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11-03 16:56:40

삼국지/지명/량주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삼국지/지명
파일:관련 문서 아이콘.svg   관련 문서: 양주(중국)
,
,
,
,
,

삼국지 | 三國志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 |  ,,,,
<colbgcolor=#980000>삼국 조조실존 인물 · 가공 인물 · 조위정통론
유비실존 인물 · 가공 인물 · 촉한정통론
손권실존 인물 · 가공 인물
관련 정보인물 · 연표 · 지명 · 관직 · 이름 표기 · 삼국지연의/수혜자 · 삼국지연의/피해자 · 삼국지연의/미등장인물
관련 작품소설 · 만화 · · 영화 · 애니메이션 · 드라마 · 라디오 드라마 · 게임}}}}}}}}}

후한 13주
사례
司隸
연주
兗州
예주
豫州
기주
冀州
유주
幽州
병주
幷州
옹주
雍州
양주
涼州
익주
益州
청주
靑州
서주
徐州
형주
荊州
양주
揚州
교주
交州

파일:260년량주지도.png
1. 개요2. 무위군(武威郡)3. 금성군(金城郡)4. 서평군(西平郡)5. 장액군(張掖郡)6. 서군(西郡)7. 서해군(西海郡)8. 주천군(酒泉郡)9. 돈황군(敦煌郡)10. 같이보기

[clearfix]

1. 개요

기원전 107년에 처음 자사를 설치할 때, 이 방면을 맡는 자사의 감찰 구역이 원래 서북 지방을 가리키던 지방 이름인 옹주(雍州)와 겹치는 부분이 있었는데, 옹주는 당시 경사(京師) 지역이었던 관중 지방을 지칭하는 말로도 쓰였기 때문인지 양주(涼州)자사부로 명명했다. 이후 왕망이 양주를 옹주로 고쳤으나, 신나라가 멸망하면서 환원되었다. 서량이라는 이름으로도 알려져 있으나, 이는 남북조시대 때 처음 등장하고 오대십국시대부터 본격적으로 사용된 지명으로 당연히 삼국시대에는 없던 지명이다. 서진 이전에 이 일대를 가리는 지명은 '하서(河西)'나 '하우(河右)'였고, 그 지형 특징에 따라 하서주랑(河西走廊)이나 하서회랑 등으로 부르기도 했다.

삼국시대에는 그다지 중요하다고 할만한 지역은 아니었다. 당초 하서 지방은 흉노를 견제하기 위해 개척된 땅이었는데, 이미 후한 때 흉노가 몰락하여 동쪽의 선비족이 점차 대두되었고, 서역의 여러 나라들은 쇠퇴하던 때였다. 후한 말에는 강족 계열의 집단이, 서진 때에는 독발수기능 같은 선비족 집단의 활동이 두드러진다.

하서 지방을 병탄하려던 야심을 가지고 있던 장맹은 이 지역을 옹주로 분할할 것을 조정에 건의했는데, 그리하여 194년에 무위군·장액군·주천군·돈황군 등 4군이 분할되어 옹주가 설치되었다. 이때 장맹은 무위태수가 되었고 옹주자사는 한단상(邯鄲商)이 임명되었다. 195년에 서해군을 설치한 주체가 무위태수로 언급되는 점을 보면, 실제로는 장맹이 옹주자사 한단상을 끼고 옹주를 장악한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두 사람은 서로 대립했고, 결국 206년 또는 209년에 장맹이 한단상을 죽였는데, 한수가 이를 빌미로 210년에 장맹을 멸망시켜 그 세력을 흡수했다.

원래 한수는 금성군 호족 출신이었는데, 184년에 북궁백옥·이문후·송양 등이 반란을 일으킬 때 그들이 원래 내세웠던 변장이 죽자 반란군의 수장으로 추대되었다. 이후 한수가 그들을 죽이고 세력을 차지했으며, 187년에는 농서군과 한양군을 함락시켰다. 이후 마등과 함께 왕국을 수장으로 내세웠으나, 황보숭에게 연달아 패하자 왕국을 살해했다. 이렇게 반란군이 와해되는 위기를 겪었으나, 이후 하진이 죽고 동탁이 집권하면서 후한의 통치체제가 붕괴되어 버렸고, 동탁 사후에 집권한 이각·곽사 등이 한수의 세력을 인정하면서 진서장군으로 임명되어 금성군 일대를 장악한다.[1] 정확한 연도를 알 수 없으나 후한 말에 금성군이 분할되어 서평군이 설치되었는데, 아마도 한수가 금성군을 장악했을 때 자의적으로 설치한 군이라 생각된다. 한수는 211년에 조조와 대립하기 시작하여 212년 무렵부터 실질적으로 세력이 무너졌고, 215년에 멸망했다.

213년에 양주가 폐지되어 옹주에 병합되었으나, 실질적으로는 옹주가 폐지되고 양주가 옹주로 이름을 바꾼 것에 가까웠다. 220년에 다시 양주자사를 설치했을 땐 원래 옹주 소속이었던 하서 지방이 모두 양주에 소속되어, 이전의 옹주와 뒤바뀌게 되었다.
  • 치소(治所): [194]무위군 고장현→[213]경조윤 장안현, [220]무위군 고장현
  • 194년: 양주(涼州) 무위군·장액군·장액거연속국도위부·주천군·돈황군을 분할하여 옹주 설치.
  • 195년: 장액군을 분할해 서군 설치. 장액거연속국도위부를 승격하여 서해군 설치.
  • 211년 이전: 금성군을 분할해 서평군 설치.
  • 213년: 양주(涼州)와 옹주를 옹주로 통합함.
  • 220년: 옹주 무위군·금성군·서평군·장액군·서군·서해군·주천군·돈황군을 분할해 양주(涼州) 재설치.[2]
  • 269년: 금성군이 진주로 이속함.

