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려 문하시중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670000,#fedc89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colbgcolor=#fedc89,#670000> 고려 초기 (918~981) | <colcolor=#373a3c,#ddd> 광평시중 |
김행도 | 박질영 | 류덕영 | 공훤 | 왕철 | 권직 | ||
문벌귀족기 (981~1170) | 문하시중 | |
최승로 | 박양유 | 한언공 | 김승조 | 최숙 | 류윤부 | 위수여 | 유진 | 최사위 | 유방 | 강감찬 | 서눌 | 황주량 | 최제안 | 최충 | 이자연 | 김원충 | 왕총지 | 김원정 | 박성걸 | 최유선 | 이정 | 문정 | 이정공 | 소태보 | 최사추 | 위계정 | 윤관 | 김경용 | 이위 | 김인존 | 이공수 | 김부식 | 김약온 | 임원후 | 왕충 | ||
무신정권 (1170~1270) | 정중부 | 두경승 | 이의민 | 조영인 | 최충헌 | 이항 | 이연수 | 김취려 | 최종준 | 최항 | 김준 | 이장용 | |
원 간섭기 (1270~1356) | 김방경 | |
(도)첨의중찬 · 도첨의시중 · 도첨의정승 | ||
김방경 | 류경 | 송송례 | 원부 | 허공 | 김방경 | 홍자번 | 조인규 | 홍군상 | 홍자번 | 홍규 | 홍자번 | 조인규 | 정가신 | 조인규 | 김혼 | 송분 | 홍자번 | 설공검 | 염승익 | 송분 | 한희유 | 한강 | 한희유 | 송분 | 홍자번 | 한희유 | 채인규 | 한희유 | 안향 | 한희유 | 한희유 | 김혼 | 정인경 | 최유엄 | 김지숙 | 최유엄 | 최유엄 | 이혼 | 류청신 | 홍규 | 류청신 | 권부 | 김이용 | 김이용 | 민지 | 배정 | 김태현 | 윤보 | 최유엄 | 김심 | 민지 | 김이 | 김이 | 윤석 | 정방길 | 윤석 | 김심 | 한악 | 윤석 | 강융 | 권한공 | 조적 | 한악 | 윤석 | 채하중 | 이능간 | 기철 | 채하중 | 한종유 | 왕후 | 김륜 | 김영후 | 김영후 | 인승단 | 노책 | 김영돈 | 왕후 | 노책 | 노책 | 손수경 | 손수경 | 이암 | 이제현 | 손기 | 송서 | 조일신 | 정천기 | 송서 | 조일신 | 이제현 | 조익청 | 홍빈 | 조익청 | 인승단 | 채하중 | 염제신 | 염제신 | 류탁 | 채하중 | 채하중 | 이능간 | 이제현 | 홍언박 | 홍언박 | 윤환 | ||
여말선초 (1356~1392) | 문하시중 · 도첨의정승 · 도첨의시중 | |
홍언박 | 윤환 | 이제현 | 염제신 | 염제신 | 이암 | 홍언박 | 류탁 | 염제신 | 류탁 | 류탁 | 김일봉 | 김일봉 | 경복흥 | 경복흥 | 류탁 | 경복흥 | 김보 | 이춘부 | 이인임 | 이춘부 | 이인임 | 윤환 | 경복흥 | 염제신 | 경복흥 | 이인임 | 윤환 | 이인임 | 홍영통 | 이자송 | 조민수 | 임견미 | 최영 | 이성림 | 임견미 | 이성림 | 이인임 | 이성림 | 반익순 | 반익순 | 이성림 | 최영 | 이성계 | 최영 | 우현보 | 조민수 | 이성계 | 이색 | 이성계 | 이림 | 심덕부 | 이성계 | 정몽주 | 이성계 | 이성계 | 심덕부 | 배극렴 | 이성계 | ||
