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4-25 12:47:50

서해선 경부고속선 연결선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고속철도
준고속철도
간선철도
지선철도
전용철도
운행 예정
}}}}}}}}} ||
서해선 경부고속선 연결선
西海線 京釜高速線 連結線 |
파일:서해선 경부고속선 연결선2.jpg
<colbgcolor=#003da5><colcolor=#fff> 소유자 대한민국 정부
국가철도공단에 소유권 행사 위임
운영기관 한국철도공사
노선번호 1????
노선명 서해선 경부고속선 연결선
종류 지선철도, 고속철도, 일반철도
영업거리 7.35㎞
궤간 1,435㎜
역수 -
기점 경부고속선 금천구청 기점 ?km 지점
종점 서해선 대곡 기점 ?km 지점
급전방식 교류 25,000V 60㎐
최고속도 미정
신호장비 TVM430, ERTMS Lv.1
선로 수 2
개업일 미정
운영노선 KTX

1. 개요2. 상세3. 역사4. 기타

1. 개요

경기도 화성시 향남읍과 경기도 평택시 청북읍 일원 구간 사이의 서해선경부고속선을 직결하는 7.35km의 복선전철

2. 상세

파일:서해선 경부고속선 연결선.jpg
서해선 경부고속선 연결선

용산역에서 출발한 KTX 열차(EMU-320)가 광명역을 정차한 뒤 경부고속선을 주행하다가 서해선-경부고속선 연결선의 시점(화성시 향남읍 백토리 8-3 인근)을 진입한 뒤 연결선 종점(평택시 청북읍 한산리 365-3 인근)에서 서해선에 진입해서 안중역, 홍성역, 대천역, 군산역을 정차한 뒤 익산역에 종착할 예정이다.

본 문서의 선로를 경유하는 KTX 운행계통은 2032년 편도 기준 일 11회 운행되며 정차역은 총 7개, 운행거리는 214.77km, 표정속도는 138.2km/h이다.

해당 운행계통이 개통되면, 경부고속선을 운행하는 복합열차 미반영 시 선로용량 검토결과, 인천발 KTX가 합류하는 경부고속선 어천분기점부터 서해선 연결선 분기점까지의 여유 용량이 3회로 분석되었다. 복합열차 반영 시 경부고속선의 운행횟수가 총 30회 감축되므로 인천발 KTX가 합류하는 경부고속선 어천분기점부터 서해연결선 분기 지점까지의 선로용량은 33회 여유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해당 연결선이 건설됨에 따라 용산역에서 안중역까지의 소요시간은 27.5분, 홍성역까지는 43.75분, 대천역까지는 57.5분, 군산역까지는 79.75분, 익산역까지는 93.25분이 될 예정이다. 2025년도 예비타당성조사 보고서『서해선~경부고속선 연결선 사업』p.169 , KDI 공공투자관리센터

3. 역사

  • 2010. 12: 고속철도 수도권 수혜지역 확대 방안 연구(국가철도공단)- 서해선 직결 검토(L=7.95㎞, B/C:1.13)
  • 2012. 04: 철도건설사업 사전조사 (국가철도공단)- 경부고속선과 서해선 연결선 건설사업 검토 (L=7.13km, B/C : 0.9)
  • 2021. 07: 제4차 국가철도망 구축계획 포함- 경부고속선 광명~평택 2복선화 : 5조 6,942억 원(L=6.3㎞)- 서해선~경부고속선 연결선 : 5,491억 원(L=7.1㎞)
  • 2021. 10: 서해 KTX 고속철도망 구축 사전타당성조사 (충청남도)- 서해선 직결 검토 (L=6.73km, 용산~익산 운행방안 B/C: 1.74)
  • 2022. 03: 사전타당성조사 착수
  • 2022. 04: 현장답사 및 업무회의(국토교통부, 국가철도공단, 충청남도)
  • 2022. 05: 착수보고회 시행(국토교통부, 국가철도공단, 경기도, 충청남도)
  • 2023. 03: 사전타당성조사 완료 (L=7.35km, 용산~익산 운행방안 B/C: 1.06)
  • 2023. 08: 예비타당성조사 대상사업 선정
  • 2023. 09: 예비타당성조사 착수(KDI)
  • 2025. 01. 23: 예비타당성 통과(B/C 1.07) 서해선 KTX 연결 사업 기재부 예비 타당성 조사 통과

4. 기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