역사지도마다 익주와 마찬가지로 그 영역 범위를 다양하게 잡는데, 좁게는 군·현의 치소의 위치를 근거로 간쑤성 서부와 내몽골 자치구 일부만 포함하는 한편, 넓게는 『중국역사지도집』처럼 신장 위구르 자치구 동부와 외몽골 남부 지역까지 포함하기도 한다. 이 문서의 서두에 삽입한 지도는 전자에 가까우며, 흔히 '장성'으로 통칭하는 전한 때 설치된 '새(塞)'의 방어선과 자연 지형을 기준으로 당시의 국경선을 표현했다.

한자 발음이 양주(揚州)와 같아 혼동이 생길 수 있는데, 涼州를 두음 법칙을 적용하지 않고 한자 원음대로 읽으면 량주가 되므로, 가급적 한글만 표기하는 연혁정보에서는 '량주'로 약칭해 표기하고 있음을 참고하기를 바란다.

2. 무위군(武威郡)

기록상에는 기원전 121년에 설치되었다고 하나, 실제 당시 간독에서는 발견되지 않는 지명으로, 기원전 67년 무렵에 장액군에서 분할되어 설치된 군이라 추측된다.
소속 [한]량주자사부→[194]옹주자사부→[220]량주→[서진]량주
치소 고장현
전입 [서진]서군 여간현·번화현
폐지 [삼국]장액현·휴저현·사조현·박환현, [서진]무위현·전음현·저려현
출신 고장현: 가후
저려현: 장제·장수 일족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서진 이전 연혁 펼치기·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전한 무위군(10현 17,581호 76,419구): 고장현, 장액현, 무위현, 휴저현, 서차현, 난오현, 박환현, 온위현, 창송현, 선위현
무위군장액군(張掖郡), 휴저현→안연현(晏然縣), 서차현→파덕현(播德縣), 박환현→부로현(敷虜縣), 창송현→부로현(敷虜縣)
후한 무위군(14성 10,042호 34,226구): 고장현, 장액현, 무위현, 휴저현, 서차현, 사조현, 박환현, 온위현, 선위현, 창송현, 전음현, 저려현, 현미현, 좌기천인관[3]
서진 무위군(7현 5,900호): 고장현, 선위현, 서차현, 창송현, 현미현, 여간현, 번화현 }}}}}}}}}
  • 고장현(姑臧縣): 옹주(194~213)·양주(220~)자사 및 무위군 치소
    • 소속: [한]량주자사부 무위군→[서진]량주 무위군
    • 위치: 《37.92692, 102.63470》 간쑤성 우웨이시(甘肃省武威市)
    • 석두(石頭): 《37.90889, 102.73923》?
  • 무위현(武威縣): 호강교위(護羌校尉) 치소→서진 폐지
    • 소속: [한]량주자사부 무위군→[서진]폐지
    • 위치: 《38.81210, 103.53580》 간쑤성 우웨이시 민친현 서우청진 전바오촌(甘肃省武威市民勤县收成镇珍宝村)
    • 도야택(都野澤)·휴저택(休屠澤): 《39.08637, 103.77960》
  • 서차현(揟次縣)
    '읍차현(揖次縣)'나 '차차현(且次縣)'으로 오기(誤記)되기도 한다.
    • 소속: [한]량주자사부 무위군→[서진]량주 무위군
    • 위치: 《37.73350, 102.83840》 간쑤성 우웨이시 량저우구 황양진 중야오촌(甘肃省武威市凉州区黄羊镇中腰村)
  • 온위현(媼圍縣): 서진 폐지
    • 소속: [한]량주자사부 무위군→[서진]폐지
    • 위치: 《36.45569, 103.97867》 간쑤성 란저우시 가오란현 허핑향 펑수이촌(甘肃省兰州市皋兰县和平乡丰水村)
  • 선위현(宣威縣)
    • 소속: [한]량주자사부 무위군→[서진]량주 무위군
    • 위치: 《38.49590, 102.98540》 간쑤성 우웨이시 민친현 쉐바이진 허둥촌(甘肃省武威市民勤县薛百镇河东村)
    • 봉국
  • 창송현(蒼松縣)
    • 지명: [전한]창송현(蒼柗縣)→[후한]창송현(蒼松縣)
    • 소속: [한]량주자사부 무위군→[서진]량주 무위군
    • 위치: 《37.67170, 102.77760》 간쑤성 우웨이시 량저우구 셰허진 우바촌(甘肃省武威市凉州区谢河镇五坝村)
  • 전음현(鸇陰縣): 서진 폐지
    • 지명: [전한]순음현(鶉陰縣)→[후한]전음현
    • 소속: [전한]량주자사부 안정군→[후한]무위군→[서진]폐지
    • 위치: 《36.56499, 104.61138》 간쑤성 바이인시 징위안현 미탄진 두스촌(甘肃省白银市靖远县糜滩镇独石村)
    • 전음구(鸇陰口): 《36.53560, 104.66827》
    • 만곡퇴(萬斛堆): 《37.19978, 104.68097》?
      전음현 북부의 위나라 영토 밖에 위치한 지형으로, 독발수기능이 이곳에서 호열을 전사시켰다.
  • 저려현(袓厲縣): 서진 폐지
    • 소속: [전한]량주자사부 안정군→[후한]무위군→[서진]폐지
    • 위치: 《36.21747, 104.89417》 간쑤성 바이인시 후이닝현 궈청이진 궈청이촌(甘肃省白银市会宁县郭城驿镇郭城驿村)
  • 현미현(顯美縣)
    • 소속: [전한]량주자사부 장액군→[후한]무위군→[서진]량주 무위군
    • 위치: 《38.17760, 102.10349》 간쑤성 진창시 융창현 리우바진(甘肃省金昌市永昌县六坝镇)
  • 장액현(張掖縣): 삼국시대 중 폐지
    • 소속: [한]량주자사부 무위군→[삼국]폐지
    • 위치: 《37.49695, 102.63036》 간쑤성 우웨이시 량저우구 장이진 스터우바촌(甘肃省武威市凉州区张义镇石头坝村)
  • 휴저현(休屠縣): 삼국시대 중 폐지
    '休屠'를 '휴도'로 잘못 읽기도 하는데, 이는 흉노의 이름을 지칭하는 경우라 '휴저'로 읽는 것이 옳다.
    • 소속: [한]량주자사부 무위군→[삼국]폐지
    • 위치: 《38.17014, 102.68679》 간쑤성 우웨이시 민친현 차이치진 가오먀오촌(甘肃省武威市民勤县蔡旗镇高庙村)
  • 사조현(鷥鳥縣): 삼국시대 중 폐지
    • 지명: [전한]난오현(鸞烏縣)→[후한]사조현
    • 소속: [한]량주자사부 무위군→[삼국]폐지
    • 위치: 《37.71655, 102.60663》 간쑤성 우웨이시 량저우구 구청진 상구청촌(甘肃省武威市凉州区古城镇上古城村)
  • 박환현(樸𠟼縣): 삼국시대 중 폐지
    • 소속: [한]량주자사부 무위군→[삼국]폐지
    • 위치: 《37.55100, 103.27748》 간쑤성 우웨이시 구랑현 시징진(甘肃省武威市古浪县西靖镇)

