背 등 배 | |||||||
부수 및 나머지 획수 | <colbgcolor=#fff,#1f2023> 肉, 5획 | 총 획수 | <colbgcolor=#fff,#1f2023> 9획 | ||||
고등학교 | |||||||
- | |||||||
일본어 음독 | ハイ | ||||||
일본어 훈독 | せ, せい, そむ-く, そむ-ける, うしろ | ||||||
- | |||||||
표준 중국어 | bēi, bèi | ||||||
*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clearfix]
1. 개요
背는 '등 배'라는 한자로, '등', '등지다', '뒤' 등을 뜻한다.2. 상세
한자문화권의 언어별 발음 | |||
한국어 | 훈 | <colbgcolor=#fff,#1f2023>등 | <colbgcolor=#fff,#1f2023>등지다 |
음 | 배 | 배 | |
중국어 | 표준어 | bèi | bèi |
광동어 | bui3 | bui6 | |
객가어 | poi | phoi | |
민남어 | pòe | pōe, pē | |
오어 | pe (T2) | be (T3) | |
일본어 | 음독 | ハイ | ハイ |
훈독 | せ, せい | そむ-く, そむ-ける, うしろ | |
베트남어 | bối |
유니코드에는 U+80CC에 배당되어 있고, 창힐수입법으로는 中心月(LPB)로 입력한다.
이 글자는 北(북녘 북)에서 파생된 글자이다. 北 자는 원래 두 사람이 등을 맞대고 서 있는 모습을 본뜬 글자이다. 그런데 北 자가 '북쪽'이라는 뜻을 가지게 된 이후 '등, 등지다'라는 뜻으로 사용되지 않게 되자, 원래의 뜻을 살려내기 위해 만들어낸 새로운 글자가 背 자이다. 背 자는 뜻의 기원이 되는 北에 뜻을 명확하게 하기 위해 月(고기 육, 肉의 변형된 형태)을 덧붙여서 만든 회의자이자 형성자이다.
이 글자는 다음자(多音字)로, 원래 '등'이라는 명사로 쓰일 때는 幫모(pwojH)로, '등지다'라는 동사로 쓰일 때는 並모(bwojH)로 읽었다. 이러한 구분은 중고한어 시절까지는 명확했으나, 현재는 이런 구분이 거의 무의미해졌다. 예를 들어 표준중국어에서는 음운의 변동으로 인해 두 가지 음이 하나로 통합되었다. 또 광동어에서는 소리의 구분은 남아 있지만, '등지다'라는 뜻으로 사용될 때 역시 bui3로 읽으며, '외우다', '암송하다'라는 뜻으로 쓸 때 bui6라고 읽는다.
등을 뜻하는 한자임에도 배라고 읽어서 가끔 혼동하는 사람이 있는 편이다. 가령 거북의 '배갑'이라고 하면 등딱지를 부르는 말이지만, 이를 배딱지(복갑)으로 오해하는 경우가 종종 보인다.
등 배 배(揹)의 간체자이기도 하다.
3. 용례
3.1. 단어
- 배강(背講)
- 배경(背景)
- 배관(背關)
- 배낭(背囊)
- 배독(背讀)
- 배리(背理)
- 배반(背反/背叛)
- 배서(背書)
- 배송(背誦)
- 배신(背信)
- 배영(背泳)
- 배은(背恩)
- 배임(背任)
- 배제(背題)
- 배창(背瘡)
- 배치(背馳)
- 배탈(背脫)
- 배판(背板)
- 배후(背後)
- 귀배(龜背)
- 면배(面背)
- 수배(手背)
- 위배(違背)
- 흉배(胸背)
3.2. 고사성어/숙어
- 면종복배(面從腹背)
- 배부도주(背夫逃走)
- 배산임수(背山臨水)
- 배수지진(背水之陣)
- 배수진(背水陣)
- 배암투명(背暗投明)
- 배은망덕(背恩忘德)
- 배향(背向)
- 안광지배(眼光紙背)
- 안투지배(眼透紙背)
- 의불배친(義不背親)
- 이율배반(二律背反)
- 한류협배(汗流浹背)
- 향배(向背)
3.3. 인명
3.4. 지명
3.5. 창작물
- 奏者はただ背中と提琴で語るのみ(연주자는 그저 등과 바이올린으로 이야기할 뿐)
3.6. 기타
4. 유의자
- 向(향할 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