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려 역대 태묘 배향공신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colbgcolor=#fedc89,#670000> 태조 | 배현경 · 홍유 · 복지겸 · 신숭겸 · 유금필 · 최응 |
혜종 | 박술희 · 김견술 | |
정종 | 왕식렴 | |
광종 | 유신성 · 서필 | |
경종 | 박양유 · 최지몽 | |
성종 | 최량 · 최승로 · 이몽유 · 서희 · 이지백 | |
목종 | 한언공 · 최숙 · 김승조 | |
현종 | 강감찬 · 최항 · 최사위 · 왕가도 | |
덕종 | 류소 | |
정종 | 서눌 · 황주량 · 최충 · 김원충 | |
문종 | 최제안 · 이자연 · 왕총지 · 최유선 | |
순종 | 이정공 | |
선종 | 문정 · 류홍 · 김상기 | |
헌종 | - | |
숙종 | 소태보 · 왕국모 · 최사추 | |
예종 | 류인저 · 윤관 · 김인존 · 위계정 · | |
인종 | 김부식 · 최사전 | |
의종 | 최윤의 · 유필 · 문공원 | |
명종 | 윤인첨 · 문극겸 | |
신종 | 조영인 | |
희종 | 최선 · 임유 | |
강종 | | |
고종 | 조충 · 이항 · 김취려 | |
원종 | 이세재 · 채정 | |
충렬왕 | 허공 · 설공검 | |
충선왕 | 홍자번 · 정가신 | |
충숙왕 | - | |
충혜왕 | 한악 · 이규 · 이조년 | |
충목왕 | - | |
충정왕 | 이암 · 이인복 | |
공민왕 | 왕후 · 이제현 · 이공수 · 조익청 · 류숙 | |
우왕 | - | |
창왕 | - | |
공양왕 | - | }}}}}}}}} |
박양유 관련 틀 | ||||||||||||||||||||||||||||||||||||||||||||||||||||||||||||||
|
<colbgcolor=#fedc89,#670000><colcolor=#670000,#fedc89> 고려 삼한공신 개국공(開國公) 광익공(匡益公) 박양유 朴良有 | |
시호 | 광익(匡益) |
생몰년 | ? ~ ? |
[clearfix]
1. 개요
고려 초기의 문관. 여타 고려 초기 인물처럼 생몰연도가 불확실하며 제대로 된 기록도 없다. 현존 기록을 살펴보면 최소 경종, 성종 두 임금을 섬겼다.2. 약력
<colbgcolor=#fedc89,#670000><colcolor=#670000,#fedc89> 역임 | ||
직위 | 공관어사(工官御事) - 지도성사(知都省事) | 공관 장관 - 어사도성 운영 관여 |
시중 | 문하시중의 전신 | |
추증 | ||
직위 | 태사 | 삼사 중 하나 |
시호 | 광익(匡益) |
3. 생애
상주박씨 족보에는 시조 사벌국왕 박언창의 손자이며 고려 개국공신으로 시중을 지낸 박욱의 아들로 기록되어 있다.자세한 기록이 전무해 박양유에 대해 잘 알기 어렵지만 경종의 신임을 받아 성종 때도 꽤 높은 자리에 있던 것으로 보인다. 성종이 자신의 조카 목종을 서경에 데려가 개령군 봉호를 물려줄 때 성종의 봉책문을 받든 두 신하 중 하나다. 이 때의 관직은 건축 및 건설 담당 부서인 공관의 장관이자 6관의 부관리자였다. 여기서 계속 승진해 시중 직위까지 올라간 것으로 보인다.
소손녕 침입 당시 임시 편성된 북계 군단 | ||
상군사(上軍士) | 중군사(中軍士) | 하군사(下軍士) |
시중(侍中) 박양유 | 내사시랑(內史侍郞) 서희 | 문하시랑(門下侍郞) 최량 |
기타 지휘관 | ||
제도(諸道) 병마제정사(兵馬齊正使) |
고려사 예지 태묘에 기록된 배향공신 중 개국공신에도 임명된 신하는 시호에 개국(開國) 미칭이 붙어있다. 박양유 또한 시호에 개국이 붙어 있어 그가 고려 개국에도 일조했음을 알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