3. 금성군(金城郡)

기원전 81년에 천수군·농서군·장액군 일부를 분할해 설치했다.
소속 [한]량주자사부→[194]옹주자사부→[220]량주→[269]진주→[서진]진주
치소 [전한]연아현→[4?]임강현 용이(龍夷)→[후한]유중현
분합 [삼국]서평군: 임강현·파강현·안이현
설치 [서진]백토현
폐지 [서진]연아현·영거현·지양현
출신 금성현: 변장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서진 이전 연혁 펼치기·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전한 금성군(13현 38,470호 149,648구): 연아현, 호문현, 영거현, 지양현, 금성현, 유중현, 부한현, 백석현, 하관현, 파강현, 안이현, 연가현, 임강현
금성군서해군(西海郡), 연아현→수원현(修遠縣), 호문현→흥무현(興武縣), 영거현→한로현(罕虜縣), 금성현→금병현(金屛縣), 백석현→순력현(順礫縣), 연가현→수원정현(修遠亭縣), 임강현→감강현(監羌縣)[4]
후한 금성군(10성 3,858호 18,947구): 연아현, 호문현, 영거현, 지양현, 금성현, 유중현, 임강현, 파강현, 안이현, 연가현
서진 금성군(5현 2,000호): 유중현, 연가현, 금성현, 백토현, 호문현 }}}}}}}}}
  • 유중현(楡中縣): 금성군 치소
    • 소속: [진]농서군→[한]량주자사부 금성군→[서진]진주 금성군
    • 위치: 《36.02303, 104.05119》 간쑤성 란저우시 위중현 라이쯔바오향 뤄퉈샹촌(甘肃省兰州市榆中县来紫堡乡骆驼巷村)
    • 옥간판(沃干阪): 《35.89363, 103.89714》
  • 연아현(允吾縣): 서진 폐지
    '윤오현'·'윤아현'·'연오현' 등으로 다양하게 읽을 수 있는데, 반절(反切)에 따라 '연아'로 기재했다.
    • 소속: [한]량주자사부 금성군→[서진]폐지
    • 위치: 《36.09028, 103.29541》 간쑤성 린샤 후이족 자치주 융징현 옌궈샤진 옌지촌(甘肃省临夏回族自治州永靖县盐锅峡镇盐集村)
    • 정백진(鄭伯津): 《36.12673, 103.35244》
    • 용지(龍支): 《36.12229, 102.78303》
  • 호문현(浩亹縣)
    '亹'를 '미'로도 읽을 수 있어 '호미현'이라고도 하는데, 지명으로 쓰일 때는 '문'으로 읽는다.
    • 소속: [한]량주자사부 금성군→[서진]진주 금성군
    • 위치: 《36.54137, 102.89095》 간쑤성 란저우시 융덩현 허차오진 난관촌(甘肃省兰州市永登县河桥镇南关村)
  • 영거현(令居縣): 서진 폐지
    영거라는 종족이 살았기에, 현의 이름이 되었다.
    • 소속: [한]량주자사부 금성군→[서진]폐지
    • 위치: 《36.78875, 103.09273》 간쑤성 란저우시 융덩현 우성이진 우두안촌(甘肃省兰州市永登县武胜驿镇五段村)
    • 삼가곡(參街谷): 《37.25656, 102.51480》
  • 지양현(枝陽縣): 서진 폐지
    • 소속: [한]량주자사부 금성군→[서진]폐지
    • 위치: 《36.26441, 103.41994》 간쑤성 란저우시 융덩현 쿠수이진 사완촌(甘肃省兰州市永登县苦水镇沙湾村)
  • 금성현(金城縣)
    • 소속: [한]량주자사부 금성군→[서진]진주 금성군
    • 위치: 《36.04703, 103.84714》 간쑤성 란저우시(甘肃省兰州市)
  • 연가현(允街縣)
    '윤가현'으로 읽을 수도 있고, 반절(反切)에 따라 '연계현'으로 읽을 수도 있는데, '街'를 '계'로 읽는 것은 현대 한자음에 해당하지 않으므로 '연가'로 기재했다.
    • 소속: [한]량주자사부 금성군→[서진]진주 금성군
    • 위치: 《36.45000, 103.37533》 간쑤성 란저우시 융덩현 훙청진(甘肃省兰州市永登县红城镇)
  • 백토현(白土縣): 서진 설치(진주 금성군)
    • 위치: 《35.85995, 102.49109》 칭하이성 하이둥시 쉰화 살라르족 자치현 지스진 지아루촌(青海省海东市循化撒拉族自治县积石镇加入村)
    • 동한(東邯): 《35.9000, 102.31500》?
    • 서한(西邯): 《35.9000, 102.20100》?
    • 석성(石城): 《35.84178, 102.09096》
    • 건위성(建威城): 《36.16543, 101.65355》?
    • 귀의성(歸義城): 《36.09439, 101.49465》?
    • 하교(河橋): 《36.08401, 101.50140》
    • 대연곡(大允谷): 《36.10182, 101.19918》
    • 대유곡(大兪谷): 《35.95090, 101.51958》
    • 소유곡(小兪谷): 《36.00023, 101.83536》
    • 삼두곡(三兜谷): 《36.06435, 101.92240》

