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1-23 23:24:04

시외버스 마산-군북


파일:나무위키+유도.pn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함안읍까지 운행하는 급행버스 노선에 대한 내용은 함안 버스 마산-함안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군북까지 완행으로 운행하는 농어촌버스 노선에 대한 내용은 함안 버스 114-1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 개요2. 노선 정보3. 역사4. 특징5. 연계 철도역6. 둘러보기

1. 개요

경상남도 창원시 마산회원구 합성동 마산시외버스터미널과 경상남도 함안군 군북면 중암리 빅세일마트를 잇는 노선.

2. 노선 정보

시외버스 마산-군북
기점 경상남도 창원시 마산회원구 합성동(마산시외버스터미널) 종점 경상남도 함안군 군북면 중암리(빅세일마트)[1]
군북행 첫차 15:00 마산행 첫차
막차 막차
운수사명 신흥여객, 동일익스프레스[2] 배차간격 1일 1회
노선 마산시외버스터미널 - 14번 국도 - 동마산IC - 남해고속도로제1지선 - 산인TG - 남해고속도로제1지선 - 산인JC - 남해고속도로 - 함안IC - 67번 지방도 - 30번 지방도 - 함안버스터미널 - 가야로 - 79번 국도 - 박세일마트 - 79번 국도 - 군북버스터미널

3. 역사

  • 오래 전에 마산-함안-군북간 완행시외버스로 개설되었다.
  • 2016년 9월에 군북버스터미널이 폐쇄되어 군북터미널까지 가지 않고 대신 빅세일마트 앞에 내려주는 것으로 바뀌었다.[3]
  • 2020년에 코로나19로 인해 대거 감축되었다.
  • 2022년 6월 21일에 마산-중리-산인-함안-말산-군북-월촌-정암-의령으로 운행하는 완행노선이 폐지되었다.
  • 2022년 12월 부터 첫차를 의령까지 연장하면서 마산-의령간 완행이 부활했다. 단, 과거와 같이 마산-함안을 30번 지방도로 운행하지는 않는다.[4]

4. 특징

  • 마산에서 군북까지 한번에 바로 이어줘서 승객이 아예없는 건은 아니나, 배차도 훨씬 적으며 환승할인도 안되고 요금도 농어촌버스에 비해 비싸 잘 이용하지 않는다.
  • 마산에서 군북까지 평균 50분 정도 소요된다.
  • 군북에서는 매표소가 없으므로 현금으로 승차하거나 교통카드를 찍어서 승차하면 되며,[5], 가야읍내에서도 비공식적으로 정류장에 사람이 있으면 세워준다. 마산까지 이용시에는 함안터미널 요금으로 내면 되며, 함안읍내에서 군북방면으로 이용시 시외버스 기본요금인 1600원을 내면 된다. 이 때 현금이나 교통카드로 승차하면 된다.
  • 마산에서 탑승시 좌석제로 운영한다.

5. 연계 철도역

  • 일반 철도역: 마산역(KTX, SRT, ITX-새마을, 남도해양관광열차, 무궁화호)

