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10-01 21:22:07

봉산군 전투

파일:고려 의장기 문양.svg 고려의 대외 전쟁·정벌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rowcolor=#670000,#FFCECE>전쟁·정벌전투교전세력
<colbgcolor=#fedc89,#444444>후삼국​통일전쟁
조물성 전투후백제
대야성 전투후백제
공산 전투후백제
나주 공방전후백제
삼년산성 전투후백제
고창 전투후백제
운주성 전투후백제
일리천 전투후백제
여요전쟁
봉산군 전투요나라
안융진 전투요나라
흥화진 전투요나라
통주 전투요나라
곽주 전투요나라
서경 전투요나라
애전 전투요나라
삼교천 전투요나라
금교역 전투요나라
귀주 대첩요나라
여진정벌동북 9성여진족
갈라수 전투여진족
길주성 전투여진족
거란 유민들의 고려 침공강동성 전투후요
여몽전쟁귀주성 전투파일:몽골 제국 국기.svg 몽골 제국
동선역 전투파일:몽골 제국 국기.svg 몽골 제국
안북성 전투파일:몽골 제국 국기.svg 몽골 제국
처인성 전투파일:몽골 제국 국기.svg 몽골 제국
죽주산성 전투파일:몽골 제국 국기.svg 몽골 제국
충주성 전투파일:몽골 제국 국기.svg 몽골 제국
원나라의 일본원정제1차 원정파일:미나모토씨 가몬.svg 일본 (가마쿠라 막부)
제2차 원정파일:미나모토씨 가몬.svg 일본 (가마쿠라 막부)
카다안의 침입
치악성 전투합단적
연기 전투합단적
장사성의 난장사성의 난장사성
홍건적의 침공홍건적홍건적
나하추의 침공함흥평야 회전나하추
기황후 주동의 원나라군 침입수주 달천 전투최유
여진족 장수 호발도의 침입길주 전투호바투
목호의 난명월포 전투원나라 목호
왜구의 침입홍산 대첩왜구
진포 해전왜구
황산 대첩왜구
관음포 전투왜구
제1차 대마도 정벌왜구
요동정벌제1차 요동정벌파일:원나라 국기.jpg 원나라
제2차 요동정벌 (위화도 회군)파일:고려 의장기.svg 공요군
}}}}}}}}}

봉산군 전투
蓬山郡 戰鬪
<colbgcolor=#fedc89,#444444><colcolor=#670000,#FFCECE> 시기 993년 (성종 12년) 윤 10월
장소 고려 패서도
원인 소손녕의 고려 침공
교전국 <rowcolor=black>
(공세)
고려
(수세)
주요 인물
지휘관

[[요나라|
]] 소손녕 (동경유수)
지휘관

파일:고려 의장기.svg 윤서안 (급사중)
병력 요군: 60,000명 ↓ 병력 규모 불명
피해 피해 규모 불명 피해 규모 불명
결과 요의 승리
영향 고려 조정의 항복론-할지론 논의

1. 개요2. 배경3. 전개
3.1. 거란을 막을 군사를 보내다3.2. 봉산군이 함락
4. 결과5. 대중매체

[clearfix]

1. 개요

여요전쟁 시기에 고려군과 거란군이 고려 행정구역인 패서도 봉산군(蓬山郡)[1]에서 벌어진 전투이다.

2. 배경

고려는 옛 고구려 땅을 회복한다는 명분으로 북진정책을 추진했고, 발해 유민을 수용하는 정책을 취하고 발해를 멸망시킨 거란을 배척하고 송(북송)과 친선을 도모하며, 발해 유민들이 세운 정안국이 송과 화친해 거란에 대항하면서 거란이 국제적으로 고립되었다. 거란은 고려 조정에서 반응을 보이지 않자 고려를 침공하기로 했다.

3. 전개

3.1. 거란을 막을 군사를 보내다

여름 5월에 서북계 여진에서 거란이 군사를 동원해 침략할 계획이 있다고 알렸지만, 고려 조정에서 여진이 속인다고 여겨 무시했으나, 8월에 거란 군대가 침략한다고 다시 알리자 고려 조정에서 그제서야 위급함을 알고 각 도에 병마제정사를 나누어 보냈다.