4. 서평군(西平郡)

정확히 언제 설치되었는지 알 수 없는데, 211년 동관 전투를 전후한 때에 한수염행을 사위로 삼고 서평군을 다스리게 한 것으로 보아 그 이전에 설치된 것으로 보인다. 아마도 한수가 금성군 일대에서 할거했을 때 자의적으로 금성군 서부를 분할해 만든 것으로 추측된다.
소속 [삼국]량주자사부→[서진]량주
치소 서도현
전입 [삼국]금성군 임강현·파강현·안이현
설치 [삼국]서도현, [서진]장녕현
폐지 [서진]파강현
출신 현 미상: 명원황후·곽덕, 국의·국연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서진 이전 연혁 펼치기·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서진 서평군(4현 4,000호): 서도현, 임강현, 장녕현, 안이현 }}}}}}}}}
  • 서도현(西都縣): 삼국시대 중 설치·서평군 치소
    • 소속: [삼국]량주 서평군→[서진]량주 서평군
    • 위치: 《36.60886, 101.78394》 칭하이성 시닝시(青海省西宁市)
    • 봉국
      • 곽건(郭建): 서도후(239~254)
    • 황중(湟中): 《36.65740, 101.52877》
    • 황협(湟峽): 《36.56246, 101.91724》
  • 임강현(臨羌縣)
    • 소속: [한]량주자사부 금성군→[삼국]서평군→[서진]량주 서평군
    • 위치: 《36.67482, 101.28677》 칭하이성 시닝시 황위안현(青海省西宁市湟源县)
    • 용이(龍夷)·용기성(龍耆城): 《36.90730, 100.98105》
    • 호강성(護羌城): 《36.51794, 101.15695》
    • 사곡(寫谷): 《36.72347, 101.19094》
    • 목승곡(木乘谷): 《36.82962, 101.08142》
  • 파강현(破羌縣): 서진 폐지
    • 소속: [한]량주자사부 금성군→[삼국]서평군→[서진]폐지
    • 위치: 《36.41565, 102.65084》 칭하이성 하이둥시 러두구 가오먀오진 라오야촌(青海省海东市乐都区高庙镇老鸦村)
    • 낙도(樂都): 《36.48724, 102.39441》
    • 낙도곡(雒都谷·洛都谷): 《36.61077, 102.39249》
  • 안이현(安夷縣)
    • 소속: [한]량주자사부 금성군→[삼국]서평군→[서진]량주 서평군
    • 위치: 《36.50036, 102.10859》 칭하이성 하이둥시 핑안구(青海省海东市平安区)
    • 사망협(四望峽): 《36.47762, 102.23928》
  • 장녕현(長寧縣): 서진 설치(량주 서평군)
    • 위치: 《36.81772, 101.76493》 칭하이성 시닝시 다퉁 후이족 투족 자치현 창닝진(青海省西宁市大通回族土族自治县长宁镇)

5. 장액군(張掖郡)

