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당 이름을 사용하는 동명이인에 대한 내용은 김상기(동명이인) 문서 참고하십시오.
고려 역대 태묘 배향공신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colbgcolor=#fedc89,#670000> 태조 | 배현경 · 홍유 · 복지겸 · 신숭겸 · 유금필 · 최응 |
혜종 | 박술희 · 김견술 | |
정종 | 왕식렴 | |
광종 | 유신성 · 서필 | |
경종 | 박양유 · 최지몽 | |
성종 | 최량 · 최승로 · 이몽유 · 서희 · 이지백 | |
목종 | 한언공 · 최숙 · 김승조 | |
현종 | 강감찬 · 최항 · 최사위 · 왕가도 | |
덕종 | 류소 | |
정종 | 서눌 · 황주량 · 최충 · 김원충 | |
문종 | 최제안 · 이자연 · 왕총지 · 최유선 | |
순종 | 이정공 | |
선종 | 문정 · 류홍 · 김상기 | |
헌종 | - | |
숙종 | 소태보 · 왕국모 · 최사추 | |
예종 | 류인저 · 윤관 · 김인존 · 위계정 · | |
인종 | 김부식 · 최사전 | |
의종 | 최윤의 · 유필 · 문공원 | |
명종 | 윤인첨 · 문극겸 | |
신종 | 조영인 | |
희종 | 최선 · 임유 | |
강종 | | |
고종 | 조충 · 이항 · 김취려 | |
원종 | 이세재 · 채정 | |
충렬왕 | 허공 · 설공검 | |
충선왕 | 홍자번 · 정가신 | |
충숙왕 | - | |
충혜왕 | 한악 · 이규 · 이조년 | |
충목왕 | - | |
충정왕 | 이암 · 이인복 | |
공민왕 | 왕후 · 이제현 · 이공수 · 조익청 · 류숙 | |
우왕 | - | |
창왕 | - | |
공양왕 | - | }}}}}}}}} |
고려 강릉 김씨의 계보도 | ||
문정공 김상기 | 문성공 김인존 | 김영석 |
강릉군부인 | ||
김고 | 강릉군군 | |
강릉군대부인 |
<colcolor=#ffdead><colbgcolor=#4682B4> 고려국 중서문하성 평장사 김상기 金上琦 | |
시호 | 문정공(文貞公) |
수직 | 수태위(守太尉) |
직위 | 문하시랑평장사(門下侍郞平章事) |
본관 | 강릉 김씨(江陵 金氏)[1] |
이름 | 상기(上琦) |
아들 | 김인존 |
생몰연도 | ? ~ ? |
[clearfix]
1. 개요
고려왕조 선종 사효대왕 대의 문관. 강릉 김씨 가문 출신이며 당대에 이름을 날린 신하이다. 아들 김인존도 배향공신이 되어 2대가 모두 묘정에 제사지내졌다.2. 상세
그러나 본인에 관한 기록은 거의 없다. 대부분 고려 초중기 인물이 그렇듯 김상기의 가문, 가족, 생애는 역사 속에 잊혀졌다. 김상기가 강릉 김씨인 것도 아들 김인존 열전 덕분에 알 수 있는 것이다.손자 김영석의 묘지명에 따르면 아버지는 상서우복야(尙書右僕射)[2] 대사(大師) 김양(金陽)이다. 아들은 김인존. 아들 외에 딸이 하나 있는데 작호는 강릉군대부인(江陵郡大夫人)으로 최윤의의 어머니이다. 딸의 봉토가 강릉군인 것을 보면 김상기도 강릉 김씨일 가능성이 더욱 높다고 볼 수 있다.
김상기는 그닥 큰 문벌귀족 가문 출신이 아니다. 그러나 중서문하성의 3등급 평장사까지 올라갔으며 자신의 딸이 당대의 대가문 해주 최씨에게 시집 간 것을 보면 김상기 개인의 능력이 매우 뛰어났다고 추측할 수 있다.
아들 김인존을 시작으로 강릉 김씨 가문의 권세가 점차 올라가는데, 이는 김상기가 정치작업을 잘 해놓았기에 김인존은 더 쉽게 올라갈 수 있었던 것이다.
장남 김인존이 북송에 외교관으로 가있을 때 사망했다고 한다. 사후 수태위, 문하시랑평장사 직을 받고 선종의 묘정에 모셔지는 영광을 누리니, 류홍, 문정과 같은 반열에 세워졌다.
아들로 김연(김인존), 김고가 있었다. 김연의 자식이자 본인의 손자 김영석(金永錫)의 묘지명이 남아있다. 김영석은 할아버지 김상기의 권세를 통해 음서제로 관직을 시작했다고 한다. 또 기록돼있는 김상기의 최후 관작은:
- 직위: 문하시랑평장사(門下侍郎平章事) - 판예병부사(判禮兵部事) - 감수국사(監修國史)
- 수직: 수태위(守太尉)
- 훈위: 상주국(上柱國)