 모빌슈트 전집에서도 스펙표가 따로 없다.

6. 둘러보기

기동전사 건담 시리즈 애니메이션 작품별 주역기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쇼와 (昭和)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color=#fff> 파일:기동전사 건담 로고.png 기동전사 건담 (1979)
건담
파일:기동전사 Z 건담.png 기동전사 Z 건담 (1985)
건담 Mk-II Z 건담
파일:기동전사 건담 ZZ 로고.png 기동전사 건담 ZZ (1986)
Z 건담 ZZ 건담 강화형 ZZ 건담 풀 아머 ZZ 건담
파일:기동전사 건담 역습의 샤아 로고.png 기동전사 건담: 역습의 샤아 (1988)
리가지 뉴 건담
}}}}}}}}}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헤이세이 (平成) 1 (1989~2004)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color=#fff> 파일:기동전사 건담 0080 주머니속의 전쟁 로고.png 기동전사 건담 0080: 주머니 속의 전쟁 (1989)
자쿠 II 改 건담 NT-1
파일:Gundam_F91_Logo.png 기동전사 건담 F91 (1991)
건담 F91
파일:기동전사 건담 0083 로고.png 기동전사 건담 0083: 스타더스트 메모리 (1991)
건담 시작 1호기 건담 시작 3호기
파일:기동전사 V 건담 로고.png 기동전사 V건담 (1993)
빅토리 건담 V2 건담
파일:G-gundam logo.png 기동무투전 G건담 (1994)
샤이닝 건담 갓 건담
파일:Gundam_Wing_Logo_Small.png 신기동전기 건담 W (1995)
윙 건담 윙 건담 제로
파일:기동전사 건담 08MS 로고.png 기동전사 건담: 제08MS소대 (1996)
육전형 건담 건담 Ez-8
파일:기동신세기 건담 X 로고.png 기동신세기 건담 X (1996)
건담 X 건담 X 디바이더 건담 DX
파일:신기동전기 건담 W Endless Waltz 로고(화이트).svg 신기동전기 건담 W Endless Waltz (1997)
윙 건담 제로(EW)
파일:턴에이 건담 로고.png ∀ 건담 (1999)
턴에이 건담
파일:gundam_seed_logo.gif 기동전사 건담 SEED (2002)
스트라이크 건담 프리덤 건담
파일:gundam_seed_d_logo.png 기동전사 건담 SEED DESTINY (2004)
임펄스 건담 데스티니 건담 스트라이크 프리덤 건담 인피니트 저스티스 건담
파일:기동전사 건담: MS IGLOO 1년 전쟁 비록 로고.png 기동전사 건담 MS IGLOO 시리즈 (2004)
요르문간드 힐돌브 주다 제곡크
옥고 빅랭 61식 전차 육전 강습형 건탱크
}}}}}}}}}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헤이세이 (平成) 2 (2005~2019)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color=white> 파일:gundam_seed_stargazer.png 기동전사 건담 SEED C.E.73 STARGAZER (2006)
스타게이저 건담 스트라이크 느와르 건담
파일:기동전사 건담 00 로고.png 기동전사 건담 00 (2007)
건담 엑시아 더블오 건담
파일:기돈전사 건담 00 극장판 로고.png 극장판 기동전사 건담 00 A wakening of the Trailblazer (2010)
더블오라이저 GN 콘덴서 타입 더블오 퀀터
모형전사 건프라 빌더즈 비기닝 G (2009)
비기닝 건담 비기닝 30 건담
파일:기동전사 건담 UC.png 기동전사 건담 UC (2010)
유니콘 건담 풀아머 유니콘 건담
파일:attachment/logo_2.png 기동전사 건담 AGE (2011)
건담 AGE-1 건담 AGE-2 건담 AGE-3 건담 AGE-FX
파일:external/gundam-bf.net/logo_gbf.png 건담 빌드 파이터즈 (2013)
빌드 스트라이크 건담 빌드 건담 Mk-II 스타 빌드 스트라이크 건담