전한 때인 기원전 111년에 설치되었다.
소속 [한]량주자사부→[194]옹주자사부→[220]량주→[서진]량주
치소 역득현
분합 [195]서군: 일륵현·산단현·여간현·번화현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서진 이전 연혁 펼치기·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전한 장액군(10현 24,352호 88,731구): 역득현, 소무현, 산단현, 저지현, 옥란현, 일륵현, 여간현, 번화현, 거연현, 현미현
장액군설병군(設屛郡), 역득현→관식현(官式縣), 소무현→거무현(渠武縣), 산단현→관로현(貫虜縣), 저지현→비무현(否武縣), 옥란현→전무현(傳武縣), 일륵현→늑치현(勒治縣), 여간현→게로현(揭虜縣), 번화현→나로현(羅虜縣), 거연현→거성현(居成縣)
후한 장액군(8성 6,552호 26,040구): 역득현, 소무현, 산단현, 저지현, 옥란현, 일륵현, 여간현, 번화현
장액속국도위(5성 4,656호 16,952구): 후관(候官), 좌기(左騎), 천인(千人), 사마관(司馬官), 천인관(千人官)[5]
서진 장액군(3현 3,700호): 영평현, 임택현, 옥란현 }}}}}}}}}
  • 역득현(觻得縣): 장액군 치소
    • 지명: [서진]영평현(永平縣)
    • 소속: [한]량주자사부 장액군→[서진]량주 장액군
    • 위치: 《38.96341, 100.40263》 간쑤성 장예시(甘肃省张掖市) 서북측
    • 장액속국도위(張掖屬國都尉): 《39.01510, 100.34223》
      전한·후한 때 운영되었던 관직인 장액속국도위의 치소였다. 삼국시대에는 폐지된 것으로 보인다.
  • 소무현(昭武縣)
    • 지명: [265]임택현(臨澤縣)
      사마소의 이름을 피휘하여 임택현이 되었다.
    • 소속: [한]량주자사부 장액군→[서진]량주 장액군
    • 위치: 《39.13467, 100.21065》 간쑤성 장예시 린쩌현 샤오허향(甘肃省张掖市临泽县小河乡)
  • 저지현(氐池縣): 서진 폐지
    • 소속: [한]량주자사부 장액군→[서진]폐지
    • 위치: 《38.43198, 100.81054》 간쑤성 장예시 민러현(甘肃省张掖市民乐县)
  • 옥란현(屋蘭縣)
    • 소속: [한]량주자사부 장액군→[서진]량주 장액군
    • 위치: 《38.88023, 100.67270》 간쑤성 장예시 간저우구 젠탄진 구청촌(甘肃省张掖市甘州区碱滩镇古城村)

6. 서군(西郡)

195년에 장액군 일륵현을 분할해 설치했다. 220년에 양주(涼州)에서는 국연·장진·황화 등이 반란을 일으키는 대형 사건이 일어났음에도 불구하고 『삼국지』에서 서군은 전혀 언급되지 않고 있으며, 특히 배송지가 인용한 사서들에서는 서군이 분리되었을 경우 지리 여건상 서군 소속이어야 할 산단현·여간현·번화현이 장액군 소속으로 언급되고 있어, 위나라 때 실존했던 것인지는 불분명하다. 서군이 220년 무렵에 폐지되어 236년 이후에 다시 설치되었거나, 원래의 서군은 역득현 일대의 장액군 서부가 분할된 것이고 일륵현 일대가 장액군으로 불렸지만 서진 때 무위군·장액군·서군이 재편되면서 일륵현·산단현 일대가 서군으로 불리게 된 것일 가능성이 있다.
소속 [195]옹주자사부→[220]량주→[서진]량주
치소 일륵현
전입 [195]장액군 일륵현·산단현·여간현·번화현
설치 [서진]선제현·만세현·난지현
전출 [서진]여간현·번화현→무위군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서진 이전 연혁 펼치기·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서진 서군(5현 1,900호): 일륵현, 산단현, 선제현, 만세현, 난지현 }}}}}}}}}
  • 일륵현(日勒縣): 서군 치소
    • 소속: [한]량주자사부 장액군→[195]옹주 서군→[서진]량주 서군
    • 위치: 《38.44008, 101.49866》 간쑤성 장예시 산단현 라오준향 양후궈촌(甘肃省张掖市山丹县羊老军乡虎沟村) 동남부
  • 산단현(刪丹縣)
    • 소속: [한]량주자사부 장액군→[195]옹주 서군→[서진]량주 서군
    • 위치: 《38.78111, 101.08796》 간쑤성 장예시 산단현(甘肃省张掖市山丹县)
  • 여간현(驪靬縣)
    • 소속: [한]량주자사부 장액군→[195]옹주 서군→[서진]량주 무위군
    • 위치: 《38.23183, 101.76319》 간쑤성 진창시 융창현 자오지아좡진 타얼완촌(甘肃省金昌市永昌县焦家庄镇塔儿湾村)
  • 번화현(番和縣)
    • 소속: [한]량주자사부 장액군→[195]옹주 서군→[서진]량주 무위군
    • 위치: 《38.24789, 101.84152》 간쑤성 진창시 융창현 자오지아좡진 난옌궈촌(甘肃省金昌市永昌县焦家庄镇南沿沟村)
  • 선제현(仙提縣): 서진 설치(량주 서군)
    • 위치: 《38.77964, 101.14809》 간쑤성 장예시 산단현 청관진(甘肃省张掖市山丹县城关镇) 동부
  • 만세현(萬歲縣): 서진 설치(량주 서군)
    • 위치: 《38.66819, 101.21477》 간쑤성 장예시 산단현 천후진 싼스리푸촌(甘肃省张掖市山丹县陈户镇三十里堡村)
  • 난지현(蘭池縣): 서진 설치(량주 서군)
    • 위치: 《38.85628, 101.18990》 간쑤성 장예시 산단현 훙쓰후향(甘肃省张掖市山丹县红寺湖乡) 동남부

