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f top1 != null && 문서명1 == null
[DEPRECATED] top1 파라미터는 더 이상 사용되지 않습니다! 대신 문서명1 파라미터를 사용해 주세요.
#!if top1 == null && 문서명1 != null
[[마인크래프트/아이템|마인크래프트/아이템]]
||<-6><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darkgreen><tablebgcolor=#fff,#1c1d1f> ||
}}}||
건축 블록 | 색깔 블록 | 자연 블록 | 기능 블록 | 레드스톤 블록 | |||||
도구 및 유용한 물건 | 전투 | 음식 및 음료 | 재료 | 생성 알 & 특수 아이템 | |||||
{{{#!wiki style="margin:-16px -11px" |
1. 개요
마인크래프트의 아이템들 중 크리에이티브 인벤토리에서 생성 알(Spawn Eggs), 관리자 도구(Operator Utilities) 탭, 그리고 크리에이티브 모드에서 찾아볼 수 없는 아이템에 대해 설명하는 문서이다.2. 생성 알
크리에이티브 인벤토리에서 생성 알(Spawn Eggs) 탭에 존재하는 아이템들이다.2.1. 몬스터 생성기
<colbgcolor=dimgray><colcolor=#fff> 몬스터 생성기 Monster Spawner | |
| |
용도 | 주기적 몹 생성 |
최적화 도구 | 곡괭이 |
경도 | 5 |
폭발 저항 | 5 |
최대 스택 | 64 |
철창으로 된 우리 안에서 축소된 몹이 회전하는 형태를 보이며, 활성화되면 내부의 몹이 빠르게 회전하면서 불꽃 효과가 피어난다. 생성 조건이 맞을 경우 해당하는 몹을 근처에 10~40초마다 한번에 최대 4마리까지 소환한다. 주변 환경이 해당하는 몹의 생성 조건(주로 밝기)을 만족하지 못하도록 바꾸면 생성을 막을 수 있다.
파괴할 경우 15에서 43의 경험치를 얻을 수 있지만 파괴하지 않고 트랩 타워나 경험치 농장 같은 유용한 시설물을 만들 수도 있다.
몬스터 생성기는 서바이벌 모드에서 아이템화가 불가능하다. 일반적인 도구는 물론, 섬세한 손길이 부여된 도구를 써도 채취할 수 없고 피스톤으로 밀거나 당길 수도 없기 때문에 원하는 장소로 옮기는 것도 불가능하다.
크리에이티브 모드 인벤토리에서 얻을 수 있는데, 기본적으로 아무 몹도 소환하지 않는 빈 상태이다.
생성 알을 들고 생성기를 우클릭하면 생성 알에 해당하는 몹을 생성하는 생성기로 변한다.
2.2. 시련 생성기
<colbgcolor=dimgray><colcolor=#fff> 시련 생성기 Trial Spawner | |
시련 생성기, 불길한 시련 생성기 | |
용도 | 몹 생성 및 아이템 드롭 |
최적화 도구 | 없음 |
경도 | 50 |
폭발 저항 | 50 |
밝기 | 활성화: 8, 비활성화: 4 |
최대 스택 | 64 |
기본적으로 몬스터 생성기와 비슷하게 작동하지만 별도의 규칙은 다음과 같다.
※ 반경 14블록 이내의 (근처 플레이어 수)를 감지하여 (총 몹 수)를 설정하고 한 플레이어가 반경 4블록 이내로 접근하면 설정된 수만큼 몹이 생성될 때까지 (스폰 간격)에 맞춰서 몹 1마리를 생성 시도하며, 이때 (동시 몹 수)만큼의 몹이 있으면 스폰에 실패한다. {{{#!wiki | 유형 | 스폰 간격 | 총 몹 수 | 추가 총 몹 수/플레이어 | 동시 몹 수 | 추가 동시 몹 수/플레이어 |
기본값(플레이어의 설치 포함) | 40틱(2초) | 6 | 2 | 2 | 1 | |
브리즈 | 20틱(1초) | 2 | 1 | 1 | 0.5 | |
아기 좀비 | 20틱(1초) | 기본 | 기본 | 기본 | 0.5 | |
느린 버전(chamber_8)[1] | 160틱(8초) | 기본 | 기본 | 4 | 2 | |
시련의 회당의 나머지 | 20틱(1초) | 기본 | 기본 | 3 | 0.5 | }}} |
시련 생성기마다 각각 생성한 몹들을 전부 잡아내면 생성기가 열리는 소리와 함께 블록의 위로 전리품이 드롭되고 비활성화 된다. 전리품을 드롭하고 난 뒤의 시련 생성기는 비활성화되어 생성기의 불 입자가 꺼지고 내부에서 회전하는 몹이 사라지며 연기가 작게 피어오르기 시작한다. 이 상태의 생성기는 30분이 지나면 다시 불이 켜지는데, 청크 로딩에 상관없이 생성기를 활성화시킨 플레이어가 게임 시간으로 30분 동안 접속해 있으면 다시 활성화된다. MC-277624
생성하는 몹은 생성기마다 정해져 있으며[2], 몬스터 생성기와 동일하게 생성될 몹이 블록 내부에서 빙글빙글 돌고 있고, 생성 알을 사용하면 해당 몹을 생성하는 시련 생성기로 바뀐다.
플레이어가 흉조 또는 시련 징조 효과를 받고 있는 채 시련 생성기 주변 14블록 이내에 들어가면, 해당 블록은 불길한 시련 생성기(Ominous Trial Spawner)로 바뀐다.
이때 생성되는 몹은 한층 더 강력해진다. 좀비 계열과 스켈레톤 계열 몹의 경우 마법이 부여된 검과 활, 50% 확률로 저항, 화염 저항, 투사체 저항 IV 마법이 부여된 나사 장식 사슬, 흐름 장식 철이나 다이아 갑옷을 장비한다. 그외의 상태 효과를 가진 거미 및 브리즈, 슬라임은 똑같지만 생성되는 몹의 수가 2배로 증가한다.
또한 해당 몹들이 살아있는 동안 각 플레이어에게 활성화된 생성기마다 2개씩 8초마다 위에서 잔류형 물약과 화살을 3~6초 빙글빙글 돌리다가 아래로 떨어트리는 기믹이 추가된다. 첫 번째는 돌풍, 방적, 점액화, 벌레먹음, 힘, 신속, 느린 낙하의 투척용 물약을, 두 번째는 화살, 독이나 구속 IV 물약이 발린 화살, 화염구, 돌풍구를 떨어트린다.
