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12-04 11:04:09

이제현

파일:고려 의장기.svg
고려 문하시중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670000,#fedc89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fedc89,#670000> 고려 초기
(918~981)
<colcolor=#373a3c,#ddd> 광평시중
김행도 | 박질영 | 류덕영 | 공훤 | 왕철 | 권직
문벌귀족기
(981~1170)
문하시중
최승로 | 박양유 | 한언공 | 김승조 | 최숙 | 류윤부 | 위수여 | 유진 | 최사위 | 유방 | 강감찬 | 서눌 | 황주량 | 최제안 | 최충 | 이자연 | 김원충 | 왕총지 | 김원정 | 박성걸 | 최유선 | 이정 | 문정 | 이정공 | 소태보 | 최사추 | 위계정 | 윤관 | 김경용 | 이위 | 김인존 | 이공수 | 김부식 | 김약온 | 임원후 | 왕충
무신정권
(1170~1270)
정중부 | 두경승 | 이의민 | 조영인 | 최충헌 | 이항 | 이연수 | 김취려 | 최종준 | 최항 | 김준 | 이장용
원 간섭기
(1270~1356)
김방경
(도)첨의중찬 · 도첨의시중 · 도첨의정승
김방경 | 류경 | 송송례 | 원부 | 허공 | 김방경 | 홍자번 | 조인규 | 홍군상 | 홍자번 | 홍규 | 홍자번 | 조인규 | 정가신 | 조인규 | 김혼 | 송분 | 홍자번 | 설공검 | 염승익 | 송분 | 한희유 | 한강 | 한희유 | 송분 | 홍자번 | 한희유 | 채인규 | 한희유 | 안향 | 한희유 | 한희유 | 김혼 | 정인경 | 최유엄 | 김지숙 | 최유엄 | 최유엄 | 이혼 | 류청신 | 홍규 | 류청신 | 권부 | 김이용 | 김이용 | 민지 | 배정 | 김태현 | 윤보 | 최유엄 | 김심 | 민지 | 김이 | 김이 | 윤석 | 정방길 | 윤석 | 김심 | 한악 | 윤석 | 강융 | 권한공 | 조적 | 한악 | 윤석 | 채하중 | 이능간 | 기철 | 채하중 | 한종유 | 왕후 | 김륜 | 김영후 | 김영후 | 인승단 | 노책 | 김영돈 | 왕후 | 노책 | 노책 | 손수경 | 손수경 | 이암 | 이제현 | 손기 | 송서 | 조일신 | 정천기 | 송서 | 조일신 | 이제현 | 조익청 | 홍빈 | 조익청 | 인승단 | 채하중 | 염제신 | 염제신 | 류탁 | 채하중 | 채하중 | 이능간 | 이제현 | 홍언박 | 홍언박 | 윤환
여말선초
(1356~1392)
문하시중 · 도첨의정승 · 도첨의시중
홍언박 | 윤환 | 이제현 | 염제신 | 염제신 | 이암 | 홍언박 | 류탁 | 염제신 | 류탁 | 류탁 | 김일봉 | 김일봉 | 경복흥 | 경복흥 | 류탁 | 경복흥 | 김보 | 이춘부 | 이인임 | 이춘부 | 이인임 | 윤환 | 경복흥 | 염제신 | 경복흥 | 이인임 | 윤환 | 이인임 | 홍영통 | 이자송 | 조민수 | 임견미 | 최영 | 이성림 | 임견미 | 이성림 | 이인임 | 이성림 | 반익순 | 반익순 | 이성림 | 최영 | 이성계 | 최영 | 우현보 | 조민수 | 이성계 | 이색 | 이성계 | 이림 | 심덕부 | 이성계 | 정몽주 | 이성계 | 이성계 | 심덕부 | 배극렴 | 이성계
고려 국왕 · 무신정권 집권자
고구려 (좌우보 · 국상 · 대막리지) · 백제 (좌우보 · 상좌평)
신라 (대보 · 시중 · 상대등) · 발해 대내상 · 태봉 시중 · 고려 문하시중
조선 영의정 · 대한제국 내각총리대신 · 임시정부 부수반 · 대한민국 국무총리
}}}
}}}}}}}}}

이제현 관련 틀
[ 펼치기 · 접기 ]
파일:고려 의장기.svg
고려 판삼사사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670000,#fedc89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fedc89,#670000> 고려 초기
(918~981)
<colcolor=#000> -
문벌귀족기
(981~1170)
왕가도 이유충 김약진 최유길 류석 임간 오수증 이오 왕하 오연총 이자겸 최계방 강증 이궤 박경인 왕자지 최홍재 김부식 임경청 이중 한유충 왕충 최관 최유청 문공원 최함 김거공 최유칭 김영윤 서공
무신정권
(1170~1270)
임유겸 정극온 김취려 이적유
원 간섭기
(1270~1356)
공유 정가신 박지량 한희유 김흔 김지숙 홍규 최유엄 정인경 설영임 정해 김심 김태현 김혼 이호 김순 김태현 강융 박허중 이제현 권겸 박충좌 이제현 손수경 손홍량 김나해 이몽가 조일신 이권 홍언박 류탁 조유 강천유 강윤충 강인백
여말선초
(1356~1392)
원호 이수산 이인복 전보문 이수산 최영 이색 이색 이색 심덕부 설장수 조준
}}}}}}}}}}}} ||

파일:고려 의장기 문양.svg 고려 역대 태묘 배향공신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fedc89,#670000> 태조 배현경 · 홍유 · 복지겸 · 신숭겸 · 유금필 · 최응
혜종 박술희 · 김견술
정종 왕식렴
광종 유신성 · 서필
경종 박양유 · 최지몽
성종 최량 · 최승로 · 이몽유 · 서희 · 이지백
목종 한언공 · 최숙 · 김승조
현종 강감찬 · 최항 · 최사위 · 왕가도
덕종 류소
정종 서눌 · 황주량 · 최충 · 김원충
문종 최제안 · 이자연 · 왕총지 · 최유선
순종 이정공
선종 문정 · 류홍 · 김상기
헌종 -
숙종 소태보 · 왕국모 · 최사추
예종 류인저 · 윤관 · 김인존 · 위계정 · 왕자지
인종 김부식 · 최사전
의종 최윤의 · 유필 · 문공원
명종 윤인첨 · 문극겸
신종 조영인
희종 최선 · 임유
강종 최이 · 정극온
고종 조충 · 이항 · 김취려
원종 이세재 · 채정
충렬왕 허공 · 설공검
충선왕 홍자번 · 정가신
충숙왕 -
충혜왕 한악 · 이규 · 이조년
충목왕 -
충정왕 이암 · 이인복
공민왕 왕후 · 이제현 · 이공수 · 조익청 · 류숙
우왕 -
창왕 -
공양왕 - }}}}}}}}}

