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4-15 10:44:37

머슬 메모리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top:5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f38200, #af0399)"
보디빌딩
Bodybuilding

{{{#!wiki style="margin: -0px 2px -5px; min-height: 28px; color: #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letter-spacing: -1px; margin: -6px -1px -7px"
<tablewidth=100%><colbgcolor=#ddd,#555> 연관 학문
영양학
인물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border: 1px solid #ddd; width: 119px; padding: 2px"(보디빌더)|박재훈]]
이준호
기반
종목
IFBB(맨즈 피지크 • 클래식 피지크 • 피규어 • 비키니) • 미스터 올림피아미스터코리아 • 미스터 서울 • AGP • NPC • 머슬 매니아 • YMCA • 보디빌딩 • NABBA • UNF • 뉴욕 프로 • 템파 프로 • 아놀드 클래식 • 김준호 클래식 • 이승철 클래식 • 전국체전
이론
머슬 메모리무분할 운동점진적 과부하근수축 및 이완(등장성 • 등척성 • 등속성) • 애프터번강제반복고립운동 • 스트렝스 트레이닝 • 벌크업 • 린매스업 • 반사이론 • 수직 계측형 이론 • FFMI글리코겐 로딩오버트레이닝베르그만의 법칙볼프의 법칙
운동
핵심 구성
부위
어깨(쇄골 길이, 견봉 길이) • 평균 어깨너비근육골격근 • 골격근 성장 속도 • 단백질 보충제윙스팬(리치) • 뼈 굵기 • 얼굴 크기 • 어깨세모근넓은등근큰가슴근등세모근(상부 승모근 하부 승모근) • 삼두근이두근 • 복직근 • 전거근
포징 규정포즈(라인업 • 프론트 더블 바이셉스 • 프론트 랫 스프레드 • 사이드 체스트 • 백 더블 바이셉스 • 트라이셉스 • 앱도미널 & 타이), 아놀드 포즈, 베큠, 문포즈, 쿼터턴
자격증
}}}}}}}}}}}} ||


1. 개요2. 원리
2.1. 근핵의 유지2.2. 신경계의 발달2.3. 후성유전학

1. 개요

운동을 어느 정도 한 중급자 이상이 수 개월 이상 운동을 하지 않았더라도, 운동을 다시 하면 원래 도달했었던 운동 수행 능력까지는 금방 회복되는 것을 말한다.[1]

2. 원리

머슬 메모리는 수년간의 경험적으로 그리고 동물 실험 등을 통해 밝혀진 바로는 크게 여러 요인으로 존재한다고 추측되고 있다.

2.1. 근핵의 유지

근육은 운동을 통해 손상이 발생하고 이를 회복하는 과정에서 성장을 하는데 이때 근세포는 주변 위성세포들과 함께 융합하여 세포의 크기가 커지게 되는 식으로 발달하게 된다. 이때 위성세포들의 핵은 융합된 이후에도 사라지지 않고 남아서 거대해진 근세포를 지탱하는 근핵이 된다.[2] 이후 운동을 하지 않아 근손실이 일어나게 되면 비대해진 근세포가 줄어들게 되지만 근핵은 여전히 남아있게 되고[3] 이후 운동을 다시 재개했을 때 이 근핵이 바탕이 되어 빠르게 근성장이 일어난다는 것이다.

2.2. 신경계의 발달

신체는 동일한 운동을 반복적으로 수행하게 되면 그에 맞춰 적응하게 되는데 이게 흔히 웨이트 트레이닝을 통해 근성장을 이루는 가장 기초가 되는 원리이다. 이때 신체는 수행하는 움직임에 관련된 골격근 뿐만 아니라 신경계도 함께 발달을 시키게 된다. 이후 수개월간의 운동을 수행하지 않게 되면 근육은 상대적으로 빠르게 소실되는 반면 한번 발달했던 신경계는 여전히 남아있게 되고 이후 다시 운동을 재개했을 때 이미 발달해있던 신경계를 토대로 이미 해당 동작을 충분히 능숙하게 수행할 수 있기에 빠르게 운동 볼륨을 늘릴 수 있게 된다는 논리이다.

2.3. 후성유전학

다른 한가지 설명은 후성유전에 따른 이유이다. 후성 유전은 생명체가 단순히 유전자의 고유한 조합에 의해 그 신체가 결정되는 것이 아니라 환경적으로 특정 유전 배열의 발현을 조절하는 형질을 통해 후천적으로 유전적 특징을 획득하고 유지한다는 이론이다. 처음 운동을 하게 되면 근육 성장 및 해당 운동 기술과 관련된 유전자가 충분히 발현되지 않은 반면 충분히 특정 운동을 계속했었다가 단기간 운동을 중단하여도 이 유전자 발현이 지속된다는 설명이다.
[1] 사실 아래의 이유들에 대해 '그런거 없다'고 말하는 학자들도 꽤 된다. 이들이 금방 회복하는 것은 이미 효율적인 운동 수행 방법을 알고 있고 또 경험해 보았기 때문에, 즉 생화학적인 면보단 정보와 경험의 차이 때문이라는 주장이다. 아직 해당 이론의 역사가 길지 않기 때문에 좀 더 검증이 필요한 부분이다.[2] 이 때문에 근육 세포는 한개의 세포 안에 여러개의 핵을 가질 수 있어 다핵세포로 분류된다.[3] 근핵의 수명은 약 15년 정도 수준이라고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