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10-05 22:48:06

영평군(1828)

영평군 이경응에서 넘어옴

<colbgcolor=#29176e>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2px -11px"
{{{#!wiki style="font-size:0.90em; letter-spacing: -0.8px"
영조 현효대왕 도정궁 사손
 
 
진종 소황제 장조 의황제
 
 
 
 
정조 선황제 은언군 은신군 은전군
 
 
 
 
 
 
순조 숙황제 상계군 전계대원군 남연군 풍계군 진안군
 
 
 
 
 
 
 
 
 
 
 
문조
익황제
철종
장황제
익평군 회평군 영평군 흥녕군 흥완군 흥인군 흥선헌의대원왕† 완평군 완성군
 
 
 
 
 
 
 
 
 
 
 
 
 
 
헌종
성황제
고종
태황제
덕안군† 경은군 청안군 완림군† 완순군 완영군† 흥친왕 완은군† 인양군† 의양군 예양정 완창군
 
 
 
 
 
 
 
완효헌친왕† 순종
효황제
의친왕 영친왕 풍선군† 영선군 경원군
 
 
청풍군 창산군
※ 실제 혈통이 아닌 족보를 기준으로 작성되었으며, 실선은 친자, 점선은 양자 관계임
※ 왕족 / 황족으로서 정식 봉호가 있는 사람만 기재함
※ 은신군은 영조의 동생 연령군의 후사를 이었으나 당시에는 장조 의황제의 아들로 간주하여 그 후손들에게 황족 작호를 수여함
※ † 기호는 사후 추증된 인물이며, 흥선헌의대원왕을 제외하면 대한제국 수립 이전 사망한 왕족임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0 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713F03, #8a4d04 20%, #8a4d04 80%, #713F03); color: #FFD400; min-height: 31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rowcolor=#ffd400> 초대 제2대 제3대 -
전계대원군 영평군 청안군 (풍선군)
제4대 - 제5대
청풍군 (이완주) (이우영)
}}}}}}}}}
<colbgcolor=#29176e><colcolor=#ffd400>
누동궁 2대 궁주
대한제국 장조의 증손
영평군 | 永平君
봉호 영평군(永平君)
이름 이욱(李昱) → 이경응(李景應)[1]
시호 효정(孝貞)
출생 1828년 7월 20일
사망 1902년 2월 1일[2] (향년 73세)
부친 전계대원군(全溪大院君, 1785 ~ 1841)
생모 측실 이씨
부인 정부인 정경부인 평산 신씨
(貞敬夫人 平山 申氏, 1832 ~ 1857)
계부인 정경부인 청도 김씨
(貞敬夫人 淸道 金氏, 1839 ~ 1921)
자녀 1녀(+ 양자 1남)
장녀 - 이씨(1866 ~ 1913) 김씨 소생
양자 - 청안군(淸安君, 1851 ~ 1904)[3]
1. 개요2. 생애
2.1. 어린 시절2.2. 철종 시기2.3. 고종 시기
3. 사후4. 대중매체에서
4.1. 철인왕후
5. 후손

[clearfix]

1. 개요

조선왕족문신.

사도세자의 3남[4] 은언군의 손자, 전계대원군의 2남[5], 조선 25대 임금 철종의 둘째 형이다. 전계대원군의 종가(宗家)인 누동궁의 1대 봉사손이자 2대 종주이다.[6]

2. 생애

2.1. 어린 시절

1828년(순조 28년), 강화도에서 유배 중이던 전계대원군 이광과 그의 측실인 이씨 사이에서 태어났다. 1830년(순조 30년) 이광이 유배에서 풀려나자 가족들과 함께 한성부 경행방으로 이주했다.

아버지 전계대원군은언군의 서자인 데다가, 할아버지 은언군도 여러 안 좋은 사건에 엮였기 때문에[7] 처음에는 왕족의 작위를 받지 못했다.[8]

더군다나 큰형이자 전계대원군의 적자 회평군 이명[9]이 민진용 역모 사건[10]에 엮여서 1844년(헌종 10년)에 사사당하자 이복 동생 이원범과 함께 강화도로 유배를 갔고, 거기서 일반 농민들처럼 살았다.