<colbgcolor=#fedc89,#670000><colcolor=#670000,#fedc89> 고려사(高麗史)
{{{#!wiki style="margin: 0 -10px -6px; min-height: calc(1.5em + 6px); word-break: keep-all"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in-width:25%"
{{{#!folding [ 세가(世家)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rowcolor=#670000,#fedc89> 1·2권 3권 4·5권
태조 · 혜종 · 정종定宗 · 광종 · 경종 성종 · 목종 현종 · 덕종
<rowcolor=#670000,#fedc89> 6권 7·8·9권 10권
정종靖宗 문종 · 순종 선종 · 헌종
<rowcolor=#670000,#fedc89> 11·12·13·14권 15·16·17·18·19·20권 21권
숙종 · 예종 인종 · 의종 · 명종 신종 · 희종 · 강종
<rowcolor=#670000,#fedc89> 22·23·24권 25·26·27권 28·29·30·31·32권
고종 원종 충렬왕
<rowcolor=#670000,#fedc89> 33·34·35권 36권 37권
충선왕 · 충숙왕 충혜왕 충목왕 · 충정왕
<rowcolor=#670000,#fedc89> 38·39·40·41·42·43·44권 133·134·135·136·137권열전 45·46권
공민왕 우왕 · 창왕 공양왕
<colbgcolor=#fedc89,#670000><colcolor=#670000,#fedc89> [ 지(志) ]
47·48·49권 「천문(天文)」 / 50·51·52권 「역(曆)」 / 53·54·55권 「오행(五行)」 / 56·57·58권 「지리(地理)」 / 59·60·61·62·63·64·65·66·67·68·69권 「예(禮)」 / 70·71권 「악(樂)」 / 72권 「여복(輿服)」 / 73·74·75권 「선거(選擧)」 / 76·77권 「백관(百官)」 / 78·79·80권 「식화(食貨)」 / 81·82·83권 「병(兵)」 / 84·85권 「형법(刑法)」
[ 표(表) ]
86·87권 「연표(年表)」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in-width:25%"
{{{#!folding [ 후비·종실·공주 열전(列傳)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88권 「후비1(后妃一)」
89권 「후비2(后妃二)」
90권 「종실1(宗室一)」
91권 「종실2(宗室二)」·「공주(公主)」
태조
신혜왕후 유씨 · 장화왕후 오씨 · 신명순성왕태후 유씨 · 신정왕태후 황보씨 · 신성왕태후 김씨 · 정덕왕후 유씨 · 헌목대부인 평씨 · 정목부인 왕씨 · 동양원부인 유씨 · 숙목부인 · 천안부원부인 임씨 · 흥복원부인 홍씨 · 후대량원부인 이씨 · 대명주원부인 왕씨 · 광주원부인 왕씨 · 소광주원부인 왕씨 · 동산원부인 박씨 · 예화부인 왕씨 · 대서원부인 김씨 · 소서원부인 김씨 · 서전원부인 · 신주원부인 강씨 · 월화원부인 · 소황주원부인 · 성무부인 박씨 · 의성부원부인 홍씨 · 월경원부인 박씨 · 몽량원부인 박씨 · 해량원부인
태자 왕태 · 문원대왕 왕정 · 증통국사 · 대종 왕욱 · 안종 왕욱 · 왕위군 · 인애군 · 원장태자 · 조이군 · 수명태자 · 효목태자 왕의 · 효은태자 · 원녕태자 · 효성태자 왕림주 · 효지태자 · 태자 왕직 · 광주원군 · 효제태자 · 효명태자 · 법등군 · 자리군 · 의성부원대군 · 안정숙의공주 · 흥방궁주 · 대목왕후 · 문혜왕후 · 선의왕후 · (정덕왕후 소생 공주) · 순안왕대비 · (흥복원부인 소생 공주) · (성무부인 소생 공주)
{{{#!wiki style="margin: -16px -11px" 혜종 정종 광종
의화왕후 임씨 · 후광주원부인 왕씨 · 청주원부인 김씨 · 궁인 애이주 문공왕후 박씨 · 문성왕후 박씨 · 청주남원부인 김씨 대목왕후 황보씨 · 경화궁부인 임씨
흥화궁군 · 태자 왕제 · 경화궁부인 · 정헌공주 · 명혜부인 경춘원군 · (문성왕후 소생 공주) 효화태자 · 천추전부인 · 보화궁부인 · 문덕왕후
경종 성종 목종
헌숙왕후 김씨 · 헌의왕후 유씨 · 헌애왕태후 황보씨 · 헌정왕후 황보씨 · 대명궁부인 유씨 문덕왕후 유씨 · 문화왕후 김씨 · 연창궁부인 최씨 선정왕후 유씨 · 궁인 김씨
- 원정왕후 · 원화왕후 - }}}
현종
원정왕후 김씨 · 원화왕후 최씨 · 원성태후 김씨 · 원혜태후 김씨 · 원용왕후 유씨 · 원목왕후 서씨 · 원평왕후 김씨 · 원순숙비 김씨 · 원질귀비 왕씨 · 귀비 유씨 · 궁인 한씨 · 궁인 이씨 · 궁인 박씨
평양공 왕기 · 검교태사 왕충 · 효정공주 · 천수전주 · 인평왕후 · 경숙공주 · 효사왕후 · 효경공주 · 경성왕후 · 아지
덕종 정종
경성왕후 김씨 · 경목현비 왕씨 · 효사왕후 김씨 · 이씨 · 유씨 용신왕후 한씨 · 용의왕후 한씨 · 용목왕후 이씨 · 용절덕비 김씨 · 연창궁주 노씨
상회공주 · (유씨 소생 공주) 애상군 왕방 · 낙랑후 왕경 · 개성후 왕개 · 도애공주
문종
인평왕후 김씨 · 인예순덕태후 이씨 · 인경현비 이씨 · 인절현비 이씨 · 인목덕비 김씨
대각국사 왕후 · 상안공 왕수 · 도생승통 왕탱 · 금관후 왕비 · 변한후 왕음 · 낙랑후 왕침 · 총혜수좌 왕경 · 조선공 왕도 · 부여후 왕수 · 진한후 왕유 · 적경궁주 · 보령궁주
순종 선종
정의왕후 왕씨 · 선희왕후 김씨 · 장경궁주 이씨 정신현비 이씨 · 사숙태후 이씨 · 원신궁주 이씨
- 한산후 왕윤 · 경화왕후 · (사숙태후 소생 공주) · 수안택주
숙종 예종
명의태후 유씨 경화왕후 이씨 · 문경태후 이씨 · 문정왕후 왕씨 · 숙비 최씨
상당후 왕필 · 원명국사 징엄 · 대방공 왕보 · 대원공 왕효 · 제안후 왕서 · 통의후 왕교 · 대령궁주 · 흥수궁주 · 안수궁주 · 복령궁주 승덕공주 · 흥경공주
{{{#!wiki style="margin: -16px -11px" 인종 의종 명종
폐비 이씨 · 폐비 이씨 · 공예태후 임씨 · 선평왕후 김씨 장경왕후 김씨 · 장선왕후 최씨 광정태후 김씨
대령후 왕경 · 원경국사 충희 · 승경궁주 · 덕녕궁주 · 창락궁주 · 영화궁주 효령태자 왕기 · 경덕궁주 · 안정궁주 · 화순궁주 왕선사 · 왕홍기 · 왕홍추 · 왕홍규 · 왕홍균 · 왕홍각 · 왕홍이 · 연희궁주 · 수안궁주 }}}
신종 희종
선정태후 김씨 성평왕후 임씨
양양공 왕서 · 효회공주 · 경녕궁주 창원공 왕지 · 시령후 왕위 · 경원공 왕조 · 대선사 경지 · 충명국사 각응 · 안혜태후 · 영창공주 · 덕창궁주 · 가순궁주 · 정희궁주
{{{#!wiki style="margin: -16px -11px" 강종 고종 원종
사평왕후 이씨 · 원덕태후 유씨 안혜태후 유씨 순경태후 김씨 · 경창궁주 유씨
수령궁주 안경공 왕창 · 수흥궁주 시양후 왕이 · 순안공 왕종 · 경안궁주 · 함녕궁주
충렬왕 충선왕 충숙왕
제국대장공주 · 정신부주 · 숙창원비 김씨 계국대장공주 · 의비 · 정비 · 순화원비 홍씨 · 조비 · 순비 허씨 복국장공주 · 조국장공주 · 경화공주 · 명덕태후 홍씨 · 수비 권씨
강양공 왕자 · 소군 왕서 · 정녕원비 · 명순원비 세자 왕감 · 덕흥군 용산원자
충혜왕 공민왕 공양왕
덕녕공주 · 희비 윤씨 · 화비 홍씨 · 은천옹주 임씨 휘의노국대장공주 · 혜비 이씨 · 익비 한씨 · 정비 안씨 · 신비 염씨 순비 노씨
석기 · 장녕공주 - 세자 왕석 · 숙녕궁주 · 정신궁주 · 경화궁주 }}}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in-width:25%"
{{{#!folding [ 열전(列傳)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92권
홍유 배현경 신숭겸 복지겸 · 유금필 · 최응 · 최언위 (최광윤 최행귀 최광원) · 왕유 왕자지 · 박술희 · 최지몽 · 왕식렴 · 박수경 · 왕순식 이총언 견금 윤선 흥달 선필 태평 · 공직 · 박영규
93권
서필 · 최승로 최제안 · 쌍기 · 최량 · 한언공 · 류방헌 · 김심언 · 최항 · 채충순
94권
서희 서눌 서공 · 유진 · 강감찬 · 최사위 · 황보유의 장연우 · 양규 (양대춘) · 지채문 지녹연 · 하공진 · 김은부 · 주저 · 강민첨 · 곽원 · 왕가도 · 김맹 · 류소 · 윤징고 · 위수여 · 전공지 · 이주헌 · 이주좌 · 안소광 · 조지린
95권
최충 최유선 최사제 최약 최윤의 · 이자연 이자량 이자인 이혁유 이자현 이자덕 이예 이공수 이지저 이오 이광진 · 박인량 박경인 박경백 박경산 · 황주량 · 류신 · 왕총지 · 위계정 · 소태보 왕국모 고의화 · 문정 · 정문 · 김원정 · 손관 · 최사량 · 김선석 · 임의 임원후 임극충 임극정 임부 임유 임익 임항 · 김한충
96권
최사추 · 김인존 · 윤관 윤언순 (윤언식 윤언민 윤언이) 윤인첨 윤세유 윤상계 · 오연총
97권
김부일 김부의 · 고령신 · 김황원 이궤 · 곽상 곽여 · 유재 호종단 신안지 · 김경용 (김인규) · 최홍사 · 한안인 · 이영 · 한충 · 임개 유녹숭 · 김준 · 류인저 · 강증 · 허경 · 문관 · 정항 정서 · 김극검 · 김약온