7. 서해군(西海郡)

기원전 102년에 무제흉노의 하서회랑 진입을 차단하고자 주천군에서 거연택(居延澤)까지 이르는 곳에 장(鄣)을 설치하게 했는데, 이때 거연택 연안에 거연현이 설치되고 회수현까지 이르는 약수(弱水) 유역에 크고 작은 성채와 봉화대 등이 설치되어, 이를 거연새(居延塞)라고 불렀다. 거연새 지역은 주천군과 인접해 있었으나, 주천군에서 이곳까지 담당하기에는 부담이 매우 컸던지 장액군의 관할이 되었다. 후한은 전한과 달리 장성(長城)이나 변새(邊塞)를 적극적으로 운영하지 않았다. 자연히 거연새도 운영이 중단되었는데, 결국 거연현은 실질적으로 장액군과는 분리된 월경지가 되었으며, 124년에 안제가 장액거연속국도위(張掖居延屬國都尉)를 설치한 원인이라 여겨진다. 장액거연속국도위부는 195년에 서해군으로 개편되었다.
지명 [124]장액거연속국도위부→[195]서해군
소속 [124]량주자사부 장액군→[195]옹주자사부→[220]량주→[서진]량주
치소 거연현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서진 이전 연혁 펼치기·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후한 장액거연속국도위부(1성 1,560호 4,733구): 거연현
서진 서해군(1현 2,500호): 거연현 }}}}}}}}}
『진서』 지리지에는 무위태수 장아(張雅)가 195년에 서해군을 설치했던 것으로 나오는데, 장아라는 인물은 다른 기록에서 확인되지 않으며, 이 시점에 무위태수였던 인물은 장맹이었으므로, 장아는 장맹의 오기(誤記)라 판단된다. 서해군은 장액거연속국도위부를 승격시켜 만든 것으로 판단되는데, 원칙상 장액군의 관할 지역임에도 무위태수가 서해군을 설치했다고 기록된 것을 보면, 당시 하서 4군에 설치된 옹주는 실질적으로 장맹이 통치하던 지역임을 드러내는 기록이라 판단된다. 위나라나 서진도 서해군으로 그대로 유지했기에, 1현만 소속되는 군인 특이한 사례가 되었다.
  • 거연현(居延縣): 서해군 치소
    • 소속: [전한]량주자사부 장액군→[후한]장액군 거연속국도위부→[195]옹주 서해군→[서진]량주 서해군
    • 위치: 《41.85462, 101.15775》 내몽골 자치구 아라산맹 어지나기(内蒙古自治区阿拉善盟额济纳旗) K749 유지
    • 거연택(居延澤): 《41.95029, 101.58508》
    • 견수금관(肩水金關): 《40.58384, 99.92952》

8. 주천군(酒泉郡)