보상은 다음과 같다. 만일 일정 범위 내에 플레이어가 둘 이상 있다면 보상 드롭시 인원 수와 동일한 횟수 만큼 드롭하게 된다.
※ 첫번째 Pool은 다음 중 (근처 플레이어 수)만큼 골라 보상에 넣는다.(시련 생성기) {{{#!wiki | 이름 | 개수 | 비중 (총 비중: 26) |
시련 열쇠 | 1 | 13 | |
에메랄드 | 1~6 | 3 | |
구운 감자 | 1~3 | 3 | |
발광 열매 | 2~10 | 3 | |
황금 당근 | 1~3 | 1 | |
엔더 진주 | 1 | 1 | |
재생의 물약 | 1 | 1 | |
힘의 물약 | 1 | 1 | }}} |
※ 첫번째 Pool은 다음 중 (근처 플레이어 수)만큼 골라 보상에 넣는다.(불길한 시련 생성기) {{{#!wiki | 이름 | 개수 | 비중 (총 비중: 110) |
불길한 시련 열쇠 | 1 | 33 | |
스테이크 | 1~2 | 21 | |
구운 감자 | 2~4 | 21 | |
황금 당근 | 1~2 | 14 | |
썩은 살점 | 1~4 | 7 | |
재생의 물약 | 1 | 7 | |
힘의 물약 | 1 | 7 | }}} |
베드락 에디션에서는 '체험판 생성지'로 번역되었다.
2.3. 크리킹 심장
<colbgcolor=dimgray><colcolor=#fff> 크리킹 심장 Creaking Heart | ||||
| ||||
용도 | 크리킹 생성 | |||
최적화 도구 | 도끼 | |||
경도 | 5 | |||
폭발 저항 | 5 | |||
최대 스택 | 64 | |||
{{{#!folding [ 조합법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제작대 | <colbgcolor=#c6c6c6><colcolor=#000> ## ◆ 틀 시작 파일:마인크래프트/GUI/제작대.svg ### ▼ 입력 격자 시작
### ▼ 출력 슬롯 시작
| }}}}}} |
아이템화를 위해서는 섬세한 손길 도구가 있어야 한다.
크리킹 심장의 위아래로 창백한 참나무 원목이 배치되어있고 서로 잘린 면이 마주보는 형태로 되어있다면 활성화되며 폭풍우 상태이거나 밤 시간대일때 크리킹을 소환한다.
레드스톤 비교기를 통해 레드스톤 신호를 보낼 수 있다. 연결된 크리킹과 심장까지의 거리에 따라 강도를 보낸다.
피스톤으로 밀고 당길 수 없다.
2.4. 생성 알
몹을 생성하는 아이템이다. 생성 알을 같은 종류의, 새끼 형태가 있는 몹에게 사용하면 새끼 몹이 생성되고, 몬스터 생성기에 생성 알을 사용하면 해당 생성 알의 몹을 생성하도록 할 수 있다. 모루로 이름을 바꾼 생성 알로 소환 시 그 몹은 생성 알과 같은 이름으로 생성된다.대부분의 몹 생성 알은 크리에이티브 인벤토리에서 꺼낼 수 있으나, 보스 몹인 엔더 드래곤, 위더 생성 알은 명령어로만 얻을 수 있다. 두 몹 모두 생성 시 세계에 상당한 영향을 줄 수 있는 몹들이기에[3] 확실한 목적이 있지 않는 한 단순 호기심으로 꺼내서 사용해보지 못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더미 데이터 몹 역시 이에 해당한다. 거인과 환술사가 해당되는 예시인데, 정작 서바이벌에서 등장하지 않는 몹인 좀비 말 생성 알은 크리에이티브 인벤토리에 있다.
향후 업데이트로 다음 생성 알이 추가된다: 행복한 가스트. 그리고 다음 생성 알의 외형이 변경된다: 브리즈, 블레이즈
|
|
3. 관리자 도구
크리에이티브 인벤토리에서 관리자 도구(Operator Utilities) 탭에 존재하는 아이템들이다. 관리자 도구의 경우 기본적으로는 비활성화되어있는데 옵션의 조작 탭에서 관리자 아이템 탭을 활성화하여 접근할 수 있다. 멀티 플레이에서는 권한이 있는 유저만이 관리자 도구 탭을 볼 수 있다.3.1. 명령 블록
<colbgcolor=dimgray><colcolor=#fff> 명령 블록 Command Block | |
반응형, 연쇄형, 반복형 명령 블록 조건적 반응형, 연쇄형, 반복형 명령 블록 | |
용도 | 명령어 실행 |
최적화 도구 | 없음 |
경도 | -1 |
폭발 저항 | 3,600,000 |
최대 스택 | 64 |
명령 블록에 우클릭으로 상호 작용을 하면 해당 GUI가 열린다. 여기서 '콘솔 명령어' 부분에 실행할 명령어를 직접 입력할 수 있다. 명령어가 올바르게 입력되었다면 활성화 시 해당 명령어가 작동된다. 이때 명령어는 최대 32,500자까지 입력할 수 있어, 채팅창의 256자 제한보다 훨씬 많다.
다만 명령 블록의 펄미션 레벨은 자바 에디션의 경우 2, 베드락 에디션의 경우 1이므로 서버와 관련된 일부 명령어는 작동하지 않는다. 서바이벌 모드에서는 부수거나 상호 작용하지 못하며, 서버에서는 크리에이티브 모드일지라도 관리자 권한이 있어야 부수거나 상호 작용할 수 있다.
명령 블록은 작동 방식에 따라 다양한 형태가 존재한다. 이들은 GUI에서 버튼을 통해서 형태와 성질을 바꿀 수 있다. 그 중에서 반응형과 연쇄형, 반복형의 경우 크리에이티브 인벤토리에 따로 나와있기도 하다. 해당 형태는 다음과 같다.
- 명령어 실행 방식
-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c77e4f; font-size: 14px"
활성화될때 명령어를 한번만 실행한다. 다른 명령어 블록들과는 다르게 이름 앞에 접두사가 없다.
*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76b297; font-size: 14px"
연쇄형}}}(Chain)*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76b297; font-size: 14px"
이 블록과 연결, 즉 화살표가 가리키는 방향의 명령 블록이 정상적으로 작동되었을 때 이 블록이 활성화되어 있다면 명령어를 실행한다.