98권
김부식 김돈중 김군수 · 정습명 · 고조기 · 김정순 · 정극영 · 박정유 · 최사전 · 김향 · 최자성 · 김진 · 임완 · 최기우 · 김수자 · 최유 · 이숙 이위 · 허재
99권
양원준 · 최유청 최당 최린 최선 최종준 최온 최문본 최평 최옹 · 이공승 · 신숙 · 한문준 · 문극겸 · 류공권 류택 · 조영인 · 왕세경 · 이순우 · 임민비 · 최척경 · 함유일 · 염신약 · 이지명 · 유응규 유자량 · 현덕수 · 최균 최보순 최윤개 · 김거공 · 한유한
100권
두경승 · 우학유 · 노영순 · 조위총 · 방서란 · 박제검 · 기탁성 · 홍중방 · 경대승 · 진준 · 최세보 · 박순필 · 이영진 · 백임지 · 이준창 · 최충렬 · 정세유 정숙첨 정안 · 정국검 이유성 · 정방우 · 정언진
101권
민영모 민식 · 송저 · 김광중 김체 · 안유발 · 최여해 · 최우청 · 왕규 · 차약송 기홍수 · 정극온 · 류광식 · 권경중 · 김태서 김약선 김미 · 문한경 권세후 백돈명 · 노인수 · 김의원
102권
금의 · 이규보 이익배 · 유승단 · 김인경 김승무 · 이공로 · 이인로 오세재 조통 임춘 · 조문발 · 이순목 이수 · 김창 · 송국첨 · 최자 하천단 · 채송년 채정蔡楨 · 손변 · 권수평 · 이순효 장순량 · 송언기 · 김수강 · 김지대 · 이장용
<rowcolor=#670000,#fedc89> 103권 104권
조충 조변 · 김취려 김문연 김변 · 이적 · 채정蔡靖 · 박서 송문주 · 김경손 김혼 · 최춘명 · 김희제 · 이자성 · 김윤후 · 김응덕 김방경 김구용 김제안 김흔 김순 김영돈 김영후 김사형 박구 · 한희유 · 나유 나익희 · 원충갑 · 김주정 김심 김종연 김석견
105권
류경 류승 류돈 류만수 · 허공 허종 허관 허금 허부 허유 · 홍자번 홍승서 홍영통 · 정가신 · 안향 안우기 안목 · 설공검 · 유천우 · 조인규 조서 조연 조덕유 조린 조연수 조위
106권
백문절 백이정 · 박항 · 곽예 · 주열 · 이주 이행검 · 장일 · 김구 · 이승휴 이연종 · 김훤 김개물 · 정해 정오 정포 정공권 · 조간 · 심양 · 추적 이인정 채우 · 김유성 곽린 · 윤해 윤택 · 이영 · 엄수안 · 안전 · 최수황 · 박유 · 홍규 홍융
<rowcolor=#670000,#fedc89> 107권 108권
한강 한악 한수 한방신 · 원부 원충 원호 원선지 원송수 · 김련 · 김부윤 · 정인경 · 권단 권부 권준 권렴 권용 권적 (권고) 권화 권근 · 민지 민상정 민종유 민적 민사평 민변 민제 · 김지숙 김인연 · 정선 · 이혼 · 최성지 최문도 · 채홍철 · 김이 · 이인기 · 홍빈 · 조익청 · 배정지 · 손수경
109권
박전지 · 오형 · 이진 · 윤신걸 박효수 · 허유전 · 박충좌 · 윤선좌 · 이조년 이승경 · 이곡 · 우탁 · 안축 안종원 안보 · 최해 · 장항 · 이성 · 조렴 왕백 · 이백겸 · 신군평
<rowcolor=#670000,#fedc89> 110권 111권
최유엄 · 김태현 김광재 · 김륜 김경직 김희조 김승구 · 왕후 왕중귀 · 한종유 · 이제현 이달존 이보림 · 이능간 염제신 · 이암 이강 · 홍언박 홍사우 류연 · 류탁 · 경복흥 · 김속명 · 이자송 · 조돈 조인옥 · 최재 · 송천봉 · 홍중선 · 김도 · 임박 · 문익점
112권
이공수 · 류숙 류실 · 이인복 · 백문보 · 전녹생 · 이존오 · 이달충 · 설손 설장수 · 한복 · 이무방 · 정습인 · 하윤원 · 박상충 · 박의중 · 조운흘
113권
안우 김득배 이방실 · 정세운 · 안우경 · 최영 · 정지 · 윤가관 · 김장수
114권
윤환 · 이성서 · 이수산 이념 · 이승로 · 황상 · 지용수 · 나세 · 김선치 · 전이도 · 구영검 · 오인택 · 김보 · 변광수 · 정지상 · 임군보 · 나흥유 · 목인길 · 김유 · 양백연 · 지용기 · 하을지 · 우인열 · 문달한 · 김주 · 최운해
{{{#!wiki style="margin: -16px -11px"<rowcolor=#670000,#fedc89> 115권 116권 117권
이색 · 우현보 · 이숭인 심덕부 · 이림 · 왕강 · 박위 · 이두란 · 남은 정몽주 · 김진양 · 강회백 · 이첨 · 성석린
<rowcolor=#670000,#fedc89> 118권 119권 120권
조준 정도전 윤소종 윤회종 · 오사충 · 김자수 }}}
121권
<rowcolor=#670000,#fedc89> 「양리(良吏)」 「충의(忠義)」
유석 · 왕해 · 김지석 · 최석 · 정운경 홍관 · 고보준 · 정의 · 문대 · 조효립 · 정문감
<rowcolor=#670000,#fedc89> 「효우(孝友)」 「열녀(烈女)」
문충 · 석주 · 최루백 · 위초 · 서릉 · 김천 · 황수 · 정유 · 조희참 · 정씨 · 손유 · 권거의 노준공 · 신씨 · 윤구생 · 반전 · 군만 유씨 · (현문혁의 처) · (홍의의 처) · (안천검의 처) · (강화부 세 여인) · 최씨 · 배씨 · 문씨 · 김씨 · 안씨 · 이씨 · (권금의 처)
122권
{{{#!wiki style="margin: -16px -11px"<rowcolor=#670000,#fedc89> 「방기(方技)」 「환자(宦者)」 「혹리(酷吏)」
김위제 · 이녕 (이광필) · 이상로 · 오윤부 · 설경성 정함 · 백선연 · 최세연 · 이숙 · 임백안독고사 · 방신우 · 이대순 · 우산절 · 고용보 · 김현 · 안도치 · 신소봉 · 이득분 · 김사행 송길유 · 심우경 }}}
123권 「폐행1(嬖幸一)」
유행간 · 영의 · 김존중 · 정세신 · 백승현 · 강윤소 · 염승익 · 이분희 이습 · 권의 채모 이덕손 · 임정기 (민훤) · 주인원 · 이지저 고종수 김유 · 인후 인승단 · 장순룡 차신 노영 · 조윤통
124권 「폐행2(嬖幸二)」
윤수 윤길보 (송화) · 이정 김문비 이병 · 원경 · 박의 · 박경량 · 전영보 · 강윤충 · 배전 · 민환 · 윤석 · 손기 · 정방길 임중연 강융 · 신청 박청 · 왕삼석 양재 조신경 최노성 윤현 안규 · 최안도 이의풍 김지경 이인길 · 노영서 박양연 송명리 · 김흥경 · 반복해 · 신원필
125권 「간신1(姦臣一)」
문공인 · 박승중 · 최홍재 · 최유칭 · 박훤 · 송분 · 왕유소 · 송방영 · 오잠 석주 · 김원상 · 류청신 · 권한공 · 채하중 · 신예 전숙몽 · 이춘부 · 김원명 · 김횡 · 지윤
126권 「간신2(姦臣二)」
이인임 · 임견미 · 염흥방 · 조민수 · 변안열 · 왕안덕
{{{#!wiki style="margin: -16px -11px"<rowcolor=#670000,#fedc89> 127권 「반역1(叛逆一)」 128권 「반역2(叛逆二)」 129권 「반역3(叛逆三)」
환선길 · 이흔암 · 왕규 · 김치양 · 강조 · 이자의 · 이자겸 · 척준경 · 묘청 (정지상) 정중부 이광정 송유인 · 이의방 · 이의민 · 정방의 · 조원정 석린 최충헌 최이 최항 최의 }}}
<rowcolor=#670000,#fedc89> 130권 「반역4(叛逆四)」 131권 「반역5(叛逆五)」
한순 다지 · 홍복원 (홍차구 홍군상 홍선 장위 류종) · 이현 · 조숙창 · 조휘 · 김준 · 임연 · 조이 김유 이추 · 한홍보 · 우정 · 최탄 · 배중손 조적 · 조일신 · 김용 · 기철 · 노책 · 권겸 · 최유 · 홍륜 · 김문현 · 김의
132권 「반역6(叛逆六)」
신돈
133·134·135·136·137권
신우(우왕) (신창(창왕)) }}}}}}}}}}}}
<colbgcolor=#fedc89><colcolor=#670000> 고려 섭정승권단정동성사·도첨의정승·문하시중
계림부원군(雞林府院君) 문충공(文忠公)
이제현
李齊賢
파일:이제현 초상(수정본).jpg
국보 제110호 이제현 초상[1]
출생 1288년 2월 4일[2]
(충렬왕 13년, 음력 12월 24일)[3]
개경 경성부
사망 1367년 9월 1일[4] (향년 79세)
(공민왕 16년, 음력 7월 29일)[5]
국적 파일:고려 의장기.svg 고려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정보 더 보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colbgcolor=#fedc89><colcolor=#670000> 본관 경주 이씨
초명 이지공(李之公)
중사(仲思)
익재(益齋), 역옹(櫟翁), 실재(實齋)
신장 장신[6]
공신호 단성익찬공신(1320)
추성양절공신(1325)
수종공신(1342)
추성양절동덕협의찬화공신(1351)
순성직절동덕찬화공신(1352)
주요 관직 정당문학(1325, 1330)
첨의평리(?)
영예문관사(1336)
판삼사사(1344)
정승권단정동성사(1351)
도첨의정승(1351)
우정승(1352, 1354)
태위(1356)
문하시중(1356)
작위 김해후(金海侯)[7]
봉호 김해부원군(金海府院君)[8]
계림부원군(雞林府院君)[9]
시호 문충공(文忠公)
부모 부: 검교정승 이진(李瑱)
모: 진한국대부인 박씨(朴氏)[10]
링크 《고려사》 권110, 열전23 이제현 }}}}}}}}}
1. 개요2. 생애3. 가계4. 기타5. 대중매체에서6. 둘러보기

