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2-10 09:27:45

메가진화

메진에서 넘어옴

[[포켓몬스터 X·Y|포켓몬스터
X·Y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wiki style="word-break: keep-all
'''주요 문서'''
칼로스지방 · 공략 · 대전 · 평가 · 슈퍼 뮤직 컬렉션 · きみとゆく · KISEKI · 칼로스지방 전쟁
주인공: 칼름 · 세레나
라이벌: 칼름 · 세레나 · 사나 · 트로바 · 티에르노
연구소: 플라타느박사 · 덱시오 · 지나
체육관 관장 · 챔피언과 사천왕 · 악의 조직
등장 포켓몬
칼로스도감 | 스타팅 포켓몬 · 전설의 포켓몬 · 환상의 포켓몬 · 메가진화가 가능한 포켓몬
시스템 메가진화 · 스카이배틀 · 거꾸로배틀 · 배틀샤토 · 배틀하우스 · 커스터마이징 · 포켓파를레 · 슈퍼트레이닝 · 포켓몬 뱅크
}}}}}}}}}||

파일:포켓몬스터 로고.svg 배틀 기믹
6세대 7세대 8세대 9세대
파일:메가진화 아이콘.png 파일:지무브.png 파일:dyna.png 파일:테라스탈 아이콘.png
메가진화 Z기술 다이맥스 테라스탈
메가진화
メガシンカ Mega Evolution
파일:megavs.png 파일:attachment/메가진화/Blaziken_MegaEvo.png
메가뮤츠Y VS 메가루카리오 번치코의 메가진화

1. 개요2. 설정
2.1. 부작용2.2. 다이맥스와의 연관성?2.3. 테라스탈과의 연관성?
3. 특징
3.1. 키스톤3.2. 메가스톤
4. 본가
4.1. 선공권4.2. 역사
4.2.1. 8세대: 퇴출4.2.2. 퇴출 이후4.2.3. 부활
5. 메가진화 포켓몬 일람6. 관련 테마곡7. 유사한 개념8. 평가
8.1. 디자인8.2. 편애8.3. 밸런스
8.3.1. 초창기의 평가8.3.2. 8세대 이후
8.4. 이외
9. 다른 매체에서의 등장10. 기타

1. 개요

포켓몬스터 X·Y에서 첫 등장한 조건부 자기 버프 시스템으로 포켓몬의 새로운 진화 방식이다. 6세대부터 시작된 세대별 배틀 기믹의 첫 주자이기도 하다.

게임 내 캐릭터들의 대사 및 게임 광고 등에서 '진화를 뛰어넘은 진화'라고 소개된다. 포켓몬 최대의 수수께끼라고도 한다. XY에 등장하는 포켓몬 박사플라타느박사의 주요 연구 분야이다.

지금까지 포켓몬이 진화할 수 있는 횟수는 포켓몬에 따라 정해진 한도가 있었다. 그러나 메가진화는 그 진화의 한도를 초월한 새로운 진화다. 메가진화란 숨겨진 힘을 일시적으로 개방하여 일반적인 진화로는 있을 수 없는 힘을 발휘하는 것이다. 그리고, 리자몽과 뮤츠는 X, Y라는 2종류의 메가진화를 가진다. 닌텐도 드림 2013년 11월호의 마스다 준이치 & 모리모토 시게키 인터뷰에 의하면 메가진화한 포켓몬은 전설의 포켓몬 수준으로 강해지기 때문에, 메가진화하는 포켓몬의 수도 딱 한 마리만 하는 것으로 했다고 한다.

참고로 메가진화하는 포켓몬을 선택한 기준은 외모, 인기, 게임 밸런스 3가지라고 한다. 물론 예외도 있다.

2. 설정

현재도 수수께끼가 많은 설정으로, 처음 등장한 X·Y에서는 스토리 후반까지도 밝혀진 사실이 적은 수수께끼의 기믹으로 남았고, 오메가루비·알파사파이어에서는 '메가진화의 수수께끼를 풀어낸다'라는 캐치프레이즈를 따라 X·Y보다는 많은 것이 밝혀지긴 했다.

X·Y에서는 메가스톤은 3000년 전 칼로스지방 전쟁 당시 칼로스의 왕 AZ[1]가 어느 날 분노에 차 발동시킨 최종병기에 사용된 제르네아스(X)·이벨타르(Y)의 생명 에너지가 칼로스지방 전역을 강타한 뒤 돌들에 깃들어서 생겨난 것이란 설정이다. 이 때문에 메가스톤이 발견되지 않는 대부분의 타 지방에서는 칼로스지방에서 메가스톤을 직접 공수해 와야 한다.[2] 칼로스지방에선 최초의 메가진화를 한 포켓몬이 루카리오라고 하며 그 루카리오의 트레이너의 후손이 사라시티의 코르니와 그녀의 할아버지 콘콤부르다.[3]

하지만 오메가루비·알파사파이어에서는 오래전 우주에서 떨어진 방대한 에너지를 품고 있는 운석이 메가스톤이 된것이며, 호연지방 전역에 메가스톤이 떨어져 있는 걸 보아 호연지방에도 메가스톤이 발견되었다. 아쿠아단의 간부 해조는 유성의 폭포에 있는 운석에서 키스톤을 채취했다. 우선 에피소드 델타 이후로는 운석들의 파편이 메가스톤으로 변했다고 한다. 아강은 공석 박사에서 빼앗은 운석에 대해 "어느 때는 메가스톤으로, 어느 때는 키스톤으로, 또 어느 때는 (다른 뭔가)로 바뀐다"고 발언했다.

메가스톤은 포켓몬의 본래의 힘을 끌어내는데 필요한 것이지만, 그 명확한 정체는 불명이다. 칼로스지방의 메가스톤은 최종 병기의 빛을 받은 것이 아닐까 플라타느 박사가 추측하고 있지만, 최종 병기는 생명을 다루는 제르네아스와 이벨타르의 힘과 포켓몬의 생체 에너지를 대량으로 사용한 것이기 때문에, 레쿠쟈가 선천적으로 지닌 기관과, 운석에서 만들어진 호연의 메가스톤, ORAS에서 자연에너지가 해방된 직후 발견된 메가스톤들과 비교하면, 어떤 의미에서는 "인공적으로 생성된 메가스톤"이라고도 말할 수 있을지도 모른다. 어느 쪽이든, 막대한 에너지를 품고 있는 돌이라는 것은 확실하다.

XY에서는 3000년 전 전쟁에 사용된 최종병기의 생명 에너지가 칼로스지방 전역에 퍼지면서 칼로스 지방의 돌들이 메가스톤으로 변했다고 하였고, ORAS에서는 호연지방에 떨어진 운석이 메가스톤이 되고 레쿠쟈가 사람들의 기도를 받아 변화한 모습이 후대에 연구, 고안한 것이 메가진화라고 한다. 피아나, 구열, 해조가 3000년전 최종병기를 언급하는 걸로 보아 최종병기 사건이 존재하는 세계이다.

이 점은 메가스톤이 만들어진 건 칼로스지방이지만 메가진화를 고안해낸 것은 호연지방이라고 한다면 설명이 된다. 혹은 메가진화가 양쪽 지방에서 독립적으로 발전된 것일 수도 있다. 주인공의 어머니가 주는 라티아스나이트/라티오스나이트라든가, 민진의 사촌누나가 주는 가디안나이트 등은 하늘에서 떨어진 반짝이는 것이었다고 한다. 칼로스지방에서는 최종병기의 생명 에너지가 돌들을 메가스톤으로 변화시켰다면 호연지방에서는 우주에서 떨어진 운석들이 동급의 에너지를 가지고 있어 메가스톤이 된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이후 게임프리크 대규모 정보 유출 사건으로 풀린 설정에 따르면 다음과 같다.
{{{#!folding [원문 펼치기·접기]
●Δ進化について
・Δ進化はレックウザ、人、そして強い力を宿したキーストーンによって可能となる。
・つまりΔ進化の基本的な原理はメガ進化のそれと同様である。
・ただしミカド器官を有するレックウザは、Δ進化にあたってメガストーンを必要としない。
・またレックウザの能力(巨大なミカド器官)を反応するだけのキーストーンのパワーが必要である。
・Δ進化の法則にのっとり後年トレーナーが編み出したものがメガ進化である。
・ゆえにΔ進化はメガ進化の起源とされている。
・Δ進化は太古に幾度かホウエン地方で行われていた。それは古い伝承として残っている
・この光景を目にしていた異国の男は言った。
「世の揺らぎより生まれし者。すなわちΔ。人の祈りと石の絆にて自ら生まれし揺らぎを平らかにする」
・この言葉が彼の滞在していたルネに暮らす人々に伝わり、やがてΔ態と呼ばれるようになった。}}}

●Δ진화에 대하여.
* Δ진화는 레쿠쟈, 사람, 그리고 강한 힘이 깃든 키스톤에 의해 가능해진다.
* 즉, Δ진화의 기본적인 원리는 메가진화의 원리와 같다.
* 다만 제왕의 기관을 지닌 레쿠쟈는, Δ진화에서 메가스톤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 또한 레쿠쟈의 능력(거대한 제왕의 기관)을 반응하게 할 정도의 키스톤의 파워가 필요해진다.
* Δ진화의 법칙에 준거하여 후에 트레이너가 짜낸 것이 메가진화다.
* 따라서 Δ진화는 메가진화의 기원이 된다.
* Δ진화는 태고에 몇번이고 호연지방에서 행해졌다. 그건 옛 전승으로 남아있다.
* 이 광경을 목격한 다른 나라의 남자는 말했다.
「세상의 요동 속에서 태어난 것. 다시 말해 Δ. 사람의 기도와 돌의 유대를 통해 세계에 태어나 요동을 잠잠히 하였다」[4]
* 이 말이 그가 체재하던 루네에 살던 사람들에게 전해져, 이윽고 Δ태라고 불리게 되었다.
즉, 호연지방의 메가레쿠쟈. 정확하게는 Δ태의 Δ진화를 이룬 레쿠쟈가 메가진화의 원형이며, 제왕의 기관 대신 포켓몬과의 공명을 이룰 수단으로 최종병기에서 쏟아진 에너지가 생성한, 혹은 강력한 힘을 가진 운석을 매개체로 탄생한 메가스톤을 이용한다는 해석이 현재로서는 가장 정합도가 높은 해석이다. Δ진화 설정을 보더라도 키스톤 자체는 메가진화 이전부터 존재한 것으로 보인다.[5]

2.1. 부작용

메가진화의 힘은 최종병기 '독의 꽃'에서 비롯된 전설의 포켓몬 제르네아스이벨타르의 '생명 에너지'를 받아 포켓몬을 일시적으로 강화시키는 힘으로서, 이는 포켓몬을 강하게 만들어 주나 그 힘이 너무나도 강대한 나머지 메가진화한 포켓몬 자신에게 부작용을 일으킨다는 설정이 7세대의 도감 텍스트를 통해 암시되었다.

포켓몬스터썬·문부터는 포켓몬 도감에 폼 체인지 및 다른 모습들마다 전용 설명이 추가되었는데, 메가진화 전보다 흉폭화 되어서 파괴의 본능 밖에 남지 않았다든가(메가갸라도스), 유대감이 비뚤어져 있어서 먹이로 노린 상대하고만 싹튼다든지(메가팬텀), 더욱 난폭해져서 키워준 트레이너마저 덮칠 정도라는 등(메가보만다) 어째 트레이너와의 강한 유대감으로 진화한다는 설정에 맞지 않는 부정적이고 가학적인 설명문이 있다.

포켓몬스터 울트라썬·울트라문의 도감 역시 몇몇 포켓몬이 메가진화의 에너지를 감당하지 못하거나 과잉된 에너지를 절제하지 못한다는 내용이 있는데, 메가핫삼은 에너지를 과잉 축적하여 시간이 오래되면 몸이 녹기 시작하며, 메가헬가의 빨간 발톱과 꼬리 끝은 헬가 자신도 괴로울 정도로 뜨거우며 이미 용해되고 있다고 한다. 또한 메가프테라가 극도로 난폭해진 사유 또한 메가진화의 에너지가 체내에 과하게 흐르고 있기 때문이라고 한다.

그렇다고 모든 메가진화 포켓몬에 부정적인 설명만 있는 것은 아닌 것이, 메가캥카는 아이의 성장에 기뻐하면서 의욕이 넘치고 있다고 하며, 메가쁘사이저는 메가진화한 덕분에 날 수 있게 되어 기뻐하고 있고, 메가야도란은 안이 꽤 쾌적하다고.

상술한 도감 설명들 때문에 메가진화의 발생엔 유대감이 필요하지 않다는 추측이 생겨났다. 친밀도가 0이거나 다른 트레이너에게서 갓 교환받은 포켓몬이어도 메가진화는 잘만 되기 때문이다. 그렇기에 메가진화해서 난폭해진 포켓몬을 유대감을 통해 제어한다고 추측할 수 있다. 애니메이션에서도 루카리오의 메가진화 자체는 가능했지만, 유대감이 부족하여 트레이너의 명령을 듣지 않고 폭주했다. 마찬가지로 이 유대감이 의외로 중요하게 묘사된 게 딱 한 에피소드 뿐이나 포켓몬 쪽에서 메가진화하는 것을 거부하고 저항하는 모습을 보인 사례가 있다. 로켓단이 플라타느박사의 한카리아스를 키스톤과 메가스톤채로 강탈했을 때 일로 로켓단이 한카리아스를 메가진화시키려 했지만 한카리아스가 이에 저항해서 메가진화가 실패했던 것이다. 애초에 사나의 발언을 통해, 갸라도스도 플라드리를 믿고 따랐기에 메가진화 할 수 있었단 사실을 게임 내에서 설명해준 만큼 딱히 이상한 것은 아니다.

상술한 가학적인 도감 설명으로 인하여 구설수에 오르게 되었는데, 게임프리크가 이러한 의견을 인식한 것인지는 모르나 현재로써 마지막으로 메가진화가 등장한 레츠고 시리즈의 도감에는 메가진화가 포켓몬에게 부작용을 끼친다는 설명이 전무하다. 메가리자몽Y의 설명문에는 유대감이 힘의 원천인 것을 강조하며, 상술한 메가갸라도스도 본능이 이끄는 대로 파괴의 끝을 보여주나, 진심으로 신뢰하는 트레이너의 지시엔 응답한다는 설정이 추가되었다. 메가야도란의 경우엔 아예 셀러의 소화액에 야돈이 각성하여 힘을 얻었다고 한다. 또한 Pokémon GO의 메가진화 도감의 경우, 본가의 도감 설명을 인용하되 최대한 긍정적인 도감 설명문만 인용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다만 메가핫삼의 멜트다운 설정은 그대로인 것으로 보아 몇몇 부작용은 존재하는 것으로 보인다. 사실 배틀이 끝나면 메가진화가 풀린단 것을 생각해볼 때 몸이 녹아내리는 등의 부작용은 비정상적일 정도로 오랫동안 메가진화 상태를 유지했을 경우에 한해서 생기는, 이론상 혹은 설정상의 부작용일 가능성이 크다.

즉, 메가진화의 발생 자체는 키스톤과 메가스톤만 있어도 가능하나, 트레이너와 포켓몬 간의 유대감을 통하여 도감에 서술된 부작용을 제어하는 것으로 해석하는 것이 옳다. 애초에 포켓몬 도감의 정보 신뢰도가 그리 높지도 않은 것이, 포켓몬의 세계관이 정립되지 않았던 1세대의 도감에 언급된 건 그렇다쳐도 시간이 흘러 세계관이 정리된 7세대에 와서 또 언급된 그놈의 인도코끼리도 그렇고[6] 주관적이고 감정적이거나, 학문적으로 의심스러운 서술도 많은데다 가라르지방의 화석 포켓몬의 도감 설명이나 패러독스 포켓몬의 도감 설명이 말도 안되는 서술이나 가십성 찌라시를 인용해 놓는 모습을 보면 정말 저런 부작용이 있는지도 의문이다. 결정적으로 저런 부작용이 인게임이나 관련 매체에서 묘사된 사례는 손에 꼽을 수준으로 적다.

2.2. 다이맥스와의 연관성?

다이맥스와 메가진화는 거다이맥스가 모습이 변한다는 것 외에는 공통점이 사실상 없으나, 3000년 전의 칼로스지방 전쟁과, 가라르지방의 블랙 나이트 사건이 시기가 겹치기에 연관성이 있을 수도 있다.