*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6a4fc7; font-size: 14px"
반복형}}}(Repeat)*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6a4fc7; font-size: 14px"
활성화 되었을 때 명령어를 반복적으로 작동시킨다. 1틱 당 1번 즉, 초당 20번 작동한다.* 이전 명령 블록의 성공 여부
* 무조건적(Unconditional)
이 명령 블록을 가리키는 명령 블록이 실행에 성공했든 안했든 이 명령 블록은 실행된다. 크리에이티브 인벤토리에서 꺼내는 명령 블록들은 기본적으로 이 설정으로 되어 있다.
* 조건적(Conditional)
이 명령 블록을 가리키는 명령 블록이 실행에 성공해야 이 명령 블록이 실행된다. 해당 옵션을 사용하고 싶다면 이전 명령 블록이 해당 옵션을 사용하는 명령 블록을 올바르게 가르켜야하며 이 설정을 킨 상태로 블록을 이어서 사용하기도 한다.* 활성화 조건
* 레드스톤 필요(Needs Redstone)
레드스톤 신호를 받고 있어야 활성화되어 명령어가 실행된다. 단, 레드스톤 신호를 받지 않는 연쇄 명령 블록 뒤로 연쇄 명령 블록이 쭉 이어져 있다면 레드스톤 신호를 받지 않는 연쇄 명령 블록은 건너뛴다.
이 설정을 이용할 때 실수하기 쉬운데. 바로 비교기를 사용할 때이다. 비교기가 켜졌을 때 레드스톤 필요 명령 블록에 들어오던 신호를 끊으면 비교기가 저절로 꺼지지 않고, 다음 시행 때까지 계속 켜져 있다. 비교기의 이 특성은 particle 명령어와 같이 연쇄 명령 블록을 이어서 처리할 수 있는 명령이 아닐 경우 여러 개의 조건문을 넣어야 할 때 매우 중요하다.
반응형, 반복형은 이 설정이 기본값으로 되어 있다.
* 항상 활성화(Always Active)
레드스톤 신호가 없어도 항상 명령어를 실행한다. 연쇄형 명령 블록은 이 설정을 키는 것이 좋다.
* 무조건적(Unconditional)
이 명령 블록을 가리키는 명령 블록이 실행에 성공했든 안했든 이 명령 블록은 실행된다. 크리에이티브 인벤토리에서 꺼내는 명령 블록들은 기본적으로 이 설정으로 되어 있다.
* 조건적(Conditional)
이 명령 블록을 가리키는 명령 블록이 실행에 성공해야 이 명령 블록이 실행된다. 해당 옵션을 사용하고 싶다면 이전 명령 블록이 해당 옵션을 사용하는 명령 블록을 올바르게 가르켜야하며 이 설정을 킨 상태로 블록을 이어서 사용하기도 한다.* 활성화 조건
* 레드스톤 필요(Needs Redstone)
레드스톤 신호를 받고 있어야 활성화되어 명령어가 실행된다. 단, 레드스톤 신호를 받지 않는 연쇄 명령 블록 뒤로 연쇄 명령 블록이 쭉 이어져 있다면 레드스톤 신호를 받지 않는 연쇄 명령 블록은 건너뛴다.
이 설정을 이용할 때 실수하기 쉬운데. 바로 비교기를 사용할 때이다. 비교기가 켜졌을 때 레드스톤 필요 명령 블록에 들어오던 신호를 끊으면 비교기가 저절로 꺼지지 않고, 다음 시행 때까지 계속 켜져 있다. 비교기의 이 특성은 particle 명령어와 같이 연쇄 명령 블록을 이어서 처리할 수 있는 명령이 아닐 경우 여러 개의 조건문을 넣어야 할 때 매우 중요하다.
반응형, 반복형은 이 설정이 기본값으로 되어 있다.
* 항상 활성화(Always Active)
레드스톤 신호가 없어도 항상 명령어를 실행한다. 연쇄형 명령 블록은 이 설정을 키는 것이 좋다.
베드락 에디션에서는 각각 '커맨드 블록', '체인 커맨드 블록', '반복 커맨드 블록'으로 번역되었다.
<colbgcolor=dimgray><colcolor=#fff> 명령 블록이 실린 광산 수레 Minecart with Command Block | |
| |
용도 | 신호를 받아 명령어 실행 |
생명력 | 6 |
높이 | 0.7m |
너비 | 0.98m |
최대 스택 | 1 |
서바이벌 모드에서도 파괴할 수는 있지만 원형이 아닌 광산 수레가 드롭된다.
베드락 에디션에서는 '커맨드 블록 광물 수레'로 번역되었다.
3.2. 구조물 블록
<colbgcolor=dimgray><colcolor=#fff> 구조물 블록 Structure Block | |
직소 블록, 구조물 블록, 구조물 공허 공간 | |
용도 | 구조물 복사 |
최대 스택 | 64 |
구조물 블록을 옮겨올때 필요한 구조물의 내용은 마인크래프트 폴더 내 존재하는 버전 파일 내에 "₩data₩minecraft₩structure₩"(JE)에 위치해있다. 서바이벌 모드에서는 부수거나 상호작용이 전혀 불가능하며 명령 블록과 마찬가지로 크리에이티브 모드에 권한이 있어야한다.
- 직소 블록(Jigsaw Block)
구조물 파일에 입력된 내용을 그대로 게임 상에 불러올 수 있게 해주는 블록이며 세계가 생성되거나 가본적 없는 공간이 생성될때 이 블록을 통해 여러 구조물을 배치하고 사라지는, 말 그대로 세계 생성의 핵심으로 자리잡고 있다. 주민 마을에 간혹 이유 없이 잔디 길이어야할 블록이 흙인 경우가 있는데, 그것이 바로 이 직소 블록의 흔적이다. - 구조물 블록(Structure Block)
특정 위치 또는 범위 안의 모든 블록들을 복사해서 서버나 컴퓨터, 해당 맵에 저장하고 원할때 불러오기를 할 수 있다. 모든 블록을 저장하며 설정에 따라서는 개체 마저 복사 붙여넣기를 한다. - 구조물 공허 공간(Structure Void)
구조물 블록을 통해 구조물과 지형을 불러올때 이 블록이 설치된 곳에 존재하는 액체나 엔티티들은 모두 없는 것으로 간주하고 구조물 블록이 블록들을 복사한다.