[clearfix]

1. 개요

고려 후기의 문신·성리학자·역사학자·시인·음악가·화가이다. 초명은 이지공(李之公), 자는 중사(仲思), 호는 익재(益齋), 역옹(櫟翁), 실재(實齋). 본관은 경주. 검교정승(檢校政丞) 임해군(臨海君) 이진(李瑱)의 차남으로 경주 이씨(慶州李氏) 익재공파(益齋公派)의 파조(派祖)이다.

충렬왕·충선왕·충숙왕·충혜왕·충목왕·충정왕·공민왕 등 7명의 왕을 섬기며, 고려 최고 관직인 섭정승권단정동성사(攝政丞權斷征東省事)[A], 도첨의정승(都僉議政丞), 우정승(右政丞)[12], 문하시중(門下侍中) 등을 역임하며 4차례 집정(執政)하였고, 5차례 공신(功臣)에 책록되었고, 김해후(金海侯), 김해부원군(金海府院君), 계림부원군(鷄林府院君)으로 봉해졌다. 시호는 문충(文忠)이고 공민왕의 묘정에 배향되었다.

2. 생애

1301년(충렬왕 27) 15세의 나이로 국자감시[13]에 1등으로 합격했고, 같은 해 문과[14]에도 합격하였는데, 이제현은 "이것은 소소한 재주일 뿐이다."라고 하면서 경적(經籍)을 더욱 근면히 토론하였고 매우 넓고 깊으며 정밀하게 연구하였으므로 부친인 이진(李瑱)이 기뻐하면서 "하늘이 아마도 우리 가문을 더욱 빛나게 하려는구나."라고 하였다. 이때 지공거였던 권부(權溥)의 눈에 띄어 1302년(충렬왕 28) 권부의 딸과 혼인하였고,[15] 1303년(충렬왕 29) 17세의 나이로 본격적인 관직의 길에 오른다. 얼마 지나지 않아 부인 권씨와 사별하고 박거실의 딸과 재혼했고, 이후 박씨마저 사별해 서중린의 딸과 3번째로 혼인하였다. 1308년(충렬왕 34) 예문춘추관(藝文春秋館)에 뽑혀 들어갔다.

1309년(충선왕 1) 사헌규정(司憲糾正)[16]에 발탁되었고, 이후 1312년(충선왕 4) 서해도안렴사(西海道按廉使)에 임명된 것을 비롯하여 여러 관직을 거쳐 성균악정(成均樂正)[17]이 되었다.