고려 국왕 · 무신정권 집권자 고구려 (좌우보 · 국상 · 대막리지) · 백제 (좌우보 · 상좌평) 신라 (대보 · 시중 · 병부령 · 상대등) · 발해 대내상 · 태봉 시중 · 고려 문하시중 조선 영의정 · 대한제국 내각총리대신 · 임시정부 부수반 · 대한민국 국무총리 | }}} }}}}}}}}} |
고려 문하좌시중 반익순 潘益淳 | |
<colbgcolor=#fedc89><colcolor=#670000> 출생 | ? |
사망 | 1388년 |
본관 | 거제 반씨(巨濟 潘氏)[1] |
성명 | 반익순(潘益淳) → 왕익순(王益淳)[2] |
관직 | 문하좌시중 |
재임기간 | 1387년 11월(?)[3]~1388년 1월[4] |
자녀 | 반덕해(潘德海)[5], 반복해(潘福海)[6] |
[clearfix]
1. 개요
좌시중(左侍中)[A], 우시중(右侍中)[A] 등을 역임한 고려 후기의 문신이다.2. 생애
거제 반씨(巨濟 潘氏)[9] 시조로 충렬왕 때 간의대부(諫議大夫)[10]를 지낸 반부(潘阜)의 증손이다.1387년(우왕 13) 아들인 반복해(潘福海)가 우왕의 총애를 받아 왕의 양자가 되자, 친부인 반익순(潘益淳)은 문하평리(門下評理)에서 우시중(右侍中)으로, 아들인 반복해는 문하찬성사(門下贊成事)로 임명되었다. 동년 수상(首相)직인 좌시중(左侍中)에 이르렀으나 이듬해인 1388년(우왕 14) 정월 임견미의 사위였던 아들 반복해가 염흥방, 임견미의 일파로 몰리자 이에 연좌되어 부자가 모두 처형되었다. 소위 무진피화(戊辰被禍) 또는 정월지주(正月之誅)라고 하는 사건이다.
[1] 기성 반씨(岐城潘氏)라고도 한다.[2] 1387년(우왕 13) 아들 반복해(潘福海)가 우왕(禑王)의 양자가 될 때 아들들과 함께 왕씨(王氏) 성을 하사받은 것으로 보인다. 고려사에 반익순과 반덕해, 반복해 부자를 왕익순, 왕덕해, 왕복해로 언급하고 있다.[3] 1387년 8월 우시중에 임명되었고 동년 11월에 좌시중으로 언급되고 있다. 동년 8월~11월 사이에 좌시중 이성림(李成林)은 우시중으로, 우시중 반익순은 좌시중으로 자리를 옮긴 것으로 보인다.[4] 고려사에 무진피화 당시 이성림(李成林)과 반익순 모두 우시중으로 기록되어 있는데 한쪽은 좌시중의 오기인 듯하다.[5] 우왕(禑王)의 양자가 된 동생 반복해(潘福海)의 후광을 입었는지 고려사에는 왕덕해(王德海)로 언급되고 있다. 1388년 무진피화에 연루되어 아버지 반익순, 동생 반복해와 함께 처형되었다.[6] 우왕(禑王)의 양자가 되어 왕씨(王氏) 성을 하사받아 왕복해(王福海)로 개명하였다.[A] 고려의 최고 관직은 광평시중, 문하시중, (도)첨의중찬, 도첨의시중, 도첨의정승 등으로 이어진다. 도첨의정승은 다시 우정승과 좌정승으로 나뉘었는데 상우(尙右) 원칙을 취해 우정승이 좌정승보다 높은 고려 최고 관직이었다. 이후 관제 개편으로 최고 관직으로 다시 문하시중을 두었고, 문하시중은 다시 문하좌시중과 문하우시중으로 나뉘었는데 이때는 상좌(尙左) 원칙을 취해 문하좌시중이 문하우시중보다 높은 최고 관직이었다. 이후 관제 개편으로 문하좌시중은 문하시중으로, 문하우시중은 수문하시중으로 하였다.[A] [9] 기성 반씨(岐城 潘氏)라고도 한다.[10] 중서문하성의 정4품 관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