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2-10 12:57:59

바둑/랭킹

{{{#!wiki style="margin: -10px;"<tablebordercolor=#D5AE59,#AF8D3E> 바둑
관련 문서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colbgcolor=#D5AE59,#AF8D3E><colcolor=#000,#FFF> 규칙 국가별 룰 · 초읽기 · 접바둑 · · 착수금지 · 순장바둑
기초 원리 활로(단수) · 따냄 · · 행마
기본 형태 · · 자충 · · 장문 · 촉촉수 · 환격 · 후절수 · 귀곡사 · 공배 · 궁도
특수 형태 장생 · 삼패 · 진신두
대국 흐름 포석 · 정석 · 끝내기 · 계가 · 복기 · 기보
수읽기 먹여치기 · 사활 · 수상전 · 수나누기 · 교환 · 맞보기
도구 바둑판 · 바둑돌 · 인공지능 · 101weiqi
사람 및 기관 바둑 기사 · 품계 · 기원 · 한국기원 · 대한바둑협회 · 일본기원 · 관서기원 · 중국기원 · 대만기원 · 바둑 기전
프로젝트 나무위키 바둑 프로젝트
기타 용어 · 격언 · 특징 · 화점 }}}}}}}}}


1. 공식 랭킹
1.1. 한국1.2. 중국
2. 비공식 랭킹
2.1. Go Ratings2.2. mamumamu0413

1. 공식 랭킹

1.1. 한국

한국기원 기사랭킹

한국기원은 2005년 8월 이후 매월 기사랭킹을 발표하고 있다. 최근에는 매달 5일 12시 전후에 발표하고 있으며, 방송대국이 있는경우해당 기사의 랭킹이 방송으로 먼저 공개되는 경우도 있다.
한국기원 기사랭킹 역대 1위
<colbgcolor=#f5f5f5,#2e2f34> 년\\월 01 02 03 04 05 06 07 08 09 10 11 12
2005 한국기원 기사랭킹 도입 이전 이창호 이창호 이창호 이세돌 이세돌
2006 최철한 이창호 이창호 이창호 이창호 이창호 이창호 이창호 이창호 이창호 이창호 이창호
2007 이창호 이세돌 이세돌 이세돌 이창호 이세돌 이세돌 이창호 이창호 이창호 이세돌 이세돌
2008 이세돌 이세돌 이세돌 이세돌 이세돌 이세돌 이세돌 이세돌 이세돌 이세돌 이세돌 이세돌
2009 이세돌 이세돌 이세돌 이세돌 이세돌 이세돌 이세돌 이세돌 이세돌 이세돌 최철한 이창호
2010 이창호 이창호 이세돌 이세돌 이세돌 이세돌 이세돌 이세돌 이세돌 이세돌 이세돌 이세돌
2011 이세돌 이세돌 이세돌 이세돌 이세돌 이세돌 이세돌 이세돌 이세돌 이세돌 이세돌 이세돌
2012 이세돌 이세돌 이세돌 이세돌 이세돌 박정환
박정환
박정환
박정환
박정환
이세돌 이세돌
2013 이세돌 이세돌 이세돌 이세돌 이세돌 이세돌 이세돌 박정환
박정환
박정환
이세돌 박정환
2014 박정환
박정환
박정환
박정환
박정환
박정환
박정환
박정환
박정환
박정환
박정환
박정환
2015 박정환
박정환
박정환
박정환
박정환
박정환
박정환
박정환
박정환
박정환
박정환
박정환
2016 박정환
박정환
박정환
박정환
박정환
박정환
박정환
박정환
박정환
박정환
박정환
박정환
2017 박정환
박정환
박정환
박정환
박정환
박정환
박정환
박정환
박정환
박정환
박정환
박정환
2018 박정환
박정환
박정환
박정환
박정환
박정환
박정환
박정환
박정환
박정환
신진서 신진서
2019 박정환
신진서 박정환
박정환
박정환
신진서 신진서 신진서 신진서 신진서 박정환
박정환
2020 신진서 신진서 신진서 신진서 신진서 신진서 신진서 신진서 신진서 신진서 신진서 신진서
2021 신진서 신진서 신진서 신진서 신진서 신진서 신진서 신진서 신진서 신진서 신진서 신진서
2022 신진서 신진서 신진서 신진서 신진서 신진서 신진서 신진서 신진서 신진서 신진서 신진서
2023 신진서 신진서 신진서 신진서 신진서 신진서 신진서 신진서 신진서 신진서 신진서 신진서
2024 신진서 신진서 신진서 신진서 신진서 신진서 신진서 신진서 신진서 신진서 신진서 신진서
2025 신진서

※ 한국랭킹 계산공식
한국기원 홈페이지의 '기록실/기사랭킹/랭킹제도 설명'에 2009년 1월에 만들어져 2010년에 개정된 계산공식이 나와있는데[1] 현재 사용하는 공식과는 차이가 있다. 2015년에 발표된 배태일 박사의 논문[2]과, 유튜버 이현욱의 2024년 9월 6일 방송분을 참조하면 현재 사용하는 공식은 다음과 같다

승률기대치 = 1 / (1 + 10^((상대점수 - 내점수)/800))[3]
조정될 점수 = (대국성적 - 승률기대치) x (비례상수 k) x (가중치 w) + 알파
- 대국성적: 이겼을 때 1, 졌을 때 0
- 비례상수 k: 랭킹1위 ~ 50위는 14, 랭킹 51위 ~ 100위는 21, 랭킹 101위 이하는 28[4]
- 가중치 w는 제한기전은 1.0, 일반기전은 1.5, 한국바둑리그는 2.0, 세계기전은 2.5
- 알파는 디플레이션 방지를 위한 패자 위로 점수였지만, 현재는 승자, 패자 모두 0.22

한 판마다 기존의 점수에, 조정될 점수를 더해 새로운 점수를 '정수로' 계산해는데 여기서 소수점 이하 처리가 반올림인지, 내림인지, 올림인지 애매하다.