전한 때인 기원전 104년에 설치되었다.
소속 [한]량주자사부→[194]옹주자사부→[220]량주→[서진]량주
치소 녹복현
설치 [서진]성마현
전출 [서진]건제현→돈황군
출신 표지현: 방육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서진 이전 연혁 펼치기·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전한 주천군(9현 18,137호 76,726구): 녹복현, 표시현, 낙관현, 천의현, 옥문현, 회수현, 지두현, 수미현, 건제현
주천군보평군(輔平郡), 녹복현→현덕현(顯德縣), 표시현→재무현(載武縣), 낙관현→낙정현(樂亭縣), 옥문현→보평정현(輔平亭縣), 회수현→소무현(蕭武縣), 건제현→측로현(測虜縣)
후한 주천군(9성 12,706호): 녹복현, 표지현, 낙관현, 옥문현, 회수현, 사두현, 안미현, 건제현, 연수현
서진 주천군(9현 4,400호): 녹복현, 회수현, 안미현, 성마현, 낙관현, 표지현, 연수현, 옥문현, 사두현 }}}}}}}}}
  • 녹복현(祿福縣): 주천군 치소
    • 소속: [한]량주자사부 주천군→[서진]량주 주천군
    • 위치: 《39.74494, 98.51125》 간쑤성 주취안시(甘肃省酒泉市)
    • 좌성(左城): 《39.62693, 98.46698》?
  • 표지현(表氏縣)
    • 지명: [전한]표시현(表是縣)→[후한]표지현
    • 소속: [한]량주자사부 주천군→[서진]량주 주천군
    • 위치: 《39.39404, 99.61737》 간쑤성 장예시 가오타이현 뤄퉈청향(甘肃省张掖市高台县骆驼城镇) 서북부
  • 낙관현(樂涫縣)
    • 소속: [한]량주자사부 주천군→[서진]량주 주천군
    • 위치: 《39.53090, 98.94210》 간쑤성 주취안시 쑤저우구 샤허칭향(甘肃省酒泉市肃州区下河清乡) 서남부
  • 옥문현(玉門縣)
    • 소속: [한]량주자사부 주천군→[서진]량주 주천군
    • 위치: 《39.99354, 97.43137》 간쑤성 주취안시 위먼시 츠진진(甘肃省酒泉市玉门市赤金镇) 남부
  • 회수현(會水縣)
    • 소속: [한]량주자사부 주천군→[서진]량주 주천군
    • 위치: 《39.86880, 99.37496》 간쑤성 장예시 가오타이현 뤄청진 톈청촌(甘肃省张掖市高台县罗城镇天城村) 서북부
  • 사두현(沙頭縣)
    • 지명: [전한]지두현(池頭縣)→[후한]사두현
    • 소속: [한]량주자사부 주천군→[서진]량주 주천군
    • 위치: 《40.42820, 96.98490》 간쑤성 주취안시 위먼시 리우허진(甘肃省酒泉市玉门市柳河镇) 동북부
  • 안미현(安彌縣)
    • 지명: [전한]수미현(綏彌縣)→[후한]안미현
    • 소속: [한]량주자사부 주천군→[서진]량주 주천군
    • 위치: 《39.71654, 98.83275》 간쑤성 주취안시 쑤저우구 황니자치향(甘肃省酒泉市肃州区黄泥堡自治乡)
  • 건제현(乾齊縣)
    • 소속: [한]량주자사부 주천군→[서진]량주 돈황군
    • 위치: 《40.24260, 97.05292》 간쑤성 주취안시 위먼시 위먼진 다이지아탄촌(甘肃省酒泉市玉门市玉门镇代家滩村)
  • 연수현(延壽縣)
    • 지명: [전한]천의현(天䧇縣)→[후한]연수현
    • 소속: [한]량주자사부 주천군→[서진]량주 주천군
    • 위치: 《39.72165, 97.68858》 간쑤성 주취안시 위먼시 신스취가도(甘肃省酒泉市玉门市新市区街道) 동남부
  • 성마현(騂馬縣): 서진 설치(량주 주천군)
    • 위치: 《39.97756, 97.80505》 간쑤성 주취안시 위먼시 칭취향 샤궈촌(甘肃省酒泉市玉门市清泉乡下沟村)

9. 돈황군(敦煌郡)

전한 때인 기원전 111년에 설치되었다. 『삼국지연의』에서는 하후무가 이곳에서 제갈량에게 잡힌 것으로 나오는데, 하후무는 실제로 관중도독이긴 했으나 참전하지 않았고 촉한에 붙잡힌 일도 없었으며, 촉한군 또한 이곳까지 온 적이 없다.
소속 [한]량주자사부→[194]옹주자사부→[220]량주→[서진]량주
치소 돈황현
전입 [서진]주천군 건제현
설치 [삼국]의화현, [서진]양관현·창포현·이오현·신향현·회계현
출신 연천현: 장창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서진 이전 연혁 펼치기·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전한 돈황군(6현 11,200호 38,335구): 돈황현, 명안현, 효곡현, 연천현, 광지현, 용륵현
돈황군돈덕군(敦德郡), 돈황현→돈덕현(敦德縣), 광지현→광환현(廣桓縣)
후한 돈황군(6성 748호 29,170구[6]): 돈황현, 명안현, 효곡현, 연천현, 광지현, 용륵현
서진 돈황군(12현 6,300호): 창포현, 돈황현, 용륵현, 양관현, 효곡현, 광지현, 의화현, 명안현, 연천현[7], 이오현, 신향현, 건제현 }}}}}}}}}
  • 돈황현(敦煌縣): 돈황군 치소
    막고굴이 이곳에 있다.
    • 소속: [한]량주자사부 돈황군→[서진]량주 돈황군
    • 위치: 《40.13911, 94.62009》 간쑤성 주취안시 둔황시 쑤저우진 반차오촌(甘肃省酒泉市敦煌市肃州镇板桥村)
    • 삼위산(三危山): 《40.04988, 94.89969》
    • 옥문관(玉門關): 《40.35353, 93.86406》
    • 해두성(海頭城): 《40.09433, 89.66795》
      삼국시대 이후 서역장사부(西域長史府)가 위치한 곳이다.
  • 명안현(冥安縣)
    • 소속: [한]량주자사부 돈황군→[서진]량주 돈황군
    • 위치: 《40.24680, 96.20285》 간쑤성 주취안시 과저우현 차오쯔향(甘肃省酒泉市瓜州县桥子乡) 남부
  • 효곡현(效穀縣): 기원전 88년 설치
    • 지명: [-111]어택장(魚澤鄣)→[-88]효곡현
    • 소속: [한]량주자사부 돈황군→[서진]량주 돈황군
    • 위치: 《40.28400, 94.77997》 간쑤성 주취안시 둔황시 주안취커우진 둥사먼촌(甘肃省酒泉市敦煌市转渠口镇东沙门村)
  • 연천현(淵泉縣)
    • 소속: [한]량주자사부 돈황군→[서진]량주 돈황군
    • 위치: 《40.48349, 96.84785》 간쑤성 주취안시 과저우현 싼다오궈진 허시촌(甘肃省酒泉市瓜州县三道沟镇河西村)
    • 명택(冥澤): 《40.58162, 96.96945》
  • 광지현(廣至縣)
    • 소속: [한]량주자사부 돈황군→[서진]량주 돈황군
    • 위치: 《40.30645, 95.90772》 간쑤성 주취안시 과저우현 쒀양청진 창러촌(甘肃省酒泉市瓜州县锁阳城镇常乐村)
  • 용륵현(龍勒縣)
    • 소속: [한]량주자사부 돈황군→[서진]량주 돈황군
    • 위치: 《39.92052, 94.122819》 간쑤성 주취안시 둔황시 양관진(甘肃省酒泉市敦煌市阳关镇) 동북부
  • 의화현(宜禾縣): 삼국시대 중 설치
    • 지명: 곤륜장(昆侖鄣)→[삼국]의화현
    • 소속: [삼국]량주 돈황군→[서진]량주 돈황군
      곤륜장은 전한 때는 의화도위(宜禾都尉)의 관할이었고, 후한 때는 광지현의 관할이었다.
    • 위치: 《40.39470, 95.59930》 간쑤성 주취안시 과저우현 광즈자치향(甘肃省酒泉市瓜州县广至自治乡)
  • 양관현(陽關縣): 서진 설치(량주 돈황군)
    원래는 한나라가 설치한 변새(邊塞) 서남단에 설치된 양관(陽關)인데, 진나라가 현을 설치해 운영했다.
  • 창포현(昌蒲縣): 서진 설치(량주 돈황군)
  • 이오현(伊吾縣): 서진 설치(량주 돈황군)
    후한 때 서역에서 운영되던 이오 둔전과는 다른 곳이다. 변새 바깥에 이오 둔전으로 가는 길에 설치했기에 이런 이름이 붙은 듯하다.
    • 위치: 《41.03497, 95.68067》 간쑤성 주취안시 과저우현 훙리우위안진(甘肃省酒泉市瓜州县柳园镇) 동남부
    • 이오둔전(伊吾屯田)·노성(盧城): 《42.81906, 93.51872》
      후한 때 서역장사부(西域長史府)에 소속된 둔전으로, 의화도위(宜禾都尉)가 주둔했다.
  • 신향현(新鄕縣): 서진 설치(량주 돈황군)
    • 위치: 《40.46492, 96.50459》 간쑤성 주취안시 과저우현 솽타진(甘肃省酒泉市瓜州县双塔镇)
  • 회계현(會稽縣): 서진 설치(량주 돈황군)
    • 위치: 《40.51524, 96.02817》 간쑤성 주취안시 과저우현 량후향 진우촌(甘肃省酒泉市瓜州县梁湖乡金梧村)

