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서가 존재하는 창원시 시외버스 및 고속버스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min-width: 10%; min-height: 2em;" {{{#!folding [ 창원종합 ] {{{#!wiki style="margin: -5px 0;" | <tablewidth=100%><tablebgcolor=#fff,#1c1d1f><colbgcolor=#f35e19><colcolor=#fff> 고속버스 전환시외 | ↔ 서울경부 | ↔ 동서울 | ↔ 성남 | ||||
↔ 용인 | ↔ 광주 | ↔ 나주 | ||||||
| ||||||||
시외버스 | ||||||||
부울경 | ↔ 부산(서부) | ↔ 해운대 | ↔ 부산(동부) | |||||
↔ 울산 | ↔ 거제(고현) | ↔ 진주 | ||||||
↔ 곤양, 진교, 남해 | ↔ 양산,언양 | ↔삼천포 | ||||||
↔ 의령,합천 | ||||||||
수도권 | ↔ 인천,부천 | ↔ 안산,수원,오산 | ↔ 인천공항 | |||||
대경 | ↔ 대구서부 | ↔ 경주,포항 | ↔ 안동 | |||||
↔ 구미 | ||||||||
충청 | ↔ 대전복합 | ↔ 청주 | ↔ 충주 | |||||
강원 | ↔ 원주 |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min-width: 10%; min-height: 2em;" {{{#!folding [ 남산동 ] {{{#!wiki style="margin: -5px 0 -10px;" | <colbgcolor=#f35e19><colcolor=#fff> 영남 | ↔ 부산(서부) | ↔ 동래, 해운대 | ↔ 해운대(직통) | ||
↔ 부산(동부) | ↔ 울산 | ↔ 거제(고현) | ||||||
↔ 양산, 언양 | ↔ 경주, 포항 |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min-width: 10%; min-height: 2em; color: #f35e19" {{{#!folding [ 마산시외 ] {{{#!wiki style="margin: -5px 0;" | <colbgcolor=#f35e19><colcolor=#fff> 수도권 | ↔ 인천,부천 | ↔ 안산,수원,오산 | ↔ 인천공항 | ||
부울경 | ↔ 부산(서부) | ↔ 동래,부산(노포) | ↔ 울산 | |||||
↔ 양산 | ↔ 진주 | ↔ 군북 | ||||||
↔ 의령,합천 | ↔ 곤양, 진교, 남해 | ↔ 밀양 | ||||||
↔삼천포 | ||||||||
대경 | ↔ 대구서부 | ↔ 포항 | ↔ 안동 | |||||
↔ 구미 | ||||||||
충청 | ↔ 대전복합 | ↔ 청주 | ↔ 충주 | |||||
강원 | ↔ 동해,강릉 | ↔ 원주 | ||||||
호남 | ↔ 전주 |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min-width: 10%; min-height: 2em; color: #f35e19" {{{#!folding [ 마산고속 ] {{{#!wiki style="margin: -5px 0;" | <colbgcolor=#f35e19><colcolor=#fff> 고속버스 | ↔서울경부 | ↔동서울 (마산발)(진해발) | ↔성남 (진해발)(창원발) | ||
↔용인 | | |||||||
전환시외 | ↔동대구 | ↔나주 | ↔광주 |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min-width: 10%; min-height: 2em; color: #f35e19" {{{#!folding [ 내서고속 ] {{{#!wiki style="margin: -5px 0;" | <colbgcolor=#f35e19><colcolor=#fff> 고속버스 | ↔서울경부 | ↔동서울 | |
전환시외 | 동대구 ↔ 진해 | ↔나주 | ↔광주 |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min-width: 10%; min-height: 2em; color: #f35e19" {{{#!folding [ 마산남부 ] {{{#!wiki style="margin: -5px 0;" | <colbgcolor=#f35e19><colcolor=#fff> 부울경 | ↔ 부산 | ↔ 부산서부 | ↔ 해운대 |
↔ 고성,통영 | ↔ 진주(완행) | ↔ 장승포(직행) | ||||||
수도권 | ↔ 서울남부 | |||||||
대경 | ↔ 대구서부 |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min-width: 10%; min-height: 2em; color: #f35e19" {{{#!folding [ 진해 ] {{{#!wiki style="margin: -5px 0 -10px;" | <colbgcolor=#f35e19><colcolor=#fff> 수도권 | ↔ 동서울 | ↔ 성남 | ↔ 서울남부 | ||
부울경 | ↔ 부산서부(완행) | ↔ 부산(동부) | ↔ 울산 | |||||
↔ 마산고속, 내서 | ||||||||
대경 | ↔ 서대구, 동대구 | |||||||
호남 | ↔ 광주 |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min-width: 10%; min-height: 2em; color: #f35e19" {{{#!folding [ 용원 ] {{{#!wiki style="margin: -5px 0 -10px;" | <colbgcolor=#f35e19><colcolor=#fff> 수도권 | ↔ 서울남부 | ||||