3.3. 방벽
<colbgcolor=dimgray><colcolor=#fff> 방벽 Barrier | |
| |
용도 | 부술 수 없는 투명 블록 |
최적화 도구 | 없음 |
경도 | -1 |
폭발 저항 | 3,600,000.75 |
최대 스택 | 64 |
크리에이티브 모드 상태에서 손에 방벽 아이템을 주 사용 손에 쥐고 보면 방벽 블록이 보인다. 방벽의 시각 효과는 다른 블록들과 같은 3D가 아니라 2D 입자의 일종이기 때문에, 비디오 설정에서 입자를 최소로 바꾸면 보이지 않는다.
방벽은 시각적으로는 투명한 블록이지만 기능적으로는 고체 블록이라서, 몹을 질식시키거나 이동을 차단할 수 있고, 레드스톤 신호를 통과시키거나 사다리, 덩굴, 횃불, 레일, 불, 그림 등을 놓을 수 있다.
3.4. 디버그 막대기
<colbgcolor=dimgray><colcolor=#fff> 디버그 막대기(JE) Debug Stick | |
| |
용도 | 블록 상태 변경 |
최대 스택 | 1 |
3.5. 테스트 인스턴스 블록
<colbgcolor=dimgray><colcolor=#fff> 테스트 인스턴스 블록(JE) Test Instance Block | |
| |
용도 | 게임 테스트 |
최적화 도구 | 없음 |
경도 | -1 |
폭발 저항 | 3,600,000 |
최대 스택 | 64 |
테스트를 시작하거나 실행 중, 실행 완료라면 신호기와 유사한 광선을 내뿜는다. 광선의 색은 테스트 상태를 나타내며, #808080은 테스트 중, #00ff00은 테스트 인정, #ff0000은 테스트 실패, #ff8000은 테스트 일부 실패를 뜻한다.
3.6. 테스트 블록
<colbgcolor=dimgray><colcolor=#fff> 테스트 블록(JE) Test Block | |
시작, 기록, 실패, 인정 모드 | |
용도 | 게임 테스트 |
최적화 도구 | 없음 |
경도 | -1 |
폭발 저항 | 3,600,000 |
최대 스택 | 64 |
- 시작(Start): 테스트가 시작되면 레드스톤 신호가 발생한다.
- 기록(Log): 레드스톤 신호를 받으면 로그 파일에 메시지가 기록된다.
- 실패(Fail): 레드스톤 신호를 받으면 이 테스트는 실패한다.
- 인정(Accept): 레드스톤 신호를 받으면 이 테스트는 인정한다.
3.7. 빛
<colbgcolor=dimgray><colcolor=#fff> 빛 Light |
| |
용도 | 광원 |
최적화 도구 | 없음 |
경도 | -1 |
폭발 저항 | 3,600,000.75 |
밝기 | 0 ~ 15 |
최대 스택 | 64 |
밝기 조절만을 위한 블록으로, 성질은 공기와 비슷하다. 개체가 통과할 수 있으며 빛이 설치된 위치에 다른 블록을 놓으면 덮어 씌워져 빛이 사라진다. 하지만 동시에 물에 잠길 수 있는 블록이기 때문에, 물을 놓는 것으로는 없앨 수 없다.
빛의 밝기를 정해서 얻을 수 있다.
/give @s minecraft:light[minecraft:block_state={level:"밝기값"}]
또는 /give @s light_block_밝기값
(BE)를 입력하면 얻을 수 있다. 값을 정하지 않았거나 적절한 값(0~15)이 아닐 경우 15 밝기의 빛을 얻거나(JE) 구문 오류난다.(BE)설치한 빛은 방벽처럼 빛을 주 사용 손에 들고 있을 경우에만 보거나 상호작용할 수 있다. 빛을 들고 설치된 빛을 우클릭하면 그 빛의 밝기가 1씩 높아지며, 최고 밝기인 15일 경우 0이 된다. 이렇게 이미 놓은 빛의 밝기를 조절할 수 있다.
베드락 에디션에서는 '밝음'으로 번역되었으며, 빛을 관측기로 감지 가능하며 피스톤으로 빛을 밀고 당길 수도 있다.
4. 얻을 수 없는 아이템
말그대로 게임 상에서 등장하나 플레이어가 인벤토리에 넣을 수 없는 아이템들을 가리킨다. 베드락 에디션 한정으로 구조물 에디터로 얻을 수 없는 아이템을 얻을 수 있다.4.1. 공기
<colbgcolor=dimgray><colcolor=#fff> 공기 Air | |
용도 | 빈 공간 표현 |
최적화 도구 | 없음 |
경도 | 0 |
폭발 저항 | 0 |
최대 스택 | 0 |
setblock 명령어나 fill 명령어로 블록을 채울 때 air로 설정하면 지정된 영역 내의 블록이 전부 제거되며, item 명령어로 특정 슬롯에 배정하여 air 아이템으로 교체하게끔 하면 원래 해당 슬롯에 있던 아이템이 사라진다. 즉, 명령어 상에서 지우개의 역할을 수행하는 셈.
자바 에디션에서는 협곡이나 폐광 생성 시 나오는 동굴 공기(Cave Air)가 있고, y=319 위와 y=-64 아래에, 그리고 로드되지 않은 청크에 있는 공허 공기(Void Air)가 추가로 있다. 동굴 공기와 공허 공기는 일반 공기와 다를게 없다.
4.2. 물
<colbgcolor=dimgray><colcolor=#fff> 물 Water | |
| |
용도 | 액체 |
최적화 도구 | 양동이 |
경도 | 100 |
폭발 저항 | 100 |
최대 스택 | 0 |
경도와 폭발 저항 수치가 존재하지만 부술 수 있는 블록이 아니다. 물속에서 폭발이 일어나면 그 피해만 전달될 뿐 블록은 부서지지 않는다. TNT의 경우 자갈, 모래, 드래곤 알 등 떨어지는 블록과 겹친 상태에서 폭발하면 물속에서도 블록을 파괴할 수 있다. 다만 모루는 불가능하다. 플레이어는 간단하게 물의 위치에 블록을 설치하거나, 스펀지 블록을 두거나, 근원을 양동이로 퍼서 물을 없앨 수 있다. 한편 베드락 에디션에서는 엔더 드래곤이 물과 접촉하면 해당 물 블록이 없어진다.