무한다이노는 도감 설명상으로는 20000년 전에 운석에 실려 떨어져 그것의 영향으로 가라르지방의 땅에 다이맥스의 근원인 가라르 파티클이 퍼졌으나, 정작 무한다이노가 폭주한 것은 3000년 전이다.

즉 칼로스지방과 지리적으로 가까운 가라르지방에서 17000년동안 어딘가에 잠들어있던 무한다이노가, 칼로스지방에서 작동한 최종병기의 발사의 여파로 그 힘에 반응해 폭주해 블랙 나이트를 일으킨 것이 아니냐는 추측이 존재한다.

2.3. 테라스탈과의 연관성?

테라스탈은 메가진화와 시스템적 유사점이 매우 많다. 한 번 시전하면 배틀이 끝날 때까지 계속 유지되며, 포켓몬의 타입을 변화시키는 힘이 있다.[7]

또한 포켓몬 레전즈 Z-A의 발매로 이 연관성 떡밥이 더욱 흥미로워졌는데, 팔데아의 대공 문서의 가설처럼 테라스탈이 최종병기의 잔류 에너지로 형성된 것이라는 추측이 만약 옳다면, 메가진화와 테라스탈은 근원적으로 최종병기에서 기원된 동일한 현상의 일종이라는 말이 된다.

최종병기 독의 꽃은 테라스탈의 보석같은 질감을 띈다는 점, 스텔라 테라스탈은 메가진화처럼 무지개빛을 띈다는 점, 스텔라폼 테라파고스는 종족값이 100오른다는 점이 메가진화를 더욱 연상시킨다.[8]

3. 특징

파일:메가리자몽Y메가진화.gif
메가리자몽Y로 메가진화하는 리자몽
파일:리자몽나이트X&키스톤.png
리자몽나이트X와 키스톤
메가진화는 일반적인 진화처럼 영구적이지 않다. 필요시(주로 배틀 중) 메가진화하고, 역할이 끝나거나 포켓몬이 기절하면 풀린다.

일반적인 메가진화에는 다음의 준비물이 필요하다.
  • 키스톤: 트레이너가 지니는 중요한 물건.
  • 메가스톤: 포켓몬이 지니는 도구.
  • 트레이너와 포켓몬 사이의 강한 유대감.

상기 조건을 만족하면 키스톤과 메가스톤을 공명시켜 메가진화할 수 있다.

소지 포켓몬 수와 관계없이 1번의 배틀에서 메가진화할 수 있는 포켓몬은 1마리 뿐이다. 이 제한은 게임 밸런스를 위해 정한 것이라고 한다.

메가진화한 포켓몬은 이름 앞에 '메가'를 붙여 부르며[9], 메가진화한 포켓몬은 모습이 바뀌고 종족치가 변화하고 타입이나 특성이 변화하기도 한다.[10] 이렇게 메가진화한 포켓몬은 여기에 대부분의 메가진화 포켓몬은 화력을 더욱 올려주는 특성을 가지고 있어서, 실제 운용에서는 적힌 종족치 이상의 밥값을 한다.

3.1. 키스톤

무지개색을 띄는 돌. 일부 트레이너는 키스톤을 전용 악세사리로 개조해서 갖고 다니기도 한다.

크기가 제각각이며,[11] 꽤 많은 트레이너가 가공해서 들고 다니는 것으로 보아 세공이 쉽고 세공해도 메가진화 기능은 별 차이가 없는 광물로 추정된다.

게임 내에서는 스토리를 진행하다 보면 획득하게 된다.[12]
파일:메가링XY.jpg
칼름과 세레나의 메가링
게임 내에서 키스톤을 장비하고 있는 트레이너와 그들의 도구는 다음과 같다.

위 사례들을 제외한 나머지 주인공을 포함한 트레이너들은 단순히 키스톤이라고만 나온다.

SM/USUM의 주인공인 영태/미월은 키스톤 원석을 그대로 사용하며, LPLE의 주인공인 태주/보연은 뱃지 형태로 가공된 키스톤을 사용한다.

애니메이션에서는 귀걸이, 의수, 스태프, 심지어 인식표에 키스톤을 붙이고 있는 군인 캐릭터도 등장한다. 또한 작중에서 이슬은 머리장식, 은 목걸이, 난천은 립스틱에 키스톤을 붙이고 있다.

3.2. 메가스톤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메가스톤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4. 본가

기술 선택창에서 메가진화 버튼을 선택함으로써 메가진화할 수 있다. 그러면 그 포켓몬은 우선도 +5.5로 그 턴에 메가진화한다.

메가진화한 포켓몬은 모두 종족치 총합이 100 증가한다.[17] 그러나 현재까지 공개된 그 어느 포켓몬도 HP 종족치는 바뀌지 않는다.

메가진화 포켓몬은 원본에 비해 울음소리도 변화하고[18] 에코가 깔려있어 시간이 상당히 길어진다.

메가진화한 포켓몬이 쓰러지면 원래 모습으로 돌아오며, 스토리 진행 중 기력의조각, 부활초 등으로 깨워도 해당 전투에서 다시 메가진화할 수는 없다.

4.1. 선공권

6세대에서는 스피드 종족값의 경우 메가진화로 상승한 수치 자체는 적용되나[19], 행동 우선순위는 바뀌지 않으므로[20] 스피드 종족값 85의 최속 쁘사이저가 메가진화해서 종족값 105가 되어 빨라졌다고 하더라도, 그 턴에는 종족값 102의 최속 한카리아스보다 먼저 공격할 수 없고, 다크펫이 메가진화를 하여 특성이 짓궂은마음으로 변경되었더라고 하더라도 우선도 +1의 변화기를 사용하지 못한다. 이것은 버그가 아니라 근본적인 대전 시스템상의 문제로, 행동 우선순위는 기술창에서 기술을 선택하는 시점[21]에 적용되는 것이기 때문이다.

7세대에서는 메가진화한 그 턴에도 메가진화 후의 스피드 및 우선도가 적용되도록 변경되었다.[22]

행동 우선순위에 대한 원리는 더블배틀을 생각하면 더 쉽게 알 수 있는데, 한쪽은 쥬피썬더에레키블을, 다른 쪽은 한카리아스와 갸라도스를 필드에 내보냈다고 가정할 경우 도구와 노력치 보정이 없다면 스핏 실능은 쥬피썬더 - 한카리아스 - 에레키블 - 갸라도스 순이다. 이 턴 쥬피썬더가 가장 먼저 전기자석파를 에레키블에게 사용해 전기엔진 특성을 발동시키면 에레키블의 스피드 실능이 1랭크 상승해 한카리아스보다 높아지지만 상대의 한카리아스보다 먼저 냉동펀치를 날리지 못하고 쥬피썬더와 함께 지진에 얻어터져 필드가 쓸려버리는 상황이 연출된다. 왜냐하면 우선순위는 기술을 선택하는 시점에서 이미 결정되었기 때문이다. 따라서 가장 늦게 행동하는 갸라도스에게 일렉트릭볼을 더욱 강력한 위력으로 날릴 수는 있어도 더 빨리 행동하는 한카리아스에게 냉동펀치를 날릴 수는 없다. 메가진화도 같은 이치라 생각하면 된다. 이는 메가진화 우선도가 변경된 7세대에서도 그대로.[23]

8세대부터는 배틀 중의 스피드가 실시간으로 적용되도록 바뀌어서, 위와 같은 상황에서 에레키블이 한카리아스에게 먼저 냉동펀치를 날릴 수 있다.

4.2. 역사

포켓몬스터 오메가루비·알파사파이어에서는 포켓몬 콘테스트에서도 메가진화를 사용할 수 있다. 결정적 순간에 절정 무대를 장식하는 용도.

7세대에서는 새로운 메가진화 포켓몬이 추가되지 않았다. 포켓몬스터썬·문, 포켓몬스터 울트라썬·울트라문의 경우 대부분의 메가스톤을 BP를 소비해서 구입해야 한다.

레츠고 시리즈에서는 포켓몬에게 도구를 지니게 할 수 없게 되었지만, 메가진화는 여전히 존재한다. 키스톤을 얻은 이후부터 사용할 수 있으며 키스톤과 해당 메가스톤을 가방에 소지하고 있으면 메가진화가 가능하다.

8세대 소드/실드 및 9세대 스칼렛/바이올렛에선 메가진화가 삭제되어 사용할 수 없다.

4.2.1. 8세대: 퇴출

7세대 신규 포켓몬 목록에서 신규 메가진화체가 추가되지 않고 기존 메가진화체의 도감 설명을 부정적으로 기재하며 손절치려는 듯한 기미를 보이자 게이머들 사이에선 "게임프리크가 또 신규 컨텐츠를 다음 세대에 넘겨주지 않는 사례에 포함시킨것 아니냐."며 오와콘으로 전락한 것이 아니냐는 추측이 제기되었고, 결국 8세대 포켓몬스터소드·실드에서 7세대의 Z기술과 함께 완전히 삭제되며 이를 확정했다. 단순히 메가진화 포켓몬의 업데이트가 끊긴 것이 아니라 완전히 삭제되었기에 소드·실드에선 어떤 방법으로든 게임 내에서 메가진화를 할 수도 메가진화 포켓몬을 볼 수도 없다. 덤으로 폼 체인지 방식으로 해결할 수 있을만한 원시회귀도 같이 썰렸다. 메가레쿠쟈와의 형평성 유지 및 밸런스 조절을 위해[24] 원시회귀도 같이 삭제한 것으로 보인다.

크게 스토리와 일반 컨텐츠를 즐기던 일반 유저들과 레이팅 유저로 의견이 나뉘며, 레이팅 유저 사이에서도 반응이 양분되고 있다. 일반 게이머들은 배틀 도중 진화하여 성능과 외양이 바뀌어 극적인 재미를 주던 컨텐츠를 삭제시킨 것이 이해가 가지 않는다는 반응이다. 메가진화는 포켓몬스터 시리즈의 메인 컨텐츠이자 엔드 콘텐츠포켓몬 도감에도 설명이 등록되어 2세대의 규토리, 3세대의 비밀기지, 5세대의 포켓우드 등 특정 세대 전용 컨텐츠로 보기 힘들었다. 그간 게임프리크가 보여줬던 특정 세대만의 전용 컨텐츠와는 성격의 궤가 다른, 이른바 메인스트림에 편입된 요소였던 것이다. 또한 진화 시 대폭 오르는 성능과 멋드러진 외양, 중후반부터 구할 수 있는 특정 도구를 통해서만 진화가 가능하다는 점 때문에 메가진화가 가능한 포켓몬을 자신의 에이스 포켓몬으로 키워왔던 유저들로부터 큰 비판을 받았다. 또한 플라이곤 같이 자신의 애정몬들에게 메가진화체가 추가되기를 바라던 팬들의 오랜 바람을 헛된 기다림으로 만들어버렸다. 대다수 포켓몬 자체를 좋아하는 라이트 유저들에겐 안 그래도 여러모로 문제가 생기고 있는 소드·실드의 논란거리에 분노할 거리를 하나 더 얹게 되는 원인이 된 것이다.

한편 레이팅 유저들 사이에선 특정 세대 편애와 밸런스 붕괴로 잡음이 있던 골칫덩어리가 삭제되는 것을 반기는 이들과 이를 반대하는 게이머들 사이에서 첨예한 대립이 오갔다. 후자측은 한 번 정해진 시스템에 큰 밸런스 패치 없이 신규 플레이어블 캐릭터만이 쌓여져 가는 포켓몬스터 시리즈의 특성상, 한번 효용이 없는 것으로 판정된 구세대 포켓몬은 쭉 하위 티어에 머물며 레이팅에 등장하지 않는 경우가 대다수인데 안그래도 이런 메타가 정적인 게임에 새로운 변화가 생길 여지를 게임프리크가 스스로 원천차단시켰다는 것이 주된 논지이다. 캥카, 입치트, 파비코리 등 메가진화가 사라져 성능에 치명적인 손실이 생긴 포켓몬들은 이제 6세대 이전 메타로 돌아가 상위 레이팅에선 쓸 일이 없게 되었다. 메타의 순환을 바라는 유저들에겐 가로막구리처럼 비록 리전폼 한정이지만 6년만에 기존 포켓몬의 진화형이 등장한 선례가 있으므로, 메가진화를 잃어 효용이 크게 낮아진 포켓몬들과 애초에 메가진화를 못 받은 포켓몬들의 경우 새로운 진화형의 추가를 기대하거나 게임프리크의 세대 단위로 이루어지는 느려터진 밸런스 패치를 기다릴 수밖에 없게 되었다.

메가진화는 비록 고른 분포를 가진 것은 아니나 그 독특한 매력 덕분에 시스템 자체 만큼은 대부분의 유저들에게 사랑을 받아 8세대 출시 전부터 포켓몬스터 반갈죽 논란 등과 함께 오래동안 화두에 올랐다. 메가진화에 문제점이 있다면 이를 고칠 생각을 해야할 텐데, 그러지 않고 그저 통으로 삭제해버린 게임 프리크의 결정에 반발하는 유저는 많은 실정이다. 8세대 출시 이후 소드·실드의 DLC의 발표로 인하여 메가진화의 복귀 가능성이 생겼지만 결국 복귀하지 못했다.[25]

그나마 이번 퇴출 건은 게임프리크의 포켓몬 삭제 결정처럼 개발진들의 편의를 위해서지 스토리나 설정의 리부트 같은 이유로 삭제된 것이 아니라는 점이다. 포켓몬 공식 홈페이지의 도감에선 여전히 메가진화 포켓몬을 볼 수 있으며, 포켓몬 홈의 전국도감에도 수록되어 있다.

4.2.2. 퇴출 이후

메가진화를 없앤 소드·실드도 밸런스 면에서 나아진 부분은 사실상 없었다. 오히려 훨씬 나빠졌다는 평가가 다수이며[26], 왕관의 설원 이후부터는 몇몇을 제외하면 메타 포켓몬은 거의 준전설 포켓몬과 울트라비스트 쪽으로 쏠려버렸다. 어떻게든 정체된 메타를 순환시켜보기 위해 레이팅에 초전설 1마리 허용 룰이 채택된 시즌도 있었지만, 이쪽도 새로 등장한 자시안 때문에 메타 고착화를 타파하지 못했다.

다이맥스 시스템은 모든 개체가 고르게 받은 어드밴티지이나 이는 표면상으로만 그럴 뿐이다. 소드실드 실전배틀 환경에서 다이맥스를 제대로 활용할 수 없는 에이스전개를 제외한 수많은 조합들과 다이맥스 포켓몬에게 통하지 않는 변화기들이 사장되었고 메타가 다양성 없는 단순 힘싸움으로 굳어버렸다. 또한 공격/특공을 랭크업시키는 효과로 인해 위력 페널티를 먹은 격투/독과 다르게 기술자체에 아무런 페널티도 없는데 스피드를 1랭크 올려주는 다이제트가 메타를 휘어잡아서 비행에 약점을 찔리는 포켓몬들은 여전히 허리를 못 펴는 등, 게임프리크의 격투죽이기 정책을 등에 업고 6세대, 7세대 내내 환경을 난장판으로 만들었던 비행은 또 한 세대를 평정했다. 메가진화 삭제를 찬성하는 측이 주장하던 밸런스 관련 논리는 무용지물로 전락해버린 것이다.

한편 메가진화가 보여준 임팩트와 매력은 게이머들뿐만 아니라 게임프리크 외부의 개발자들에게도 예외는 아니었던지, 외전작이나 타 회사와의 협력작에서는 꾸준히 등장하고 있다. 레츠고 시리즈에선 공식적으로 사용할 수 있었고, 반다이남코와 합동 제작하는 폭권이나 사쿠라이의 유한회사 소라에서 제작하는 스매시브라더스 시리즈, DeNA가 제작하는 포켓몬 마스터즈[27] 등 외전 및 외부 개발사와의 협력 작품에서는 여전히 초필살기 내지 궁극기로 등장한다. 상술한 메가진화를 채용한 외전 작품들은 전부 8세대 출시 이전에 제작된 작품들이라 소드·실드 발매 이후 팬들은 불안한 심정으로 포켓몬 시리즈의 행보를 지켜봐야 했으나, 8세대 직후 출시작인 스파이크 춘소프트의 2020년도 작품 포켓몬 불가사의 던전 구조대 DX에서 메가진화가 등장하며 같은 해 6월 Niantic포켓몬 GO에서도 메가진화가 신규 콘텐츠로 업데이트되고, 2023년 포켓몬 유나이트에 메가뮤츠X/Y가 참전하는 등 여전히 외전작에서 명맥을 이어가고 있다. 유저들은 원작사보다 외부에서 잘 써먹고 있다는 반응. 심지어 본가 게임과 함께 포켓몬 브랜드의 양대 메인 콘텐츠인 애니메이션의 최신작 포켓몬스터W에서도 메가진화가 등장, 그것도 기존 XY 애니에선 충족되지 않은 한지우 최초의 메가진화가 등장했다.

