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bonair |
1. 개요
미쓰비시 데보네어의 3세대 모델이다.2. 상세
2세대 데보네어는 예상대로 일본에서는 잘 안 팔렸지만, 한국에서 그랜저로 엄청난 성공을 거뒀었다. 3세대 또한 현대자동차와 공동개발 형식으로 1992년 10월에 출시되었다.[1]
변속기로는 INVECS 4단 자동변속기 하나만 트랙션 컨트롤과 같이 적용되었으며, 이전보다 훨씬 낮고 넓은 자세를 취했다. 가로배치 전륜구동 레이아웃을 3세대에서도 그대로 이어서 썼다. 엔진은 V6 3.0L 6G72형 SOHC와 3.5L 6G74형 DOHC가 적용되었다. 영업용 차량에는 V6 3.0L LPG 엔진이 적용되었다. 서스펜션으로는 맥퍼슨 스트럿을 다시 개량해 사용했으며, 뒷바퀴에는 멀티링크 서스펜션을 장착했다. 기술적인 부분들 다수는 GTO와 공유하는 것들이기도 했다.
편의장비로는 4륜 스티어링, 4륜 ABS, 전자 제어식 서스펜션, GPS 내비게이션, 후방 카메라, 고스트 도어, 세계 최초로 양산차에 적용된 차간거리 제어 시스템, 위급 상황 시 작동되는 산소 공급 시스템 등이 들어가 있었다. 그 중 차간거리 제어 및 감지 시스템은 라이다(Lidar)[2]를 기반으로 만들어졌고, "Distance Warning"이라는 명칭으로 판매되었다. 근처에 차량이 있다는 것을 감지해 알리는 기능이며, 일본 내수용으로 제공된 사양이다. 차량이 있다는 것을 통보하고 거리가 매우 가까워지면 저단기어로 변속해 엔진브레이크를 걸어버리는 수준에 그쳤지만, 당대 미쓰비시의 기술력을 엿볼 수 있는 사례로 볼 수 있다.
트림 체계는 사양에 따라 익스큐티브 Ⅰ/Ⅱ/Ⅲ과 익시드(Exceed), 익시드 콘테가(Contega), 익시드 타입 A/B/C 등으로 세분화되어 있었고, 나중에 시간이 지나면서 어느 정도 개편되었다. 기본적으로 덩치가 상당히 커진 덕분에 5넘버 대신 3넘버 규정에 들어간 첫 세대가 되었다. 또한 디아망떼에 적용한 고급 옵션이 데보네어에도 대거 적용되어 고급차로서의 체면을 살릴 수 있었다. 3.5L 엔진이 장착된 차량 중 특별사양인 데보네어 150은 전장이 약간 더 길었다.[3]
비록 뉴 그랜저로 판매된 대한민국에서는 잘 팔렸으나 일본에서는 당시 버블경제가 점점 저물어가던 시기여서 고급차 수요가 줄어든데다가, 엎친 데 덮친 격으로 수입 고급차들이나 토요타 셀시오 등 데보네어보다 더 큰 고급차들의 공세가 강해졌고, 결국 처음부터 판매가 부진하게 된다.