파일:기대승률제한.jpg

1.2. 중국

중국기원에서는 1995년에 공식 랭킹을 도입하였고, 처음에는 1~4분기에 발표하며 3개월마다 랭킹이 바뀌었지만, 2013년 이후에는 매달 랭킹을 발표하기 시작하였다.
중국기원 기사랭킹 역대 1위
<colbgcolor=#f5f5f5,#2e2f34> 년\\월 01 02 03 04 05 06 07 08 09 10 11 12
1995 중국기원 기사랭킹 도입 이전 마샤오춘 마샤오춘
1996 마샤오춘 마샤오춘 마샤오춘
1997 마샤오춘 창하오 창하오
1998 창하오 창하오 창하오
1999 창하오 창하오 창하오
2000 마샤오춘 마샤오춘 저우허양
2001 저우허양 창하오 창하오
2002 창하오 마샤오춘 왕레이
2003 왕레이 구리 구리
2004 구리 구리 쿵제
2005 구리 구리 구리
2006 구리 구리 구리
2007 구리 구리 쿵제
2008 구리 구리 구리
2009 구리 구리 구리
2010 쿵제 쿵제 쿵제
2011 저우루이양 저우루이양 저우루이양
2012 셰허 탄샤오 탄샤오 천야오예
2013 천야오예 구리 구리 퉈자시 퉈자시 스웨 천야오예 퉈자시 천야오예 천야오예 스웨 천야오예
2014 스웨 스웨 스웨 천야오예 천야오예 스웨 스웨 스웨 스웨 스웨 스웨 스웨
2015 스웨 스웨 스웨 스웨 스웨 스웨 스웨 스웨 스웨 커제 커제 커제
2016 커제 커제 커제 커제 커제 커제 커제 커제 커제 커제 커제 커제
2017 커제 커제 커제 커제 커제 커제 커제 커제 커제 커제 커제 커제
2018 커제 커제 커제 커제 커제 커제 커제 커제 커제 미위팅 미위팅 커제
2019 커제 커제 커제 커제 커제 커제 커제 커제 커제 커제 커제 커제
2020 커제 커제 커제 커제 커제 커제 커제 커제 커제 커제 커제 커제
2021 커제 커제 커제 커제 커제 커제 커제 커제 커제 커제 커제 커제
2022 커제 커제 커제 커제 커제 커제 커제 커제 커제 커제 커제 커제
2023 커제 커제 리쉬안하오 커제 커제 커제 커제 커제 구쯔하오 구쯔하오 구쯔하오 구쯔하오
2024 딩하오 구쯔하오 구쯔하오 커제 커제 커제 리쉬안하오 리쉬안하오 리쉬안하오 양딩신 양딩신 양딩신
2025 양딩신 딩하오

2. 비공식 랭킹

2.1. Go Ratings

Go Ratings

Elo 레이팅의 변형인 Whole-History Rating(WHR) 방식[5]으로 만들어진 비공식 세계랭킹이며 프랑스의 레미 쿨롬 박사가 운영하고 있다. 정확한 사후확률 최대값을 계산하기 때문에, 미래의 대국 승/패로 과거의 점수가 조정된다.

기보가 남는 경기만 데이터에 반영되기 때문에, 기보가 남지 않는 예선대국으로는 점수가 변동되지 않는다.
1980년부터 2024년까지 Go Ratings의 역사를 보여주는 동영상.


2.2. mamumamu0413

세계 랭킹 일본 랭킹

Elo 레이팅의 변형인 Glicko-2 등급 시스템 방식으로 운영되고 있는 세계 랭킹, 일본 랭킹이다.
일본기원, 관서기원, 한국기원, 중국기원, 대만기원에서 발표된 게임 결과를 데이터에 반영한다.

바둑의 덤에 따라 승률을 다르게 평가한다. 아래 수식으로 흑의 승률을 구할수 있다.
Wb = 1 / (1 + 3^(Pb - Pw + α))
* Pb = 흑의 점수
* Pw = 백의 점수
* α = 0.74 * (6.7 - 덤[6]) / 6.7

일본에서는 공식 랭킹이 없기 때문에, 일본 내에서는 이 사이트의 랭킹을 언론에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 일본 랭킹은 일본 기사들간 경기의 데이터만을 사용한다.
[1] 모바일 홈페이지에서는 안 보이고 웹 버전 홈페이지에서만 보인다.[2] 배태일 "한국기원의 공식 랭킹제도의 개발과 운용" 바둑학연구, 제12권 제2호 pp.31-49, 2015년[3] go ratings은 분모에 400, 한국랭킹은 분모에 800을 쓴다.[4] 갓 입단해 랭킹이 낮은 기사들은 점수 등락폭를 크게 해 빨리 제자리를 찾을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리그 오브 레전드의 배치고사와 같은 개념이다.[5] 오목의 세계랭킹도 이 방식을 사용한다.[6] 한국, 일본: 6.5집, 중국: 7.5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