물은 위를 제외한 모든 방향으로 막고 있는 것이 없다면 흐름이 발생한다. 5틱당 1블록씩, 즉 초당 4블록만큼 흐름이 퍼지며, 근원으로부터 수평 7블록까지 퍼질 수 있다. 흐름은 퍼질수록 그 높이가 낮아진다. 하지만 그 범위 내에 흐름보다 낮은 지대가 있다면 그 부분은 새로운 흐름이 생성되어 또다시 7블록까지 퍼지게 되며, 흐름 역시 퍼질 때 낮은 지대를 우선 감지하여 해당 방향으로 일직선으로 흐름이 생성된다. 한번 생성된 흐름은 중간에 블록으로 끊는다 해도 근원과의 연결이 끊기지 않는다면 모양을 바꾸지 않는다. 물 근원끼리의 간격이 수평으로 1칸일 때 사이에 흐름이 생길 경우 흐름이 물 근원으로 변한다.
이러한 흐름이 발생할 때 각종 식물, 레드스톤 회로, 횃불 등 몇몇 아이템은 물을 만나면 형체를 유지하지 못하고 아이템화 된다. 반면 해초, 켈프 등은 물속에만 놓을 수 있고 형체를 유지할 수 있다. 만약 조약돌 등 불투명한 블록의 1칸 위에 물이 있을 경우, 불투명한 블록 밑에서 물이 새어 나와서 물방울이 똑똑 떨어지는 입자 효과를 볼 수 있다. 또한 한 칸보다 적은 공간을 차지하는 일부 블록(계단, 반 블록, 울타리, 벽, 엔드 막대 등)은 물에 잠기는 식으로 물과 같은 칸에 있을 수 있다. 기온이 0.15 이하인 생물 군계에서 위에 가리는 블록이 없이 하늘로 드러난 물 근원은 일정 확률로 얼음으로 변한다. 이 확률은 물 근처에 다른 얼음이나 눈이 있으면 더 높아진다. 한편 차가운 걸음 마법이 부여된 부츠를 신고 물 위를 걸으면 물이 살얼음으로 변한다.
물속에 빠질 경우 여러 행동에 제약이 생긴다. 우선, 플레이어를 비롯한 대부분의 지상형 몹들은 수영을 하지 않으면 가라앉으며 이동 속도가 현저히 느려진다. 흐름의 경우 모든 개체를 흐르는 방향으로 밀어낸다. 플레이어를 비롯한 여러 몹들은 머리 부분이 물에 잠긴 상태에서는 산소 막대가 생긴다. 기본적으로 15초까지는 산소 막대가 소모되며, 이후 초당 3의 익사 피해를 입다가 죽는다. 시야에도 제한이 생기며 깊이 내려갈수록 안개가 낀 것마냥 시야가 흐려지고 어두워져 물 1블록당 1의 빛이 차단된다.
돼지나 말(좀비 말과 스켈레톤 말 제외)을 타고 있다가 탑승물이 물속에 잠기면 강제로 하차된다. 이를 극복하고자 한다면 보트를 타고 물 위로 이동하는 게 좋다. 화살 역시 물속을 8블록 이상 전진했다면 그대로 고꾸라져서 아래로 떨어진다. 또한 물속에서는 기본적으로 블록을 부수는 시간이 5배 늘어난다. 만일 물속에서 발이 바닥에 닿지 않은 상태라면 5배가 더 곱해지므로 무려 25배만큼 증가한다.
용암과 물이 만나면 상황에 따라 대상 위치에 각기 다른 블록을 생성한다.
<rowcolor=#fff> 상황 | 대상 | 결과 |
아랫면을 제외한 용암의 근원과 물이 만날 때[4] | 용암의 근원 | 흑요석 |
흐르는 용암과 물이 만날 때[5] | 흐르는 용암 | 조약돌 |
아래로 흐르는 용암에 물을 설치할 때[6] | 흐르는 용암 | 돌 |
용암과 물의 윗면이 만날 때[7] | 물 | 돌 |
물은 수행하는 기능은 다음과 같다.
- 추락 피해를 상쇄한다.
- 블록이나 개체에 붙은 불을 끈다.
- 주변 80칸의 경작지를 적셔 경작 상태를 유지한다.
- 콘크리트 가루는 물과 만나 콘크리트가 된다.
- 뾰족한 점적석이 매달린 점적석 블록 위에 물의 근원을 배치하여 뾰족한 점적석을 자라게 할 수 있다.
- 산호 계열 블록은 물 밖에 설치되면 잠시 뒤 죽은 산호로 바뀐다.
몇몇 몹은 물에 대해 아래와 같은 반응을 보인다.
- 대부분의 수생 몹[제외]: 물 밖에 오래 있으면 죽는다.
- 엔더맨, 눈 골렘, 블레이즈, 스트라이더, 꿀벌: 물에 닿는 것만으로도 피해를 입는다.
- 늑대: 물에서 나오면 젖은 몸을 흔들어 물을 털어내는 행동을 한다.
- 철 골렘: 피해를 입지 않지만 이동 시 물을 되도록 피한다.
- 셜커: 피해를 입지 않지만 물에 닿으면 순간 이동한다.
- 허스크: 물속에 45초간 있으면 일반 좀비로 변한다.
- 좀비: 물속에 45초간 있으면 드라운드로 변한다.
관련된 마법 부여로는 찌르기, 급류, 호흡, 친수성, 물갈퀴가 있다. 관련된 상태 효과로는 수중 호흡, 야간 투시, 전달체의 힘, 돌고래의 가호가 있다.
4.3. 거품 기둥
<colbgcolor=dimgray><colcolor=#fff> 거품 기둥 Bubble Column | |
| |
용도 | 개체를 Y 방향으로 밀어냄 |
최적화 도구 | 없음 |
경도 | 0 |
폭발 저항 | 100 |
최대 스택 | 0(JE), 64(BE) |
마그마 블록에 의해 생성되는 거품 기둥은 개체를 4.9m/s(JE) 또는 6m/s(BE)의 속도로 아래로 밀어낸다. 이 거품 기둥 위로 보트가 있다면 흔들리고 장시간 있게 되면 탑승자는 강제로 내려지면서 보트가 아래로 가라앉는다.
영혼 모래에 의해 생성되는 거품 기둥은 개체를 11m/s(JE) 또는 8m/s(BE)의 속도로 위로 밀어낸다. 이렇게 밀려서 가속을 받으면 물 밖으로 나오게 될 경우 수 미터까지 치솟기도 한다. 수면에서 거품 기둥 위로 서있으면 약 1m 높이를 오르락 내리락 반복하게 된다. 엔더 진주도 영향을 받기에 무기한 보관이 가능하다.