1314년(충숙왕 1) 백이정(白頤正)의 문하에서 정주학(程朱學)을 공부하였고, 동년 당시 상왕(上王)이었던 충선왕의 부름을 받아 원나라 수도 연경(燕京)으로 건너가 만권당(萬卷堂)에 머무르면서 당대의 학자들이었던 조맹부(趙孟頫), 염복(閻復), 우집(虞集), 요수(姚燧) 등과 교류하였고 나날이 학문이 증진하였다. 이에 원나라 학자들의 칭찬과 찬탄이 끊이지 않았다. 1316년(충숙왕 3) 충선왕을 대신해 사천성의 명산인 아미산을 유람하였고, 1318년(충숙왕 5) 충선왕이 절강성의 보타사에 행차할 때 시종하였다. 1320년(충숙왕 7) 충선왕은 이제현을 지밀직사사(知密直司事)로 옮겨 단성익찬공신(端誠翊贊功臣) 칭호를 하사하고 토지와 노비를 하사함으로써 강남[燕吳][18]에서 호종한 공로를 포상하였으며, 원 황제에게 주청하여 고려왕부단사관(高麗王府斷事官)을 제수하였다.

1320년(충숙왕 7) 충선왕이 티베트유배되자 사면을 청하였고 결국 감숙성의 도스마(朶思麻, 타사마)로 유배지를 옮기게 하였다. 1323년(충숙왕 10) 류청신(柳淸臣), 오잠(吳潛) 등의 권신(權臣)들이 고려를 원나라의 행성(行省)으로 편입시키고 심왕(瀋王) 왕고(王暠)의 통치를 받게 하려고 획책한 소위 제2차 입성책동(立省策動)이 발생했으나 도첨의사사(都僉議司使)[19] 이제현과 원나라 통사사인(通事舍人) 왕관(王觀)의 상서(上書)로 무산됐다.#1#2 유배된 충선왕을 만나기 위해 감숙성까지 다녀왔고, 이때 겪은 경험이 만권당에서 맺은 교우와 마찬가지로 이제현에게 큰 영향을 주게 된다.

1324년(충숙왕 11) 밀직사사(密直司使)[20]를 거쳐, 1325년(충숙왕 12) 추성양절공신(推誠亮節功臣)에 책록되고 정당문학(政堂文學)이 되어 재상의 지위에 오르게 되었다. 1330년(충숙왕 17) 다시 정당문학이 되었다. 비슷한 시기에 첨의평리(僉議評理)에 오르고 김해군(金海君)에 봉해졌다.[21] 1336년(충숙왕 후5) 삼중대광(三重大匡)[22] 영예문관사(領藝文館事)[23]에 올랐다.[24]

1339년(충혜왕 복위) 8월 조적(曺頔) 등이 심왕(瀋王) 왕고(王暠)를 옹립하고자 일으킨 반란인 소위 조적의 난이 발생하였고, 충혜왕은 이를 직접 진압했으나 동년 11월 반란 세력과 함께 원나라에 압송되어 원나라 형부(刑部)에 투옥되었다. 이때 이제현은 원나라까지 충혜왕을 수종하였고 1340년(충혜왕 1) 3월 왕이 석방되는데 큰 역할을 하였다. 그러나 고려로 귀국한 후 군소배(群小輩)들이 더욱 날뛰자 이제현은 은거하고 두문불출하게 되었다. 이 기간에 고려시대 3대 문학비평서로 평가받는 역옹패설(보물 제1893호)을 저술하게 되었다. 1342년(충혜왕 후3) 조적의 난을 평정한 공으로 수종공신(隨從功臣) 1등에 책록되었고 철권(鐵券)을 하사받았다.

1344년(충목왕 즉위) 충목왕이 즉위하고 판삼사사(判三司事)에 임명되면서 정치 활동을 재개하는데 여러 개혁안을 제시하기도 하였다. 충목왕 사후 원나라에 있던 왕기를 왕으로 추대하려고 했으나 실패했다. 1346년(충목왕 2)경에 부원군에 봉해졌다. 상세한 기록은 없으나 김해부원군(金海府院君)으로 봉해진 듯하다.

1351년(충정왕 3) 10월 원나라 순제충정왕폐위하고 왕기(王祺, 공민왕)[25]를 고려 국왕으로 봉했다. 원나라에서 귀국길에 오른 공민왕은 그 사이의 정치적 공백을 메우기 위해 신진사대부들의 수장격인 이제현을 섭정승권단정동성사(攝政丞權斷征東省事)[A]에 임명하였다.

1351년(공민왕 즉위) 11월 정식으로 도첨의정승(都僉議政丞)에 임명된 이제현은 정동행성(征東行省)의 이문(理問) 배전(裴佺)과 박수명(朴守命)을 정동행성에 하옥하고, 직성군(直城君) 노영서(盧英瑞)를 가덕도(可德島)로, 찬성사(贊成事) 윤시우(尹時遇)[27]를 각산(角山)으로 유배 보냈으며, 찬성사(贊成事) 정천기(鄭天起)를 제주목사(濟州牧使)로, 지도첨의사사(知都僉議司事) 한대순(韓大淳)을 기장감무(機張監務)로 좌천시켰다. 공민왕이 원나라에 있어 나라가 비어 있었으나 이제현의 조치가 적절하였으므로 사람들이 신뢰하고 안도하였다. 동년 12월 공민왕이 귀국하여 정식으로 고려 국왕으로 즉위하였다.

공민왕의 귀국 후 원나라에서 왕을 수행했던 조일신(趙日新)이 그 공을 내세우며 자신보다 높은 지위에 있던 이제현을 시기하였다. 이에 이제현은 거듭 사직을 청하였으나 왕은 허락치 않고 추성양절동덕협의찬화공신(推誠亮節同德協義贊化功臣)의 칭호를 더해주었다. 다시 세 번 더 사직을 청하여 드디어 치사(致仕)하였는데 덕분에 1352년(공민왕 1) 조일신의 난 때 화를 피할 수 있었다.

반란이 진압되고 조일신이 처형된 후 공민왕은 이제현을 우정승(右政丞)으로 삼아 정국을 수습하였고 순성직절동덕찬화공신(純誠直節同德贊化功臣)의 칭호를 내렸다. 1353년(공민왕 2) 정월 우정승을 사임한 후 동년 5월 김해군(金海君)으로서 다시 지공거(知貢擧)가 되어 이색(李穡) 등 35인을 선발하였다.

1354년(공민왕 3) 12월 다시 우정승이 되었고, 1355년(공민왕 4) 다시 김해부원군(金海府院君)에 봉해졌다. 1356년(공민왕 5) 정월 초하루 침원(寢園)의 봄 제향에서 태위(太尉)가 되어 종헌(終獻)[28]을 맡았다. 동년 우정승에서 사임하였다.

1356년(공민왕 5) 11월 기철(奇轍)을 숙청하는 반원 운동이 벌어지자 김해후(金海侯)로 봉해지고 문하시중에 임명되어 사태를 수습하다가 1357년(공민왕 6) 치사하였다. 이때 본직으로서 치사를 간청였는데 국제(國制)에 군(君)으로 봉해져 은퇴하면 본직으로 은퇴하는 것과 녹봉에 차이가 있었다. 이제현은 이미 늙었으면서도 오히려 후한 녹봉을 받는 것이 의리상 옳지 않다고 여겼기 때문에 이런 청을 하였던 것이다. 그러나 조정에서는 본직으로 치사하게 하는 것은 대신(大臣)을 공경하는 것이 아니라는 논의가 있어 다시 계림부원군(雞林府院君)으로 봉하였다.

국정에서 물러난 이후에도 조언을 아끼지 않았고, 1362년(공민왕 12) 홍건적의 침입 때 공민왕을 호종하였다.

1367년(공민왕 16) 7월 추성양절동덕협의찬화공신(推誠亮節同德協義贊化功臣) 벽상삼한삼중대광(壁上三韓三重大匡) 계림부원군(鷄林府院君) 영예문춘추관사(領藝文春秋館事) 이제현은 별세하였다. 동년 10월 우봉현(牛峯縣) 도리촌(桃李村)[29]의 선영하(先塋下)에 장사 지냈고, 1376년(우왕 2) 10월 공민왕의 묘정에 배향되었다.

3. 가계[30]

이제현은 경주 이씨 익재공파(益齋公派)의 파조(派祖)이며, 경주 이씨의 중조(中祖)로 대접받는다.
  • 조부 : 이핵(李翮) - 문하평리 증 상서좌복야[31]
  • 조모 : 김해 김씨
    • 아버지 : 이진(李瑱, 1244~1321) - 검교첨의정승[32], 임해군[33]
    • 어머니 : 진한국대부인 박씨[34], 박인육(朴仁育)[35]의 딸
      • 형 : 이관(李琯) - 이암공파[36] 파조
      • 형수 : 합천 이씨, 이신손(李信孫)[37]의 딸
      • 초배 : 길창국부인[38] 권씨(權氏, 1288~1332), 권부(權溥)[39]의 딸 - 3남 4녀[40]
        • 장남 : 이서종(李瑞種) - 종부시부령 증 문하시랑[41]
        • 자부 : 풍산 홍씨, 홍유(洪侑)[42]의 딸
        • 자부 : 김씨(金氏)
          • 손자 : 이원익(李元益) - 대사성[46]
        • 차남 : 이달존(李達尊, 1313~1340) - 전리총랑, 보문각직제학, 지제교[47]
        • 자부 : 남포 백씨[48], 백이정(白頤正)[49]의 딸
          • 손자 : 이덕림(李德林, 1330~?) - 회군공신, 군사[50]
          • 손자 : 이수림(李壽林, 1332∼?) - 한림학사[51]
          • 손자 : 이학림(李學林, 1334~?)[52] - 소부윤[53]
          • 손녀 : 경주 이씨, 기인걸(奇仁傑)[54]에게 출가
        • 3남 : ?(요절)
        • 장녀 : 경주 이씨, 임덕수(任德壽)[55]에게 출가
        • 차녀 : 경주 이씨, 이계손(李係孫)[61]에게 출가
          • 외손자 : 이척(李隲)[62] - 삼사좌사[63]
          • 외손자 : 이량(李亮) - 판전의감사[64]
        • 3녀 : 의화택주 이씨[65], 김희조(金希祖)[66]에게 출가
        • 4녀 : 경주 이씨(요절)
      • 계배 : 수춘국부인 박씨[67], 박거실(朴居實)[68]의 딸 - 1남 3녀
      • 삼배 : 서원군부인 서씨[78], 서중린(徐仲麟)[79]의 딸
        • 8녀 : 경주 이씨, 김남우(金南雨)[80]에게 출가
          • 외손자 : 김유(金維) - 낭장[81]
          • 외손자 : 김집(金緝) - 현감[82]
          • 외손자 : 김직(金織)
          • 외손자 : 김효복(金孝福)
          • 외손자 : 김효로(金孝老) - 중랑장[83]
        • 9녀 : 경주 이씨, 이유방(李有芳)[84]에게 출가
      • 측실
      • 제 : 이지정(李之正) - 호군공파[87] 파조
      • 제부 : ?