결국 미쓰비시는 데보네어로서는 한계가 있다고 판단하고 1999년에 단종시키면서 데보네어라는 이름은 더 이상 쓰이지 않게 되었다. 이후 미쓰비시와 현대의 공동 개발로 만들어진 데보네어보다 더 큰 대형세단의 이름은 프라우디아[4]로 정해졌고, 리무진 버전은 디그니티[5]라는 이름으로 판매되었다. 그리고 그 프라우디아/디그니티마저 데보네어의 전철을 그대로 밟아버리면서 미쓰비시는 대형차 개발을 완전히 접게 되었다.[6]
3. 제원
DEBONAIR/3세대 | |
<colbgcolor=#000000><colcolor=#ffffff> 생산지 | [[일본| ]][[틀:국기| ]][[틀:국기| ]] |
코드네임 | S22 |
차량형태 | 4도어 세단 |
승차인원 | 5명 |
전장 | 4,975mm |
전폭 | 1,815mm |
전고 | 1,440mm |
축거 | 2,745mm |
윤거(전) | |
윤거(후) | |
공차중량 | |
연료탱크 용량 | 72L |
타이어 크기 | 205/65R15 94H 215/65R15 96H |
플랫폼 | |
구동방식 | FF |
전륜 현가장치 | 맥퍼슨 스트럿 |
후륜 현가장치 | |
전륜 제동장치 | V 디스크 |
후륜 제동장치 | V 디스크 |
파워트레인 | ||||||
<rowcolor=#ffffff> 엔진 | 엔진 형식 | 흡기 방식 | 배기량 | 최고 출력 | 최대 토크 | 변속기 |
6G72 | 3.0L V형 6기통 | 자연흡기 | 2,972cc | 170ps | 25.3kgf·m | 4단 자동 |
6G74 | 3.5L V형 6기통 | 자연흡기 | 3,496cc | 260ps | 33kgf·m | 4단 자동 |
4.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bordercolor=white,#1f2023><tablealign=center><tablebgcolor=white,#1f2023> |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rowcolor=#373a3c,#ddd> 차급 | 생산 차량 | 단종 차량 |
경차 | eK 시리즈 · 미니캡 · 델리카 미니 | 미니카 · 피스타치오 · i · i-MiEV | |
소형차 | 콜트(콜트 플러스) · 미라쥬 · 아트라쥬 | 프레시스 | |
준중형차 | - | 랜서 · 랜서 에볼루션 · 트레디아 · 코르디아 · 리베로 | |
중형차 | - | 갤랑 · 에테르나 · 시그마 · 마그나/베라다(~2세대) · 아스파이어 · 카리스마 · 레그넘 · 380 · 에메로드 | |
준대형차 | - | 데보네어 · 디아망떼 · 마그나/베라다(3세대) | |
대형차 | - | 프라우디아 · 디그니티 | |
스포츠카 | - | 이클립스 · GTO · FTO · 스타리온 | |
경형 SUV | - | 파제로 미니 | |
소형 SUV | ASX · 이클립스 크로스 · 엑스포스 | 에어트렉 · RVR · 파제로 주니어 · J 시리즈 | |
준중형 SUV | - | 파제로 피닌 | |
중형 SUV | 파제로 스포트 · 아웃랜더 | 엔데버 · 파제로(에볼루션) | |
MPV | 엑스팬더 | 샤리오 · 델리카 스페이스 기어 · 프리카 · 징거 · 그란디스 · 사브린 · 디온 · RVR · 스페이스 스타 | |
LCV | 타운박스 · 미니캡 · 델리카 D:5 · 델리카 D:2 · 델리카 D:3 | T120SS · 델리카 · 익스프레스 | |
픽업트럭 | 트라이톤 | 레이더 | |
군용 | 73식 소형트럭 | J601 | |
미쓰비시 랠리아트의 차량 |
[1] 2세대 데보네어도 위에 언급했듯이 현대자동차와 미쓰비시와의 공동개발로 1986년 7월에 1세대 그랜저와 같은 달에 출시하였다. 3세대 또한 마찬가지인데 다만 3세대는 한국에서 2세대 뉴 그랜저가 1992년 9월에 출시되었고 일본에서는 1달뒤인 1992년 10월에 출시되어 실질적으로는 한국의 뉴 그랜저가 원판 모델이라고 봐도 무방하다. 또한, 스타일링 및 차체 설계 등 사실상 전체적인 개발도 현대자동차의 주도로 이루어졌으며, 미쓰비시는 약간의 의견만 가미하는 수준이었다고 한다.[2] Light Detection And Ranging의 줄임말로, 레이저레이더(laser radar)와 같다. 전파에 가까운 성질을 가진 레이저 광선을 사용하여 개발한 레이더라고 볼 수 있다. (출처)[3] 다이너스티 리무진과 제원이 동일하다.[4] 문서 보면 알겠지만, 현대차에서는 에쿠스 1세대로 판매되었다.[5] 현대차에서는 에쿠스 리무진 1세대로 판매되었다.[6] 대신 이걸 공동개발한 현대자동차는 이때 얻은 기술력을 바탕으로 계속 대형차를 만들면서 대형 승용차 시장에서 벤츠 등 서구권 업체만큼은 아니어도 꽤나 대박을 치게 되었으며, 2세대 에쿠스에서 독자 개발한 후륜구동 플랫폼을 적용하는 것을 넘어 2015년 자체 고급 자동차 브랜드인 제네시스를 런칭하는 데 이르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