물의 흐름에서는 거품 기둥이 생성되지 않으므로 인위적으로 만들려면 일일이 물을 설치해야하는 번거로움이 있으나 이는 켈프를 통해서 어느 정도 편하게 해결할 수 있다.
4.4. 살얼음
<colbgcolor=dimgray><colcolor=#fff> 살얼음 Frosted Ice | |
| |
용도 | 차가운 걸음 부츠의 효과 |
최적화 도구 | 없음 |
경도 | 0.5 |
폭발 저항 | 0.5 |
최대 스택 | 0(JE), 64(BE) |
살얼음에는 0~3 사이의 age 값이 존재하며, 1부터 3까지일 때는 살얼음에 점점 금이 간다. 이후 age 값이 한계에 도달하면 살얼음은 스스로 녹아서 물이 된다. 밤이거나 동굴 안과 같이 어두운 곳에서 만들어진 살얼음은 조금 더 오랫동안 유지된다.
기본적으로 아이템화가 불가능하며,
setblock
, fill
, give
(BE) 명령어를 통해 접근이 가능하다.베드락 에디션에서는 '서리 내린 얼음'으로 번역되었다.
4.5. 용암
<colbgcolor=dimgray><colcolor=#fff> 용암 Lava | |
| |
용도 | 액체 |
최적화 도구 | 양동이 |
경도 | 100 |
폭발 저항 | 100 |
밝기 | 15 |
최대 스택 | 0 |
물과 마찬가지로 임의로 부술 수 없으며, 없애는 법은 양동이로 퍼올리거나 근원이 있는 자리에 블록을 설치하는 것이다.
용암은 오버월드에서는 30틱(1.5초)당 근원으로 부터 막히지 않은 곳을 향해 흐름을 발생시키며 수평 3 블록까지 전진하며 단차가 낮은 곳에서는 물과 같이 이 새로운 흐름이 생성되어 추가로 흐름이 더 나아갈 수 있다. 네더에서는 5틱당 1 블록씩, 수평 7 블록까지[9] 퍼지기 때문에 네더 탐사 난이도를 높히는 주범으로 자리잡고 있다. 물과 달리 근원 끼리 1칸 거리일때 흐름 끼리 닿는다고 새로운 근원이 되진 않는다. 다만 게임 규칙을 수정한다면 근원을 만들 수 있다.
용암에 닿은 개체는 0.5초당 4의 화염 피해를 주고 불을 붙인다. 또한 개체의 속도를 느리게 만들며 머리가 용암에 잠기면 시야를 빨갛게 가려버리는 효과도 가지고 있다. 화염 저항 효과를 가지고 있다면 피해를 받지 않으며 시야를 가리는 정도가 약해진다.
물과 접촉시 다양한 형태로 변화하기도 하는데 대표적으로, 용암의 근원 위로 옆으로 물이 접촉할 경우 용암이 흑요석이 되며 용암 흐름과 물이 만나면 조약돌이 되고, 물과 푸른얼음, 영혼흙과 접촉시 현무암이 되며, 물의 근원 위로 용암 흐름이 접촉할 경우 물이 돌이 된다.
블록의 바로 위로 용암이 있을 경우, 해당 블록의 아랫면에 용암 입자가 떨어지는 시각적 효과가 있다. 그 아래에 있다고 해서 별 다른 해를 끼치진 않지만, 그 위에 용암이 있다는 일종의 알림과 같은 역할을 한다. 만일 이러한 상태일 때 블록 아랫면에 뾰족한 점적석을 설치하고,[10] 그 아래에 가마솥을 두면 용암이 차오르는 효과가 있다.
여담으로 용암의 효과음은 실제 용암지대에서 나는 소리가 아니라 쇳물 내지 온천수가 끓는 듯한 소리이다.
4.6. 불
<colbgcolor=dimgray><colcolor=#fff> 불 Fire | |
| |
용도 | 광원, 블록 파괴 |
최적화 도구 | 없음 |
경도 | 0 |
폭발 저항 | 0 |
밝기 | 불: 15, 영혼 불: 10 |
최대 스택 | 0 |
기본적으로 불은 생성된지 일정 시간이 지나거나 물 혹은 비에 닿으면 사라지며, 불이 있는 자리에 블록을 설치하거나 플레이어가 때려서 끌 수 있다. 반면에 네더랙, 마그마 블록 위에 붙은 불은 시간이나 비에 의해 꺼지지 않으며 엔드 차원의 기반암 위에서도 같은식으로 불이 영구히 살아있는다.
불에 닿은 개체는 블레이즈나 화염 저항 효과를 가지고 있는게 아니라면 초당 1의 화염 피해를 주며, 노출된 시간에 비례해서 개체 붙은 불이 유지된다. 물이나 비, 가루눈에 접촉하는 것으로 인위적으로 불을 끌 수 있다. 언데드계 몹은 햇빛에 노출되어도 불이 붙는데 이쪽은 성질이 약간 달라 햇빛이 닿지 않는 곳에 도달하면 불이 자연스럽게 꺼진다.
주변에 불이 붙는 블록이 있다면 그 블록의 위와 옆면에 불이 생성될 수 있으며 그 불 역시 같은 조건으로 다른 블록에 불을 확산시킬 수 있다. 구체적인 조건은 불 블록을 중심으로 주변 3x3, 위로 4, 아래로 1칸이내의 공기 블록이 불이 붙은 블록과 맞닿아 있다면 불 블록을 설치하는 식이다. 늪과 버섯 들판, 정글과 같은 습한 생물 군계에서는 이러한 불의 확산이 느리다는 부가적인 효과를 가지고 있으며 게임 규칙을 수정하면 이러한 불의 확산을 아예 차단할 수 있다.
영혼 모래, 영혼 흙 위에 붙은 불은 영혼 불(Soul Fire)라는 푸른 빛의 불을 내뿜는다. 네더 외의 차원에서도 이렇게 생성된 영혼 불은 시간이나 비에 의해 꺼지지 않으며 주변을 불태우지 않는다. 영혼 불에 닿을 경우 초당 2의 피해를 받으며 피글린은 영혼 불과 거리를 두려는 성질을 가지고 있다.