이후 스칼렛 바이올렛에서는 한번 시전하면 배틀 내내 지속 가능하다는 점에서 비슷한 테라스탈이 추가되고, PV 등에서 메가진화에 대한 언급을 일절 하지 않았기에 메가진화는 6세대 리메이크에 기대를 거는 것이 좋을 것으로 보인다. 이후 보만다의 패러독스 포켓몬 고동치는달의 월간 오컬쳐 기사와 바이올렛 버전 도감 설명문에서 메가진화가 돌려 언급되며 여전히 설정 자체는 건재함을 어필했다. 다른 기믹인 Z기술이나 다이맥스는 언급조차도 없었다는 것을 감안하면 메가진화 설정을 언급해준 것은 꽤나 특별한 것이라고도 할 수 있다. 그러나 포켓몬 박스의 특성 검색 기능을 이용 시 부자유친, 스카이스킨, 델타스트림 등 메가진화한 포켓몬 외에는 보유 포켓몬이 없는 특성을 선택할 수 있어 8세대에 비해서는 DLC를 통한 복귀 가능성이 어느 정도 열려 있는 편. 벽록의 가면과 남청의 원반이 나오면 알 수 있을 것이다.

일단 벽록의 가면에서는 메가진화가 언급도 등장하지 못했으나, 오거폰의 전용 테라스탈이 메가진화의 특징을 어느 정도 가져갔다.[28] 브라이어의 언급으로 다른 지방에서도 테라스탈을 상용화시킬 수 있겠다는 떡밥으로 인해 메가진화를 팽하고 테라스탈을 차기작에 재등장 시켜주는 것으로 밀어주는 것 아니냐는 논란이 일고 있다.[29] 결국 남청의 원반에서도 메가진화의 언급 및 등장은 없었다.

별개로 다이맥스에서도 평가가 나빴던 밸런스는 테라스탈이 도입되며 더더욱 평가가 나빠져, 오히려 상위권 레이팅을 반고정시키는 결과를 낳아, 오히려 세대가 발전할수록 더더욱 최악일 뿐이라는 평가마저 듣고 있다. 자세한 사항은 테라스탈에 대한 평가 항목 참조.

현재까지 등장한 기술 시스템 중 인기가 압도적이고, 밸런스 측면에서도 다이맥스테라스탈보다는 상대적으로 낫다는 평가가 많으며, 6~7세대가 종료되고 메가진화가 퇴출된 현재 시점에서도 메가진화한 포켓몬이 언급되거나 일부러 메가진화를 쓰기 위해 6~7세대 룰로 플레이하거나, 본가 시리즈 밖에서 메가진화의 요소가 잘만 사용되고 있는 등 메가진화 자체의 명맥은 끊기지 않고 있지만, 본가 게임에 복귀할 기미는 보이지 않고 있다.

메가진화의 복귀 여부에 대해 알아보려면 게임프리크의 판매 전략과 포켓몬의 세일즈 포인트에 있다고 추측해 볼 수 있다.

우선 포켓몬의 세일즈 포인트가 중요한데, 포켓몬 게임은 넘버링을 붙이지 않고 고유의 부가 명칭을 사용하는 식으로 신규 유입층의 진입장벽을 덜어주는데, 실제로도 포켓몬 게임은 아예 시리즈 최초 후속작으로 개발된 포켓몬스터 블랙 2/화이트 2와 간접적으로나마 세계관이 연결되어 있었던 포켓몬스터 금은[30]포켓몬스터 썬문[31]을 제외하면 각 패키지가 서로의 스토리에서 연결되지 않는다.즉, 게임을 구매하는 시점에서도, 게임을 플레이하는 시점에서도 게임 플레이 방식이 취향에 맞기만 한다면 진입장벽을 느낄 요소가 딱히 없기 때문에 이미 라이트 유저가 입문할 발판이 완성되어 있는 상태라는 것이다.

이런 상황에서 판매를 촉진할 수 있는 요소는 기믹의 추가이다. 이를테면 메가진화와 테라스탈처럼 배틀 내에서 포켓몬을 변화시키는 배틀 기믹 등, 유저들에게 매력적으로 어필할 수 있는 요소들을 말하는 것인데, 아직 포켓몬을 해 보지 않은 유저 입장에서 새로운 포켓몬 게임이 나왔다고 할 때, 잘 모르는 기존 시스템(메가진화)의 복귀보다는 어차피 모두가 처음인 새로운 시스템의 도입(테라스탈)이 더 흥미가 가는 것이 사실이다. 굳이 신규 유저가 아니더라도, 사람들은 새로운 것에 흥미를 느낄 수밖에 없으니 자동적으로 라이트 유저와 헤비 유저를 모두 사로잡을 수 있는 새로운 시스템을 도입하는 쪽이 세일즈 포인트에서 이득이라는 것이다.

게임프리크의 판매 전략이 극단적인 라이트 유저 편향으로 바뀌었다는 점도 주목할 만 하다. 게임프리크 입장에서는 지난 수십년 간 쌓아놓은 콘크리트 유저층은 어차피 게임을 아무리 엉망으로 만들어도 알아서 사주니, 포켓몬이라는 하이퍼 IP의 저명성과 포켓몬 Go, 스위치 보급 완료로 인해 들어오는 신규 유저로 인한 수입이 꽤나 짭짤했기 때문에, 장사 전략을 유저층을 계속 확대하는 쪽으로 바꾼 것이다.

즉, 위에 서술한 세일즈 포인트의 문제와 연결해보아서, 어차피 매니아층은 사주고, 신규 유저들에겐 새 시스템이 더 잘 먹힐 텐데 굳이 매니아층이 좋아하는 옛 시스템을 번거롭게 복귀시킬 필요가 있느냐?가 되는 것이다.

요약하면 한마디로 기형적인 소비 형태와 제작사의 급격한 판매 전략 변화가 현재의 메가진화가 복귀하지 못하는 환경을 만들었다고 보면 된다.

상술했듯이 메가진화가 본가 게임에서는 철저히 무시당하면서도 다른 포켓몬 기반 타이틀에서는 계속 쓰이는 이유도 매니아층에게 어필하기 위함이 크다. 신규 유저보다는 이미 포켓몬에 애착이 큰 매니아층이 더 많이 구매할 타이틀이기 때문에, 역으로 기존에 인기 있던 시스템들을 이식하는 편이 매니아층에게 어필하기 쉬우니까 말이다.

이렇듯 아무래도 신규 시리즈의 메가진화 복귀는 요원해 보이지만, 가까운 미래에는 어떤 식으로든 메가진화를 다시 보게 될 가능성이 높다. 그 이유는 포켓몬의 발매 사이클인 세대교체 - 리메이크의 사이클 때문인데, 2023년 현재의 최신 리메이크 작품은 4세대인 브릴리언트 다이아몬드, 샤이닝 펄과 4세대의 프리퀄인 포켓몬 레전드 아르세우스다. 그리고 브다샤펄의 이전 리메이크는 1세대의 리메이크인 파이어레드, 리프그린으로 시작해[32], 2세대 리메이크인 하트골드, 소울실버, 3세대 리메이크인 오메가루비, 알파사파이어 순으로, 원래 세대와 똑같은 순서대로 리메이크되어 왔다. 게임프리크가 이 공식을 유지한다면 다음 리메이크는 5세대일 테고, 그 다음은 메가진화가 첫 등장한 6세대가 리메이크될 것이다. DLC 도입으로 포켓몬 신작 게임의 발매 주기가 길어졌기에 10세대의 등장은 시간이 조금 걸릴지언정, 메가진화를 다룰 수밖에 없는 6세대 리메이크가 코앞으로 다가온다면 메가진화가 복귀할 수밖에 없는 환경이 될 것이다. 물론 본가에서 7세대까지만 남겨두고 8세대에서는 퇴출시켰으니, 7세대 리메이크까지는 그렇다 쳐도 8세대 이후는 장담이 어렵다.

그리고…

4.2.3. 부활

파일:메진복귀.jpg

2024년 2월 27일 공개된 Pokémon LEGENDS Z-A의 티저 마지막에 메가진화의 문양이 등장하며, 복귀가 암시되었다. 많은 이들이 6세대 리메이크 시기에나 잠깐 복귀할 것으로 예상된 것과 달리, 5세대 리메이크조차 나오지 않은 상태에서 신작을 통해 바로 나온 것이니 상당히 빠른 복귀인 셈. 메가진화가 처음으로 공개된 칼로스지방을 배경으로 하는 만큼[33], 다시금 메가진화가 중점적으로 다루어질 가능성이 있다. 전작인 레전드 아르세우스가 다른 본가 시리즈와는 이질적인 특징을 가졌던 만큼, 본작에서 메가진화가 기존과는 다르게 다루어질 가능성도 제기된다.

기존의 Z기술, 메가진화가 점차 긍정적으로 재평가를 받은 것에 비해, 다이맥스, 테라스탈은 압도적으로 부정적인 평가를 받았기에 메가진화 복귀에 대한 팬들의 반응은 매우 호의적이다. 레전드를 시작으로 이후의 후속 메인 시리즈들에서도 7세대처럼 메가진화가 신규 배틀 기믹과 함께 공존할 수 있는 방향으로 부활시킬 가능성에 대한 기대도 나오고 있다.

5. 메가진화 포켓몬 일람

파일:메가진화 아이콘.png 메가진화 포켓몬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min-width: 798px"
1세대
[[이상해꽃#메가이상해꽃|{{{#!wiki style="width: calc(100% / 3); max-width: calc(796px / 5); display:inline-block; text-align: center; vertical-align: top; border: none; border:0.5px solid;"]][[리자몽#메가리자몽X|{{{#!wiki style="width: calc(100% / 3); max-width: calc(796px / 5); display:inline-block; text-align: center; vertical-align: top; border: none; border:0.5px solid;"]][[리자몽#메가리자몽Y|{{{#!wiki style="width: calc(100% / 3); max-width: calc(796px / 5); display:inline-block; text-align: center; vertical-align: top; border: none; border:0.5px solid;"]][[거북왕#메가거북왕|{{{#!wiki style="width: calc(100% / 3); max-width: calc(796px / 5); display:inline-block; text-align: center; vertical-align: top; border: none; border:0.5px solid;"]][[독침붕#메가독침붕|{{{#!wiki style="width: calc(100% / 3); max-width: calc(796px / 5); display:inline-block; text-align: center; vertical-align: top; border: none; border:0.5px solid;"]][[피죤투#메가피죤투|{{{#!wiki style="width: calc(100% / 3); max-width: calc(796px / 5); display:inline-block; text-align: center; vertical-align: top; border: none; border:0.5px solid;"]][[후딘#메가후딘|{{{#!wiki style="width: calc(100% / 3); max-width: calc(796px / 5); display:inline-block; text-align: center; vertical-align: top; border: none; border:0.5px solid;"]][[야도란#메가야도란|{{{#!wiki style="width: calc(100% / 3); max-width: calc(796px / 5); display:inline-block; text-align: center; vertical-align: top; border: none; border:0.5px solid;"]][[팬텀(포켓몬스터)#메가팬텀|{{{#!wiki style="width: calc(100% / 3); max-width: calc(796px / 5); display:inline-block; text-align: center; vertical-align: top; border: none; border:0.5px solid;"]][[캥카#메가캥카|{{{#!wiki style="width: calc(100% / 3); max-width: calc(796px / 5); display:inline-block; text-align: center; vertical-align: top; border: none; border:0.5px solid;"]][[쁘사이저#메가쁘사이저|{{{#!wiki style="width: calc(100% / 3); max-width: calc(796px / 5); display:inline-block; text-align: center; vertical-align: top; border: none; border:0.5px solid;"]][[갸라도스#메가갸라도스|{{{#!wiki style="width: calc(100% / 3); max-width: calc(796px / 5); display:inline-block; text-align: center; vertical-align: top; border: none; border:0.5px solid;"]][[프테라(포켓몬스터)#메가프테라|{{{#!wiki style="width: calc(100% / 3); max-width: calc(796px / 5); display:inline-block; text-align: center; vertical-align: top; border: none; border:0.5px solid;"]][[뮤츠#메가뮤츠X|{{{#!wiki style="width: calc(100% / 3); max-width: calc(796px / 5); display:inline-block; text-align: center; vertical-align: top; border: none; border:0.5px solid;"]][[뮤츠#메가뮤츠Y|{{{#!wiki style="width: calc(100% / 3); max-width: calc(796px / 5); display:inline-block; text-align: center; vertical-align: top; border: none; border:0.5px solid;"]]
2세대
[[전룡#메가전룡|{{{#!wiki style="width: calc(100% / 3); max-width: calc(796px / 3); display:inline-block; text-align: center; vertical-align: top; border: none; border:0.5px solid;"]][[강철톤#메가강철톤|{{{#!wiki style="width: calc(100% / 3); max-width: calc(796px / 3); display:inline-block; text-align: center; vertical-align: top; border: none; border:0.5px solid;"]][[핫삼#메가핫삼|{{{#!wiki style="width: calc(100% / 3); max-width: calc(796px / 3); display:inline-block; text-align: center; vertical-align: top; border: none; border:0.5px solid;"]][[헤라크로스#메가헤라크로스|{{{#!wiki style="width: calc(100% / 3); max-width: calc(796px / 3); display:inline-block; text-align: center; vertical-align: top; border: none; border:0.5px solid;"]][[헬가(포켓몬스터)#메가헬가|{{{#!wiki style="width: calc(100% / 3); max-width: calc(796px / 3); display:inline-block; text-align: center; vertical-align: top; border: none; border:0.5px solid;"]][[마기라스#메가마기라스|{{{#!wiki style="width: calc(100% / 3); max-width: calc(796px / 3); display:inline-block; text-align: center; vertical-align: top; border: none; border:0.5px solid;"]]
3세대
[[나무킹#메가나무킹|{{{#!wiki style="width: calc(100% / 4); max-width: calc(796px / 5); display:inline-block; text-align: center; vertical-align: top; border: none; border:0.5px solid;"]][[번치코#메가번치코|{{{#!wiki style="width: calc(100% / 4); max-width: calc(796px / 5); display:inline-block; text-align: center; vertical-align: top; border: none; border:0.5px solid;"]][[대짱이#메가대짱이|{{{#!wiki style="width: calc(100% / 4); max-width: calc(796px / 5); display:inline-block; text-align: center; vertical-align: top; border: none; border:0.5px solid;"]][[가디안#메가가디안|{{{#!wiki style="width: calc(100% / 4); max-width: calc(796px / 5); display:inline-block; text-align: center; vertical-align: top; border: none; border:0.5px solid;"]][[깜까미#메가깜까미|{{{#!wiki style="width: calc(100% / 4); max-width: calc(796px / 5); display:inline-block; text-align: center; vertical-align: top; border: none; border:0.5px solid;"]][[입치트#메가입치트|{{{#!wiki style="width: calc(100% / 4); max-width: calc(796px / 5); display:inline-block; text-align: center; vertical-align: top; border: none; border:0.5px solid;"]][[보스로라#메가보스로라|{{{#!wiki style="width: calc(100% / 4); max-width: calc(796px / 5); display:inline-block; text-align: center; vertical-align: top; border: none; border:0.5px solid;"]][[요가램#메가요가램|{{{#!wiki style="width: calc(100% / 4); max-width: calc(796px / 5); display:inline-block; text-align: center; vertical-align: top; border: none; border:0.5px solid;"]][[썬더볼트(포켓몬스터)#메가썬더볼트|{{{#!wiki style="width: calc(100% / 4); max-width: calc(796px / 5); display:inline-block; text-align: center; vertical-align: top; border: none; border:0.5px solid;"]][[샤크니아#메가샤크니아|{{{#!wiki style="width: calc(100% / 4); max-width: calc(796px / 5); display:inline-block; text-align: center; vertical-align: top; border: none; border:0.5px solid;"]][[폭타#메가폭타|{{{#!wiki style="width: calc(100% / 4); max-width: calc(796px / 5); display:inline-block; text-align: center; vertical-align: top; border: none; border:0.5px solid;"]][[파비코리#메가파비코리|{{{#!wiki style="width: calc(100% / 4); max-width: calc(796px / 5); display:inline-block; text-align: center; vertical-align: top; border: none; border:0.5px solid;"]][[다크펫#메가다크펫|{{{#!wiki style="width: calc(100% / 4); max-width: calc(796px / 5); display:inline-block; text-align: center; vertical-align: top; border: none; border:0.5px solid;"]][[앱솔#메가앱솔|{{{#!wiki style="width: calc(100% / 4); max-width: calc(796px / 5); display:inline-block; text-align: center; vertical-align: top; border: none; border:0.5px solid;"]][[얼음귀신#메가얼음귀신|{{{#!wiki style="width: calc(100% / 4); max-width: calc(796px / 5); display:inline-block; text-align: center; vertical-align: top; border: none; border:0.5px solid;"]][[보만다#메가보만다|{{{#!wiki style="width: calc(100% / 4); max-width: calc(796px / 5); display:inline-block; text-align: center; vertical-align: top; border: none; border:0.5px solid;"]][[메타그로스#메가메타그로스|{{{#!wiki style="width: calc(100% / 4); max-width: calc(796px / 5); display:inline-block; text-align: center; vertical-align: top; border: none; border:0.5px solid;"]][[라티아스#메가라티아스|{{{#!wiki style="width: calc(100% / 4); max-width: calc(796px / 5); display:inline-block; text-align: center; vertical-align: top; border: none; border:0.5px solid;"]][[라티오스#메가라티오스|{{{#!wiki style="width: calc(100% / 4); max-width: calc(796px / 5); display:inline-block; text-align: center; vertical-align: top; border: none; border:0.5px solid;"]][[레쿠쟈#메가레쿠쟈|{{{#!wiki style="width: calc(100% / 4); max-width: calc(796px / 5); display:inline-block; text-align: center; vertical-align: top; border: none; border:0.5px solid;"]]
4세대
[[이어롭#메가이어롭|{{{#!wiki style="width: calc(100% / 5); max-width: calc(796px / 5); display:inline-block; text-align: center; vertical-align: top; border: none; border:0.5px solid;"]][[한카리아스#메가한카리아스|{{{#!wiki style="width: calc(100% / 5); max-width: calc(796px / 5); display:inline-block; text-align: center; vertical-align: top; border: none; border:0.5px solid;"]][[루카리오#메가루카리오|{{{#!wiki style="width: calc(100% / 5); max-width: calc(796px / 5); display:inline-block; text-align: center; vertical-align: top; border: none; border:0.5px solid;"]][[눈설왕#메가눈설왕|{{{#!wiki style="width: calc(100% / 5); max-width: calc(796px / 5); display:inline-block; text-align: center; vertical-align: top; border: none; border:0.5px solid;"]][[엘레이드#메가엘레이드 추가에서 7세대까지|{{{#!wiki style="width: calc(100% / 5); max-width: calc(796px / 5); display:inline-block; text-align: center; vertical-align: top; border: none; border:0.5px solid;"]]
5세대 6세대
[[다부니#메가다부니|{{{#!wiki style="width: 100%; max-width: 100%; display:inline-block; text-align: center; vertical-align: top; border: none; border:0.5px solid;"]]
[[디안시#메가디안시|{{{#!wiki style="width: 100%; max-width: 100%; display:inline-block; text-align: center; vertical-align: top; border: none; border:0.5px solid;"]]
ORAS : 오메가루비·알파사파이어부터 추가 및 공개
}}}}}}}}} ||

