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우자동차의 소형차 라인업 | ||||
맵시 | → | 르망 · 씨에로/넥시아[1] | → | 라노스 |
대우자동차의 준중형차 라인업 | ||||
르망 · 씨에로/넥시아[2] | → | 에스페로 | → | 누비라 |
DAEWOO CIELO[3] /NEXIA |
1. 개요
대우 씨에로 출시 초기 CF |
강하고 안전한 차
강한차 씨에로
대우자동차에서 만든 준중형차. 1994년 5월에 르망을 기반으로 페이스리프트를 하고 편의사양 등을 업그레이드하여 출시하였다.강한차 씨에로
2. 제원 및 사양
엔진은 에스페로나 르망에 쓰인 1.5L SOHC(90마력/5,400rpm) 또는 1.5L DOHC(100마력/5,000rpm), 변속기는 르망의 5단 수동변속기 또는 3단 자동변속기가 쓰였다.[4][5]옵션으로는 GX/RX 두 단계였으며, RX는 GX에서 파워 스티어링이나 안개등 등이 추가된 고급 사양이었다. 또한, ABS나 CD 플레이어, 운전석 에어백 등은 RX에서만 선택사양으로 장착할 수 있다. 그리고 위에 서술한 DOHC 엔진도 'DOHC 팩'이라는 이름으로 RX에서만 장착할 수 있었다(1994년식 기준). 실질적으로 르망의 상급 트림인 RTi와 GTi를 페이스리프트 및 분리 해서 별개의 차종으로 만든것이라 볼 수 있다.
2.1. 파생 모델
뒷면 번호판이 넥시아는 이미지와 같이 백도어 중앙에 위치했지만, 씨에로는 뒷범퍼 하단에 위치해 있었다. |
수출명이 상당히 복잡하다. 유럽권에는 넥시아라고만 수출했고, 양쪽을 서로 바꿔서 쓴 경우도 있고.(...)
안테나가 뒷부분 상단에 고정형으로 장착한게 특징이다. 특히 5도어 해치백 최초로 앞뒤문 파워윈도우를 모두 장착했다.[7]
트렁크는 사실상 르망해치백 GLE 트림 것을 곡선화 한 것에 가깝다. 하지만 트렁크 도어 강성이 약해서 강한 충격을 가하면 음푹 패이는 치명적인 단점이 있다.
3. 포지셔닝 실책
대우자동차는 씨에로를 신개념 준중형 세단이라고 홍보하며 엘란트라, 아반떼, 세피아, 에스페로를 라이벌이라고 주장했지만, 씨에로라는 차 자체가 이미 출시된 르망에서 겉모습만 조금 고친 차였기 때문에 시장의 차가운 반응은 사실상 예견된 것이라 할 수 있었다.[8][9][10] 결국 1996년 르망의 후속 모델인 라노스가 출시되어 씨에로는 르망과 동시에 1997년 2월 단종되었다. 이는 G2X가 기록을 깨기 전까지 가장 빨리 단종된 차 중 하나였다.혼다 레전드(우리나라에서는 대우 아카디아)를 라이센스 생산하는 과정에서 습득한 조립 기술을 최초로 적용한 차량인데다 아카디아랑 비슷한 스타일링을 적용하였기에 별명도 리틀 아카디아였다. 그러나 하필이면 헤드램프와 프론트 마스크가 현대 뉴 엑셀과 너무나도 비슷해서 이에 대해 표절 시비 논란이 있었다. 오죽 했으면 작은 아카디아라 해서 기대했는데 결과물은 '르망에 엑셀 앞부분 붙여만 놓고 아카디아라 우기는 거냐'는 평도 있었을 정도.