4.7. 가루눈
<colbgcolor=dimgray><colcolor=#fff> 가루눈 Powder Snow | |
| |
용도 | 동상 유발 |
최적화 도구 | 양동이 |
경도 | 0.25 |
폭발 저항 | 0.25 |
최대 스택 | 0 |
액체류 블록들과 마찬가지로 직접 얻을 수 있는 방법이 없다. 섬세한 손길 도구를 써도 아이템화되지 않으며, 아이템 형태로 들고 다니려면 양동이로 퍼내야 한다. 설치 시에도 가루눈 양동이를 써야하며 이는 크리에이티브 인벤토리서도 마찬가지이다. 물이나 용암에 닿으면 사라지며 불이 붙은 개체가 가루눈과 접촉 시에도 불을 끄면서 사라진다.
가루눈 위로 떨어지면 추락 피해를 받지는 않으나 대신 가루눈은 질식 피해 없이 내부로 들어갈 수 있는 액체가 아닌 블록이며 가루눈 위를 아래로 천천히 떨어지는 현상을 볼 수 있다. 이렇게 가루눈의 내부에 들어가 있는 상태에서는 점프 높이가 낮아지고 이동 속도가 느려지며, 시야가 극도로 좁아지고 7초 이상 머물고 있을 경우 얼어 붙으면서 그대로 2초당 1의 동상 피해를 입는다. 플레이어의 경우 화면의 가장자리와 체력바가 얼어붙어 화면상에 드러난다.
이러한 동상 피해를 막고자 한다면 아무 부위나 가죽 재질 갑옷으로 입으면 된다. 특히 가죽 장화를 신은 상태에서는 가루눈 위를 딛고 서 있을 수 있다. 가루눈 위에 양탄자를 설치했을 때도 이와 똑같은 효과를 볼 수 있다.
염소를 제외한 대부분의 몹들은 길을 찾을때 가루눈을 일반적인 고체 블록으로 인식한다. 그래서 가루눈 함정에 빠질 수 있다. 하지만 토끼, 좀벌레, 엔더마이트, 셜커, 여우, 보트JE는 가루눈에 의해 아래로 내려가지 않는다. 북극곰, 눈 골렘, 스트레이는 동상 피해가 없으며, 블레이즈, 마그마 큐브, 스트라이더는 동상 피해를 5씩 받는다.
스켈레톤은 동상 피해를 받지 않으며, 가루눈에 15초 이상 머물 경우 스트레이로 변한다.
여담으로 네더에서 물을 대신해서 낙법으로 사용할 수 있다.
4.8. 차원문
<colbgcolor=dimgray><colcolor=#fff> 차원문 Portal | |
네더 차원문, 엔드 차원문, 엔드 관문 | |
용도 | 차원 이동 |
최적화 도구 | 없음 |
경도 | -1 |
폭발 저항 | 네더 차원문: 0 엔드 차원문 · 관문: 3,600,000 |
최대 스택 | 0 |
네더 차원문(Nether Portal)은 네더 차원문틀을 만들어 활성화시킬 경우 생성되며 접촉한 개체를 네더 차원으로 보내는 역할을 수행한다. 플레이어나 폭발등의 요인으로 파괴될 수 있다.
엔드 차원문(End Portal)은 근거지의 엔드 차원문 틀을 활성화시키거나 엔더 드래곤 최초 처치 후에 생성되는 출구 차원문을 구성하는 블록이다. 전자는 엔드 차원으로 보내주며, 후자는 플레이어라면 설정한 리스폰 지점으로, 아니라면 세계 생성시 지정되었던 최초 스폰 지점으로 보내진다.
엔드 관문(End Gateway)은 엔드 차원의 엔드 관문에 한 칸짜리로 생성되는 차원문이다. 이를 통해서 엔드 중앙섬과 외부 섬을 오갈 수 있다. 2분 간격으로 보랏빛 광선을 생성한다.
[1] 선반 3곳에 원거리 몹을 생성하는 시련 생성기 4개, 금고 3개와 천장에 불길한 금고 1개 있는 천장이 높은 방[2] 모든 좀비 계열 몹과 거미를 생성하는 "근접 유형", 동굴 거미, 좀벌레, 슬라임 중 하나를 생성하는 "소형 근접 유형", 위더 스켈레톤을 제외한 모든 스켈레톤 계열 몹 중 하나를 생성하는 "원거리 유형", 그리고 브리즈를 생성하는 유형으로 총 4가지가 있다.[3] 엔더 드래곤은 특정 블록을 제외하고 비행 경로상에 있는 모든 블록들을 삭제하고, 위더는 블록을 파괴하는 폭발성 해골 투사체를 연사한다.[4]
[5]
[6]
[7]
[제외] 거북, 가디언, 엘더 가디언은 제외[9] 이는 물과 같은 성질이다.[10] 이때 블록 위의 용암은 근원이어야 한다.[11] 가스트와 블레이즈의 공격, 플레이어나 발사기에서 사용된 화염구
#!if version2 == null
{{{#!wiki style="border:1px solid gray;border-top:5px solid gray;padding:7px;margin-bottom:0px"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파일:CC-white.svg|width=22.5px]]]]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마인크래프트/아이템/특수 블록|마인크래프트/아이템/특수 블록]]}}}{{{#!if external != "o"
[[마인크래프트/아이템/특수 블록]]}}}}}} 문서의 {{{#!if uuid == null
'''uuid not found'''}}}{{{#!if uuid != null
[[https://namu.wiki/w/마인크래프트/아이템/특수 블록?uuid=03cc0ccc-eed3-4ffa-816d-8ed18eea7b4c|r148]]}}} 판{{{#!if paragraph != null
, [[https://namu.wiki/w/마인크래프트/아이템/특수 블록?uuid=03cc0ccc-eed3-4ffa-816d-8ed18eea7b4c#s-|번 문단]]}}}에서 가져왔습니다. [[https://namu.wiki/history/마인크래프트/아이템/특수 블록?from=148|이전 역사 보러 가기]]}}}
#!if version2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border:1px solid gray;border-top:5px solid gray;padding:7px;margin-bottom:0px"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파일:CC-white.svg|width=22.5px]]]]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wiki style="text-align: center"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text-align: left; padding: 0px 10px"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마인크래프트/아이템/특수 블록|마인크래프트/아이템/특수 블록]]}}}{{{#!if external != "o"
[[마인크래프트/아이템/특수 블록]]}}}}}} 문서의 {{{#!if uuid == null
'''uuid not found'''}}}{{{#!if uuid != null
[[https://namu.wiki/w/마인크래프트/아이템/특수 블록?uuid=03cc0ccc-eed3-4ffa-816d-8ed18eea7b4c|r148]]}}} 판{{{#!if paragraph != null
, [[https://namu.wiki/w/마인크래프트/아이템/특수 블록?uuid=03cc0ccc-eed3-4ffa-816d-8ed18eea7b4c#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마인크래프트/아이템/특수 블록?from=148|이전 역사]])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마인크래프트/아이템/기타 아이템|마인크래프트/아이템/기타 아이템]]}}}{{{#!if external != "o"
[[마인크래프트/아이템/기타 아이템]]}}}}}} 문서의 {{{#!if uuid2 == null
'''uuid2 not found'''}}}{{{#!if uuid2 != null
[[https://namu.wiki/w/마인크래프트/아이템/기타 아이템?uuid=97af73f6-adad-411f-82cf-bc625493bc87|r1263]]}}} 판{{{#!if paragraph2 != null
, [[https://namu.wiki/w/마인크래프트/아이템/기타 아이템?uuid=97af73f6-adad-411f-82cf-bc625493bc87#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마인크래프트/아이템/기타 아이템?from=1263|이전 역사]]){{{#!if version3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명령 블록|명령 블록]]}}}{{{#!if external != "o"
[[명령 블록]]}}}}}} 문서의 {{{#!if uuid3 == null
'''uuid3 not found'''}}}{{{#!if uuid3 != null
[[https://namu.wiki/w/명령 블록?uuid=4e6b6ced-ad42-424f-88a0-10cf90200c07|r115]]}}} 판{{{#!if paragraph3 != null
, [[https://namu.wiki/w/명령 블록?uuid=4e6b6ced-ad42-424f-88a0-10cf90200c07#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명령 블록?from=115|이전 역사]])}}}}}}{{{#!if version4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물(마인크래프트)|물(마인크래프트)]]}}}{{{#!if external != "o"
[[물(마인크래프트)]]}}}}}} 문서의 {{{#!if uuid4 == null
'''uuid4 not found'''}}}{{{#!if uuid4 != null
[[https://namu.wiki/w/물(마인크래프트)?uuid=2b5f1157-8d52-4c4c-b372-a898f532e001|r130]]}}} 판{{{#!if paragraph4 != null
, [[https://namu.wiki/w/물(마인크래프트)?uuid=2b5f1157-8d52-4c4c-b372-a898f532e001#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물(마인크래프트)?from=130|이전 역사]])}}}}}}{{{#!if version5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5 == null
'''uuid5 not found'''}}}{{{#!if uuid5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5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6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6 == null
'''uuid6 not found'''}}}{{{#!if uuid6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6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7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7 == null
'''uuid7 not found'''}}}{{{#!if uuid7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7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8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8 == null
'''uuid8 not found'''}}}{{{#!if uuid8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8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9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9 == null
'''uuid9 not found'''}}}{{{#!if uuid9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9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0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0 == null
'''uuid10 not found'''}}}{{{#!if uuid10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0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1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1 == null
'''uuid11 not found'''}}}{{{#!if uuid11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1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2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2 == null
'''uuid12 not found'''}}}{{{#!if uuid12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2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3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3 == null
'''uuid13 not found'''}}}{{{#!if uuid13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3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4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4 == null
'''uuid14 not found'''}}}{{{#!if uuid14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4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5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5 == null
'''uuid15 not found'''}}}{{{#!if uuid15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5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6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6 == null