  • 포켓몬들의 메가진화 영상
    {{{#!folding [ 펼치기·접기 ]
  • XY
색이 다른 포켓몬의 메가진화는 이쪽.
색이 다른 포켓몬의 메가진화는 이쪽.
색이 다른 포켓몬의 메가진화는 이쪽.
색이 다른 포켓몬의 메가진화는 이쪽.}}}

||<-3><tablealign=center><tablebgcolor=#fff,#1f2023><rowbgcolor=#cc0000> 메가진화 전 ||<|2> 메가스톤 ||<-3> 메가진화 후 ||
포켓몬 타입 특성 포켓몬 타입 특성
파일:attachment/003_Isanghaekkot.png
이상해꽃

심록
엽록소(HA)
파일:attachment/003_Isanghaekkot_stone.png
이상해꽃나이트
파일:attachment/003_Isanghaekkot_mega.png
메가이상해꽃

두꺼운지방
파일:attachment/006_Rijamong.png
리자몽

맹화
선파워(HA)
파일:attachment/006_Rijamong_stone_X.png
리자몽나이트 X
파일:attachment/006_Rijamong_mega_X.png
메가리자몽 X


단단한발톱
파일:attachment/006_Rijamong_stone_Y.png
리자몽나이트 Y
파일:attachment/006_Rijamong_mega_Y.png
메가리자몽 Y

가뭄
파일:attachment/009_Geobukwang.png
거북왕

급류
젖은접시(HA)
파일:attachment/009_Geobukwang_stone.png
거북왕나이트
파일:attachment/009_Geobukwang_maga.png
메가거북왕

메가런처
파일:external/www.serebii.net/15.png
독침붕

벌레의알림
스나이퍼(HA)
파일:attachment/메가진화/015_Dokchimbung_stone.png
독침붕나이트
파일:external/www.serebii.net/15-m.png
메가독침붕

적응력
파일:external/www.serebii.net/18.png
피죤투

날카로운눈
갈지자걸음
부풀린가슴(HA)
파일:attachment/메가진화/019_Pigeot_stone.png
피죤투나이트
파일:external/www.serebii.net/18-m.png
메가피죤투

노가드
파일:attachment/065_Foodin.png
후딘

싱크로
정신력
매직가드(HA)
파일:attachment/065_Foodin_stone.png
후디나이트
파일:attachment/065_Foodin_mega.png
메가후딘

트레이스
파일:attachment/080_Yadoran_4.png
야도란


둔감
마이페이스
재생력(HA)
파일:attachment/메가진화/080_Yadoran_stone.png
야도란나이트
파일:attachment/080_Yadoran_mega.png
메가야도란


조가비갑옷
파일:attachment/094_Paenteom.png
팬텀

부유(6세대)
저주받은바디(7세대~)
파일:attachment/094_Paenteom_stone.png
팬텀나이트
파일:attachment/094_Paenteom_mega.png
메가팬텀

그림자밟기
파일:attachment/115_Kaengka.png
캥카

배짱
일찍기상
정신력(HA)
파일:attachment/115_Kaengka_stone.png
캥카나이트
파일:attachment/115_Kaengka_mega.png
메가캥카

부자유친
파일:attachment/127_Ppeusaijeo.png
쁘사이저

괴력집게
틀깨기
자기과신(HA)
파일:attachment/127_Ppeusaijeo_stone.png
쁘사이저나이트
파일:attachment/127_Ppeusaijeo_mega.png
메가쁘사이저

스카이스킨
파일:attachment/130_Gyarados.png
갸라도스

위협
자기과신(HA)
파일:attachment/130_Gyarados_stone.png
갸라도스나이트
파일:attachment/130_Gyarados_mega.png
메가갸라도스


틀깨기
파일:attachment/142_Ptera.png
프테라

프레셔
돌머리
긴장감(HA)
파일:attachment/142_Ptera_stone.png
프테라나이트
파일:attachment/142_Ptera_mega.png
메가프테라

단단한발톱
파일:attachment/150_Mewtwo.png
뮤츠

프레셔
긴장감(HA)
파일:attachment/150_Mewtwo_stone_X.png
뮤츠나이트 X
파일:attachment/150_Mewtwo_mega_X.png
메가뮤츠 X


불굴의마음
파일:attachment/150_Mewtwo_stone_Y.png
뮤츠나이트 Y
파일:attachment/150_Mewtwo_mega_Y.png
메가뮤츠 Y

불면
파일:attachment/181_Jeonryong.png
전룡

정전기
플러스(HA)
파일:attachment/181_Jeonryong_stone.png
전룡나이트
파일:attachment/181_Jeonryong_mega.png
메가전룡


틀깨기
파일:external/www.serebii.net/208.png
강철톤


옹골참
돌머리
우격다짐(HA)
파일:attachment/메가진화/208_Gangchurton_stone.png
강철톤나이트
파일:external/www.serebii.net/208-m.png
메가강철톤


모래의힘
파일:attachment/212_Hassam.png
핫삼


벌레의알림
테크니션
라이트메탈(HA)
파일:attachment/212_Hassam_stone.png
핫삼나이트
파일:attachment/212_Hassam_mega.png
메가핫삼


테크니션
파일:attachment/214_Heracros.png
헤라크로스


벌레의알림
근성
자기과신(HA)
파일:attachment/214_Heracros_stone.png
헤라크로스나이트
파일:attachment/214_Heracros_mega.png
메가헤라크로스


스킬링크
파일:attachment/229_Hellgar.png
헬가


일찍기상
타오르는불꽃
긴장감(HA)
파일:attachment/229_Hellgar_stone.png
헬가나이트
파일:attachment/229_Hellgar_mega.png
메가헬가


선파워
파일:attachment/248_Magiraseu.png
마기라스


모래날림
긴장감(HA)
파일:attachment/248_Magiraseu_stone.png
마기라스나이트
파일:attachment/248_Magiraseu_mega.png
메가마기라스


모래날림
파일:attachment/254_Namuking.png
나무킹

심록
곡예(HA)
파일:attachment/메가진화/254_Namuking_stone.png
나무킹나이트
파일:attachment/254_Namuking_mega.png
메가나무킹


피뢰침
파일:attachment/257_Beonchiko.png
번치코


맹화
가속(HA)
파일:attachment/257_Beonchiko_stone.png
번치코나이트
파일:attachment/257_Beonchiko_mega.png
메가번치코


가속
파일:attachment/260_Daejjang-i.png
대짱이


급류
습기(HA)
파일:attachment/메가진화/260_Daejjang-i_stone.png
대짱이나이트
파일:attachment/260_Daejjang-i_mega.png
메가대짱이


쓱쓱
파일:attachment/282_Guardian.png
가디안

트레이스
싱크로
텔레파시(HA)
파일:attachment/282_Guardian_stone.png
가디안나이트
파일:attachment/282_Guardian_mega.png
메가가디안

페어리스킨
파일:attachment/302_Kkamkkami.png
깜까미


날카로운눈
시간벌기
짓궂은마음(HA)
파일:attachment/메가진화/302_Kkamkkami_stone.png
깜까미나이트
파일:attachment/302_Kkamkkami_mega.png
메가깜까미


매직미러
파일:attachment/303_Ipcheat.png
입치트

괴력집게
위협
우격다짐(HA)
파일:attachment/303_Ipcheat_stone.png
입치트나이트
파일:attachment/303_Ipcheat_mega.png
메가입치트

천하장사
파일:attachment/306_Boseurora.png
보스로라


옹골참
돌머리
헤비메탈(HA)
파일:attachment/306_Boseurora_stone.png
보스로라나이트
파일:attachment/306_Boseurora_mega.png
메가보스로라

필터
파일:attachment/308_Yogarem.png
요가램


순수한힘
텔레파시(HA)
파일:attachment/308_Yogarem_stone.png
요가램나이트
파일:attachment/308_Yogarem_mega.png
메가요가램


순수한힘
파일:attachment/310_thunderbolt.png
썬더볼트

정전기
피뢰침
마이너스(HA)
파일:attachment/310_thunderbolt_stone.png
썬더볼트나이트
파일:attachment/310_thunderbolt_mega.png
메가썬더볼트

위협
파일:attachment/319_Sharknia.png
샤크니아


까칠한피부
가속(HA)
파일:attachment/메가진화/319_Sharknia_stone.png
샤크니아나이트
파일:attachment/319_Sharknia_mega.png
메가샤크니아


옹골찬턱
파일:attachment/323_Pokta.png
폭타


마그마의무장
하드록
분노의경혈(HA)
파일:attachment/메가진화/323_Pokta_stone.png
폭타나이트
파일:attachment/323_Pokta_mega.png
메가폭타


우격다짐
파일:attachment/334_Pabikori.png
파비코리

자연회복
날씨부정(HA)
파일:attachment/메가진화/334_Pabikori_stone.png
파비코리나이트
파일:attachment/334_Pabikori_mega.png
메가파비코리

페어리스킨
파일:attachment/354_darkpet.png
다크펫

불면
통찰
저주받은바디(HA)
파일:attachment/354_darkpet_stone.png
다크펫나이트
파일:attachment/354_darkpet_mega.png
메가다크펫

짓궂은마음
파일:attachment/359_Absol.png
앱솔

프레셔
대운
정의의마음(HA)
파일:attachment/359_Absol_stone.png
앱솔나이트
파일:attachment/359_Absol_mega.png
메가앱솔

매직미러
파일:external/www.serebii.net/362.png
얼음귀신

정신력
아이스바디
변덕쟁이(HA)
파일:attachment/메가진화/362_Eoleurngwishin_stone.png
얼음귀신나이트
파일:external/www.serebii.net/362-m.png
메가얼음귀신

프리즈스킨
파일:attachment/373_Bomanda.png
보만다

위협
자기과신(HA)
파일:attachment/메가진화/373_Bomanda_stone.png
보만다나이트
파일:attachment/373_Bomanda_maga.png
메가보만다

스카이스킨
파일:attachment/376_Metagross.png
메타그로스


클리어바디
라이트메탈(HA)
파일:attachment/메가진화/376_Metagross_stone.png
메타그로스나이트
파일:attachment/376_Metagross_mega.png
메가메타그로스


단단한발톱
파일:external/www.serebii.net/380.png
라티아스


부유 파일:attachment/메가진화/380_Latias_stone.png
라티아스나이트
파일:external/www.serebii.net/380-m.png
메가라티아스


부유
파일:external/4a3f4fbf4e7a16b930e35ddaccfabfc187d804c780b2bc58b10ea71b8cc07a1f.png
라티오스


부유 파일:attachment/메가진화/381_Latios_stone.png
라티오스나이트
파일:external/www.serebii.net/381-m.png
메가라티오스


부유
파일:attachment/384_Rekujya.png
레쿠쟈

에어록 없음[34] 파일:external/www.serebii.net/384-m.png
메가레쿠쟈

델타스트림
파일:attachment/428_Earlop.png
이어롭

헤롱헤롱바디
서투름
유연(HA)
파일:attachment/메가진화/428_Earlop_stone.png
이어롭나이트
파일:attachment/428_Earlop_mega.png
메가이어롭


배짱
파일:한카리아스 공식 아트워크.png
한카리아스


모래숨기
까칠한피부(HA)
파일:attachment/445_Hankariaseu_stone.png
한카리아스나이트
파일:메가한카리아스 공식 아트워크.png
메가한카리아스


모래의힘
파일:attachment/448_Lucario.png
루카리오


불굴의마음
정신력
정의의마음(HA)
파일:attachment/448_Lucario_stone.png
루카리오나이트
파일:attachment/448_Lucario_mega.png
메가루카리오


적응력
파일:attachment/460_Nunseolwang.png
눈설왕


눈퍼트리기
방음(HA)
파일:attachment/460_Nunseolwang_stone.png
눈설왕나이트
파일:attachment/460_Nunseolwang_mega.png
메가눈설왕


눈퍼트리기
파일:attachment/475_Ellade.png
엘레이드


불굴의마음
정의의마음(HA)
파일:attachment/메가진화/475_Ellade_stone.png
엘레이드나이트
파일:attachment/475_Ellade_mega.png
메가엘레이드


정신력
파일:attachment/531_Dabuni_1.png
다부니

치유의마음
재생력
서투름(HA)
파일:attachment/메가진화/531_Dabuni_stone.png
다부니나이트
파일:attachment/531_Dabuni_mega.png
메가다부니

치유의마음
파일:attachment/719_Diancie.png
디안시

클리어바디 파일:attachment/메가진화/719_Diancie_stone.png
디안시나이트
파일:attachment/719_Diancie_mega.png
메가디안시

매직미러

메가진화 포켓몬(원시회귀, 울트라버스트 제외)
1세대 포켓몬 13
2세대 포켓몬 6
3세대 포켓몬 20
4세대 포켓몬 5
5세대 포켓몬 1
6세대 포켓몬 1
46

6. 관련 테마곡

BGM
<rowcolor=#fff> 메가스톤 획득!
(X·Y·오메가루비·알파사파이어·썬·문·울트라썬·울트라문)
작곡가 편곡가
카게야마 쇼타 카게야마 쇼타
레츠고! 피카츄·레츠고! 이브이에서는 일반 아이템 획득 효과음과 공유한다.