그렇게 현대 뉴 엑셀의 앞부분을 모방했다는 논란이 있음에도 상품성 자체는 르망에 비해서 더 좋기는 했다. 단차가 출시 당시 대우차 중 가장 적었고 조립 품질도 좋았다. 방음도 나름 신경을 써서 당시 1.5L급 차량들 중에서는 제일 조용했고[11], 하체도 포르쉐의 튜닝
이런 흑역사의 이유를 에스페로에서 찾는 의견이 있다. 대우자동차는 에스페로를 중형차로 설정하여 2,000cc SOHC 엔진 사양으로 처음 판매했다. 하지만 에스페로가 넉넉한 크기와 보수적 외관을 선호하는 당시 중형차 소비자 취향에 어울리지 않는다[13]는 내부 의견이 나왔고, 실제로도 로얄과의 애매한 관계 때문에 판매가 신통치 않았다. 결국 대우차는 에스페로의 주력 엔진을 1.5L로 바꿔 준중형차로 판매하는 것으로 전략 노선을 바꾸었다. 하지만 대우차가 간과한 것은 에스페로는 당대 준중형차[14]들에 비해 너무 컸고, 그 몸집을 이끌기에 1.5L 엔진은 너무 약했다는 것. 경제성으로도 동력성능으로도 포지셔닝이 애매했다. 그러다보니 준중형으로 포지셔닝 할 차가 급히 필요했었고, 그 결과 씨에로를 출시했다는 것. 잠깐 이거 어디서 많이본건데...
판매량에서 죽 쒔다는 이야기가 즐비한데, 사실 시판 당시에 판매량이 10위 내에는 들던 차량이다. 특히 출시 첫해인 1994년에는 월간 1만대 이상 판매되기도 했다. # 그런데 판매시기가 2년이 채 안되어 개체 수가 그렇게 많지 않으니 다들 망한 줄로 안다. 그 당시에는 국산 차량 개체 수가 많지 않다보니 그럴 수가 있었다.
4. 해외에서의 실적
한국에서의 실적이 그렇게 좋은 편이 아니었지만 개발도상국가에서는 저렴한 가격에 구입할 수 있는 든든한 패밀리 세단이라는 소문이 퍼지면서 의외의 실적을 달성하게 된다.[15] 폴란드[16], 우즈베키스탄 등의 동유럽, 중앙아시아 국가로 주로 판매됐다. 칠레에서는 4도어와 5도어 모델 모두 넥시아란 이름으로 팔렸다. 칠레식 스페인어 속어로 'cielo'가 천당이란 뜻도 있기에, "혹시 이 차 타면 사고 나는 거 아니야?"라는 불안감을 불식시키기 위해서였다.96년 당시 CF에 따르면 인도에서도 크게 인기가 있었다고 한다.
4.1. 우즈베키스탄
특히 우즈베키스탄에서는 히트를 쳐서# 우즈대우에서 양산 및 판매됐다.2008년에 6월부터는 N150으로 자체 부분변경 모델이 양산되기 시작했다. 우즈베키스탄 및 중앙아시아 국가들에 판매됐다.
내부, 외부도 상당히 많이 바뀌어 있다. 1997년 우즈대우가 대우와 체결했던 부품 라이선스 및 생산 조달 기간이 2002년에 만료되었는데, 마침 대우자동차를 다시 인수한 GM이 이걸 꼬투리로 "차량 부품 국산화율을 50% 이상 끌어올리지 않을 경우 대우의 개런티를 받겠다"고 하여 우즈대우가 6년 간의 준비 기간을 걸친 끝에 엔진과 섀시 등의 주요 부품을 제외[17]한 자잘한 부품들을 국산화시켜 이런 디자인이 나온 것. 전,후면 디자인이 바뀌었지만, 측면 디자인은 20년 전 씨에로 그대로이다.
파워트레인은 E-TEC 계열의 1.5L A15SMS 혹은 1.6L F16D3에 5단 수동변속기가 적용됐다. 모델에 따라서 AUX와 USB 클라리온제 카오디오가 탑재되기도 했다.
2015년에 단종되었으며, 이후 GM대우 젠트라의 4도어 모델이 '넥시아'라는 이름의 후속 모델로 2023년까지 판매되었다.