4. 기타

  • 유학에 있어서 안향 - 6군자(이진, 권부, 백이정, 우탁, 이조년, 신천)[88] - 이제현 - 이색 - 정몽주로 이어지는 고려 성리학 계보의 중심 축을 이루고 있고, 성리학의 수용 및 발전에 중요한 역할을 하였으며, 후세에 커다란 추앙을 받았다. 충목왕 때 개혁안을 제시하면서 성리학에 대한 깊은 이해를 바탕으로 격물치지(格物致知)와 성의정심(誠意正心)의 도를 강조하였다. 그러나 성리학에만 경도되지 않았기 때문에 성리학을 좋아하지 않았다는 비판을 받기도 하였다.[89] 조선조에서 편찬된 <고려사>에 유교에 대해서 공론만 떠드는 수준밖에 안 된다고 비판하기도 하였으나, 이는 성리학의 틀에 매몰된 다소 편협한 시각에서 비롯된 것이다. 충선왕원나라에 머물며 만권당(萬卷堂)을 설립한 후 "원나라에 와있는 인물들 모두 학문적 역량이 뛰어난데 지금 나의 가까이에 그런 사람이 없다는 것은 수치이다."라고 한탄하면서 원나라로 불러들인 인물이 이제현이었다는 사실만 보더라도 이러한 비판은 매우 잘못된 것이다. 조선조 명상(名相) 류성룡(柳成龍)이 '이제현은 덕(德)·공(功)·언(言) 3가지 장점을 고루 갖춘 고려 5백 년 동안의 유일한 유가(儒家)적 인물이다.'라고까지 평했다는 것을 알아야 한다. 이제현은 만권당(萬卷堂)에서 요수(姚燧), 원명선(元明善), 조맹부(趙孟頫), 염복(閻復) 등 당대 최고의 문인·학자들과 교유하며 학문적 역량이 더욱 깊어졌다.
  • 사람을 감정하여 식별하는 능력이 있었다고 하는 안향(安珦)이 이제현을 평한 일화가 고려사에 전한다. 이제현과 이이(李異)[90]는 1301년 과거에 함께 급제하였고 둘 다 유명하였는데, 이제현은 15세에 국자감시, 문과를 모두 합격하였고, 이이도 어린 나이에 문과에 합격하였다. 안향이 불러 시를 짓게 하고는 말하기를, “이제현은 반드시 귀하게 되고도 장수할 것이고, 이이는 오래 살지 못할 것이다.”라고 하였는데, 과연 이제현은 수상직인 도첨의정승, 우정승, 문하시중에 이르렀고 5차례 공신에 봉해졌으며 81세를 향수했으나, 이이는 부친인 이혼(李混, 1252~1312)보다 일찍 사망하였다.
  • 유학 지식과 문학적 소양이 뛰어나서 이를 바탕으로 사학(史學)에 많은 영향을 남겼다. 민지의 본조편년강목을 중수하고 충렬왕, 충선왕, 충숙왕의 실록을 편찬하는 일에도 참여하였다. 현존하는 저서로는 <익재난고>와 <역옹패설>이 있다. 그 밖에도 전해지지 않는 저서로는 백문보, 이충달과 함께 편찬했다는 <사략(史略)>이 있는데 이는 성리학적 유교 사관에 입각해서 저술한 고려사 편년체 통사 사서로 판단되며 <고려사>와 <고려사절요>에 들어 있는 이제현의 논찬을 통해 어느 정도 특징을 알 수 있다.
  • 그가 지은 사리화(沙里花)는 탐관오리들의 가렴주구를 비판하는 로도 유명하다.
[ruby(黃 雀 何 方 來 去 飛, ruby=황 작 하 방 래 거 비)]
참새야 어디서 오가며 나느냐
[ruby(一 年 農 事 不 曾 知, ruby=일 년 농 사 부 증 지)]
한 해 농사는 아랑곳하지 않고
[ruby(鰥 翁 獨 自 耕 耘 了, ruby=환 옹 독 자 경 운 료)]
늙은 홀아비 홀로 갈고 맸는데
[ruby(耗 盡 田 中 禾 黍 爲, ruby=모 진 전 중 화 서 위)]
밭의 벼며 기장을 다 없애다니
* 고려사에 있는 그의 열전을 보면 그가 충선왕과 나누었던 대화나 각종 상소들이 자세하게 올라와 있으며 그의 사상을 엿볼 수 있다.
  • 이제현을 실제로 본 원나라 사람들이 평하길 '이제현은 훤칠한 키에 우람한 덩치를 가졌다. 그런데 그런 몸뚱이보다 간이 더 큰 사람이다.'라고 하였다.[91]
  • 공민왕 대 후반 정권을 장악한 신돈(辛旽)이 지공거(知貢擧) 문제로 이제현의 문생들을 참소하였는데, 이는 다수의 유학자들이 신돈의 전횡을 비판하고 있었던 상황에서 이제현과 그 주변 인물들을 깎아내리기 위해 악의적으로 한 말이기에 그대로 받아들이는 데에는 무리가 있다. 이제현은 지공거로서 최용갑(崔龍甲), 백문보(白文寶), 이곡(李穀), 윤택(尹澤), 안보(安輔), 이색(李穡), 정추(鄭樞), 권중화(權仲和) 등을 선발하였고, 이제현의 문생들은 모두 고려 말 정치·사상을 서술할 때 결코 빼놓을 수 없는 핵심적 인물들이다.
  • 이제현이 신돈을 비판하였던 일도 <고려사>에 전하는데 공민왕에게 "신돈의 골상이 옛날의 흉악한 자들과 같으니 가까이하지 말라"고 충언을 올렸다고 한다. 이에 원한을 품은 신돈은 이제현을 헐뜯었지만 연로한 탓에 별다른 처벌은 못했다고 한다. 이후 신돈을 반역 혐의로 처형시킨 뒤 공민왕은 미리 앞을 내다본 이제현의 식견에 감탄했다고 한다.
  • 토지 제도에 대한 문제를 처음으로 연구한 인물 중 하나로 뽑힌다. 자신도 문관임에도 이제까지 고려 문관들의 탁상공론의 원흉을 문아에만 치중한 과거 제도로 꼽았으며 문관과거제에 처음으로 문제를 제기했던 인물이다.
  • 이제현의 차녀는 공조전서 문창공 이계손(李係孫)에게 시집을 갔는데 아들(이제현의 외손자)이 연안 이씨 통례문부사공파중의 소윤공파 파조인 삼사좌사 이척(李隲)이다.
  • 오성과 한음 일화로 유명한 백사 이항복(李恒福)이 어렸을 때 유모가 졸고 있는 사이에 우물에 빠질 뻔한 적이 있는데 꿈 속에 나타난 노인의 호통소리에 잠에서 깬 유모에 의해 위기를 모면했다고 한다. 그 후 유모가 사당에서 이제현의 초상을 보고 꿈 속의 노인이었음을 알게 되었다고 한다.[92][93]

5. 대중매체에서

  • 2005년 MBC 드라마 <신돈>에서는 배우 송재호가 연기했다. 염제신, 이인복과 셋이 세트로 몰려다니며 늘 나라 걱정에 여념이 없지만 행동으로 옮기는데에는 다소 소극적인 유약한 인물로 묘사되었다.