'''uuid16 not found'''}}}{{{#!if uuid16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6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7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7 == null
'''uuid17 not found'''}}}{{{#!if uuid17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7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8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8 == null
'''uuid18 not found'''}}}{{{#!if uuid18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8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9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9 == null
'''uuid19 not found'''}}}{{{#!if uuid19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9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0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0 == null
'''uuid20 not found'''}}}{{{#!if uuid20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0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1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1 == null
'''uuid21 not found'''}}}{{{#!if uuid21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1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2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2 == null
'''uuid22 not found'''}}}{{{#!if uuid22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2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3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3 == null
'''uuid23 not found'''}}}{{{#!if uuid23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3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4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4 == null
'''uuid24 not found'''}}}{{{#!if uuid24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4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5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5 == null
'''uuid25 not found'''}}}{{{#!if uuid25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5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6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6 == null
'''uuid26 not found'''}}}{{{#!if uuid26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6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7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7 == null
'''uuid27 not found'''}}}{{{#!if uuid27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7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8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8 == null
'''uuid28 not found'''}}}{{{#!if uuid28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8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9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9 == null
'''uuid29 not found'''}}}{{{#!if uuid29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9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0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0 == null
'''uuid30 not found'''}}}{{{#!if uuid30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0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1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1 == null
'''uuid31 not found'''}}}{{{#!if uuid31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1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2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2 == null
'''uuid32 not found'''}}}{{{#!if uuid32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2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3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3 == null
'''uuid33 not found'''}}}{{{#!if uuid33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3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4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4 == null
'''uuid34 not found'''}}}{{{#!if uuid34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4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5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5 == null
'''uuid35 not found'''}}}{{{#!if uuid35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5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6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6 == null
'''uuid36 not found'''}}}{{{#!if uuid36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6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7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7 == null
'''uuid37 not found'''}}}{{{#!if uuid37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7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8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8 == null
'''uuid38 not found'''}}}{{{#!if uuid38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8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9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9 == null
'''uuid39 not found'''}}}{{{#!if uuid39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9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0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0 == null
'''uuid40 not found'''}}}{{{#!if uuid40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0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1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1 == null
'''uuid41 not found'''}}}{{{#!if uuid41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1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2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2 == null
'''uuid42 not found'''}}}{{{#!if uuid42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2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3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3 == null
'''uuid43 not found'''}}}{{{#!if uuid43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3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4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4 == null
'''uuid44 not found'''}}}{{{#!if uuid44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4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5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5 == null
'''uuid45 not found'''}}}{{{#!if uuid45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5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6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6 == null
'''uuid46 not found'''}}}{{{#!if uuid46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6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7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7 == null
'''uuid47 not found'''}}}{{{#!if uuid47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7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8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8 == null
'''uuid48 not found'''}}}{{{#!if uuid48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8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9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9 == null
'''uuid49 not found'''}}}{{{#!if uuid49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9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50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50 == null
'''uuid50 not found'''}}}{{{#!if uuid50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50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