7. 유사한 개념

  • 울트라버스트
    울트라썬·울트라문부터 네크로즈마에게 추가된 시스템. 황혼의 갈기/새벽의 날개 네크로즈마가 '울트라네크로Z'라는 Z크리스탈을 매개체로, 메가진화처럼 원하는 타이밍에 변신시킬 수 있다. 메가진화와 동일하게 한 마리만 사용할 수 있고, 부활시켜도 다시 사용할 수 없다. 변신을 먼저 해야 Z기술인 하늘을태우는멸망의빛을 사용할 수 있으니 주의. 항목 참조.

7.1. 원시회귀

파일:icon0382_f00_s0.png 파일:icon0382_f01_s0.png


잔비 시작의바다
가이오가 원시가이오가
파일:icon0383_f00_s0.png 파일:icon0383_f01_s0.png



가뭄 끝의대지
그란돈 원시그란돈
  • 변화조건: 파일:external/cdn.bulbagarden.net/Dream_Blue_Orb_Sprite.png쪽빛구슬 소지 / 파일:external/cdn.bulbagarden.net/Dream_Red_Orb_Sprite.png주홍구슬 소지
전설의 포켓몬 가이오가그란돈이 가능한 폼 체인지의 일종. 시스템 상으로는 메가진화와 별개의 시스템이다.

메가진화가 메가스톤과 키스톤, 포켓몬과 트레이너간의 유대감을 통해 발동한다면, 원시회귀는 자연의 에너지를 체내에 흡수하여 압도적인 힘을 발휘하는, 메가진화와는 다른 또 다른 진화 방식이다. 원시회귀하기 위해선 가이오가는 쪽빛구슬을, 그란돈은 주홍구슬을 지녀야 한다.

원시회귀는 메가진화처럼 원하는 타이밍에 발동하는게 아닌, 볼에서 나오면 자동 발동하며, 메가진화는 한 파티에 한 포켓몬만 진화가 가능하지만, 원시회귀는 이것에 구애받지 않는다. 심지어 더블배틀에서 2마리가 동시에 원시회귀하는 것도 가능하다.[35] 항목 참조.

특정한 도구를 지녀야 하며, 종족치가 +100 증가하는 점 등 일부 특징을 메가진화와 공유하며, 공식 측에서도 메가진화의 일종으로 취급하는 것으로 보이지만, 발동 타이밍이나 메가진화 슬롯 등 대전에 중요한 시스템에서 차이가 있다보니 유저들 사이에선 별개로 취급한다.

포켓몬 카드 게임에서는 메가진화의 일종으로 편입했다.

8. 평가

8.1. 디자인

메가진화 포켓몬의 디자인에 불만을 갖는 유저는 거의 없다. 애초에 자신이 좋아하던 포켓몬이 더욱 멋지고 강력하고 매력적이게 변신하는 것에 불만을 품는 유저는 메가진화 자체를 불호하는 경우가 아닌 이상 환호하는 유저들이 많으며, 자신의 최애몬이 메가진화를 받으면 어떤 디자인일지 추측하거나 팬아트를 그리는 유저들도 많은 등, 관련 2차 창작을 셀 수도 없이 많이 탄생시켰으며[36], 밸런스 외적으로 팬덤 내의 2차 창작을 활발하게 했던 기폭제 중 하나였다.

8.2. 편애

다만 메가진화는 일부의 포켓몬만 할 수 있는 특성상 형평성 논란에 끝없이 시달리곤 했다.

핵심이 되는 문제는 포켓몬스터 시리즈의 고질적인 문제인 1세대 편애다. 48종류[37]의 메가진화 중 무려 73%가 1세대와 3세대 출신인데, 3세대는 ORAS가 호연지방을 다루고 있으므로 당위성이 있다. XY를 기준으로 보면, 정식 공개가 되지 않은 라티아스라티오스를 제외하고 총 28종류의 메가진화가 존재하는데, 이 중 12종류(43%)가 1세대 출신이다. 특히 메가진화를 무려 2종류나 받은 리자몽뮤츠는 모두 1세대 출신이다.

명색이 XY에서 처음 선보인 시스템임에도 6세대 포켓몬 중 메가진화 가능한 포켓몬은 고작 디안시 하나다. 그것도 일반 포켓몬이 아닌 환상의 포켓몬에다가, 그마저도 XY가 아닌 ORAS에서 추가된 것이다. 5세대는 다부니, 6세대는 디안시가 유일하고, 4세대에 추가된 22개의 이전 세대 진화형 중에서도 1종만 얻었다. 그마저도 다부니는 묻혔고, 디안시는 환상의 포켓몬이라 레이팅 출전이 불가능하다. 3세대는 ORAS라는 명분이라도 있지만, 1세대는 변명의 여지가 없는 편애다.

물론 명백히 포켓몬스터 시리즈의 인기는 비디오 게임이 아닌 매출의 8할에 해당되는 캐릭터 상품 등 미디어믹스에서 나오며, 이러한 매출은 거의 전적으로 1세대에 의존하고 있고 XY가 그런 1세대 오마주라 해도 이러한 수치는 '이거 좀 과한 거 아닌가'싶을 정도이다.

이런 불평등성을 개발진 측에서 악용하기도 하는데, 메가진화가 필요한 포켓몬 중 가장 높은 빈도로 언급되었던 플라이곤은 끝까지 메가진화를 받지 못한 것을 넘어서 성한에다 로토무도감으로 공식에서 조롱했기 때문이다. 굳이 메가진화를 할 이유가 없는 한카리아스는 메가진화를 받았는데 정작 누구보다 메가진화가 필요한 플라이곤은 못 받은 것을 넘어서 비웃음거리로 대우하고 있다. 그래서 플라이곤은 포켓몬스터 공식 게임에서 거의 유일한 비하 캐릭터 타이틀을 획득했다.

이 문제는 거다이맥스로도 이어진다. 33종의 거다이맥스 포켓몬 중 2마리를 제외하고 모두 1세대와 8세대 포켓몬이다. 그 중 12마리는 1세대 포켓몬이다. 심지어 메가진화가 있었던 1세대 스타팅도 거다이맥스를 얻었다. 일부는 성능상 일반 다이맥스가 더 좋다는 평도 존재하나, 이건 일부 포켓몬도 비메가진화가 메가진화보다 좋은 적이 있었으므로 참작의 이유가 될 수 없다.

그러나 메가진화가 일부 포켓몬만 할 수 있다는 비평을 강하게 맞은 것이 게임프리크에게 상당히 부담이 되었는지, 이후에 나오는 배틀 기믹은 (일부 포켓몬은 더 강하게 사용할 수 있을지언정) 모든 포켓몬이 사용할 수 있다는 것을 기본으로 깔고 가게 되었다. 그리고 이러한 기조는 최악의 형태로 문제가 터지게 된다.

8.3. 밸런스

8.3.1. 초창기의 평가

메가진화가 첫 등장한 6세대는 이전 세대였던 4~5세대보다 밸런스적으로 문제가 많았던 세대였고, 자연스럽게 6세대 환경의 핵심인 메가진화는 좋은 평가를 받지 못했다. 특히 지나치게 상승한 결정력의 원흉으로 지목되었다. 5세대 당시 잘만 사용되었던 주얼을 아예 지워버리고, 특수 기술들의 위력을 5~10 정도 하향시키는 대규모 파워 디플레를 시도했으나, 현실은 더 강력한 파워 인플레가 기다리고 있었다.

특히 메가진화의 문제의 핵으로 꼽히는 것은 특성 인플레. 원래 특성은 성능을 고려해서 주기보다는 생태학적으로 어울리게 배정하는 것이 많았고, 강력한 특성은 말 그대로 일부에 불과했기 때문에 포켓몬의 성능에 특성이 차지하는 비중이 크지 않았다. 그러나 메가진화 포켓몬은 화력을 집중적으로 건드리는 강력한 특성으로 무장하고 나왔기 때문에, 실제 스펙 상승은 종족값 +100보다 훨씬 컸다. 특성으로 인한 화력 증가가 1.3배 정도만 되어도 무반동 생명의구슬 급이다. 그래서 특성을 잘 받으면 종족값은 종족값대로 올라갔는데 도구 칸은 특성 보너스로 상쇄할 수 있게 된 것이다.

포켓몬 시스템상 화력 증강 방식에는 종족값 상향, 기술 위력 증가 특성, 기술 위력 상향 세 가지가 있는데 이 중 두 번째인 특성으로 인한 뻥튀기가 가장 강력하다.[38] 그런데 원래 120짜리 고위력 자속기를 가진 포켓몬들을 공/특공 종족값을 130~145로 올려놓고 화력 증가 특성을 쥐어주어 위의 화력 증가 3요소를 모두 만족시켜 놨으니 이들의 메인웨폰 결정력은 랭크업 없이 적게는 3만대에서 심하면 4만 중후반대까지 올라간다.

또한 메가진화가 마이너 포켓몬 전용으로 배분되지 않은 것도 문제로 지목되었다. 마이너가 메가진화로 메이저 수준까지 올라온다 해도, 원래 메이저였던 포켓몬은 메가진화로 더 강해지던가, 메가진화를 안 쓰고 그냥 굴리던가의 선택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USUM 레이팅 시즌 8에서 싱글 30위권 중 메가진화가 존재하는 포켓몬 10종류[39] 중 메가진화 추가 전에 대우가 안 좋은 포켓몬 내지 별 볼일 없었던 경우는 리자몽, 입치트, 캥카 3마리 뿐이다.

메가진화가 '한 포켓몬이 파티의 축이 된다'는 기조를 처음 선보인 것도 이러한 혹평에 한몫했는데, 5세대까지는 모든 포켓몬이 평등했기에 체급 비교가 명확하게 이뤄졌기 때문이다. 그런데 메가진화는 1:1에서 너무 강했기 때문에 유저들의 눈에는 막강한 스펙이 먼저 눈에 들어올 수밖에 없었으며, 이하에 서술할 슬롯/도구/형태 문제 등은 상대적으로 묻혔다.

일부 메가진화 포켓몬이 너무 지나치게 강한 것도 문제였다. 특히 6세대의 캥카는 역대 최강의 포켓몬을 꼽으라면 늘 후보에 오를 정도로 한참 잘못 설계된 포켓몬이었으며, 캥카만큼은 아니더라도 팬텀(6세대), 보만다 역시 배틀 환경 전체를 뒤흔들 수 있을 정도로 막강한 포켓몬이었다.

그 이외에는 6~7세대가 전체적으로 파이어로따라큐 등 초특급 사기 포켓몬 일부가 메타를 지배하며 환경을 엉망으로 만드는 것에 유저들이 지친 것도 영향을 미쳤다. 포켓몬 하나하나를 체스의 말처럼 잘 사용하며 수를 주고받는 것이 중요했던 4~5세대 시점에서 이러한 설계의 포켓몬은 말이 안 되는 것이었고, 이런 망가진 환경에 대한 눈초리는 메가진화에게 쏠렸다.

8.3.2. 8세대 이후

마이너를 구원한 기믹은 메가진화밖에 없어요.
눈파티
상기한 내용 때문에 메가진화는 밸런스 붕괴의 원인이라고 생각되어 왔으며, 메가진화가 삭제된 8세대에서 환경이 어떻게 바뀔지 주목을 받았으나, 현실은 매우 처참할 정도로 악화되었다.

메가진화의 단점을 먼저 서술하면 다음과 같다.
  • 도구가 메가스톤으로 고정된다.[40]
    포켓몬의 화력은 종족값보다 도구/환경 변화/특성을 비롯한 증폭 수치의 영향이 더 크다. 어지간한 초전설보다 공격이 높은 메가한카리아스의 화력은 생명의구슬을 장착한 한카리아스보다 약하다. 수치상으로만 본다면 상기한대로 다른 스펙 상승으로 보완할 수 있으니 신경쓰지 않을 수도 있겠지만, 포켓몬의 샘플 설계에 있어서 도구는 중핵을 차지할 정도로 중요한 요소다. 도구가 같은데 완전히 다른 샘플을 짜는 것은 매우 어려운데 반해, 도구만 바꿔줘도 역할이 천차만별로 변화한다. 강점을 극대화하거나 약점을 보완하는 것만으로도 상성 관계를 완전히 뒤집을 수 있다. 이건 상대 입장에서도 마찬가지라서, 상대가 기합의띠를 끼고 있다면 한방싸움에서 필패하고, 구애스카프를 들었다면 스피드에서 밀리는 등 생각해야 할 요소가 매우 많아진다. 그러나 메가진화는 메가진화한 순간 도구가 메가스톤인 것으로 확정되므로, 이러한 변수를 생각하지 않아도 된다.
  • 한 마리만 메가진화할 수 있다.
    한 포켓몬만 사용할 수 있는 것은 다이맥스, 테라스탈도 똑같지만, 메가진화는 사용하기 위해서 메가스톤을 들고 있어야만 한다. 즉, 전황에 따라서 메가진화할 예정인 포켓몬을 실시간으로 바꾸는 플레이가 상당수 제약된다. 모든 포켓몬에게 메가스톤을 쥐어줬다간, 다른 강력한 도구를 사용할 수 없으므로 전체적인 파티의 체급이 극심하게 약화되기 때문이다. 결국 메가진화 포켓몬을 파티 구성 단계에서 1~2마리를 미리 정해야 한다. 그러면 자연히 그 포켓몬이 에이스가 되며, 나머지 포켓몬은 에이스 포켓몬을 보좌하는 구성을 띄게 된다. 때문에 상대 파티를 보면 어떤 전략을 사용할 것인지 어느 정도 예측할 수 있다. 그래서 상대도 이에 맞춰 본인이 소유한 포켓몬으로 카운터 전략을 짤 수 있다.
  • 메가진화할 포켓몬이 노출되기 쉽다.
    메가진화는 정해진 포켓몬만 할 수 있다. 이 중에는 입치트, 캥카, 독침붕, 이어롭같이 본체 성능은 안 좋은 축에 속하지만 메가진화를 하면 엄청 강해지는 포켓몬이 있고, 핫삼, 마기라스같이 메가진화를 하건 하지 않건 강하게 써먹을 수 있는 포켓몬이 있다. 이 중에서 전자는 메가진화를 해야만 강해지기 때문에 메가진화 에이스로 발탁될 확률이 훨씬 높다. 이것으로 인해 다음과 같은 이론이 발생한다.
    • 본체가 약한 포켓몬이 메가진화를 한다면, 다른 포켓몬은 메가진화를 안 한다는 뜻이다. 이 시점에서 이미 상대 엔트리의 잠재적인 형태가 몇 가지 제외되고 시작한다. 상대의 메가진화 에이스를 예측하는 것만으로도 상대 파티의 구성을 대략적으로 파악할 수 있다.
    • 그러한 심리를 역이용해서, 본체가 강한 포켓몬에게도 메가스톤을 줘서 2메가덱을 만들고, 본체가 약한 포켓몬을 아예 선출하지 않음으로써 상대의 예측을 벗어나는 플레이를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 특성이 고정된다.
    메가진화 포켓몬은 도구는 물론이고 특성까지 한 종류로 고정되기 때문에, 메가진화 샘플은 대부분 1~2가지의 큰 형태를 지니게 된다. 즉 뭘 할지 예측이 쉽고, 눈에 보이는 스펙과 달리 쉽게 카운터할 수 있다는 뜻이다.

결과적으로 눈에 보이는 스펙만 높을 뿐, 심리전의 형태가 제한된다는 큰 단점이 발생한다. 비메가진화 포켓몬이 메가진화 포켓몬을 상성에서 압도할 수 있다면, 메진 전보다 오히려 더 쉽게 이길 수도 있다.