부산/경남 | ↔ 부산서부 | ↔ 김해 | }}}}}}}}} |
문서가 존재하는 충주시 고속버스, 시외버스 노선 {{{#!wiki style="margin: 0 -10px -5px;"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min-width: 10%; min-height: 2em;" {{{#!folding [ 충주 ] {{{#!wiki style="margin: -5px 0;" | <tablewidth=100%><tablebgcolor=#ffffff,#191919><colbgcolor=#1d2088><colcolor=#fff> 고속버스 | ↔서울호남 | ↔동서울 | ↔고양 | |
수도권 | ↔고천,안양,부천 | ↔성남 | ↔수원(직통,직행) | ↔안산 | |
↔용인 | ↔인천공항 | ↔인천(직통,직행) | |||
충북 | ↔청주(직행,완행) | ↔진천(완행) | ↔연풍 | ||
대전/충남 | ↔대전복합 | ↔유성 | ↔천안 | ||
대구/경북 | ↔구미 (울산행)(포항행) | ↔동대구 | ↔대구북부 | ↔경주,포항 | |
부울경 | ↔마산,창원 | ↔부산 | ↔울산 | ↔고현 | |
강원 | ↔강릉 | ↔원주(완행) | |||
호남 | ↔전주 | ↔광주 | |||
운행중단 | | ||||
폐지 |
- [ 목행 ]
- ||<tablewidth=100%><tablebgcolor=#fff,#1f2023><colbgcolor=#1d2088><colcolor=#fff><width=5000px> ||
- [ 주덕 ]
- ||<tablewidth=100%><tablebgcolor=#fff,#1f2023><colbgcolor=#1d2088><colcolor=#fff><width=5000px> ||
- [ 교통대 ]
- ||<tablewidth=100%><tablebgcolor=#fff,#1f2023><colbgcolor=#1d2088><colcolor=#fff><width=5000px> 고속버스 ||<width=45%> ↔서울호남 ||<width=45%> ↔동서울 ||
수도권 ↔안산 ↔인천(직통,직행) 충북 ↔청주(직행,완행) ↔제천
1. 개요
대성티앤이에서 단독으로 운행하는 충청북도 충주시에서 경상남도 창원시까지 이어주는 노선이다.2. 노선정보
시외버스 충주-창원 | |||||
기점 | 충청북도 충주시 칠금동 (충주공용버스터미널) | 종점 | 경상남도 창원시 의창구 팔용동 (창원종합버스터미널) | ||
창원행 | 첫차 | 08:30 | 충주행 | 첫차 | 07:50 |
막차 | 18:15 | 막차 | 17:50 | ||
배차간격 | 일 3회 | ||||
운수사명 | 대성티앤이 | 인가대수 | 2대 | ||
노선 | 충주공용버스터미널 - 괴산IC - 중부내륙고속도로 - 내서JC - 남해고속도로제1지선 - 서마산IC - 마산시외버스터미널 - 창원종합버스터미널 |
3. 역사
- 2016년 10월: 우등으로 계속 운행을 하다가 우등에서 일반차로 전환되었다.
- 2020년 4월: 일반차로 4년정도 운행을 하다가 민원 폭증으로 인하여 2020년 4월부터 다시 우등으로 전환되어 지금까지 우등으로 운행한다.
4. 특징
- 과거 대성티앤이 (현 대성고속)에서 해당노선을 개통하기 전인 2004년에 충주에서 진주까지 운행하는 노선을 개통했으나 2013~4년경 폐선되었다. 충주-진주는 하루 3회에서 하루 1회로 바뀌어 다니다가 소리 소문 없이 폐선되었다. 충주-진주는 음성, 증평, 청주를 들려 진주로 가던 노선이라 편도로만 5시간이 넘게 걸렸다. 마산, 창원에서 갈아타면 소요시간이 1시간정도 단축되었다. 2018년 6월까지만 해도 충주-부산가 수안보, 연풍, 문경, 마성, 점촌, 상주, 구미, 선산을 들리는 완행밖에 없었던 시절이라 부산-충주의 소요시간이 너무 길기에 이 노선을 타고 마산에서 내려 부산사상행을 타면 시간이 단축이 되었다. 지금도 부산종합버스터미널과 거리가 먼 서부산 일대에서는 이 방법으로 충주를 오가는 게 더 낫다.
- 평일에는 탑승객이 2~3명 밖에 안되지만 주말에는 거의 만석을 찍고 내려가니 주말에 해당노선을 탑승할거면 사전예매를 해두자.
- 운행하는 기사마다 다르지만 간혹 충주에서 창원 갈 때 승객이 적으면 휴게소를 들리지 않고 바로 마산까지 달리는 경우도 있어 이런 경우에는 소요시간이 30분정도 단축되기도 하며, 창원에서 갈 때는 거의 휴게소를 안 들리고 바로 충주로 쏘는 경우가 있어 역시 3~40분 단축되기도 한다. 충주로 올라갈 때는 미리 화장실을 다녀오는 것을 추천한다. 특히 부산으로 가는 손님들의 경우 마산시외버스터미널이 휴게소 역할을 하므로 휴식시간에 있어 불균형적인 측면이 있다.[4] 창원에서부터 연풍을 1시간 40분만에 통과하는 경우도 아주 가끔 있다.
- 충주에서 마산대학교, 경남대학교, 창원대학교, 경상국립대학교, 해군사관학교 등 경상남도에 있는 대학, 그리고 환승을 통해 고신대학교, 동아대학교, 신라대학교와 한국해양대학교 등 서부산 및 부산 원도심에 있는 대학으로 가는 대학생들의 수요가 있다. 다만 동아대와 신라대의 경우 부산 지리에 어두운 점으로 인해, 그리고 고신대학교와 한국해양대학교의 경우 중간 지점에 있는 점으로 인해 노포동 노선으로 분산되는 경우가 있다.
5. 시간표
회차 | 충주→ | 창원→ | 마산→ |
1 | 08:30 | 07:50 | 08:20 |
2 | 13:00 | 12:50 | 13:20 |
3 | 18:15 | 17:50 | 18:20 |
6. 운임표
충주↔마산 | 충주↔창원 | |
성인 | 26,300원 | 27,600원 |
중고생 | 21,000원 | 22,100원 |
아동 | 13,200원 | 13,800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