파일:건담 G의 레콘기스타 로고.png 건담 G의 레콘기스타 (2014)
건담 G 셀프
파일:attachment/건담 빌드 파이터즈 트라이/logo_gbf_2nd.png 건담 빌드 파이터즈 트라이 (2014)
빌드 버닝 건담 트라이 버닝 건담 카미키 버닝 건담
파워드 짐 카디건 위닝 건담 스타 위닝 건담
라이트닝 건담 라이트닝 건담 풀 버니언 라이트닝 제타 건담
파일:attachment/기동전사 건담 THE ORIGIN/top_logo.png 기동전사 건담 THE ORIGIN (2015)
샤아 전용 자쿠 II
파일:철혈의 오펀스 로고-1.png 기동전사 건담 철혈의 오펀스 (2015)
건담 발바토스 건담 발바토스 루프스 건담 발바토스 루프스 렉스
파일:건담 빌드 파이터즈 트라이 아일랜드 워즈 로고.png 건담 빌드 파이터즈 트라이 아일랜드 워즈 (2016)
카미키 버닝 건담 스타 위닝 건담 라이트닝 건담 스트라이더
파일:건담 빌드 파이터즈 GM의 역습 로고.png 건담 빌드 파이터즈 GM의 역습 (2017)
빌드 스트라이크 건담 코스모스 스타 버닝 건담
파일:건담 빌드 파이터즈 배틀로그 로고.png 건담 빌드 파이터즈 배틀로그 (2017)
리버시블 건담
발리스틱 자쿠
건담 라이트닝 블랙 워리어 & 건담 드라이온 III 슈퍼 후미나 & 하이퍼 걍코 스트라이커 GN-X & GN-X IV TYPE.GBF
PG 건담 엑시아
빌드 스트라이크 건담 갤럭시 코스모스 A-Z 건담
파일:Gundam Thunderbolt Logo.png 기동전사 건담 썬더볼트 (2016)
풀아머 건담 아틀라스 건담 사이코 자쿠
파일:Mobile_Suit_Gundam_Twilight_Axis_HD_Logo.png 기동전사 건담 Twilight AXIS (2016)
자쿠 III 改 건담 AN-01 트리스탄 아하바 아질
파일:header_link01.png 건담 빌드 다이버즈 (2018)
건담 더블오 다이버 건담 더블오 다이버 에이스 건담 더블오 스카이
파일:MSG_NT_logo.png 기동전사 건담 NT (2018)
내러티브 건담 유니콘 건담 3호기 페넥스
}}}}}}}}}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레이와 (令和) (2019.5~)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color=#fff> 파일:건담 빌드 다이버즈 리라이즈 로고 소.png 건담 빌드 다이버즈 Re:RISE (2019)
코어 건담 코어 건담 II
파일:섬광의 하사웨이_로고_png.png 극장판 기동전사 건담: 섬광의 하사웨이 (2021)
크시 건담
파일:기동전사 건담 쿠쿠르스 도안의 섬 로고.png 기동전사 건담 쿠쿠루스 도안의 섬 (2022)
건담 자쿠 II
파일:기동전사 건담 수성의 마녀 로고.png 기동전사 건담 수성의 마녀 (2022)
건담 에어리얼 건담 에어리얼 개수형 건담 캘리번
파일:건담 빌드 메타버스 로고.png 건담 빌드 메타버스 (2023)
라 건담
파일:기동전사 건담 SEED FREEDOM 로고.png 기동전사 건담 SEED FREEDOM (2024)
라이징 프리덤 건담 스트라이크 프리덤 건담 2식
파일:기동전사 건담 복수의 레퀴엠 로고.png 기동전사 건담: 복수의 레퀴엠 (2024)
자쿠 II F형 무식별형 자쿠 II
파일:은회의 환영 로고.webp 기동전사 건담: 은회의 환영 (2024)
델타 자인
파일:기동전사 Gundam GQuuuuuuX 로고(화이트).svg 기동전사 건담 지쿠악스 (2025)
GQuuuuuuX
}}}}}}}}} ||
[1] 델타 자인 에센스는 사실상 환상의 기체인 델타 건담의 실기를 재현하는 것이나 다름 없었다. 물론 내부 사양까지 본래 델타 건담에 상정했던 것과 똑같은 수치인지는 불명. 실제로 델타 건담이랑 모습만 같고 사양이 다른 델타 건담 2호기의 사례도 존재한다.[2] 사이코 프레임의 도입이 가능했던 이유도 아직 연방에 의한 금지령이 떨어지지 않은 시기였기 때문. 한편으로는 이 시기에 샤아가 사이코 프레임을 애너하임에 유출한지 얼마 되지 않았던 시기인데, 아젠트 킬에서 이 정보를 어떻게 알고 사이코 프레임을 요구했는지는 불명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