이외에도 불평등하게 수혜를 받는다는 점이 장점으로 작용하기도 한다. 메가진화는 종족값 증가량이 +100이라는 공통점만 지키면 특성, 타입, 종족값 분배 등을 각 포켓몬에 맞게 바꿀 수 있기 때문이다. 한카리아스는 인기 덕분에 메가진화를 받긴 했지만 과도한 성능을 경계해 종족값과 특성이 엉망으로 분배되어 밸런스 문제는 전혀 발생하지 않았다. 반면에 입치트같은 경우는 초강력한 특성에 더불어 공, 방, 특방에만 깔끔하게 종족치가 몰려 기념비적인 성능 상향을 이룰 수 있었다. 즉 메가진화 선정 기준에 문제가 좀 있을지언정, 메가진화를 일단 받는다면 마이너 포켓몬에 대한 수혜는 꽤 많이 이뤄졌다. 메가캥카, 메가팬텀, 메가보만다는 너무 많이 강해졌지만, 메가진화라는 시스템이 아니라 이들 자체가 문제였기 때문에 각종 하향으로 어느 정도 밸런스를 맞출 수 있었다.

반면 메가진화 대용으로 투입된 다이맥스테라스탈에는 공통적인 문제가 있다. 우선 모든 포켓몬이 똑같은 버프를 받을 수 있다는 점, 그리고 사용하기 위해 포기해야 하는 기회비용이 전혀 존재하지 않는다는 것.
  • 전자의 경우, 모든 포켓몬이 똑같이 강해지기 때문에 역설적으로 마이너를 쓸 이유가 없다. 메가진화는 마이너 포켓몬에게 메가진화를 주고 메이저 포켓몬에게 범용 도구를 주는 식의 플레이가 가능했으나, 다맥이나 테라 환경 하에서는 마이너 포켓몬은 똑같은 도구를 들고 똑같은 버프를 받는 상태에서 메이저 포켓몬과 겨뤄야 한다. 즉 태생적으로 강하지 못하면 다이맥스, 테라스탈 에이스로 발탁될 수 없다.
  • 후자의 경우, 다이맥스나 테라스탈은 기믹 사용을 위해 받는 페널티가 전혀 없다. 도구는 아무거나 사용할 수 있으며, 어떤 포켓몬도 사용할 수 있으며, 전투 전에 미리 정해둬야 하는 제한조차 없다. 즉 예측이 불가능하며, 오히려 기존에 존재하는 심리전에 추가로 다이맥스와 테라스탈이라는 또 하나의 가능성이 등장한 셈이 되어 수 싸움이 지저분해진다. 특히 테라스탈은 그 자체만으로도 18가지 타입이 또 존재하기 때문에 경우의 수가 너무 많다.

심지어 이딴 식으로 설계를 잘못했음에도 신규 포켓몬이 점차 메가진화조차 뛰어넘을 정도로 강하게 나오는 것도 문제다. 상기한 특성 인플레, 파워 인플레는 메가진화가 있건없건 신규 사기 포켓몬은 다 가지고 나오고 있다. 결론적으로 단점이 전혀 없는 강화 요소가 존재하는 환경이라 원래 강한 포켓몬을 써야 하는데, 신규 포켓몬들은 단점 없이 그냥 사기로 나오고 있다.

그리고 이렇게 바꾼 결과, 특정 포켓몬의 사용률이 70%를 웃도는 기현상이 8세대부터 9세대까지 계속되고 있다. 8세대는 기승전 다이제트로 스피드를 올리는 게 중요했기에 썬더가 날뛰었으며, 그냥 모든 면에서 사기 포켓몬의 범주를 뛰어넘은 자시안이 있었다. 9세대에는 망나뇽의 싱글 채용률이 최고 82%를 기록하였고, 날개치는머리포켓몬 월드챔피언십에서 70%가 넘는 채용률을 기록하였다. 파이어로메가캥카 때문에 역대 최악의 환경이라는 평을 받았던 6세대에서 싱글 사용률 1위를 계속 지킨 한카리아스의 사용률이 고작 25% 언저리였다!

8.4. 이외

기존 포켓몬에게 새로운 진화체를 추가해주는 것보다 메가진화를 쥐어주는 쪽이 훨씬 낫다는 평가가 많은데, 기존에 완전히 진화한 포켓몬에게 새로운 진화체가 등장하게 되면 그 기존 포켓몬은 더이상 배틀에 쓰거나 주목을 받기가 힘들어지기 때문이다. 대표적으로 링곰이 피해자인데, 진화체인 다투곰이 지나치게 강력한 성능으로 주목을 받으며 거의 없던 포켓몬 수준의 존재감이 되었고, 그나마 기대받던 휘석 링곰도 쓸게 못된다는 평가를 받으며 다투곰 진화를 위한 발판 정도의 위치가 되어버렸다. 반면 메가진화의 경우 필수가 아니라는 점, 배틀이 끝나면 원래대로 돌아온다는 특징 때문에 유저가 취사선택할 수 있어 이러한 불만에서 상당히 자유로운 편이다.

대신에 메가진화를 한번 받은 포켓몬은 진화체가 나올 확률이 극히 낮아진다는 문제가 있긴 하다. 진화를 초월한 진화이기 때문에, 메가진화 이전의 기본체에서 이미 최종진화형이라는 것이 확정되었기 때문이다. 리전 폼이나 분기진화 등으로 우회하는 것은 가능하나, 일반적인 해결책은 아니다.

9. 다른 매체에서의 등장

9.1. 포켓몬스터 THE ORIGIN

최초로 메가진화가 영상화된 매체. 1세대의 내용을 다룬 애니메이션임에도 등장한다. 포켓몬타워를 점거한 로켓단들을 소탕해낸 레드등나무노인에게 어느 이상한 돌 2개를 받게 되었고, 이후 막판에 블루시티동굴에서 등장한 뮤츠와 싸우게 됐을 때 질 위기에 처하자 리자몽이 메가리자몽X로 메가진화하게 된다. 그가 받은 돌이 다름아닌 칼로스지방에서 건너온 리자몽나이트X와 키스톤이였던 것이다. 꽤나 멋진 연출로 등장했지만, 이 때문에 80분짜리 X·Y 홍보영상이라는 비판을 받기도 했다.

9.2. 포켓몬스터 애니메이션 시리즈

극장판에서 선행 등장했으며, 이후 포켓몬스터 XY에서 본격적으로 등장한다.

게임에서 한 배틀당 메가진화는 단 한 번만 쓸 수 있는 것처럼 애니메이션 역시 비슷하게 하나의 키스톤으로 복수의 포켓몬을 메가진화시키는 건 불가능한 것으로 묘사된다. XY 68화에서 플라타느박사가 로켓단에게 조종당하는 한카리아스를 메가진화의 유대감으로 되찾기 위해 번치코 가면의 키스톤을 빌렸는데 이때 번치코 가면의 메가번치코의 메가진화가 자동으로 해제됐다. 한편, 악당들의 경우 이런 제약을 무시하고 강제로 메가진화를 시키려는 시도를 하기도 한다. 이런 대표적인 예가 로켓단 삼인방과 극장판 볼케니온: 기계왕국의 비밀에서 나온 악역인 자비스.

본래 게임에선 특성을 활용해야하는 일부 예외를 제외하면 배틀에 등장하자마자 하고보는 게 메가진화이지만, 애니메이션에서는 신체에 다소 부담을 준다는 설정도 살릴 겸 극적인 연출을 위해 배틀의 열기가 달아올랐을 때 비장의 수로 쓰기 위해 미루고 아껴두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다만 기존의 포켓몬을 더 강하게 만드는 수단인 것으로 묘사되는 것은 애니에서도 동일하며, 이 때문에 일상 에피소드에 등장하는 경우를 제외하면 대부분 메가진화 포켓몬은 그 메가진화 포켓몬을 사용하는 트레이너의 최중요 전력으로 묘사된다. 배틀에서 비장의 수로 다뤄지는 만큼, 일대일 대결이 아닐 경우는 대부분 마지막 주자로 남았을 때 사용한다. 이에 대한 예외로는 포켓몬 월드 챔피언십에서 단델 VS 지우의 결승전이 있다. 해당 배틀에서는 메가진화, Z기술, 다이맥스의 사용 횟수에 제한을 두지 않는다는 룰이 적용되었는데, 이에 따라 메가진화도 비장의 수단이 아닌 여러 수단 중 하나로 다뤄졌으며, 메가진화한 포켓몬이 몬스터볼에 돌아가거나 다시 나오는 보기 드문 광경도 나타났다.

또한 애니메이션에서는 메가진화에 대한 연구는 아직 많이 이루어지지 않은 것으로 묘사된다. 플라타느박사의 경우에도 메가번치코를 보더니 "새로운 연구자료가 되겠는걸."이라는 반응이었고 그 자신도 정확히 어떤 포켓몬이 메가진화를 하는지는 모른다. '단지 어떤 포켓몬이 메가진화를 한다. 메가진화를 하는 포켓몬으로 결론을 내린다.' 식으로 생각할 뿐이다.

9.2.1. 등장 내역

  • 극장판 신의 속도 게노세크트 뮤츠의 각성
    작중에서 뮤츠가 메가뮤츠Y로 메가진화하면서 선행 등장했다. 다만 이때는 메가진화라는 표현이 직접적으로 등장하지 않고 '뮤츠의 각성'으로 에둘러서 표기되었다.
  • 포켓몬스터 XY, 포켓몬스터 XY: MEGA EVOLUTION, 포켓몬스터 XY&Z
    포켓몬스터 X·Y를 기반으로 한 작품인 만큼 메가진화가 중심 소재로 등장한다. 공식 포스터에서도 메가진화 포켓몬이 등장하며, 작 중에서 등장하는 주요 인물들은 물론 일부 단역 인물들까지 메가진화 포켓몬을 소유한 채로 등장한다. 다만 정작 주인공인 한지우를 포함한 주연 인물들은 메가진화 포켓몬을 사용하지 않는다. 이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후술.
화수 트레이너 포켓몬
43화 파일:icon0208_f01_s0.png메가강철톤
43화 최이슬 파일:icon0130_f01_s0.png메가갸라도스
88화 고즈 파일:icon0306_f01_s0.png메가보스로라
102화 최이슬 파일:icon0130_f01_s0.png메가갸라도스
130화 일리마 파일:icon0115_f01_s0.png메가캥카
43화에서 Z기술을 사용하는 키아웨와 한지우에 맞서 웅과 이슬이 사용하며, 이후 88화에는 로켓단 단원인 고즈가, 130화에는 일리마가 사용한다. 전작과 비교시 메가진화의 연출이 조금 바뀌었는데, 메가스톤이 XY에서는 어떤 방식으로든 포켓몬이 직접 가지고 있던 것으로 묘사되던 반면, 썬&문에서는 트레이너가 키스톤을 만지는 순간 이마에서 나타난다. 신체 내부에 존재하는 것이거나, 반전 묘사를 위해 의도적으로 생략한 것으로 보인다.
화수 트레이너 포켓몬
25화 코르니 파일:icon0448_f01_s0.png메가루카리오
84화 코르니 파일:icon0448_f01_s0.png메가루카리오
84화 콘콤부르 파일:icon0065_f01_s0.png메가후딘
86화 한지우 파일:icon0448_f01_s0.png메가루카리오
104화 드라세나 파일:icon0334_f01_s0.png메가파비코리
105화 루티아 파일:icon0334_f01_s0.png메가파비코리
108화 한지우 파일:icon0448_f01_s0.png메가루카리오
115화 알랭 파일:icon0006_f01_s0.png메가리자몽X
116화 카르네 파일:icon0282_f01_s0.png메가가디안
117화 난천 파일:icon0445_f01_s0.png메가한카리아스
118화 성호 파일:icon0376_f01_s0.png메가메타그로스
122화 카르네 파일:icon0282_f01_s0.png메가가디안
125화 한지우 파일:icon0448_f01_s0.png메가루카리오
130화 한지우 파일:icon0448_f01_s0.png메가루카리오
25화에서는 코르니의 메가루카리오가 한지우의 망나뇽과 대결을 하며, 86화에서는 거다이맥스와 메가진화의 맞대결이라는 게임판에서 불가능한 대결구도가 나오게 되었다. 내용에서는 거다이맥스 포켓몬을 상대로 메가진화를 통해 파워업을 하면서 거다이맥스 포켓몬의 기술을 상쇄시킬 정도로 강하게 묘사되었으며 결국 정해진 턴이 있어서 해제될 수밖에 없는 (거)다이맥스와 달리 메가진화는 쓰러질 때까지 풀리지 않기 때문에 거다이맥스가 해제된 시점에서는 메가진화의 우위를 바탕으로 승리하는 묘사가 나왔다. 이후 115화부터 시작된 마스터즈 에이트전에서는 재등장한 알랭과 카르네가 각각 메가리자몽X, 메가가디안을 사용하며, 난천 또한 키스톤과 한카리아스나이트를 가지고 있어 한카리아스를 메가한카리아스로 진화시킨다.

9.2.2. 한지우의 메가진화

XY 애니메이션이 방영되기 전 메가진화가 등장한다는 것이 밝혀지면서, 주인공 한지우도 메가진화를 사용할지에 대하여 의견이 분분했었고, 이에 따른 팬들의 기대도 컸다. 메가진화는 6세대의 주요 배틀 시스템인데다가 작 중에서도 중심 소재로 다뤄진 만큼 당연히 한지우도 메가진화를 쓸 거라는 예상이 많았고, 오리지널 부터 베스트위시 시절까지 지금껏 지우가 잡은 포켓몬들 중에는 메가진화를 할 수 있는 포켓몬이 많았기 때문이다. 대표적으로 한지우의 리자몽이나, 피죤투, 나무킹, 얼음귀신, 헤라크로스가 그 예. 일각에서는 한지우와 접점은 많았으나 정작 한번도 사용한 적은 없던 루카리오를 이번 시즌에 지우가 포획하면서 지우가 메가루카리오를 사용하는 것이 아니냐는 추측도 있었다.

그러나 아이러니하게도 팬들의 예상과는 달리 한지우는 정작 XY 시리즈가 완결날 때까지 메가진화를 사용하지 못했다. 메가진화 관련 스토리는 코르니 관련 스토리나 외전인 메가진화 에피소드에만 한정적으로 다루어졌고, 정작 지우는 메가진화 포켓몬을 사용하기는 커녕 메가진화와는 어떠한 접점조차도 없었던데다가 팬들이 한지우가 사용할 것이라고 예상한 메가진화 포켓몬들 또한 지우가 아닌 다른 인물이 사용했다. 가령 메가리자몽X,Y는 각각 알랭트로바가 사용하였고, 메가루카리오는 코르니가 사용하며 정작 지우는 XY에서 루카리오를 포획하지도 않았다. 메가나무킹 또한 승태가 사용하는 것으로만 등장했다. 이런 인기가 많은 메가진화 포켓몬들 전부 다른 인물이 사용하는 것으로 등장하다 보니 하다못해 메가헤라크로스, 메가얼음귀신, 메가피죤투를 사용하길 바란 사람들도 있었으나, 결국 이런 기대마저 전부 무산되었다.

비록 XY에서는 지우가 메가진화 포켓몬을 사용한 적은 없었지만, 메가진화한 포켓몬과 함께 합을 맞춰 배틀한 적이 있긴 하다. 극장판 후파 광륜의 초마신에서는 메가진화한 라티남매와 초전설이자 무려 색이 다른 레쿠쟈와 합을 맞췄다. 수적으로 열세한 상황인데다 상대가 그림자 후파와 초전설의 포켓몬들이었음에도 거의 대등하게 겨룰 수 있게 지시를 내리고 독특한 전술까지 펼친다.

이후 포켓몬스터W 에서는 한지우가 리오르를 포획하고, 코르니에게 키스톤을 받은 후 지우가 메가진화에 필요한 '루카리오나이트'를 얻는다. 지우는 메가글러브를 사용하며, 컬러링은 검은색 바탕, 빨간 밴드로 지우가 칼로스 지방을 여행하던 당시의 글러브와 매우 닮은 디자인이다. 그리고 86화 채두와의 배틀에서 마침내 한지우의 루카리오가 성공적으로 메가진화를 이루게 되어, 메가진화가 나온 후 약 8년이라는 시간을 걸쳐 한지우도 메가진화 포켓몬을 사용하게 된다.

여기에 지우 뿐만 아니라 지우와 여행을 함께 한 주연 인물 모두 메가진화를 사용하지 않았다. 나이 문제로 인해 정식 트레이너가 아닌 유리카는 그렇다 쳐도, 세레나와 시트론 또한 메가진화 포켓몬을 사용하기는 커녕 메가진화가 가능한 포켓몬을 포획한 적도 없었다. 게다가 지우는 W에서 메가루카리오를 사용한 것과 달리 시트론과 세레나는 W에서조차 메가진화는 물론 Z기술이나 다이맥스 같은 다른 신기술조차 사용하지 못하고 끝났다.

