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6-09 23:14:14

양의지/선수 경력/2024년

양의지/2024년에서 넘어옴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양의지/선수 경력/두산 베어스
양의지의 연도별 시즌 일람
2023년 2024년 2025년
1. 개요2. 시즌 전3. 페넌트레이스
3.1. 3월3.2. 4월3.3. 5월3.4. 6월3.5. 7월3.6. 8월3.7. 9월
4. 총평5. 시즌 후6. 관련 문서

1. 개요

두산 베어스 소속 포수 양의지의 2024 시즌 경력을 서술하는 문서.

2. 시즌 전

3. 페넌트레이스

3.1. 3월

24일 창원 NC전 9회초 2사 상황에서 마무리 투수 이용찬을 상대로 중견수 뒤 센터방향 쐐기포를 터뜨렸다. 시즌 1호.

26일 수원 kt전 4회초 무사 상황에서 선발 투수 웨스 벤자민을 상대로 2경기 연속 홈런이자 125m 장외 홈런을 터뜨렸다. 시즌 2호.

29일 잠실 KIA전에서 1안타 1득점을 기록했으나 초반부터 난조를 보이던 이의리 상대로 허무맹랑한 스윙을 3차례나 보여주며 팀을 연패로 몰아넣었다. 7회말 3루수 실책으로 출루한 이후 햄스트링 통증을 느껴 대주자 조수행으로 교체됐다.

3.2. 4월

햄스트링 통증으로 경기에 계속 나오지 못하다 4월 3일 문학 경기에서 3번 지명타자로 선발 출장하며 복귀했다. 부상관리 중인 양의지가 지명타자로, 김재환이 좌익수로 나설 듯하며 당분간 포수 자리는 장승현이 담당할 듯 하다.

3일 SSG전에서 4타수 무안타 1삼진을 기록하며 굉장히 부진했다.

현재까지 7경기에 출장했는데 볼넷 없이 삼진이 8개로, 양의지답지 않은 성적을 내고 있다.

포수 자리에 복귀한 이후에도 작년 시즌 초반처럼 영 타격감을 찾지 못하고 있었다. 한편으로는 수비에서 도루저지율이 많이 낮아졌다는 지적도 받았으나 도루저지율이 오로지 포수 몫으로 쌓는 스탯은 아니고 뭣보다도 타 팀에서 양의지 선발 출장 시 도루 자체를 자주 하지 않다보니 비판은 없는 편.[1]

7일 롯데전 2점 뒤진 8회 초, 전미르를 상대로 동점을 만드는 2타점 적시타를 때려내며 오랜만에 한 건 하는 듯 했으나... 8회 말 수비에서 2루를 향해 악송구를 날리는 실책도 기록했다.

9일 잠실 한화전에서 3타수 1안타 1볼넷 1득점을 기록했다.

10일 잠실 한화전 선발투수 알칸타라가 1회부터 2실점을 해 2:0으로 밀리고 있던 상황에서 1회말 문동주를 상대로 역전 쓰리런 홈런을 쳐냈다. 시즌 3호. 최종 기록은 4타수 2안타(1홈런) 1볼넷 3타점 1득점으로 좋은 활약을 해줬고, 0.250까지 떨어진 타율은 귀신같이 정확하게 3할로 맞춰놨다.

그러나 이후 2경기에서 8타수 무안타 1삼진으로 부진하며 타율이 .254까지 떨어졌다.

13일 잠실 LG전(H)에서 4타수 2안타 1타점 1득점을 기록하면서 시즌 타율은 0.270을 기록 중이다.

14일 잠실 LG전(H)에서 4타수 2안타 2타점 1득점을 기록하면서 시즌 타율은 0.284를 기록 중이다. 이 날 수비에서 투수들의 여러 차례 빠지는 투구들을 모두 블로킹해내며 실점을 막아냈다.

16일 대구 삼성전에서 2타수 1안타 1볼넷 1타점 1득점 1삼진을 기록했다.

17일 대구 삼성전에서 3타수 1안타를 기록하고 대수비 김기연으로 교체됐다.

18일 대구 삼성전에서 3타수 무안타 1삼진을 기록하고 대수비 김기연으로 교체됐다.

19일 잠실 키움전에서는 지명타자로 선발출장해 6타수 3안타 3타점으로 맹활약하며 팀의 연패 탈출에 기여했다.

21일 더블헤더 1차전에서 4타수 2안타를 기록하며 타율 3할을 넘겼다. 그러나 경기는 패배.

21일 더블헤더 2차전 9회말 2사에서 기적의 2루타를 쳐내고 대주자 이유찬으로 교체됐다. 양의지의 2루타가 나오자마자 팀은 김재환의 동점 적시 2루타-양석환의 끝내기 내야안타가 연달아 터지며 기적의 역전승을 거뒀다.

23일 잠실 NC전 8회초에 김주원의 파울 타구에 오른 팔 목을 강타당하는 불의의 부상을 입고 대수비 김기연으로 교체됐다.

26일 대전 한화전 4회초에 황준서를 상대로 좌월 투런 홈런을 쳤다. 시즌 4호.

28일 대전 한화전에서 5타수 3안타 3타점 2득점으로 활약했다.

김기연이 예상을 깨고 제1 백업 포수로 활약하면서 지난 시즌에 비해 체력 안배 겸 관리를 많이 받고 있다.[2] 선수 본인도 김기연의 활약 덕분에 부담감이 많이 줄었는지 타격감도 올라가는 중.

