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12-31 09:28:56

스타호핑법

'[[천문학|{{{#fff 천문학
Astronomy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word-break:keep-all"
<colbgcolor=MidnightBlue><colcolor=#fff> 배경
기본 정보 우주 · 천체
천문사 고천문학 · 천동설 · 지동설 · 첨성대 · 혼천의 · 간의 · 아스트롤라베 · 올베르스의 역설 · 대논쟁 · 정적 우주론 · 정상우주론
천문학 연구 천문학과 · 천문학자 · 우주덕 · 천문법 · 국제천문연맹 · 한국천문학회 · 한국우주과학회 · 한국아마추어천문학회(천문지도사) · 우주항공청(한국천문연구원 · 한국항공우주연구원) · 한국과학우주청소년단 · 국제천문올림피아드 · 국제 천문 및 천체물리 올림피아드 · 아시아-태평양 천문올림피아드 · 한국천문올림피아드 · 전국학생천체관측대회 · 전국청소년천체관측대회
천체물리학
천체역학 궤도 · 근일점 · 원일점 · 자전(자전 주기) · 공전(공전 주기) · 중력(무중력) · 질량중심 · 이체 문제(케플러의 법칙 · 활력방정식 · 탈출 속도) · 삼체문제(라그랑주점 · 리사주 궤도 · 헤일로 궤도 · 힐 권) · 중력섭동(궤도 공명 · 세차운동 · 장동 · 칭동) · 기조력(조석 · 평형조석론 · 균형조석론 · 동주기 자전 · 로슈 한계) · 비리얼 정리
궤도역학 치올코프스키 로켓 방정식 · 정지궤도 · 호만전이궤도 · 스윙바이 · 오베르트 효과
전자기파 흑체복사 · 제동복사 · 싱크로트론복사 · 스펙트럼 · 산란 · 도플러 효과(적색편이 · 상대론적 도플러 효과) · 선폭 증가 · 제이만 효과 · 편광 · 수소선 · H-α 선
기타 개념 핵합성(핵융합) · 중력파 · 중력 렌즈 효과 · 레인-엠든 방정식 · 엠든-찬드라세카르 방정식 · 톨만-오펜하이머-볼코프 방정식 · 타임 패러독스
위치천문학
구면천문학 천구 좌표계 · 구면삼각형 · 천구적도 · 자오선 · 남중 고도 · 일출 · 일몰 · 북극성 · 남극성 · 별의 가시적 분류 · 24절기(춘분 · 하지 · 추분 · 동지) · 극야 · 백야 · 박명
시간 체계 태양일 · 항성일 · 회합 주기 · 태양 중심 율리우스일 · 시간대 · 시차 · 균시차 · 역법
측성학 연주운동 · 거리의 사다리(연주시차 · 천문단위 · 광년 · 파섹)
천체관측
관측기기 및 시설 천문대 · 플라네타리움 · 망원경(쌍안경 · 전파 망원경 · 간섭계 · 공중 망원경 · 우주 망원경) · CCD(냉각 CCD) · 육분의 · 탐사선
관측 대상 별자리(황도 12궁 · 3원 28수 · 계절별 별자리) · 성도 · 알파성 · 딥 스카이 · 천체 목록(메시에 천체 목록 · 콜드웰 천체 목록 · 허셜 400 천체 목록 · NGC 목록 · 콜린더 목록 · 샤플리스 목록 · Arp 목록 · 헤나이즈 목록 · LGG 목록 · 글리제의 근접 항성 목록 · 밝은 별 목록 · 헨리 드레이퍼 목록 · 웨스터하우트 목록) · 스타호핑법 · 엄폐
틀:태양계천문학·행성과학 · 틀:항성 및 은하천문학·우주론 · 천문학 관련 정보 }}}}}}}}}

1. 개요2. 방법3. 한계 사항

파일:북극성-찾기.jpg
카시오페이아자리북두칠성에서 시작해 스타호핑법으로 북극성을 찾는 방법[1][2]

1. 개요

별자리 이나 소프트웨어가 없던 시절 많은 천문학자나 우주덕들이 성도를 보며 천체를 찾아가던 유구한 역사를 지닌 방법이다. 천체관측의 가장 기본중의 기본이라고 할 수 있다. 지상으로 치면 지도를 보며 목적지까지 찾아가는 것과 유사하다고 볼 수 있다. 지도에서 xx번 거리에서 우회전 이런 식이라면 하늘에서의 xx번 거리는 인접한 천체라고 할 수 있다. 아직도 나이 지긋한 우주덕 어르신들은 이 방법을 선호하며 경험이 많으면 많을수록 능숙한 것은 당연지사. 사실 별자리 앱이 아니라면 소프트웨어를 사용하더라도 기초적인 스타호핑법은 익혀야 한다. 성도상에서의 동서남북을 구분 못하거나 오리온 대성운이 오리온자리 삼태성의 어느방향에 위치했는지 정도는 알아야 소프트웨어를 활용할 수 있다.