4.1.1. 제원
NEXIA/2008~2016 | |
<colbgcolor=#000000><colcolor=#ffffff> 생산지 | [[우즈베키스탄| ]][[틀:국기| ]][[틀:국기| ]](우즈오토 모터스) |
코드네임 | N150 |
차량형태 | 4도어 세단 |
승차인원 | 5명 |
전장 | 4,516mm |
전폭 | 1,662mm |
전고 | 1,393mm |
축거 | 2,520mm |
윤거(전) | 1,400mm |
윤거(후) | 1,406mm |
공차중량 | |
연료탱크 용량 | 50L |
타이어 크기 | 175/70R13 185/65R14 |
플랫폼 | |
구동방식 | FF |
전륜 현가장치 | 맥퍼슨 스트럿 |
후륜 현가장치 | |
전륜 제동장치 | V 디스크 |
후륜 제동장치 | 드럼 |
4.2. 후속 모델 계획
1990년대 중반 대우차에서는 장기적으로 씨에로에서 지적받은 부분을 개선하여 라노스 밑의 엔트리급으로 포지셔닝한 후속 모델 계획에 박차를 가했지만 결국 베이퍼웨어가 되었다. 자세한 내용은 대우 씨에로 후속 모델 문서 참고. 한편 우즈대우에서 2008년에 상기된대로 부분 변경을 자체적으로 실시했었다.5. 미디어 출연
- MBC 납량특집 드라마 M에서 심은하(박마리 역)의 차량으로 등장한다. 이후 심은하는 4년 후 레간자 광고에 출연한다.
- tvN 응답하라 1994에서 정우(김재준 역)의 차량으로 등장한다. 정우는 그 인연으로 후신인 한국GM의 쉐보레 말리부 8세대 광고에도 출연했다.
6. 기타
의외의 경력으로 1995년 케냐의 사파리 랠리 대회에서 우승한 적이 있다. 당시 자동차 잡지에 개제된 스펙에 따르면- 파트타임 4륜구동
- 이름셔제 튜닝 엔진
- 트윈 터보
- 200kg 경량화
등의 무시무시한 스펙이었다는 듯하다. 후속 차종이 무엇인지에 대해서는 의견이 분분하다. 어차피 르망과 똑같은 차로 본다면 라노스를 후속 모델로 볼 수 있는데, 정통 대우자동차 팬들은 씨에로를 준중형차로 봐야 한다고 주장하기에[18] 라노스를 씨에로의 후계로 인정하지 않는다. 같은 의견이지만 르망/씨에로/넥시아 동호회인 LCN 같은 경우는 1.5L급 차량들은 준중형으로도 인정받았던 1990년대 자동차시장의 풍속과 씨에로의 토대가 되는 오펠의 카데트 E(르망)이 유럽에서는 준중형 급의 세그먼트이니, 대우 에스페로와 함께 누비라-라세티를 후계차종으로 보는게 맞지 않겠냐고 하는 의견을 내놓기도 했다.[19]
북미에선 후면부가 스바루 임프레자 2세대와 닮아서 밈으로 자주 쓰인다.[20] 나름 동유럽이나 남미 등지에서 판매량도 괜찮아서인지 후면부를 임프레자로 바꿔놓은 씨에로(넥시아)가 간간히 보인다.
당시 대우차는 씨에로의 생산에 아카디아의 생산기술을 활용했다고 하며 '리틀 아카디아'라고 홍보
2013년 응답하라 1994에서 '쓰레기'의 차량으로 등장한다. 다만 옥에 티가 있다고 한다.
1995년식 씨에로가 2015 서울오토살롱에 튜닝되어 전시되었다. |
가수 데프콘의 첫차이기도 하다. '대학에 다닐테니 차 한 대만 사달라'고 아버지와 딜(?)을 했고, 그렇게 얻게 된 첫 차가 파리 다카르 랠리에 출전한 경험이 있는 씨에로라고.
군사경찰, 경찰, 해양경찰, 소방순찰차로도 사용된 적이 있다.