3.3. 5월

4일 잠실 LG전에서 주루사가 하나 있긴 했지만 4타수 3안타로 활약했다.

7일 고척 키움전 2회에 이종민 상대로 선제 솔로 홈런을 쳐냈다. 시즌 5호. 이로써 역대 21번째 개인 통산 250홈런을 달성하였다. 그 후 이어진 3회에는 다시 한 번 이종민을 상대로 연타석 솔로 홈런을 때렸다. 시즌 6호. 이 날 경기로 WAR 1을 넘겨 김형준을 제치고 포수 WAR 1위에 랭크되었다.

9일 고척 키움전에서 5타수 1안타 1타점 1삼진을 기록했다. 이 날 김혜성의 도루를 저지시켜 시즌 첫 도루저지를 기록했다.

12일 더블헤더 2차전에서 3타수 2안타 1타점 1득점으로 활약하고 대타 홍성호로 교체되었다.

14일 광주 KIA전에서 5타수 1안타 1타점 1득점을 기록하고 대수비 김기연과 교대했다.

15일 광주 KIA전 6회말 최형우의 파울 타구에 무릎을 맞고 쓰러졌다. 문제는 바로 전 이닝 김기연을 대타로 소모하는 바람에 양의지를 대수비로 교체할 수 없는 상황이라 양의지 본인도 파스칠만 하고 다시 경기에 뛰는 원치 않은 부상투혼을 펼쳐야 했다.

16일 광주 KIA전에선 전 날 입은 부상으로 인해 벤치에서 대기하다가 7회초 정수빈의 대타로 나와 추격의 1타점 적시타를 쳤다.

19일 롯데전 김재환이 몸살 기운으로 인해 빠지면서 4번 지명타자로 선발 출장해 2타수 2볼넷을 기록했다.

KIA전에서 입은 부상의 여파로 인해 선발 라인업에 들지 못하거나, 선발 출장해도 지명타자로 나오고 있다.

24일 광주 KIA전에서 오랜만에 4번 포수로 선발 출장했고, 2점 차 뒤진 9회 초 1루에서 정해영을 상대로 동점 투런포를 작렬했다. 시즌 7호. 이후 팀은 김재환의 결승 역전 투런포에 힘입어 7:5로 승리했다.

25일 광주 KIA전에선 정수빈이 정확히 보낸 송구를 못 받아내고, 2루로 진루하는 김도영을 향해 중전 안타를 던지는 등 개판 5분 전 수비를 보여줬다. 타석에선 2루타 2개로 멀티히트를 기록.

30일 잠실 kt전 4회 말, 한차현을 상대로 선제 결승 투런포를 때려냈다. 시즌 8호.

31일 LG전(H)에서는 4타수 무안타로 부진했다.

3.4. 6월

1일 LG전(H)에서는 5타수 2안타를 기록했으며 타율은 0.335를 기록 중이다.

5일 창원 NC전 타석에서는 4타수 2안타를 기록했으나 10회말 3:2 리드 상황에서 포일을 2번이나 저질렀다.

6일 창원 NC전 타석에서는 5타수 3안타 1타점 2득점을 기록하여 맹활약 했다. 시즌 타율은 0.348을 기록.

7일 잠실 KIA전 타석에서는 6타수 2안타 1타점을 기록했다.

8일 잠실 KIA전 타석에서는 4타수 3안타 2타점을 기록하며 일주일 내내 멀티히트를 기록하는 등 절정의 타격감을 선보였다. 시즌 타율은 0.355를 기록.

타격에서는 오히려 커리어 하이를 쓸 기세로 날라다니고 있으나, 수비적인 부분에서는 현저히 밥값을 못해주고 있는 상태다. 도루 저지율도 낮아졌고, 예전에 비해 공도 많이 흘리고 있다.수비 에이징커브[3]

3.5. 7월

3.6. 8월

3.7. 9월

4. 총평

5. 시즌 후

6. 관련 문서



[1] 올 시즌부터 베이스 크기가 커진 것도 영향이 없지 않은 듯 하다.[2] 타 팀들의 주전 포수들이 대부분 4월 말 기준 200이닝 이상을 소화하고 있는데 양의지는 현재까지 182이닝을 소화하는 중이다.[3] 농담이 아니라 양의지가 본격적으로 여름이 시작된 것도 아니고, 포수 이닝 역시 김기연의 영입 덕분에 작년에 비해 부담이 크게 덜어진 상황인데도 포일을 비롯한, 포수 수비가 스탯을 보지 않아도 문제가 있다고 할 정도로 우려되는 상황이다. 바운드 된 공을 포구하지 못해 흘린다던지, 포수의 반응이 늦어지는게 보인다. 조금 이른 우려이긴 하나, 과거 홍성흔과 같은 사례처럼, 포수 양의지의 유효기간이 얼마 남지 않은 것 아니냐는 부정적인 우려도 나오는 중. 애당초 양의지에게 4+2년, 총 6년 계약을 했을 때 대다수의 팬들도 3년은 (주전)포수로 뛰고 3년은 지명타자로 김재환과 번갈아 나오지 않을까라는 기대를 했으나(양석환의 예상외 잔류로 지명타자 자리도 예상하기 힘든 상황이 되었다), 수비적인 부분에서는 이제 2년차 중반인데 벌써부터 이런 조짐이 보인다는 점에서 팬들 입장에서는 불안 요소로 남아있다. 진짜 김기연 데려오지 않았으면 어쩔 뻔 했냐는 반응이 괜히 나온게 아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