2. 방법

어렵게 설명했지만 결국 스타호핑법이란 것은 원하는 천체를 밤하늘에서 찾는데 있다. 예를 들자면 오리온 성운(M42)를 찾으려고 한다면 먼저 오리온자리를 찾고 M42와 가정 인접한 삼태성의 알니타크를 찾은 뒤에 리겔 방향으로 시선을 이동하다가 중간지점 쯤에서 시선을 다른 삼태성들의 반대방향으로 내린다. 말이 어렵지만 실제로 하면 그냥 알니타크에서 리겔 방향으로 시선을 돌리면서 헤집어보면 나오는 수준이다. 이렇듯 찾고자 하는 천체 주변의 다른 천체들을 징검다리 뛰듯이 연결해 해당 천체에 가장 가깝게 간 뒤 파인더로 그 일대를 수색하며 찾는 방식이 주라고 할 수 있다. 즉 어렵게 말해 스타호핑이지 주변 천체를 이용하여 관측대상을 찾는 옛날부터 내려져오던 유구한 방식을 오늘날 이렇게 풀이한 것이다. 사실 이 외에도 찾기 쉬운 방법은 무수히 많고 또 스스로 찾아가는 것이 스타호핑이기도 한다. 어렵게 생각하지 말자. 쉽게 생각 하는게 스타호핑의 묘미이기도 하고. 자동으로 찾아가는 것보다 처음에는 시간이 수십배는 걸리지만 방법을 터득하기만 한다면 10초대 내에서 대상을 찾아내기도 한다.

물론 오늘날에는 파인더라는 훌륭한 보조망원경이 있어 낮은 배율로 더욱 더 원활하게 천체를 찾을 수 있으며 파인더를 이용하여 스타호핑 루트를 찾아가거나 렌즈의 위치를 대상 근처에 맞춰서 파인더상에 보이는 대상과 정렬 하는 방법이 스타호핑 중에 가장 많이 이용 되는 방법이다. 파인더 망원경은 사실상 스타호핑법의 꽃이라고도 볼 수 있다.

3. 한계 사항

광해가 너무 심해서 기준성으로 삼을 만한 별들이 보이지 않으면 쓰기가 아주 곤란해진다.[3] 그럴 경우 적경/적위환을 정렬한 뒤 이걸로 찾아가는 방법이나 GOTO장비, "대충 여기쯤 있겠지" 하고 그 주변을 주 망원경으로 샅샅히 수색하는 스타스위핑 법을 써야 한다.

레드 돗 파인더의 경우 적색광원을 잘 반사시키기 위한 적색 코팅이 되어 있는데 이는 별을 잘 안 보이게 한다. 코팅이 안 된 등배 파인더라도 눈으로 볼 수 있는 것보다 어두운 별을 보여줄 순 없기에 적합하지 않다. 30mm이상의 광학 파인더가 권장된다.

[1] 카시오페이아자리의 알파성과 베타성을 이은 연장선과 델타성과 엡실론성을 이은 연장선의 교점과 감마성 사이를 5배 연장하면 북극성을 찾을 수 있다. 북두칠성에서는 두베메라크를 이은 길이를 5배 연장하면 북극성을 찾을 수 있다.[2] 공기 좋은 곳에서 육안으로 할 수 있을 정도로 가장 널리 알려진 스타호핑 루트이며, 초등학교 5학년 과학 교과서에서도 해당 과정을 소개하고 있다.[3] 마이너하지만 광해가 심한 도심에서도 그나마 볼 수 있는 시리우스베가, 그것도 힘들면 금성이나 목성, (...)에서 시작해 꾸역꾸역 찾아가는 방법이 있다. 행성이나 달을 활용할 경우에는 스텔라리움과 같은 실시간 천구를 보여주는 성도가 별도로 필요하기 때문에 재미가 떨어진다.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