9.2.3. XY 당시 메가진화를 사용하지 못한 이유?

메가진화가 XY 시리즈의 중심 소재임에도 불구하고 왜 제작진이 한지우에게 메가진화 포켓몬을 주지 않았는지에 대해 XY가 종영하고 한지우가 W를 마지막으로 주인공에서 하차한 후에도 불명이며, 제작진이 이에 대해 어떠한 공식 입장을 내놓은 적이 단 한번도 없다. 이에 대해 팬덤에서는 '왜 한지우가 메가진화를 사용하지 못했는가'에 대해 몇 가지 그럴듯한 가설이 나왔었다. 다만 아래의 가설은 제작진의 공식 입장이 아닌 팬들의 가설이란 것을 명심하자.

우선 첫번째 가설은 6세대 포켓몬들 중 디안시를 제외하면 메가진화를 가지고 있는 포켓몬이 단 하나도 없다는 점이 이유로 꼽힌다. 전 지방이 배경이 된 포켓몬스터W를 제외하면, 시즌별로 한지우의 멤버와 에이스 포켓몬은 그 시즌의 기반이 되는 세대의 포켓몬으로만 이뤄졌다. 그런데 XY는 애초에 전 시리즈와 단절된 전통을 가지고 있어서 기존 시즌의 포켓몬을 데려와서 쓰기는 어려운데다가, 작 중 메가진화의 위상을 생각하면 메가진화 포켓몬은 에이스 포켓몬으로 선정될 가능성이 큰 데 이렇게 될 경우 메가진화를 한 1~4세대의 포켓몬에게만 비중이 쏠리고 정작 XY에서 잡은 6세대 포켓몬들이 홀대를 받을 수 있기 때문이다.

또 다른 가설은 작품 외적인 요소를 봤을 때는 이미 지우의 에이스 포켓몬이 개굴닌자로 정해져 있었고, XY&Z에서는 아예 지우개굴닌자라는 전용 폼체인지 까지 얻으면서 아예 에이스 포켓몬은 개굴닌자로 확실해진 상황이였다. 그런데 만일 한지우가 메가진화가 가능한 포켓몬을 포획하고 그 포켓몬이 메가진화를 하게 되면 그 포켓몬에게 관심이 집중될 가능성이 큰데, 이렇게 되면 메가진화와 거의 맞먹거나 그 이상의 전투력과 상징성을 지닌 유대변화에 집중된 서사와 비중이 불필요하게 메가진화를 한 포켓몬에게 분산될 가능성이 크다.

마지막으로는 제작진 관련 문제인데, 이 문서에 적혀 있지만 XY 방영 초기에는 지우와 세레나의 음성이 들어있는 메가진화 완구가 나온 것으로 봐서 원래는 주역들이 메가진화를 사용하려다가 21화 이후 제작진의 하차로 인해 문제가 생겨 결국 취소되었다는 주장이다.

그 외에 시트론과 세레나가 메가진화 포켓몬을 사용하지 못한 이유로는 지우가 못 쓰는 메가진화를 시트론이나 세레나가 쓰면 형평성 논란이 생길 수 밖에 없으니 그냥 과감하게 메가진화를 배제한 것이라고 볼 수 있다. 마침 세레나의 경우에는 주 무대인 트라이 포카론이 콘테스트와 다르게 포켓몬 시합을 전혀 하지 않기 때문에 굳이 메가진화를 줄 이유가 없었으며, 시트론 또한 게임에서 메가진화를 사용한 적이 없고 메가진화가 가능한 포켓몬을 단 한마리도 사용하지 않다 보니 메가진화를 꼭 줘야할 이유가 없었다. 다만 해당 주장에는 반론도 있는데, 후속작인 썬&문에서 처음 나온 리전 폼의 경우에는 지우는 리전 폼 포켓몬을 사용하지 않고 동료인 키아웨와 릴리에만 리전 폼 포켓몬을 데리고 있지만 큰 논란이 없어서[41] 지우와 별개로 시트론이나 세레나가 메가진화 포켓몬을 가지고 있어서 별 문제가 없었을 것이라는 주장도 있다.

하지만 이유가 어떻든 간에, 메가진화는 6세대 신 컨텐츠의 꽃이라고 할 수 있었고, 이렇다 보니 올드팬, 특히 한지우의 팬들은 지우가 메가진화 포켓몬을 사용하기를 바랬었다. 하지만 지우에게는 메가진화 포켓몬을 주기는 커녕 그 어떤 직접적인 접점도 제공하지 않았다는 점에서 실망이 클 수 밖에 없었고, 정작 조연들은 물론 일반 단역 인물[42]들에겐 펑펑 나눠준 것에 지우 팬들의 불만은 클 수 밖에 없었다.

결국 제작진도 이런 비판을 인식하고 이에 반성한 것인지, 후속작부터는 주인공인 한지우 뿐만 아니라 주연 인물들도 그 시즌에서 나온 배틀 시스템을 적극적으로 사용하게끔 하고 있다. 예로 XY 후속작인 썬/문에서는 2화부터 지우가 Z기술을 사용하고, 전용 Z기술인 1000만볼트, 레이디얼에지스톰을 사용하며, 주연 인물인 키아웨, 마마네, 마오, 수련, 릴리에 모두 Z기술을 사용한다. 썬/문 다음 후속작인 W에서는 지우의 피카츄가 거다이맥스가 가능한 개체라는 것이 밝혀지면서 거다이맥스를 쓰고, 뒤 이어 한지우의 팬텀 또한 거다이맥스로 월드 챔피언십에서 활약한다. 이후 지우가 하차한 이후의 후속작인 포켓몬스터(2023년 애니메이션)의 경우에는 새로운 주인공인 리코, 로드 또한 테라스탈을 사용한다.

9.3. 포켓몬스터 SPECIAL

12장 XY편의 메인 요소로 등장.

여기서는 게임과 애니메이션에서 밝혀지지 않은 설정이 많이 나오는데, 포케스페는 외전격 만화라서 이곳에서의 설정을 정사로 받아들이기엔 무리가 있다.

9.4. 포켓몬 카드 게임

포켓몬EX에서 진화하는 진화 포켓몬의 형태로 등장. 여기서는 M진화라 쓰고 메가진화라고 읽으며, M진화 포켓몬의 이름 앞엔 M이 붙는다. 당연히 진화 전 포켓몬과는 다른 이름으로 취급하여, 각각 4장씩 덱에 넣을 수 있다.

M진화 포켓몬만의 룰로, M진화 포켓몬으로 진화한 즉시 턴을 종료한다. 다행히, 나중에 나온 '소울링크'라는 아이템을 붙이면 이 문제점이 해결된다. 또한 M진화 포켓몬 또한 포켓몬EX이므로 기절하면 프라이즈를 2장 내주게 된다.
참고로 TCG에서는 그란돈과 가이오가의 원시회귀 역시 메가진화와 동일하게 취급된다. 이름은 원시그란돈EX/원시가이오가EX이지만, 아예 밑에다가 M진화 포켓몬이라고 적어놓았으며 룰도 동일하다. XY6에서 나온 메가터보로 에너지를 붙이는 것도 가능.
  • XY1~XY3
    우주쓰레기. 턴제 게임에서 한 턴을 그대로 날려먹는다는 건 상상을 초월하는 페널티인데, 그에 반해 M진화 포켓몬들의 스펙은 그저 그런 수준이다. 체력은 220~230으로 엄청나게 높긴 하지만, 대체로 기술의 발비가 높으면서 발비 대비 효율은 떨어지기 때문에 쓸 가치가 없다.

    원작에서의 메가진화의 메커니즘 자체가 DP 시리즈의 LV.X 포켓몬과 유사했기 때문에, LV.X를 리메이크해서 내지 않을까 하는 추측이 대세였으나 LV.X 리메이크는 XY8부터 나온 BREAK진화가 가져갔다. 원작 파괴급의 페널티를 달고 나와서 많은 플레이어들이 이에 의문을 가졌다. 거기다 M진화 룰 텍스트가 기술 칸 하나를 잡아먹고 있는지라 기술이 하나밖에 없다. 기술 칸이 하나밖에 없단 소리는 특성을 가질 수 없다는 소리이므로 게임을 단순 비트 위주로 흘러가게 할 위험이 있다.

    M진화 포켓몬의 실전 효용성을 떠나서, 굳이 포켓몬EX로부터 진화하게 했어야 했나는 점도 의문. 단순히 비EX로부터 진화하게 했으면 EX 중심의 환경의 변화도 꾀할 수 있으며, 턴 종료 같은 무식한 페널티를 붙여서 낼 필요도 없었다.

    그나마 M캥카EX 정도만이 그럭저럭 쓰였으나 XY3에서 격투 타입에 대한 엄청난 지원이 이루어지면서 순식간에 묻혀버렸다. 그리고 XY3에서 준수한 성능의 M루카리오EX가 나오긴 했지만 여전히 채용률은 낮은 상황. 성능이 아무리 좋아도 턴제 게임에서 1턴을 헌납한다는 것은 너무 치명적인 디메리트이기 때문이다.
  • XY4~XY5
    그러나 XY4부터 이 페널티를 없애주는 도구인 소울링크가 등장하면서 숨통이 트였고, M진화 포켓몬 자체도 쓸만한 성능을 지닌 카드가 다수 발매되었다. 하지만 소울링크를 반강제적으로 투입해야 하는 만큼 덱 스페이스를 무지하게 많이 잡아먹기 때문에 서브 어태커로서 투입되는 경우는 거의 없고, M진화가 메인 어태커인 덱이 다수를 이룬다. 이 점은 XY11 현재에도 변하지 않는다.
  • XY6~XY
    그러다가 결국 대전판을 뒤엎을 정도로 강력한 M레쿠쟈EX가 등장하고, 동 팩에서 발매된 쉐이미EX와 스카이필드와 미치도록 높은 시너지를 발휘해 1턴만에 게임을 결정짓는 벽듀얼스러운 전개가 이어지게 되었고, 결국 M레쿠쟈를 대비하기 위해 극상성인 두빅굴 덱이 늘어나 대회가 두꺼비판이 되었다. 현재 두빅굴의 기세는 줄어들었지만 메렉덱의 위상은 XY11까지도 높으며, M진화가 약하다는 고정관념을 단번에 깨부순 사건으로서 포케카 역사에 남게 된다.

    XY7에서 결국 기라티나EX나 색이 사라진 마을 등 M진화 메타 카드가 등장했다. 특히 기라티나EX는 에메브레 메렉 덱의 거의 하드카운터로, M진화의 공격을 전부 봉쇄하는데다 카오스휠에 맞으면 더블무색도 못 붙이고 스카이필드를 유지하지 못하는데다가 후속 레쿠쟈의 소울링크까지 봉인한다.
  • XY8~XY11
    그럭저럭 강력하긴 한데 사기까지는 아닌 M진화 카드가 많이 발매되었으며, 전개 속도가 느리고 덱 스페이스를 많이 잡아먹는다는 점은 아직도 치명적이므로 M레쿠쟈를 제외하면 입상권에서 보기 드문 카드가 되었다.

    참고로 XY8부터 신컨셉인 BREAK진화가 발매되었는데, 이 BREAK진화는 기존 LV.X와 비슷한 진화 방식이다.[43] XY10 현재 사기적인 성능의 개굴닌자 브레이크와 대로트 브레이크를 필두로 준수하고 쓸만한 브레이크들이 대거 등장하고 대전환경이 비EX위주로 흘러가기 시작하며 XY1~XY3 문단에서 말한 내용이 모두 실현되었다.
  • SM~SW
    BREAK가 줄어들고 포켓몬 GX가 대세가 되면서 상대적으로 느리고 성능이 딸리는 M진화의 비율이 조금 줄었다. M레쿠쟈EX는 여전히 현역이지만, 아무래도 그 외에는 환경에서 거의 사라진 느낌이다. 이후 SM 확장팩에서 TAG TEAM GX로 메가이어롭, 메가깜까미가 얼굴을 비췄다. SW시즌부턴 V 카드군이 나오는데다, 본가에서 메가진화가 등장하지 않고 있기 때문에 SV시즌을 지켜봐야 하는 상황.
  • SV
    포켓몬 레전즈 ZA가 발매되며 메가진화의 복귀가 확정되었기 때문에 다시금 등장할 것으로 보인다.

9.5. 포켓몬 초 불가사의 던전

파일:external/www.pokemon.co.jp/img_13.jpg

새로 등장한 강화 아이템인 링글&라피스와 연동하여 발동하는데, 던전에서 등장하는 라피스 중 '각성 라피스'를 링글에 끼우면 그 던전 한정으로 메가진화/원시회귀가 가능하다. 메가진화가 없는 포켓몬은 '각성' 상태가 되어 능력치가 증가하고 전방의 공격을 무효화하는 등의 버프를 받는다. 각성 라피스는 무지개빛을 띄므로 다른 라피스들과 쉽게 구분 가능.

본가처럼 모습과 타입, 특성과 능력치가 변화할 뿐만 아니라, 겨우 데미지 5 정도밖에 안하는 비리비리한 평타가 메가진화만 하면 위력 100-200 사이의 범위공격 핵꿀밤으로 업그레이드된다. 각성 상태의 포켓몬처럼 전방의 공격을 무효화하는 버프는 당연히 받으며, 덕분에 메가진화 한번이면 몬스터 하우스건 보스건 그냥 평타 하나만으로 밀어버릴 수 있게 된다.

물론 메가진화/각성 효과는 영구적이지 않다. 메가진화를 하거나 각성 상태가 되면 체력바 위에 또 다른 붉은색의 바가 나타나는데, 이 붉은 바는 메가진화 상태나 각성 상태가 풀리기까지의 카운트다운이라 보면 된다. 각성 상태의 포켓몬은 붉은 바가 완전히 차면 각성 라피스가 깨지면서 평범한 상태로 돌아올 뿐이지만, 반면 메가진화 상태의 포켓몬은 붉은 바가 완전히 찼을 시 광포 상태가 되어 몇턴간 컨트롤이 불가능해진다. 광포 상태의 포켓몬은 문자 그대로 이리저리 미쳐 날뛰며 벽이나 포켓몬을 마구 공격하기 시작한다. 광포가 끝나야 비로소 붉은 바와 각성 라피스가 사라진다. 어찌보면 7세대의 메가진화의 부작용 서술을 여기서 역수입 했을수도 있다.

다행히도 광포 포켓몬은 살기에 차서 동료 포켓몬을 쫓아다닌다거나 하지는 않지만, 광포한 포켓몬의 범위공격엔 아군까지 말려들 수 있다. 위력 100 이상의 범위공격엔 벽, 적군, 그리고 아군 모두가 평등하므로, 만일 좁은 통로에서 메가진화몬이 광포 상태가 되었다면 부활의 씨앗 서너개 깨질 각오는 해야 한다.

광포 상태가 되기 전 각성 라피스를 제거하는 것으로 광포 상태를 막을 수 있지만, 각성 라피스를 제거하는 것으로 광포 상태까지의 카운트다운이 리셋되지는 않기 때문에 각성 라피스를 다시 착용하면 카운트다운은 다시 시작된다. 메가진화 상태의 포켓몬이 광포 상태에 빠지기 전 동료들을 먼 곳에서 대기시켜 놓거나 큰 방에서 광포상태가 될 때까지 기다리는 것이 속 편하다.

각성 라피스가 반드시 필요하기 때문에 본가에서 메가스톤 없이 메가진화가 가능했던 레쿠쟈도 각성 라피스가 있어야 메가진화가 가능하며(보스전에서는 처음부터 메가진화를 한 채로(!!!) 등장한다.),[44] 금제매직룸에 걸린 상황에서는 메가진화를 할 수 없다. 원시회귀도 메가진화와 동일시 취급되는지 메가진화와 같은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일러스트와 스크린샷, CM에서는 메가리자몽X, 메가리자몽Y와 메가뮤츠X, 메가보만다, 메가마기라스, 메가팬텀, 메가레쿠쟈, 원시그란돈, 원시가이오가 등이 등장했다.