2.2. 철종 시기

1849년(철종 즉위년) 이복 동생 이원범이 철종으로 즉위하면서 다시 한성부로 돌아왔고 영평군(永平君)으로 봉해졌다.[11][12] 이때 영평군이 즉위하지 못한 이유는, 큰형 회평군이 죽은 뒤라 아버지 전계대원군의 가계를 이어야 했기 때문이다.

그리고 정조 때에 잠시 설치했다가 사라진 숙위소가 부활하면서 그 대장 직에 임명받았다. 이후 능령(陵令: 왕릉을 지키는 벼슬 중 하나) 벼슬을 받았다. 또한 고종 때까지 국상 때마다 종친이 맡는 직책인 종척집사(宗戚執事)로서 활동했다.

1857년(철종 8년)에 본부인 평산 신씨가 사망한 뒤 곧 청도 김씨 김재협의 딸과 재혼했다.[13]

2.3. 고종 시기

고종이 즉위한 후 1868년(고종 5년) 3월 6일 흥선대원군이 내린 종친 항렬자 통일령으로 이름을 '욱(昱)'에서 '경응(景應)'으로 개명했다.

이후로도 종친으로서 왕실의 행사 때마다 중요한 역할을 했다. 왕실 족보 《선원보략(璿源譜略)》을 교정했고, 영혜옹주의화군 이강의 혼례 때 주혼당상을 맡아 자신의 집을 전안[14]하는 장소로 제공했다. 이외에도 판종정경(判宗正卿), 궁내부 특진관(宮內府特進官)[15]으로 임명받아 활동했다.

3. 사후

1900년(광무 4년) 음력 3월부터 만성 소갈증 증세가 심해지다가 1902년(광무 6년) 2월 1일[16]에 별세했다. 향년 74세. 〈제국신문〉에 따르면, 같은 해 3월 6일에 발인했다고 한다.

묘소는 원래 경기도 포천군 주내면 선단4리(현 포천시 포천동 선단4통) 산11번지 전계대원군 묘역 내에 있었다. 그러나 2015년 이후 후손들이 화장하여 현재는 다른 곳으로 옮겼다고 한다.#

조선 후기 학자 이계양이 그의 죽음을 애도하며 쓴 시 《영평군만(永平君挽)》이 전해진다.
花萼高樓問幾時 (화악고루문기시)
화악루 높다는 것이 언제인가

叡陵松柏已生枝 (예릉송백이생지)
예릉의 소나무와 잣나무에는 이미 가지가 돋았네

靑茅早列周封爵 (청모조열주봉작)
일찍이 임금의 반열이니 주나라에서 봉한 작인데

赤舃巍參洛社耆 (적석외참낙사기)
붉은 신으로 낙사기영회에 우뚝 참여했도다

雨散滄江龍寂寂 (우산창강용적적)
창강에 용도 쓸쓸하게 비가 흩뿌려지는데

雲歸華表鶴遲遲 (운귀화표학지지)
화표주의 학도 느리게 느리게 구름을 돌아가도다

天胡不借期頤壽 (천호불차기이수)
하늘이 어찌 백세 장수를 빌려주지 않았다 해도

光武昇平共樂之 (광무승평공락지)
태평한 광무년을 함께 즐겼도다
이계양 著, 《계양유고》 중에서#

4. 대중매체에서

4.1. 철인왕후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영평군(철인왕후)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파일:철인왕후 영평군.png
<colbgcolor=#29176e> 〈철인왕후〉의 영평군
2020년 tvN철인왕후〉에서는 유민규가 연기했다. 작중 그를 설명하는 단어는 '슬픈 2인자'이다. 사랑이든 권력이든, 언제나 이복동생 철종(김정현 분)의 뒤에 2인자로서 있어야만 하기 때문이다. 그래서 마음 속에 그늘을 지니고 있다. 철종의 침소를 지키는 금위대장으로, 철종을 무척 아낀다 하여 홍별감(이재원 분)이 '동생애자'라 칭한다. 동생 철종과는 달리, 방법의 정당함보다는 목적의 정당함을 우선시한다.

5. 후손

첫 부인 평산 신씨 사이에서 자식을 얻지 못했고, 재혼한 청도 김씨와의 사이에서는 딸 한 명을 낳았다. 딸은 왕실 작위를 받지 못했으며, 군수(郡守) 창원 황씨 황연수(黃演秀)와 혼인했고 1918년에 사망했다.

