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 종목 세계 선수권 대회 목록 | ||
<colbgcolor=#006494><colcolor=#FFF> 하계 올림픽 | <colbgcolor=#448CCB><colcolor=#ffffff> 개인 | 가라데 · 근대 5종 (유스) · 기계체조 · 레슬링 · 리듬체조 · 배드민턴 · 복싱 · 브레이킹 · 사격 (샷건) · 사이클 · 서핑 · 수영 (주니어) · 스포츠 클라이밍 · 승마 · 양궁· 역도 · 요트 · 유도 · 육상 (실내) · 조정 · 철인3종 · 카누 · 탁구 · 태권도 (품새) · 펜싱 |
단체 | 라크로스 · 배구 · 비치발리볼 · 소프트볼 · 핸드볼 (남·여) | |
동계 올림픽 | 개인 | 노르딕 스키 · 루지 · 바이애슬론 · 봅슬레이 & 스켈레톤 · 쇼트트랙 · 스노보드 · 스피드 스케이팅 · 알파인 스키 · 프리스타일 스키 · 피겨 스케이팅 |
단체 | 아이스하키 (남·여) · 컬링 (남·여·믹스더블) | |
* 대회명에 세계 선수권 대회(World Championships)가 포함된 경우 기재. |
세계 리듬체조 선수권 대회 World Rhythmic Gymnastics Championships | |
창설 연도 | <colbgcolor=#fff,#111> 1963년 |
개최 주기 | 매년 |
개최 횟수 | 40회 |
종목 | 9종목 |
최근 대회 | 2023 발렌시아 |
최근 우승 | |
최고 성적 | |
주관 | 국제체조연맹 FIG |
[clearfix]
1. 개요
국제체조연맹(FIG) 주관으로 열리는 리듬체조 국제대회이다. 첫 대회는 1963년 헝가리 부다페스트에서 열렸다. 대회 세부종목 수는 9개로, 개인 종목이 종합, 후프, 볼, 리본, 곤봉으로 5개, 그룹 종목이 그룹 종합, 5인 후프, 3인 리본+2인 볼로 3개, 단체전이 1개이다.올림픽이 열리는 해를 제외하고 매년 열린다.
2. 역대 대회
<rowcolor=#ffffff> 회차 | 연도 | 개최지 | 우승국 | 비고 |
1 | 1963 | [개인] | ||
2 | 1965 | [개인] | ||
3 | 1967 | |||
4 | 1969 | |||
5 | 1971 | |||
6 | 1973 | |||
7 | 1975 | |||
8 | 1977 | |||
9 | 1979 | |||
10 | 1981 | |||
11 | 1983 | |||
12 | 1985 | |||
13 | 1987 | |||
14 | 1989 | [3] | ||
15 | 1991 | |||
16 | 1992 | |||
17 | 1993 | [개인] | ||
18 | 1994 | |||
19 | 1995 | |||
20 | 1996 | |||
21 | 1997 | [개인] | ||
22 | 1998 | [단체] | ||
23 | 1999 | |||
24 | 2001 | [개인] | ||
25 | 2002 | [단체] | ||
26 | 2003 | |||
27 | 2005 | |||
28 | 2007 | |||
29 | 2009 | |||
30 | 2010 | |||
31 | 2011 | |||
32 | 2013 | |||
33 | 2014 | |||
34 | 2015 | |||
35 | 2017 | |||
36 | 2018 | |||
37 | 2019 | |||
38 | 2021 | [9] | ||
39 | 2022 | [러] | ||
40 | 2023 | [러] |
3. 역대 메달
역대 메달 순위 2023년 발렌시아 대회 종료기준 | |||||
순위 | 국가 | 금 | 은 | 동 | 총합 |
1 | 113 | 57 | 35 | 205 | |
2 | 70 | 61 | 54 | 185 | |
3 | 50 | 43 | 27 | 120 | |
4 | 25 | 28 | 40 | 93 | |
5 | 16 | 24 | 14 | 54 | |
6 | 10 | 28 | 41 | 79 | |
7 | 7 | 12 | 22 | 41 | |
8 | 7 | 4 | 2 | 13 | |
9 | 6 | 4 | 1 | 11 | |
10 | 5 | 5 | 0 | 10 | |
11 | 4 | 5 | 8 | 17 | |
12 | 3 | 1 | 2 | 6 | |
13 | 2 | 9 | 8 | 19 | |
14 | 2 | 5 | 6 | 13 | |
15 | 1 | 3 | 2 | 6 | |
16 | 1 | 2 | 4 | 7 | |
17 | 0 | 1 | 8 | 9 | |
18 | 0 | 1 | 3 | 4 | |
19 | 0 | 0 | 2 | 2 | |
0 | 0 | 2 | 2 | ||
0 | 0 | 2 | 2 | ||
22 | 0 | 0 | 1 | 1 | |
0 | 0 | 1 | 1 |
4. 대한민국 선수단 메달
<rowcolor=#ffffff> 연도 | 개최지 | 종목 | 선수 | 성적 |
2014 | 후프 | 손연재 | 동메달 |
[개인] 개인 경기만 진행[개인] [3] 최초 9개 세부 종목 경기 진행.[개인] [개인] [단체] 단체 경기만 진행[개인] [단체] [9] 러시아 국가대표팀 도핑 스캔들로 러시아 국가 대표 출전 자격 상실. 러시아 선수들의 메달은 러시아체조연맹 메달로 계산.[러] 20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으로 러시아와 벨라루스 선수들 출전 금지[러] [12] 2021년 대회에서 러시아 선수들이 딴 메달은 러시아체조연맹의 메달로 계산됨.[13] 2021년 대회에 출전한 러시아 선수들의 메달 기록. 러시아 국가대표팀 도핑 스캔들 때문에 국가대표로 출전할 자격을 박탈당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