고려 조정에서 겨울 10월에 박양유를 상군사, 서희를 중군사, 최량을 하군사로 임명해 북계에 군대를 거느리고 가서 거란을 막게 했으며, 성종은 친히 방어하기 위해 서경으로 행차해 안북부(현 평안남도 안주시(평안남도 안주군으)로 비정)까지 행차해 머물렀다.

3.2. 봉산군이 함락

소손녕이 이끄는 거란군이 압록강을 건너 현재 평안북도인 구주를 거쳐 봉산 근처까지 진출했는데, 봉산은 구주에서 정주에 이르는 길과 구주에서 태주, 박주에 이르는 교통로를 모두 통제할 수 있는 요충지였다. 소손녕이 봉산군을 공격해 격파하자 윤서안은 포로가 되었고, 이 소식을 들은 성종은 더 이상 진군하지 못하고 서경으로 돌아갔다.

4. 결과

서희가 봉산군을 구원하려 하자 소손녕이 우리가 옛 고구려 땅을 모두 차지해 너희 나라가 국경지대를 침탈하므로 내가 와서 토벌한다고 외쳤으며, 편지를 보내 항복을 요구하자 서희가 조정에 강화할 수 있는 여지가 있음을 알렸다.

성종이 이몽전을 보내 강화를 요청했고 소손녕이 80만의 군사가 왔으니 임금과 신하가 나와 항복하지 않으면 섬멸할 것이라고 협박했으며, 고려 조정에서 중신들을 보내 항복을 요청하는 항복론, 서경 이북 땅을 분할해 주고 황주에서 절령(자비령의 다른 이름)까지 국경으로 하자는 할지론이 나왔고, 성종은 할지론을 채용하면서 서경성 창고에 있는 쌀을 백성들에게 나눠주면서 적이 사용하지 못하도록 나머지 군량을 대동강에 던지라고 했다.

그러자 서희가 '식량이 넉넉하면 성을 지킬 수 있고 전투에도 이길 수 있다'고 만류하자 성종이 중지시켰으며, 서희가 생여진에게서 빼앗은 가주, 송성을 차지하려는 것일 뿐이고, 고구려의 옛 땅을 차지한다고 떠벌리는 것은 우리를 두려워하는 것이고, 군세가 강성한 것만을 보고 영토를 내어주면 저들이 끝없는 욕심을 부릴 수 있다며 소손녕에게 금은과 보물을 뇌물로 주어 뜻을 살펴보라고 했다. 성종은 서희의 의견으로 옳은 말이라 여겼다.

5. 대중매체

5.1. <천추태후>


제1차 여요전쟁을 다룬 드라마인 <천추태후>에서 1화,23화에서 이 전투를 잠시 다루고 있다.

거란군의 군사가 봉산에 진군하자 고려군의 본진이 세워질 때까지 진격을 늦추기 위해 전면전을 피해서 싸우라는 군령을 받고 윤서안이 4, 5천 정도의 고려군을 이끌고 거란군을 공격하기로 하며, 소손녕은 고려군이 온다는 소식을 듣고 선발대를 보내서 들판으로 유인해 물리치기로 한다.

윤서안이 거란의 선봉대가 적은 것을 보고 즉시 섬멸해야 한다며 쫓기로 하자 부장이 적의 총 규모가 얼마나 되는지 모르는 것과 군령을 언급하며 만류하지만, 윤서안은 서희의 지시를 무시하고 거란군의 기세만 꺾기 위해 추격했다가 들판에서 거란의 군사들에게 포위된다. 거란군이 공격을 개시해 곰들을 풀면서 쇠뇌를 발사한 후 직접 기병을 보내 공격하며, 거란의 기병이 투창을 던져 군사들을 무너뜨리고 윤서안을 낙마시켜 붙잡는 등 고려군을 대패시킨다.


[1]봉산군(鳳山郡)과 한자가 다르며, 현재 봉산은 당시에 봉주(鳳州)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