6. 둘러보기

파일:창원시 CI.svg 문서가 존재하는 창원시 시외버스 및 고속버스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min-width: 10%; min-height: 2em;"
{{{#!folding [ 창원종합 ]
{{{#!wiki style="margin: -5px 0;"
<tablewidth=100%><tablebgcolor=#fff,#1c1d1f><colbgcolor=#f35e19><colcolor=#fff> 고속버스
전환시외
↔ 서울경부 ↔ 동서울 ↔ 성남
↔ 용인 ↔ 광주 ↔ 나주
↔ 세종
시외버스
부울경 ↔ 부산(서부) ↔ 해운대 ↔ 부산(동부)
↔ 울산 ↔ 거제(고현) ↔ 진주
↔ 곤양, 진교, 남해 ↔ 양산,언양 ↔삼천포
↔ 의령,합천
수도권 ↔ 인천,부천 ↔ 안산,수원,오산 ↔ 인천공항
대경 ↔ 대구서부 ↔ 경주,포항 ↔ 안동
↔ 구미
충청 ↔ 대전복합 ↔ 청주 ↔ 충주
강원 ↔ 원주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min-width: 10%; min-height: 2em;"
{{{#!folding [ 남산동 ]
{{{#!wiki style="margin: -5px 0 -10px;"
<colbgcolor=#f35e19><colcolor=#fff> 영남 ↔ 부산(서부) ↔ 동래, 해운대 ↔ 해운대(직통)
↔ 부산(동부) ↔ 울산 ↔ 거제(고현)
↔ 양산, 언양 ↔ 경주, 포항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min-width: 10%; min-height: 2em; color: #f35e19"
{{{#!folding [ 마산시외 ]
{{{#!wiki style="margin: -5px 0;"
<colbgcolor=#f35e19><colcolor=#fff> 수도권 ↔ 인천,부천 ↔ 안산,수원,오산 ↔ 인천공항
부울경 ↔ 부산(서부) ↔ 동래,부산(노포) ↔ 울산
↔ 양산 ↔ 진주 ↔ 군북
↔ 의령,합천 ↔ 곤양, 진교, 남해 ↔ 밀양
↔삼천포
대경 ↔ 대구서부 ↔ 포항 ↔ 안동
↔ 구미
충청 ↔ 대전복합 ↔ 청주 ↔ 충주
강원 ↔ 동해,강릉 ↔ 원주
호남 ↔ 전주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min-width: 10%; min-height: 2em; color: #f35e19"
{{{#!folding [ 마산고속 ]
{{{#!wiki style="margin: -5px 0;"
<colbgcolor=#f35e19><colcolor=#fff> 고속버스 ↔서울경부 ↔동서울
(마산발)
(진해발)
↔성남
(진해발)
(창원발)
↔용인 ↔세종
전환시외 ↔동대구 ↔나주 ↔광주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min-width: 10%; min-height: 2em; color: #f35e19"
{{{#!folding [ 내서고속 ]
{{{#!wiki style="margin: -5px 0;"
<colbgcolor=#f35e19><colcolor=#fff> 고속버스 ↔서울경부 ↔동서울
전환시외 동대구 ↔ 진해 ↔나주 ↔광주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min-width: 10%; min-height: 2em; color: #f35e19"
{{{#!folding [ 마산남부 ]
{{{#!wiki style="margin: -5px 0;"
<colbgcolor=#f35e19><colcolor=#fff> 부울경 ↔ 부산 ↔ 부산서부 ↔ 해운대
↔ 고성,통영 ↔ 진주(완행) ↔ 장승포(직행)
수도권 ↔ 서울남부
대경 ↔ 대구서부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min-width: 10%; min-height: 2em; color: #f35e19"
{{{#!folding [ 진해 ]
{{{#!wiki style="margin: -5px 0 -10px;"
<colbgcolor=#f35e19><colcolor=#fff> 수도권 ↔ 동서울 ↔ 성남 ↔ 서울남부
부울경 ↔ 부산서부(완행) ↔ 부산(동부) ↔ 울산
↔ 마산고속, 내서
대경 ↔ 서대구, 동대구
호남 ↔ 광주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min-width: 10%; min-height: 2em; color: #f35e19"
{{{#!folding [ 용원 ]
{{{#!wiki style="margin: -5px 0 -10px;"
<colbgcolor=#f35e19><colcolor=#fff> 수도권 ↔ 서울남부
부산/경남 ↔ 부산서부 ↔ 김해 }}}}}}}}}


[1] 2016년 9월 동일익스프레스에 임대되어 폐쇄되었다.[2] 2022. 06. 28 부로 잠정철수.[3] 이는 의령행, 진주행, 서울남부행에도 공동으로 적용되었다.[4] 마산에서 의령까지 국도로만 가고 싶다면 동일익스프레스의 함안 버스 마산-함안을 이용한 후 함안에서 30분 정도 기다리다가 이 노선을 이용하면 된다.[5] 터미널 시절에는 표를 끊어서 탑승해야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