6. 둘러보기

<colbgcolor=#fedc89,#670000><colcolor=#670000,#fedc89> 고려사(高麗史)
{{{#!wiki style="margin: 0 -10px -6px; min-height: calc(1.5em + 6px); word-break: keep-all"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in-width:25%"
{{{#!folding [ 세가(世家)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rowcolor=#670000,#fedc89> 1·2권 3권 4·5권
태조 · 혜종 · 정종定宗 · 광종 · 경종 성종 · 목종 현종 · 덕종
<rowcolor=#670000,#fedc89> 6권 7·8·9권 10권
정종靖宗 문종 · 순종 선종 · 헌종
<rowcolor=#670000,#fedc89> 11·12·13·14권 15·16·17·18·19·20권 21권
숙종 · 예종 인종 · 의종 · 명종 신종 · 희종 · 강종
<rowcolor=#670000,#fedc89> 22·23·24권 25·26·27권 28·29·30·31·32권
고종 원종 충렬왕
<rowcolor=#670000,#fedc89> 33·34·35권 36권 37권
충선왕 · 충숙왕 충혜왕 충목왕 · 충정왕
<rowcolor=#670000,#fedc89> 38·39·40·41·42·43·44권 133·134·135·136·137권열전 45·46권
공민왕 우왕 · 창왕 공양왕
<colbgcolor=#fedc89,#670000><colcolor=#670000,#fedc89> [ 지(志) ]
47·48·49권 「천문(天文)」 / 50·51·52권 「역(曆)」 / 53·54·55권 「오행(五行)」 / 56·57·58권 「지리(地理)」 / 59·60·61·62·63·64·65·66·67·68·69권 「예(禮)」 / 70·71권 「악(樂)」 / 72권 「여복(輿服)」 / 73·74·75권 「선거(選擧)」 / 76·77권 「백관(百官)」 / 78·79·80권 「식화(食貨)」 / 81·82·83권 「병(兵)」 / 84·85권 「형법(刑法)」
[ 표(表) ]
86·87권 「연표(年表)」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in-width:25%"
{{{#!folding [ 후비·종실·공주 열전(列傳)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88권 「후비1(后妃一)」
89권 「후비2(后妃二)」
90권 「종실1(宗室一)」
91권 「종실2(宗室二)」·「공주(公主)」
태조
신혜왕후 유씨 · 장화왕후 오씨 · 신명순성왕태후 유씨 · 신정왕태후 황보씨 · 신성왕태후 김씨 · 정덕왕후 유씨 · 헌목대부인 평씨 · 정목부인 왕씨 · 동양원부인 유씨 · 숙목부인 · 천안부원부인 임씨 · 흥복원부인 홍씨 · 후대량원부인 이씨 · 대명주원부인 왕씨 · 광주원부인 왕씨 · 소광주원부인 왕씨 · 동산원부인 박씨 · 예화부인 왕씨 · 대서원부인 김씨 · 소서원부인 김씨 · 서전원부인 · 신주원부인 강씨 · 월화원부인 · 소황주원부인 · 성무부인 박씨 · 의성부원부인 홍씨 · 월경원부인 박씨 · 몽량원부인 박씨 · 해량원부인
태자 왕태 · 문원대왕 왕정 · 증통국사 · 대종 왕욱 · 안종 왕욱 · 왕위군 · 인애군 · 원장태자 · 조이군 · 수명태자 · 효목태자 왕의 · 효은태자 · 원녕태자 · 효성태자 왕림주 · 효지태자 · 태자 왕직 · 광주원군 · 효제태자 · 효명태자 · 법등군 · 자리군 · 의성부원대군 · 안정숙의공주 · 흥방궁주 · 대목왕후 · 문혜왕후 · 선의왕후 · (정덕왕후 소생 공주) · 순안왕대비 · (흥복원부인 소생 공주) · (성무부인 소생 공주)
{{{#!wiki style="margin: -16px -11px" 혜종 정종 광종
의화왕후 임씨 · 후광주원부인 왕씨 · 청주원부인 김씨 · 궁인 애이주 문공왕후 박씨 · 문성왕후 박씨 · 청주남원부인 김씨 대목왕후 황보씨 · 경화궁부인 임씨
흥화궁군 · 태자 왕제 · 경화궁부인 · 정헌공주 · 명혜부인 경춘원군 · (문성왕후 소생 공주) 효화태자 · 천추전부인 · 보화궁부인 · 문덕왕후
경종 성종 목종
헌숙왕후 김씨 · 헌의왕후 유씨 · 헌애왕태후 황보씨 · 헌정왕후 황보씨 · 대명궁부인 유씨 문덕왕후 유씨 · 문화왕후 김씨 · 연창궁부인 최씨 선정왕후 유씨 · 궁인 김씨
- 원정왕후 · 원화왕후 - }}}
현종
원정왕후 김씨 · 원화왕후 최씨 · 원성태후 김씨 · 원혜태후 김씨 · 원용왕후 유씨 · 원목왕후 서씨 · 원평왕후 김씨 · 원순숙비 김씨 · 원질귀비 왕씨 · 귀비 유씨 · 궁인 한씨 · 궁인 이씨 · 궁인 박씨
평양공 왕기 · 검교태사 왕충 · 효정공주 · 천수전주 · 인평왕후 · 경숙공주 · 효사왕후 · 효경공주 · 경성왕후 · 아지
덕종 정종
경성왕후 김씨 · 경목현비 왕씨 · 효사왕후 김씨 · 이씨 · 유씨 용신왕후 한씨 · 용의왕후 한씨 · 용목왕후 이씨 · 용절덕비 김씨 · 연창궁주 노씨
상회공주 · (유씨 소생 공주) 애상군 왕방 · 낙랑후 왕경 · 개성후 왕개 · 도애공주
문종
인평왕후 김씨 · 인예순덕태후 이씨 · 인경현비 이씨 · 인절현비 이씨 · 인목덕비 김씨
대각국사 왕후 · 상안공 왕수 · 도생승통 왕탱 · 금관후 왕비 · 변한후 왕음 · 낙랑후 왕침 · 총혜수좌 왕경 · 조선공 왕도 · 부여후 왕수 · 진한후 왕유 · 적경궁주 · 보령궁주
순종 선종
정의왕후 왕씨 · 선희왕후 김씨 · 장경궁주 이씨 정신현비 이씨 · 사숙태후 이씨 · 원신궁주 이씨
- 한산후 왕윤 · 경화왕후 · (사숙태후 소생 공주) · 수안택주
숙종 예종
명의태후 유씨 경화왕후 이씨 · 문경태후 이씨 · 문정왕후 왕씨 · 숙비 최씨
상당후 왕필 · 원명국사 징엄 · 대방공 왕보 · 대원공 왕효 · 제안후 왕서 · 통의후 왕교 · 대령궁주 · 흥수궁주 · 안수궁주 · 복령궁주 승덕공주 · 흥경공주
{{{#!wiki style="margin: -16px -11px" 인종 의종 명종
폐비 이씨 · 폐비 이씨 · 공예태후 임씨 · 선평왕후 김씨 장경왕후 김씨 · 장선왕후 최씨 광정태후 김씨
대령후 왕경 · 원경국사 충희 · 승경궁주 · 덕녕궁주 · 창락궁주 · 영화궁주 효령태자 왕기 · 경덕궁주 · 안정궁주 · 화순궁주 왕선사 · 왕홍기 · 왕홍추 · 왕홍규 · 왕홍균 · 왕홍각 · 왕홍이 · 연희궁주 · 수안궁주 }}}
신종 희종
선정태후 김씨 성평왕후 임씨
양양공 왕서 · 효회공주 · 경녕궁주 창원공 왕지 · 시령후 왕위 · 경원공 왕조 · 대선사 경지 · 충명국사 각응 · 안혜태후 · 영창공주 · 덕창궁주 · 가순궁주 · 정희궁주
{{{#!wiki style="margin: -16px -11px" 강종 고종 원종
사평왕후 이씨 · 원덕태후 유씨 안혜태후 유씨 순경태후 김씨 · 경창궁주 유씨
수령궁주 안경공 왕창 · 수흥궁주 시양후 왕이 · 순안공 왕종 · 경안궁주 · 함녕궁주
충렬왕 충선왕 충숙왕
제국대장공주 · 정신부주 · 숙창원비 김씨 계국대장공주 · 의비 · 정비 · 순화원비 홍씨 · 조비 · 순비 허씨 복국장공주 · 조국장공주 · 경화공주 · 명덕태후 홍씨 · 수비 권씨
강양공 왕자 · 소군 왕서 · 정녕원비 · 명순원비 세자 왕감 · 덕흥군 용산원자
충혜왕 공민왕 공양왕
덕녕공주 · 희비 윤씨 · 화비 홍씨 · 은천옹주 임씨 휘의노국대장공주 · 혜비 이씨 · 익비 한씨 · 정비 안씨 · 신비 염씨 순비 노씨
석기 · 장녕공주 - 세자 왕석 · 숙녕궁주 · 정신궁주 · 경화궁주 }}}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in-width:25%"
{{{#!folding [ 열전(列傳)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92권
홍유 배현경 신숭겸 복지겸 · 유금필 · 최응 · 최언위 (최광윤 최행귀 최광원) · 왕유 왕자지 · 박술희 · 최지몽 · 왕식렴 · 박수경 · 왕순식 이총언 견금 윤선 흥달 선필 태평 · 공직 · 박영규
93권
서필 · 최승로 최제안 · 쌍기 · 최량 · 한언공 · 류방헌 · 김심언 · 최항 · 채충순
94권
서희 서눌 서공 · 유진 · 강감찬 · 최사위 · 황보유의 장연우 · 양규 (양대춘) · 지채문 지녹연 · 하공진 · 김은부 · 주저 · 강민첨 · 곽원 · 왕가도 · 김맹 · 류소 · 윤징고 · 위수여 · 전공지 · 이주헌 · 이주좌 · 안소광 · 조지린
95권
최충 최유선 최사제 최약 최윤의 · 이자연 이자량 이자인 이혁유 이자현 이자덕 이예 이공수 이지저 이오 이광진 · 박인량 박경인 박경백 박경산 · 황주량 · 류신 · 왕총지 · 위계정 · 소태보 왕국모 고의화 · 문정 · 정문 · 김원정 · 손관 · 최사량 · 김선석 · 임의 임원후 임극충 임극정 임부 임유 임익 임항 · 김한충
96권
최사추 · 김인존 · 윤관 윤언순 (윤언식 윤언민 윤언이) 윤인첨 윤세유 윤상계 · 오연총
97권
김부일 김부의 · 고령신 · 김황원 이궤 · 곽상 곽여 · 유재 호종단 신안지 · 김경용 (김인규) · 최홍사 · 한안인 · 이영 · 한충 · 임개 유녹숭 · 김준 · 류인저 · 강증 · 허경 · 문관 · 정항 정서 · 김극검 · 김약온
98권
김부식 김돈중 김군수 · 정습명 · 고조기 · 김정순 · 정극영 · 박정유 · 최사전 · 김향 · 최자성 · 김진 · 임완 · 최기우 · 김수자 · 최유 · 이숙 이위 · 허재
99권
양원준 · 최유청 최당 최린 최선 최종준 최온 최문본 최평 최옹 · 이공승 · 신숙 · 한문준 · 문극겸 · 류공권 류택 · 조영인 · 왕세경 · 이순우 · 임민비 · 최척경 · 함유일 · 염신약 · 이지명 · 유응규 유자량 · 현덕수 · 최균 최보순 최윤개 · 김거공 · 한유한
100권
두경승 · 우학유 · 노영순 · 조위총 · 방서란 · 박제검 · 기탁성 · 홍중방 · 경대승 · 진준 · 최세보 · 박순필 · 이영진 · 백임지 · 이준창 · 최충렬 · 정세유 정숙첨 정안 · 정국검 이유성 · 정방우 · 정언진
101권
민영모 민식 · 송저 · 김광중 김체 · 안유발 · 최여해 · 최우청 · 왕규 · 차약송 기홍수 · 정극온 · 류광식 · 권경중 · 김태서 김약선 김미 · 문한경 권세후 백돈명 · 노인수 · 김의원
102권
금의 · 이규보 이익배 · 유승단 · 김인경 김승무 · 이공로 · 이인로 오세재 조통 임춘 · 조문발 · 이순목 이수 · 김창 · 송국첨 · 최자 하천단 · 채송년 채정蔡楨 · 손변 · 권수평 · 이순효 장순량 · 송언기 · 김수강 · 김지대 · 이장용
<rowcolor=#670000,#fedc89> 103권 104권
조충 조변 · 김취려 김문연 김변 · 이적 · 채정蔡靖 · 박서 송문주 · 김경손 김혼 · 최춘명 · 김희제 · 이자성 · 김윤후 · 김응덕 김방경 김구용 김제안 김흔 김순 김영돈 김영후 김사형 박구 · 한희유 · 나유 나익희 · 원충갑 · 김주정 김심 김종연 김석견
105권
류경 류승 류돈 류만수 · 허공 허종 허관 허금 허부 허유 · 홍자번 홍승서 홍영통 · 정가신 · 안향 안우기 안목 · 설공검 · 유천우 · 조인규 조서 조연 조덕유 조린 조연수 조위
106권
백문절 백이정 · 박항 · 곽예 · 주열 · 이주 이행검 · 장일 · 김구 · 이승휴 이연종 · 김훤 김개물 · 정해 정오 정포 정공권 · 조간 · 심양 · 추적 이인정 채우 · 김유성 곽린 · 윤해 윤택 · 이영 · 엄수안 · 안전 · 최수황 · 박유 · 홍규 홍융
<rowcolor=#670000,#fedc89> 107권 108권
한강 한악 한수 한방신 · 원부 원충 원호 원선지 원송수 · 김련 · 김부윤 · 정인경 · 권단 권부 권준 권렴 권용 권적 (권고) 권화 권근 · 민지 민상정 민종유 민적 민사평 민변 민제 · 김지숙 김인연 · 정선 · 이혼 · 최성지 최문도 · 채홍철 · 김이 · 이인기 · 홍빈 · 조익청 · 배정지 · 손수경
109권
박전지 · 오형 · 이진 · 윤신걸 박효수 · 허유전 · 박충좌 · 윤선좌 · 이조년 이승경 · 이곡 · 우탁 · 안축 안종원 안보 · 최해 · 장항 · 이성 · 조렴 왕백 · 이백겸 · 신군평
<rowcolor=#670000,#fedc89> 110권 111권
최유엄 · 김태현 김광재 · 김륜 김경직 김희조 김승구 · 왕후 왕중귀 · 한종유 · 이제현 이달존 이보림 · 이능간 염제신 · 이암 이강 · 홍언박 홍사우 류연 · 류탁 · 경복흥 · 김속명 · 이자송 · 조돈 조인옥 · 최재 · 송천봉 · 홍중선 · 김도 · 임박 · 문익점
112권
이공수 · 류숙 류실 · 이인복 · 백문보 · 전녹생 · 이존오 · 이달충 · 설손 설장수 · 한복 · 이무방 · 정습인 · 하윤원 · 박상충 · 박의중 · 조운흘
113권
안우 김득배 이방실 · 정세운 · 안우경 · 최영 · 정지 · 윤가관 · 김장수
114권
윤환 · 이성서 · 이수산 이념 · 이승로 · 황상 · 지용수 · 나세 · 김선치 · 전이도 · 구영검 · 오인택 · 김보 · 변광수 · 정지상 · 임군보 · 나흥유 · 목인길 · 김유 · 양백연 · 지용기 · 하을지 · 우인열 · 문달한 · 김주 · 최운해
{{{#!wiki style="margin: -16px -11px"<rowcolor=#670000,#fedc89> 115권 116권 117권
이색 · 우현보 · 이숭인 심덕부 · 이림 · 왕강 · 박위 · 이두란 · 남은 정몽주 · 김진양 · 강회백 · 이첨 · 성석린
<rowcolor=#670000,#fedc89> 118권 119권 120권
조준 정도전 윤소종 윤회종 · 오사충 · 김자수 }}}
121권
<rowcolor=#670000,#fedc89> 「양리(良吏)」 「충의(忠義)」
유석 · 왕해 · 김지석 · 최석 · 정운경 홍관 · 고보준 · 정의 · 문대 · 조효립 · 정문감
<rowcolor=#670000,#fedc89> 「효우(孝友)」 「열녀(烈女)」
문충 · 석주 · 최루백 · 위초 · 서릉 · 김천 · 황수 · 정유 · 조희참 · 정씨 · 손유 · 권거의 노준공 · 신씨 · 윤구생 · 반전 · 군만 유씨 · (현문혁의 처) · (홍의의 처) · (안천검의 처) · (강화부 세 여인) · 최씨 · 배씨 · 문씨 · 김씨 · 안씨 · 이씨 · (권금의 처)
122권
{{{#!wiki style="margin: -16px -11px"<rowcolor=#670000,#fedc89> 「방기(方技)」 「환자(宦者)」 「혹리(酷吏)」
김위제 · 이녕 (이광필) · 이상로 · 오윤부 · 설경성 정함 · 백선연 · 최세연 · 이숙 · 임백안독고사 · 방신우 · 이대순 · 우산절 · 고용보 · 김현 · 안도치 · 신소봉 · 이득분 · 김사행 송길유 · 심우경 }}}
123권 「폐행1(嬖幸一)」
유행간 · 영의 · 김존중 · 정세신 · 백승현 · 강윤소 · 염승익 · 이분희 이습 · 권의 채모 이덕손 · 임정기 (민훤) · 주인원 · 이지저 고종수 김유 · 인후 인승단 · 장순룡 차신 노영 · 조윤통
124권 「폐행2(嬖幸二)」
윤수 윤길보 (송화) · 이정 김문비 이병 · 원경 · 박의 · 박경량 · 전영보 · 강윤충 · 배전 · 민환 · 윤석 · 손기 · 정방길 임중연 강융 · 신청 박청 · 왕삼석 양재 조신경 최노성 윤현 안규 · 최안도 이의풍 김지경 이인길 · 노영서 박양연 송명리 · 김흥경 · 반복해 · 신원필
125권 「간신1(姦臣一)」
문공인 · 박승중 · 최홍재 · 최유칭 · 박훤 · 송분 · 왕유소 · 송방영 · 오잠 석주 · 김원상 · 류청신 · 권한공 · 채하중 · 신예 전숙몽 · 이춘부 · 김원명 · 김횡 · 지윤
126권 「간신2(姦臣二)」
이인임 · 임견미 · 염흥방 · 조민수 · 변안열 · 왕안덕
{{{#!wiki style="margin: -16px -11px"<rowcolor=#670000,#fedc89> 127권 「반역1(叛逆一)」 128권 「반역2(叛逆二)」 129권 「반역3(叛逆三)」
환선길 · 이흔암 · 왕규 · 김치양 · 강조 · 이자의 · 이자겸 · 척준경 · 묘청 (정지상) 정중부 이광정 송유인 · 이의방 · 이의민 · 정방의 · 조원정 석린 최충헌 최이 최항 최의 }}}
<rowcolor=#670000,#fedc89> 130권 「반역4(叛逆四)」 131권 「반역5(叛逆五)」
한순 다지 · 홍복원 (홍차구 홍군상 홍선 장위 류종) · 이현 · 조숙창 · 조휘 · 김준 · 임연 · 조이 김유 이추 · 한홍보 · 우정 · 최탄 · 배중손 조적 · 조일신 · 김용 · 기철 · 노책 · 권겸 · 최유 · 홍륜 · 김문현 · 김의
132권 「반역6(叛逆六)」
신돈
133·134·135·136·137권
신우(우왕) (신창(창왕)) }}}}}}}}}}}}