7.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bordercolor=#fff><tablealign=center> |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colbgcolor=#0e3092,#000>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승용 · SUV · RV · 승합 · 경상용차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colbgcolor=#0e3092,#000><tablecolor=#373a3c,#ddd><tablebgcolor=#fff,#191919><tablewidth=100%> 1960년대 | 새나라자동차 새나라 · 신진 신성호 · 신진 코로나 · 신진 퍼블리카 · 신진 크라운 · 신진 랜드 크루저 픽업 · 신진 에이스(승합 모델) |
1970년대 | 시보레 1700 · GMK 레코드(로얄 시리즈) · GMK 캬라반 · GMK 카미나 · 새한 제미니 | ||
1980년대 | 새한 맵시 · 맵시나 · 르망 · 임페리얼 · 바네트(코치 모델) | ||
1990년대 | 티코 · 마티즈 · 라노스 · 에스페로 · 프린스 · 씨에로 · 누비라 · 레간자 · 매그너스 · 브로엄/수퍼살롱 · 아카디아 · | ||
2000년대 | 칼로스 · GM대우 젠트라 · GM대우 라세티 · GM대우 토스카 · GM대우 스테이츠맨 · GM대우 베리타스 · GM대우 G2X · GM대우 윈스톰 · GM대우 윈스톰 맥스 · GM대우 레조 | ||
2010년대 | (GM대우) 알페온 |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버스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colbgcolor=#0e3092,#000> 1960년대 | 신진 마이크로버스 · 신진 FB100LK · 신진 RC420TP | |
1970년대 | GMK BL 시리즈 · GMK BD 시리즈 · 새한 BU 시리즈 · 새한 BF 시리즈필리핀 내수용 · 새한 BR101 | ||
1980년대 | 새한 BV 시리즈 · BS 시리즈국내미수입 · 로얄 · BH 시리즈 | ||
1990년대 | BM090 | ||
2000년대 | 자일대우 BC 시리즈베트남 내수용, 국내미수입 · 자일대우 FX 시리즈국내미수입 · 자일대우 BX212국내미수입 | ||
2010년대 | 자일대우 레스타국내미수입 |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트럭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colbgcolor=#0e3092,#000> 1960년대 | 신진 에이스(트럭) | |
1970년대 | 새한 엘프 · 새한 대형트럭 | ||
1980년대 | 바네트(트럭) | ||
1990년대 | 차세대트럭 · | ||
2000년대 | 타타대우 노부스 · 타타대우 프리마 | ||
2020년대 | 타타대우 더쎈 · 타타대우 구쎈 · 타타대우 맥쎈 | }}}}}}}}} | |
회색 글씨: 단종차량 / |
[1] 출시 당시인 1994년에는 준중형 포지션이었지만 경쟁 차종인 기아 세피아, 현대 엘란트라 대비 실내가 열세였기 때문에 소형으로 변경되었다.[2] 처음 출시되었을 당시에는 준중형이었다.[3] 스페인어로 '하늘'(사실 '씨엘로'라 발음해야 한다.)이라는 뜻이다.[4] 후기형에서 에스페로의 4단 자동변속기가 선택사양으로 들어가기도 했다.[5] 당시 4단 자동변속기와 차이는 오르막이 아닌 고속에서 엔진에 토크를 낮추도록 고안된 기능인 오버드라이브(O/D)가 없다.[6] 애초에 씨에로 자체가 르망의 페이스리프트모델이긴 하지만;;;[7] 넥시아 발매 이전의 5도어 해치백들은 기껏해야 앞문만 파워윈도우고 뒷문은 수동핸들 이였다. 즉 프라이드, 액셀, 르망 해치백 모두 이렇게 적용됐었다. 또한 비슷한시기에 나온 아벨라와 이후에 나온 라노스, 마티즈1, 리오도 마찬가지였으며 2000년대 들어 칼로스 까지도 이어졌다.[8] 기존 르망의 사이드 패널은 그대로 두고 앞뒤만 바꾼 것이라 초기 TV광고도 옆은 잘 안 보여주고 앞뒤만 잔뜩 강조하며 불필요한(?) 영상들을 끼워 넣는 식의 컨셉이었다.