그러나 친아들이 없었기 때문에 양자를 들여 대를 이어야 했다. 그래서 1864년(고종 1년) 9월에 선조의 서9남 경창군의 9대손 이신휘(李愼徽)[17]의 아들 이순달(李順達)을 입양했다. 영평군과 실제 혈통으로는 21촌이었다. 이순달은 이재순(李載純)으로 개명했고 1899년(광무 3년) 사도세자가 장조의황제로 추존받자 황제의 4대손 자격으로 청안군(淸安君)으로 봉해졌다.

청안군은 1904년(광무 8년)에 사망했는데 그도 자녀를 두지 못했다. 그래서 소현세자의 8대손 이재철의 아들 이한용[18]을 입양했지만 그 역시 후사 없이 1890년(고종 27년) 16세로 사망했다.

그래서 1897년(광무 원년)에 풍선군의 양자로 덕흥대원군의 후손인 이해승입적시켰다.[19] 그래서 영평군 - 청안군 - 풍선군 - 청풍군까지는 전부 입양 관계이며, 영평군은 살아서 양증손까지 본 것이다. 참고로 저 때 영평군이 이해승을 입양할 것을 고종에게 직접 청했다.#
숭릉 영 이건용의 아들 이인봉을 이한용의 후사로 세우게 할 것을 청하는 영평군 이경응의 상소

영평군(永平君) 이경응(李景應)이 상소하기를,

“삼가 아룁니다. 대행 황후의 탄신일이 또 지나갔고 별전(別奠)도 지냈으니, 성상의 슬픔과 황태자 전하의 그리움은 새삼 더욱 크실 것이고 신민들의 원통함은 갈수록 깊어집니다. 이어 삼가 생각건대, 신의 나이는 지금 70으로서 아침저녁으로 죽을 날만을 기다리고 있는데, 몹시 급박한 개인 사정이 있기에 사랑으로 덮어 길러 주시는 성상께 머리를 들고 울면서 호소하지 않을 수 없습니다. 신의 아들 이재순(李載純)은 슬하의 자식이 일찍 죽어서 50이 다 되었으나 달리 대를 이을 자식이 없습니다. 매번 가묘(家廟)의 제사를 맡길 사람이 없는 것을 생각할 때마다 신은 근심스럽고 두려워서 침식(寢食)조차 잊어버리기까지 합니다.

삼가 생각건대, 대가 끊어지게 된 집안에 양자를 들여 대를 잇게 하는 것은 국법(國法)에도 허락하고 있습니다. 신의 집안의 사판(祠版)이 사체(事體)가 각별한 것에 대해서는 우리 폐하께서도 잘 알고 계실 것입니다. 이에 감히 황송함을 무릅쓰고 우러러 호소하는 것입니다. 삼가 바라건대, 특별히 불쌍히 여기시어 신의 족손(族孫)인 숭릉 영(崇陵令) 이건용(李建鎔)의 아들 이인봉(李麟鳳, 이해승의 아명)을 신의 죽은 손자 이한용(李漢鎔)의 후사로 세우게 해 주소서. 간절히 바랍니다.”

하였는데, 받든 칙지에,
“‘상소를 보고 경의 간절한 마음을 잘 알았다. 경의 집안에 후사를 세우는 것은 사체가 각별하니, 장례원으로 하여금 예사(禮斜)를 발급하도록 하겠다. 경은 그리 알라.’라는 내용으로 비서원 낭을 보내어 전유하도록 하라.”
하였다.
승정원일기》 고종 34년 정유(1897) 9월 28일(갑인, 양력 10월 23일)자 기사#