[1] 이 초상화는 고려시대에 그려진 초상화 중 원본이 유일하게 현존하는 작품이다. 이제현이 33세가 되던 1319년(충선왕 6)에 충선왕과 더불어 원나라에 방문했을 때 원나라의 화가인 진감여가 그리고 석학이었던 탕병룡이 찬문을 지었으며 이제현은 고려로 돌아올 때 이 초상화를 가져오지 못하고 잃어버렸다가 나중에 다시 원나라를 방문했을 때 우연히 되찾았고, 1364년에 고려에서 다시 그려진 자신의 초상화와 이 초상화를 비교하면서 감회를 느끼며 시도 지었다고 한다. 자세히 보면 엄지손가락이 삐져나와 있기도 하다. 상세한 내용은 이제현 초상 문서 참조.[2] 율리우스력 1288년 1월 28일.[3] 경진(庚辰)일.[4] 율리우스력 1367년 8월 24일.[5] 계묘(癸卯)일.[6] 훤칠한 키에 우람한 덩치를 가졌다라는 기록이 있는 것을 보아 당시 평균키인 162.2cm보다는 훨씬 크다는 것을 추측할 수 있다.[7] 1356년 11월 김해후에 봉해지고 문하시중에 임명되었다.[8] 1330년 전후 김해군, 1346년경 김해부원군, 1353년경 김해군, 1355년 김해부원군에 봉군되었다.[9] 1357년 관직에서 치사(致仕)하면서 계림부원군에 봉군되었다.[10] 월성 박씨(月城 朴氏). 신라(新羅) 제7대 국왕 일성왕(逸聖王) 계열의 월성 박씨(月城 朴氏)는 제5대 국왕 파사왕(婆娑王) 계열의 경주 박씨(慶州 朴氏)와 구별된다. 월성 박씨의 시조 월성대군(月城大君) 박언의(朴彦儀)는 신라 제54대 국왕 경명왕(景明王)의 8남이다. 경명왕의 아들 8대군이 각각 본관을 나눌 때 본관을 월성으로 하였다.[A] 섭정승 겸 권단정동성사. 섭정승(攝政丞)은 고려의 수상(首相)격인 도첨의정승을 대리하는 직책이다. 권단정동성사(權斷征東省事)는 고려와 원나라 사이의 연락을 담당하던 정동행성의 업무를 임시로 총괄하는 직책이다. 명목상 고려왕이 정동행성의 승상(丞相)을 겸임했었다. 요컨대 1351년 10월 6일 공민왕이 원나라에서 고려왕으로 임명되자 고려로 귀국할 때까지의 정치적 공백을 메우기 위해 이제현을 정승 대리로 삼아 임시로 정동행성의 업무를 관장하게 함으로써 사실상 왕권(王權)을 대행하게 한 것이다. 동년 11월 왕보다 먼저 귀국한 찬성사 조일신(趙日新)이 가져온 비목(批目)에 의하여 이제현은 정식으로 도첨의정승에 오르게 되고, 동년 12월 귀국한 공민왕은 정식으로 고려 국왕으로 즉위하였다.[12] 2차례 우정승을 역임하였다. 당시에는 상우(尙右) 원칙을 취해 우정승이 좌정승보다 높은 최고 관직이었다. 참고로 이후 관제 개편으로 최고 관직으로 문하시중을 두었고, 문하시중은 다시 문하좌시중과 문하우시중으로 개편되는데 이때는 상좌(尙左) 원칙을 취해 문하좌시중이 문하우시중보다 높은 최고 관직이었다.[13] 최종고시인 예부시(禮部試)의 전 단계인 예비고시로서 국자감(國子監)에서 진사(進士)를 선발하는 시험이다. 진사과(進士科), 사마시(司馬試), 성균관시(成均館試) 등으로도 불렸다.[14] 최종고시인 예부시(禮部試)를 의미한다. 동당시(東堂試)라고도 부른다. 여기서 합격하면 바로 관리가 된다.[15] 혼인 당시 음력 1287년생인 이제현이 16세, 음력 1288년생인 권씨가 15세였다.[16] 사헌부(司憲府)의 종6품 관직.[17] 성균관의 종4품 관직으로 성균관의 유생들에게 음악을 지도하는 역할과 음악을 이론적으로 연구하는 일을 담당하였다.[18] 고려사 원문에는 燕吳, 국사편찬위원회의 한글 번역에 강남으로 나옴.[19] 도첨의사사(都僉議使司)의 정4품 관직인 도첨의사인(都僉議使人)을 지칭하는 듯하다.[20] 밀직사(密直司)의 종2품 관직. 재신과 추밀의 합좌기구인 재추회의에 참석한다.[21] 1340년(충혜왕 복위1) 10월 왕부단사관(王府斷事官) 첨의평리(僉議評理)로 재임 중이었다. 차남 이달존 묘지명에 기록되어 있다.[22] 정1품 문관의 품계. 이후 삼중대광에 벽상삼한이 가호되므로 이제현은 벽상삼한삼중대광(壁上三韓三重大匡)의 품계에 있게 된다.[23] 예문관(藝文館)의 정1품 영사(領事). 목은 이색(李穡)이 찬한 문충공이씨묘지명(文忠公李氏墓誌銘)에 관직명이 영예문춘추관사(領藝文春秋館事)로 기록되어 있는 것을 보면 이때 혹은 이후에 영춘추관사(領春秋館事)도 지낸 것으로 보인다. 이 당시에는 예문관과 춘추관이 분리되어 있었고, 이들 기관은 1389년(공양왕 1)에 가서야 다시 예문춘추관으로 통합된다.[24] 최고위 실무직인 종1품 정승, 문하시중 등에 오르는 것은 1351년(공민왕 즉위) 이후의 일이지만, 품계로는 이때 이미 극품인 정1품에 이르렀다.[25] 공민왕의 초명. 1366년(공민왕 15) 왕전(王顓)으로 개명하였다.[A] [27] 충정왕 대의 권력자였던 모후 희비의 오빠이다.[28] 공민왕이 초헌(初獻), 단양대군(丹陽大君) 왕후(王珛)가 아헌(亞獻), 태위 우정승 이제현이 종헌(終獻)을 맡아 삼헌(三獻)을 드렸다.[29] 현재 황해북도 금천군 우봉면 일대.[30] 고려사, 경주이씨대동보를 기본으로 작성하였고 안동권씨 성화보를 보조로 하였다. 안동권씨 성화보에는 남녀 구분 없이 나이순으로 기록되어 있어서 이서종의 자녀, 임덕수의 자녀의 경우에 적용하였다. 성화보에는 이달존의 차남이 이학림, 3남이 이수림으로 되어 있어 경주이씨대동보와 대립되나 이는 차용하지 않았다.[31] 門下評理 贈尙書左僕射.[32] 檢校僉議政丞.[33] 臨海君.[34] 辰韓國大夫人 朴氏. 월성 박씨(月城 朴氏). 신라(新羅) 제7대 국왕 일성왕(逸聖王) 계열의 월성 박씨(月城 朴氏)와 제5대 국왕 파사왕(婆娑王) 계열의 경주 박씨(慶州 朴氏)는 구별된다. 과거에는 월성 박씨를 경주 박씨로 부르기도 했지만 현재는 혼동을 피하기 위해 월성 박씨로만 부르고 있다. 월성 박씨의 시조 월성대군(月城大君) 박언의(朴彦儀)는 신라 제54대 국왕 경명왕(景明王)의 8남이다. 경명왕의 아들 8대군이 각각 본관을 나눌 때 본관을 월성으로 하였다.[35] 월성 박씨(月城 朴氏)의 중시조.[36] 怡庵公派.[37] 찬성(贊成). 상서(尙書) 이순목(李淳牧)의 아들이다. 족보에는 이순목이 이존순(李存淳)으로 오기되어 있다.[38] 吉昌國夫人. 1332년(충혜왕 2) 사망 당시에는 영가군부인(永嘉郡夫人)으로 불렸다. 영가군부인 권씨 묘지명(永嘉郡夫人權氏墓誌銘)이 최해(崔瀣)의 문집인 『졸고천백(拙藁千百)』 권1에 실려 있다. 1332년에 최해가 작성하였다.[39] 안동 권씨. 첨의정승(僉議政丞). 영가부원군(永嘉府院君).[40] 이제현 묘지명에는 2남 3녀로 되어 있으나, 부인 권씨 묘지명에는 3남 4녀로 되어 있고 아들 1명과 딸 1명은 어려서 요절하였다고 한다.[41] 宗溥寺副令 贈門下侍郞.[42] 대제학(大提學). 부친은 도첨의사인 지제고(都僉議舍人 知制誥) 홍간(洪侃).[43] 鷄林君.[44] 횡성 조씨(橫城 趙氏). 횡성군(橫城君).[45] 합천 이씨(陜川 李氏). 부사(府使). 이름의 樀의 좌변은 木이 아니라 衤또는 禾로 되어 있다.[46] 大司成.[47] 典理摠郎 寶文閣直提學 知製敎.[48] 藍浦 白氏.[49] 첨의평리(僉議評理) 상의회의도감사(商議會議都監事). 상당군(上黨君).[50] 郡事.[51] 翰林學士.[52] 셋째사위가 영가군(永嘉君) 권홍(權弘)이고, 권홍의 딸, 즉 이학림의 외손녀가 조선 태종의 후궁인 의빈 권씨(懿嬪 權氏)이다. 경주이씨대동보에는 10쪽 넷째 줄에 이학림의 딸과 그 사위 권홍이 적혀 있고, 그대로 첫째 줄로 올라가면 아무런 설명 없이 태종대왕 의빈(太宗大王 懿嬪)이라고 적혀 있다. 그래서 의빈 권씨를 6쪽 첫째 줄에 적혀 있는 이진(李瑱)의 누이로 오해할 소지가 있다. 응당 10쪽 넷째 줄 권홍에 대한 설명 부분으로 옮겨적어야 할 것이다.[53] 少府尹.[54] 행주 기씨(幸州 奇氏). 개성윤(開城尹). 부친은 요양행성(遼陽行省) 평장정사(平章政事) 기철(奇撤).[55] 풍천 임씨(豊川 任氏). 판사복시사(判司僕寺事). 부친은 첨의찬성사(僉議贊成事) 서하군(西河君) 임자송(任子松).[56] 기거랑(起居郞).[57] 반남 박씨(潘南 朴氏). 판한성부사(判漢城府事).[58] 회덕 황씨(懷德 黃氏). 삼사좌윤(三司左尹)을 거쳐 상서(尙書)를 지냈다.[59] 判事.[60] 郞將.[61] 연안 이씨(延安 李氏). 공조전서(工曹典書).[62] 경주 이씨 족보에는 이극(李隙)으로 기록되어 있다. 척(隲)을 극(隙)으로 오기한 듯하다.[63] 三司左使.[64] 判典醫監事. 경주 이씨 족보에는 전의감정(典醫監正)으로 기록되어 있다.[65] 義和宅主 李氏.[66] 언양 김씨. 판추밀원사(判樞密院事). 부친은 좌정승(左政丞) 언양부원군(彦陽府院君) 김륜(金倫).[67] 壽春國夫人 朴氏.[68] 춘천 박씨(春川 朴氏). 사복시정(司僕寺正). 부인은 원주 원씨(原州 元氏) 원관(元瓘)의 딸이다. 부친은 대언(代言) 박경(朴瓊)이고, 박경은 판사(判事) 박충좌(朴忠佐)의 아들이다. 경주 이씨 족보와 등과록전편(登科錄前編) 권지이(卷之二)에는 위와 같이 기록되어 있다. 그러나 춘천 박씨 족보푸른색 부분만 일치하고, 고려사, 함양 박씨 족보(?)는 붉은색 부분만 일치하고 있다. 등과록전편에는 박거실(朴居實)의 아들 박희문(朴希文)의 등과 사실이 기록되어 있는데#1#2, 춘천 박씨 족보에는 박거실의 자녀가 1남 3녀로 아들은 박의공(朴義公)이고 맏사위가 이제현이라고 되어 있다. 한편 박충좌(1287~1349)는 이제현과 동년배로 이제현과 함께 백이정(1247~1323)의 문하생이었고 연경의 만권당에서도 함께 한 사이였으며 벼슬은 판삼사사(判三司事)에 이르렀다.#[69] 開城尹.[70] 호부상서(戶部尙書) 청성군(淸城君). 부친은 도첨의중찬, 우정승 등을 지낸 상당부원군(上黨府院君) 한악(韓渥).[71] 영해 박씨(寧海 朴氏). 판전농시사(判典農寺事). 부친은 판서(判書) 박원계(朴元桂).[72] 判事.[73] 牧使.[74] 正郞.[75] 진천 송씨(鎭川 宋氏). 판전교시사(判典校寺事). 부친은 찬성(贊成) 송지백(宋之伯).[76] 郡守.[77] 공민왕 제2비.[78] 瑞原郡夫人 徐氏.[79] 평당 서씨(平當 徐氏). 지서주사(知徐州事).[80] 광주(광산) 김씨(光州(光山) 金氏). 전서(典書). 부친은 전리판서(典理判書) 김광리(金光利).[81] 郎將.[82] 縣監.[83] 中郎將.[84] 본관 불명.[85] 본관 불명.[86] 1375년(우왕 1) 이색이 찬한 이제현 묘지명에 측실 소생의 두 딸이 있으며 장녀는 임부양(林富陽)에게 출가하였고 차녀는 어리다고 기록되어 있다. 목은문고(牧隱文藁) 권16과 동문선(東文選) 권126에도 같은 내용이 실려 있다.[87] 護軍公派.[88] 안향의 대표적인 여섯 제자이다. 이제현은 이진의 아들이자 권부의 사위, 백이정의 제자이다.[89] 조선시대에 문묘에 들어가지 못한 원인 중 하나가 되었다.[90] 본관은 전의 이씨. 형부시랑 이윤관(李允寬)의 증손이자 도첨의정승 이혼(李混)의 차남이다. 관직은 성균악정(成均樂正)에 이르렀고 부친 이혼보다 일찍 사망하였다.[91] 출처[92] 이항복은 이제현의 사촌형제인 상서공 이과(李薖)의 후손이라 직계손은 아니다. 이제현은 익재공파(益齋公派)의 파조이고 이과는 상서공파(尙書公派)의 파조이다.[93] 이 일화는 초롱이의 옛날여행 이항복 편에서도 다뤄진 바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