[9] 1982년에 출시된 새한 맵시도 새한 제미니를 겉만 단순 페이스리프트한 차라는 인식 때문에 많이 판매되지 못했다. 새한자동차 측도 이를 인지하였는지 대우자동차로 사명이 변경된 후, 1983년에 XQ 엔진을 장착한 대우 맵시-나를 출시하였다.[10] 사실 대우자동차에서도 르망의 앞뒤만 고쳐서 신차인것인양 내놓는 것이 무리수라는 사실을 씨에로가 정식 출시 되기 이전에도 이미 파악하고 있었던건지, 르망의 후속으로 혼다 시빅을 라이센스 생산하려는 시도를 하기도 했었다.# 물론 실현되지는 못하고 후에 라노스, 누비라 라는 고유모델 개발로 선회하였지만...[11] 하나만 예를 들자면 당시에 준중형급 차량에만 들어가던 도어 상단 엣지 부분 웨더스트립을 장착했다. 르망과 엑센트, 아벨라는 도어에만 웨더스트립이 있었기에 풍절음이 심했다.[12] 반대로 르노삼성의 SM7과 SM5도 한 모델을 두 차종으로 나눠서 출시해 비판을 먹은 전적이 있었지만, 그래도 고급형인 SM7을 먼저 출시하고 난 다음 일반형 SM5를 출시시켜 판매량을 어느 정도 확보할 수 있었다. 기아 또한 중형인 콩코드를 출시한 지 2년 뒤 캐피탈을 출시한 적이 있다. 다만 캐피탈은 출시 극초창기에는 콩코드와 같은 중형차였지만, 1년 만에 DOHC 엔진을 내놓으면서 준중형으로 격하시켰다.[13] 에스페로는 이탈리아의 카로체리아 베르토네에서 디자인하여 차체가 작고 매끈한 것이 특징었다. 에스페로가 똑같은 베르토네 디자인의 시트로엥 XM/잔티아와 놀랄만큼 닮은 것에서도 그 흔적을 찾을 수 있다.[14] 말이 준중형이지 1990년대 초반 준중형차들은 소형차의 섀시에 중형차의 편의장치 일부를 가져온 것에 불과했다. 사이즈로도 소형과 중형, 딱 중간 컨셉의 제대로 된 준중형은 아반떼부터였고, 그 이후 대우자동차도 타 사 차량에 맞붙을 누비라를 내놓았다.[15] 대박을 친 이유 또한 앞의 포지셔닝 문제다. 준중형이라는 카테고리가 (당시 기준)배기량 1.5L를 초과하면 자동차세가 비싸지는 구조 때문에 생긴 것이므로 배기량별 세제가 다른 유럽에서는 꼭 1.5L 이하의 엔진을 장착할 필요가 없었다. 에스페로가 동유럽에서 꽤 오랫동안 히트친 이유도 마찬가지다.[16] 루마니아 대우 공장과 함께 현지생산 되기도 하였다.[17] 라고는 알려졌지만 디자인과 인테리어 관련 부품을 제외하면 바뀐 건 크게 없다.[18] 사실 이는 씨에로의 기본이 된 르망도 마찬가지이다. 1986년에 등장한 르망은 본래 현대의 포니엑셀보다 한 급 큰 사이즈였기 때문이다. 하지만, 당시에는 자동차를 그저 중형차와 소형차로 구분했을 뿐이기 때문에 포니엑셀과 동급으로 취급되었고, 심지어 기아의 프라이드도 같은 급의 경쟁차 취급을 받았다. 현대가 엑셀보다 큰 엘란트라를 내놓아 비로소 르망과 같은 사이즈의 차급이 생겼으나, 르망은 오랫동안 소형차라는 인식이 박혀 버린 상태였고 이는 르망을 살짝 바꾼 씨에로에도 그대로 적용되었으며 심지어 대우가 에스페로를 1.5L로 다운그레이드시켜서 엘란트라와 경쟁시키는 바람에 르망과 씨에로의 소형차 이미지는 더욱 확고해졌다. 결국 대우는 르망/씨에로의 후계 모델인 라노스의 사이즈를 줄여서 한 급 아래인 현대 엑센트의 사이즈에 맞출 수밖에 없었다.[19] 매우 그럴듯한 의견이고 실제로도 그렇기는 하나, 르망이 등장할 당시에는 사실 유럽에서도 세그먼트 구분이 지금처럼 명확하지는 않았다. 세대를 거듭하면서 자동차가 점점 커져 가는 상황에서 모델체인지 주기가 길면 등급의 혼동이 발생할 수밖에 없다. 단, 우리나라에서도 엑셀(포니엑셀)과 르망의 사이즈가 한 단계 차이가 났던 것은 분명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당시의 우리나라는 아직 자동차가 널리 보급되기 전의 단계였고, 자동차는 중형차와 소형차로 구분할 뿐 세세하게 구분하지 않았기 때문에 엑셀(포니엑셀)과 르망, 프라이드가 그냥 한데 묶여서 경쟁을 했던 것이다. 또한 당시의 세제제도 상 수출형 1.6 엔진을 장착하기에는 경쟁력이 없어서 선택지가 불가피하기도 했다. 결국 소형보다 한 급 큰 준중형이라는 개념이 없던 시대에 의해서 르망은 자의 반 타의 반으로 희생되었다고 볼 수도 있다.[20] 대우차가 라노스, 누비라 레간자를 내세워 정식으로 북미시장에 진출한 건 97년 말이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