청풍군 이해승의 자녀들부터는 친자식들이다. 슬하에 아들 4명을 두었지만 큰아들과 둘째 아들은 일제 치하 1943년에 자신보다 먼저 죽었고 그 자신도 1950년 6.25 전쟁 때 행방불명되었다. 그의 장손이 바로 그랜드힐튼 서울의 이우영 회장. 즉 영평군의 후손들이 현재 그랜드힐튼 서울 오너 일가이다.
[1] 형제들의 이름을 보면 규칙을 찾을 수 있다. 첫째는 회평군 명(, + 月), 둘째는 영평군 경응(( + 京)應), 초명은 욱(, + 立), 셋째는 철종 변(, + 弁)으로 전부 이름자의 부수가 '날 일(日)' 자이다. 이는 이들 형제와 같은 항렬의 왕족들의 이름들도 마찬가지이다. 순조의 아들 효명세자의 이름은 '영(, + 大)'이며 은전군의 양손 완평군 역시 초명은 '병(, + 丙)'이었다가 '승응(( + 升)應)'으로 바꿨고 완평군 이전의 은전군 양손자였던 경평군의 이름 역시 '호(, + 告)'였다. 은언군의 큰손자이며 상계군의 양자이자 풍계군의 친자 익평군의 이름 역시 '희(, + 羲)'였다. 남연군의 네 아들들의 이름은 흥녕군 창응((日 + 曰)應), 흥완군 정응((日 + 政)應), 흥인군 최응(( + 取)應), 흥선군 하응(( + 正)應)인데 최응의 경우는 부수는 '갈 왈(曰)'로, 남연군이 이름을 지을 때 비슷한 글자를 골라서 붙였다.[2] 음력 신축년 12월 23일.[3] 선조의 9남 경창군(慶昌君)의 9대손 이휘응(李徽應)의 아들.[4] 서장남.[5] 서장남.[6] 누동궁의 종주 자체는 전계대원군부터 세고 전계대원군의 제사를 모시는 봉사손은 영평군부터이다. 그래서 1대씩 차이가 난다.[7] 부인 송씨와 며느리 신씨의 천주교 순교사건, 아들 상계군 추대 사건 등.[8] 전계대원군도 살아 생전엔 봉군되지 못했다. 철종 즉위 후 전계군으로 추봉받고 곧바로 대원군 작위까지 받은 것.[9] 1827 ~ 1844. 첫 이름은 이원경.[10] 1844년(헌종 10년) 몰락한 노론 인물 민진용이 이원덕, 박순수 등을 포섭하여 은언군의 손자 이원경을 왕으로 추대하려다가 사전에 적발당한 사건이다. 민진용은 노론 재상 민응수의 4대손이었지만 그의 집안은 오래 전에 몰락하여 중인이 되었고, 민진용은 무인으로 생활했다. 민진용은 이원덕(李遠德), 박순수(朴醇壽) 등과 가깝게 지냈는데, 이원덕은 의원으로 전계대원군의 지인이었고, 박순수는 양아버지 박종훈(朴宗薰)의 음덕으로 음서로 관직에 올라 부사를 역임했다. 바로 이들과 함께 이원경을 추대하려다가 사전에 발각당해 전부 처형당했다. 사족으로 여흥 민씨 집안에서는 이후 민진용 항렬의 '용(鏞)'을 '호(鎬)'로 바꾼다. 바로 고종 시절 외척 세력이던 명성황후민태호, 민승호, 민겸호 등이 민진용과 같은 항렬이다.[11] 봉호경기도 포천 북부 지역에 있었던 영평군(永平郡)에서 유래했다. 대략적으로 현재 포천시 영북면, 영중면, 일동면, 이동면, 창수면에 해당한다.[12] 이 일대에 전계대원군의 묘가 있다. 철종이 이를 고려하여 봉호를 지었을 가능성이 높다.[13] 영평군보다 훨씬 오래 살아 일제강점기인 1921년에 사망한다.[14] 奠雁. 혼례 때, 신랑이 기러기를 가지고 신부 집에 가서 상 위에 올려놓고 절하던 예.출처[15] 칙임관(勅任官) 1등에 서임(敍任).[16] 음력 신축년 12월 23일.[17] 1868년 이휘응(李徽應)으로 개명한다.[18] 1907년(융희 원년) 풍선군(豊善君)으로 추증. 영평군과 실제 혈통상으로 18촌, 청안군과는 23촌이다.[19] 1908년 청풍군(淸豊君)으로 책봉. 그런데 이해승은 원래 덕흥대원군의 후손이 아니었다는 것이다. 실제 혈통상으로는 한참 이전인 월산대군의 후손으로, 이해승의 친할아버지 이재숙이 덕흥대원군 후손의 양자가 되면서 그의 본가가 덕흥대원군파로 편입했던 것이다. 그래서 영평군과 실제 혈통상으로 31촌, 청안군과는 32촌, 풍선군과는 33촌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