10. 같이보기

파일:실제 지도 후한 13주.png

[1] 이때 정서장군으로 임명된 마등은 관중 지방의 우부풍 미현에 근거지를 두게 된다.[2] 금성군·서평군을 제외하면 213년 폐지 당시의 옹주에 해당된다.[3] 『속한서』 군국지에 현 목록에 함께 나열되어 있어 무위군의 현급 행정기관으로 보는 경우가 있으나, 천인관이란 속국도위의 속관인 관직의 이름이다. 무위군에는 속국도위가 설치되지 않고, 그보다 격이 낮은 천인관만 태수 직할로 설치되었던 것으로 보인다.[4] 『한서』 지리지에는 왕망이 임강현 이름을 염강현(鹽羌縣)으로 고쳤다고 기록되었으나, 『수경주』에는 감강현으로 쓰였다. 왕망은 다른 현의 '臨'자를 보통 '監'으로 고쳤기에, 염강현이 오기라 판단된다.[5] 장액속국도위는 전한 때 중앙의 전속국(典屬國) 업무를 장액군에서 대행하기 위해 설치된 관직으로, 전한 때에는 장액군·안정군·오원군·상군·서하군·북지군·금성군·천수군에서 속국도위가 운영되고 있었다. 후한의 안제는 변경 지역에 이민족이 대부분을 차지하는 변경 지역에는 최소한의 한인(漢人)만 몇 개의 현(縣)에 남겨두고, 속국도위를 파견해 이민족들을 징집하여 치안 업무를 담당하게 하고 관할구역 내에 있는 현의 치민 권한까지 부여했는데, 이 경우에는 군에서 분할된 독립된 행정구역으로 볼 수 있지만 장액속국도위는 해당하지 않는다. 안제 때 건위·광한·요동·촉군·장액거연·주천속국도위가 설치되었는데, 이들 중 주천속국도위는 140년 이전에 폐지된 것으로 보인다. 아마도 『속한서』 저자는 주천속국도위 폐지 사실을 파악하지 못하고 안제 때 속국도위 6곳이 설치된 점만 보고, 속국도위가 2명이나 운영되고 있던 장액군 속국도위들을 모두 독립된 행정구역 단위로 오인한 것으로 보인다. 후관·좌기·천인·사마관·천인관 등은 지명이 아니라 속국도위 속관인 관직명이다.[6] 인구(口) 수치에 비해 세대(戶)가 너무 적다. 7,048호의 오기라 판단된다.[7] 『진서』 지리지에는 심천현(深泉縣)으로 표기되어 있는데, 당나라 때 이연의 이름을 피휘한 것이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7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7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