여담으로 리자몽, 뮤츠처럼 메가진화가 둘로 나뉘는 포켓몬의 경우 둘 중 하나를 선택하는 것이 아니라 둘 중 하나가 랜덤하게 결정된다. 둘 다 타입, 특성이 모두 다른 탓에 기술배치를 할 때 고민하게 되는 요인.

9.6. 포켓몬 불가사의 던전 구조대 DX

새로운 소비 아이템인 '각성의 씨앗'을 사용하여 메가진화할 수 있다. 이번 작에서는 제한시간이 없는 것은 물론 시간이 지났다고 광포화 상태에 빠지지 않으며, 파티 전원이 한 개씩 먹고 메가진화하는 것도 가능하다. 원시회귀하는 방법도 같으며, 금제나 매직룸에 걸렸을 때 메가진화할 수 없는 것도 동일하다. 독, 마비, 화상을 비롯한 상태이상에 걸리면 해제된다.

한편 해당 작에서 보스로 등장하는 개체 중 뮤츠와 레쿠쟈는 체력이 절반 이하로 떨어지면 초불가사의 던전처럼 메가진화한다. 가이오가, 그란돈 역시 비슷한 기믹으로 원시회귀를 한다. 메가리자몽과 메가뮤츠는 메가진화 시 랜덤으로 X, Y의 모습으로 진화한다.

9.7. Pokémon GO

공식 가이드 영상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Pokémon GO/메가진화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9.8. Pokémon UNITE

파일:유나이트뮤츠.png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뮤츠(Pokémon UNITE)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9.9. 포켓몬빵

신규 빵인 거대해진 시리즈(현재 거대해진 로켓단 초코롤,거대해진 고오스 초코케익 2종 출시)의 씰을 통해 추가되었다. 메가진화 씰은 기존 씰보다 약간 거대한 사이즈로 되어 있다.

9.10. 스매시브라더스 시리즈

Super Smash Bros. for Nintendo 3DS / Wii U에도 포켓몬 신요소로서 삽입되었다. 루카리오리자몽이 등장해 메가진화한다. 뮤츠도 등장하지만 메가뮤츠Y만 등장. 슈퍼 스매시브라더스 얼티밋에서도 등장.

10. 기타

  • 초기 공개 당시에는 반응은 반반이었다. 일단 포켓몬을 한 단계 진화시킨다는 점, 전투 시 한정으로 진화한다는 점 때문에 "포켓몬이 디지몬 따라가냐?"[45]하는 우스갯 소리도 없지 않았다. 사실상 의도는 좋으나 당시에는 부정적이었던 상황. 호응하는 유저는 대우가 안 좋은 포켓몬들을 살릴 기회라는 점과 좋은 디자인 및 새로운 전투 변수라는 점 때문에 좋아하는 유저도 있다.
  • 라티아스와 라티오스는 X·Y 페이지에서 환상의 포켓몬을 까발렸던 프랑스의 3DS 해커인 Smealum이 올린 정보를 통해 먼저 메가진화 한다는 소식이 밝혀졌다.# 이후 오메가루비·알파사파이어에서 정식 공개되었다. 라티남매의 메가스톤과 메가진화 형태가 롬에 들어있기 때문인지, ORAS에서 XY로 메가스톤과 함께 라티남매를 통신교환으로 넘기는 것도 가능하다.
  • 한때 테오키스/게노세크트 등 환상의 포켓몬들이 메가진화를 한다던가 보만다/다크라이가 R·S[46] 메가진화를 한다는 등 루머가 퍼져 3세대 리메이크가 오나 하고 많은 이들이 설레이는 동시에 밸런스는 어디다 팔아먹었냐는 우려를 하는 이들도 있었으나 라티남매와는 달리 스크린샷도 전혀 없었다. 관련 루머가 적혀 있는 해외 사이트가 딱 한 곳 있었는데, 출처가 한국 웹이라고 표시해 놓은 것. 결정적으로 특성 영칭조차 틀렸다. 비영어권 사람이 낚시를 위해 만든 루머란 확실한 증거. 결국 조작으로 드러났으나 이미 해외로도 퍼져 버렸기에 전세계의 사람들이 골고루 낚이긴 했는데 보만다가 메가진화를 한다는 루머는 R·S가 아닌 그냥 메가보만다이긴 하지만 ORAS에서 실현되었다.
  • 하트골드/소울실버에서 목호가 가지고 있는 포켓몬 중 1, 2회차 통틀어 망나뇽만 메가진화를 얻지 못했다.
  • 사족으로 메가진화는 이후 등장한 다른 배틀 시스템과 달리, 발매됐을 당시 해당 세대의 포켓몬은 단 하나도 수혜를 받지 못했다는 꽤 특이한 특징을 가지고 있었다. 그나마 오루알사에 와서야 환상의 포켓몬인 디안시 단 하나만이 메가진화를 할 수 있게 되었다. 일단 Z-A에서의 복귀가 확정되었기에 지켜봐야하는 상황.

[1] AZ가 칼로스의 최종병기를 가동한 때는 3000년 전이고, 레쿠쟈가 유성의 폭포 탄생 후 벌어진 그란돈가이오가의 싸움을 중재한 때는 2000년 전이며, 호연지방의 자연 에너지 덕분에 힘을 되찾은 원시그란돈과 원시가이오가를 메가진화의 힘을 사용해 쓰러뜨린 때는 1000년 전이다. 즉, AZ가 레쿠쟈의 메가진화를 본 때는 최종병기 가동시킨 후 자신을 떠난 플라엣테를 찾아 호연지방을 여행할 때이므로 레쿠쟈의 메가진화가 최종병기에 영향을 줄 수는 없다.[2] 예를 들어 포켓몬스터 THE ORIGIN에서 레드는 등나무노인이 칼로스지방에서 선물받은 메가스톤과 키스톤을 받아 뮤츠랑 싸울 때 리자몽을 메가리자몽X로 메가진화시켰다.[3] 원래 플라타느 박사가 메가진화와 제르네아스, 이벨타르를 엮은 것은 카르네의 대화 '왜 칼로스에서만 메가진화라는 현상이 존재하는가?' 라는 의문에, 카르네가 칼로스에만 존재하는 전설의 포켓몬을 예로 든 것에서 유래한다. 이 의문은 호연지방에도 메가진화가 존재하고 있는 시점에서 설정이 바뀌게 된다. 플라타느 박사가 호연지방을 모른다는 가능성은 없다. ORAS에서 공석 박사가 '몇년 전 메가진화를 연구하고 있는 칼로스지방의 친구와 유성의 폭포를 조사한 바 있고 지금도 정보를 공유하고 있다'고 말했기 때문.[4] 해당 해석은 에피소드 델타의 피아나의 대사에서 발췌.[5] 이 설정은 유출로 풀린 다른 설정들과 달리 폐기된 설정이 아닌 정사 설정이다. ORAS 에피소드 델타에서 AZ의 말이 실제로 나왔기 때문이다.[6] 이후 이 도감 설명은 히스이도감에서야 대왕끼리동을 의미하는 것으로 밝혀진다.[7] 특히 DLC의 타이틀 전설의 포켓몬인 오거폰의 전용 테라스탈의 경우 이름만 테라스탈인 메가진화라는 이야기가 돌 정도로 유사성이 짙다.[8] 다만 메가진화는 체력 종족값은 변하지 않지만 테라파고스의 스텔라폼은 체력 종족값이 변한다는 차이가 있다.[9] 예를 들어 이상해꽃이 메가진화하면 메가이상해꽃이 된다. 때문에 본명에 이미 '메가'가 들어있는 메가니움이나 메가자리, 그리고 메가보다 더 큰 접두사인 '기가'가 붙어 있는 기가이어스가 화제가 되었다. 참고로 저들의 해외 명칭은 메가니움은 일단 독일을 제외하면 전 세계 공통 명칭인데다 독일마저도 Meganie다. 메가자리는 일칭이 メガヤンマ, 그 외의 국가에선 Yanmega다. 기가이어스의 경우, 일칭은 한칭과 동일하고, Brockoloss인 독일명을 제외하면 전부 이름 앞에 기가(Gigalith/프랑스에선 Gigalithe)가 들어간다.[10] 이는 메가진화한 포켓몬에 따라 다양하다.[11] 메가링에 달려있는 키스톤은 조약돌만한 크기지만, 메가글러브에 달린 키스톤의 크기는 반구형의 큰 구슬이다. 대부분은 한 손에 들어올만한 작은 구슬 크기로 등장한다.[12] XY에서는 코르니와의 체육관 전투 이후 마스터타워의 옥상에 간 후 루카리오와 키스톤이 장착된 메가링을 얻는다. ORAS에서는 종길과의 체육관 전투 이후 보라시티로 가는 중에 성호와 함께 남쪽의 외딴섬으로 갈 수 있다. 그곳에서 구열(OR)/해조(AS)를 성호와의 더블 배틀로 막은 이후 라티오스(OR)/라티아스(AS)가 각자의 메가스톤을 지닌 상태로 동료가 되며, 성호에게서 키스톤이 장착된 메가뱅글을 받는다. 7세대에선 전당등록 후 획득한다. LPLE에서는 7번째 배지를 획득한 후 그린에게 받게 된다.[13] 칼름과 세레나의 메가링과는 이름만 같지 반지 형태의 도구다. 물론 ring은 반지라는 뜻도 있으니 문제될 건 없다. 단, USUM에서는 키스톤.[오역수정전1] 9세대 오역 수정 전 까진 메가레스.[오역수정전2] 9세대 오역 수정 전 까진 메가티아.[16] 하얀색이다.[17] 후딘은 6세대에서는 90만 증가했지만, 실수였는지 7세대에서 100 증가로 수정되었다.[18] 특히 1~2세대 포켓몬들의 울음소리가 진화 전보다 기계음 느낌이 덜해진다.[19] 즉 메가진화로 스피드 종족값이 올라갈 경우, 일렉트릭볼이나 자이로볼 등의 대미지는 변화한다.[20] 즉 행동 우선순위 결정→메가진화→공격.[21] 더 정확히는 선제공격발톱 발동여부 결정 후.[22] 위의 설명과 비교하자면 6세대에서는 우선순위 결정→메가진화→공격이었고, 7세대에서는 메가진화→우선순위 결정→공격.[23] 예시를 든 상황, 그러니까 랭업으로 스피드를 올린 상황에서도 그 턴의 순서가 바뀌지 않는다는 것이 그대로라는 의미다. 7세대의 메가진화는 기술을 선택하는 시점에서 메가진화가 적용된 상태로 우선도가 결정되도록 바뀐 것이기 때문에 6세대와 다르다.[24] 메가레쿠쟈와 원시 그란돈/가이오가가 그대로 8세대 배틀판에 넘어왔다간, 다이맥스 기술의 날씨 변경을 모두 씹어버리고 본인들끼리만 날씨 경쟁을 하는 사태가 벌어졌을 것이다.[25] 데이터상으로는 모든 메가스톤이 남아있다. 데이터 인덱스 기준으로 0x0290~0x02AD에서 XY의 메가스톤이, 0x02F0~0x02FC에 ORAS에서 추가된 메가스톤이 남아있는 상황.[26] 특히 다이제트로 인한 스피드 인플레.[27] 파시오의 버디스톤이 트레이너와 버디즈 사이의 유대의 힘을 이용해서 메가진화/다이맥스/Z기술 등의 강화요소를 발동시킬 수 있다는 설정을 붙여서, 본가에서는 볼 수 없게 된 다양한 캐릭터들의 메가진화, 다이맥스 사용을 볼 수 있다. 대표적으로 메가입치트를 쓰는 마리, 거다이맥스 잠만보를 쓰는 레드 같은 것.[28] 특성의 변화, 사실상 변동하는 능력치, 기존과 다른 모습[29] 단순히 블루베리 아카데미의 무대인 하나지방에서도 테라스탈을 사용할 수 있게 연관성을 만들려는 것으로 보이지만, 하나지방에서 사용이 가능하게되면 세대가 변해도 다른 지방에서 활용 가능하는 것이 개연성이 생기는 것이기에 얼마든지 테라스탈이 등장할 수 있다. 물론 5세대 리메이크를 위해 일부러 개연성을 만들어 놓는 것이기도 하겠지만 곧 스위치를 이은 게임기가 출시된다는 루머가 돌고 있는 상황인데다가 4세대 리메이크가 나온지 얼마 안 됐기 때문에 이러한 것들을 고려해보면 10세대에도 테라스탈이 등장할 가능성이 있다.[30] 포켓몬스터 레드/그린시점의 레드가 벌인 로켓단 소탕 작전 후 로켓단의 부흥 운동을 배경으로 하고 있다. 하지만 시간대와 사건은 세레비 이벤트를 직접 보는 게 아닌 이상 넘어가듯 언급될 뿐, 금은이 레드 그린 버전의 공식 후속작이란 식의 발표는 없었다.[31] 블래리, 아크로마, 난천, 리라, 레드, 그린 등 전작의 등장인물들 여럿이 재등장하며, 전직 로켓단이었던 NPC가 '로켓단이 해산된지 수 년이 지났다'고 언급하는 것을 통해 배경을 공유하고 있음을 간접적으로 알 수 있다. 하지만 세계관이 다른 부분이 있고, 이 역시 공식적인 입장은 없다.[32] 레츠고 시리즈는 1세대 리메이크로 보는 견해와 외전이라는 견해가 있어 논외로 취급한다.[33] 설정상 메가진화의 시초는 호연지방레쿠쟈.[34] 화룡점정을 익히고 있으면 메가진화 할 수 있다.[35] 이론상으로는 트리플배틀에서 서로 3마리씩, 총 6마리가 동시에 원시회귀할 수도 있다.[36] 실제로 개조롬이나 RPG 쯔꾸르 XP로 만든 2차 창작 게임에서 원작에 없는 오리지널 메가진화 디자인이 2024년까지도 매우 활발하게 나오고 있다. 심지어 제작자가 직접 만든 창작 포켓몬의 메가진화를 만든 케이스도 종종 보이고 있다.[37] 메가리자몽과 메가뮤츠는 X와 Y를 분리해서 2개로 세었을 때.[38] 보이는 숫자와는 달리 종족값 상향은 실수치 계산식상 종족값이 높으면 높을수록 효율이 떨어진다. 기술 위력 증가 특성이나 기술 위력 증가가 가장 효과적인 상향인데 예를 들면 전자는 3세대에서 천하장사를 받은 마릴리, 그리고 후자는 무릎차기의 위력이 100→130으로 상향된 번치코.[39] 리자몽, 보만다, 번치코, 갸라도스, 메타그로스, 팬텀, 루카리오, 입치트, 캥카, 한카리아스. 이 중 한카리아스는 메가진화 성능이 떨어지므로 실질적으로는 9마리다.[40] 게임프리크 대규모 정보 유출 사건을 통해 유출된 초기 빌드에 따르면, 초기에는 메가스톤이 소비 아이템이었던 것으로 추정되는 정황증거가 포착됐다. 메가후딘의 초기 특성이 매지션이었기 때문. 기술이나 특성을 이용하면 도구를 고정하는 의미가 없었기 때문에 밸런스를 고려해 지금의 형태가 된 것으로 보인다.[41] 다만 리전 폼의 경우는 메가진화와는 달리 배틀 기믹이 아닌 모습이 다른 포켓몬이다.[42] 최강 메가진화에서 키스톤을 걸고 알랭과 대련한 자들 전부 메가진화를 사용하며 본편에서는 간호순조차도 메가다부니를 사용했다.[43] 즉 일반 포켓몬에서 한 번 더 진화한다.[44] 더 정확히는 각성 라피스는 물론 화룡점정도 배우고 있어야 한다.[45] 사실 디지몬 따라간다는 말은 새로운 디자인의 포켓몬이 출시될 때마다 항상 나왔던 말이다. 낯선 디자인의 포켓몬이 나오면 "이게 디지몬이지 포켓몬이냐?"라는 식으로. 다만 이번에 디지몬 따라간다는 말은 여태까지 디자인 측면에서 까기위했던 그 이전의 말과는 다른 의미로 배틀 도중의 진화와 배틀이 끝나면 원상태로 돌아오는, 어찌 보면 진화보다는 변신이라고 봐야 하는 시스템(?)적인 부분이 디지몬의 배틀과 굉장히 흡사하기 때문에 나온 말이다.[46] R과 S는 각각 루비, 사파이어를 뜻한다.[47] 후딘, 리자몽, 마기라스로 구성된 구조대.[48] 이어롭(ORAS), 가디안, 요가램으로 구성된 탐험대.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