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려 문하시중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670000,#fedc89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colbgcolor=#fedc89,#670000> 고려 초기 (918~981) | <colcolor=#373a3c,#ddd> 광평시중 |
김행도 | 박질영 | 류덕영 | 공훤 | 왕철 | 권직 | ||
문벌귀족기 (981~1170) | 문하시중 | |
최승로 | 박양유 | 한언공 | 김승조 | 최숙 | 류윤부 | 위수여 | 유진 | 최사위 | 유방 | 강감찬 | 서눌 | 황주량 | 최제안 | 최충 | 이자연 | 김원충 | 왕총지 | 김원정 | 박성걸 | 최유선 | 이정 | 문정 | 이정공 | 소태보 | 최사추 | 위계정 | 윤관 | 김경용 | 이위 | 김인존 | 이공수 | 김부식 | 김약온 | 임원후 | 왕충 | ||
무신정권 (1170~1270) | 정중부 | 두경승 | 이의민 | 조영인 | 최충헌 | 이항 | 이연수 | 김취려 | 최종준 | 최항 | 김준 | 이장용 | |
원 간섭기 (1270~1356) | 김방경 | |
(도)첨의중찬 · 도첨의시중 · 도첨의정승 | ||
김방경 | 류경 | 송송례 | 원부 | 허공 | 김방경 | 홍자번 | 조인규 | 홍군상 | 홍자번 | 홍규 | 홍자번 | 조인규 | 정가신 | 조인규 | 김혼 | 송분 | 홍자번 | 설공검 | 염승익 | 송분 | 한희유 | 한강 | 한희유 | 송분 | 홍자번 | 한희유 | 채인규 | 한희유 | 안향 | 한희유 | 한희유 | 김혼 | 정인경 | 최유엄 | 김지숙 | 최유엄 | 최유엄 | 이혼 | 류청신 | 홍규 | 류청신 | 권부 | 김이용 | 김이용 | 민지 | 배정 | 김태현 | 윤보 | 최유엄 | 김심 | 민지 | 김이 | 김이 | 윤석 | 정방길 | 윤석 | 김심 | 한악 | 윤석 | 강융 | 권한공 | 조적 | 한악 | 윤석 | 채하중 | 이능간 | 기철 | 채하중 | 한종유 | 왕후 | 김륜 | 김영후 | 김영후 | 인승단 | 노책 | 김영돈 | 왕후 | 노책 | 노책 | 손수경 | 손수경 | 이암 | 이제현 | 손기 | 송서 | 조일신 | 정천기 | 송서 | 조일신 | 이제현 | 조익청 | 홍빈 | 조익청 | 인승단 | 채하중 | 염제신 | 염제신 | 류탁 | 채하중 | 채하중 | 이제현 | 홍언박 | 홍언박 | 윤환 | ||
여말선초 (1356~1392) | 문하시중 · 도첨의정승 · 도첨의시중 | |
홍언박 | 윤환 | 이제현 | 염제신 | 염제신 | 이암 | 홍언박 | 류탁 | 류탁 | 김일봉 | 김일봉 | 경복흥 | 경복흥 | 류탁 | 경복흥 | 김보 | 이춘부 | 이인임 | 이춘부 | 이인임 | 윤환 | 경복흥 | 염제신 | 경복흥 | 이인임 | 윤환 | 이인임 | 홍영통 | 이자송 | 조민수 | 임견미 | 최영 | 이성림 | 임견미 | 이성림 | 이인임 | 이성림 | 반익순 | 반익순 | 이성림 | 최영 | 이성계 | 최영 | 우현보 | 조민수 | 이성계 | 이색 | 이성계 | 이림 | 심덕부 | 이성계 | 정몽주 | 이성계 | 이성계 | 심덕부 | 배극렴 | 이성계 | ||
고려 국왕 · 무신정권 집권자 고구려 (좌우보 · 국상 · 대막리지) · 백제 (좌우보 · 상좌평) 신라 (대보 · 시중 · 상대등) · 발해 대내상 · 태봉 시중 · 고려 문하시중 조선 영의정 · 대한제국 내각총리대신 · 임시정부 국무총리 · 대한민국 국무총리 | }}} }}}}}}}}} |
최사위 관련 틀 | |||||||||||||||||||||||||||||||||||||||||||||||||||||||||||||||||||||||||||||||||||||||||||||||||||||||||||||||||||||||||||||||||||||||||||||||||||||||||||||||||||||||||||||||||||||||||||||||||||||||||||||||||||||||||||||||||||||||||||||||||||||||||||||||||||||||||||||||||||||||||||||||||||||||||||||||||||||||||||||||||||||||||||||||||||||||||||||||||||||||||||||||||||||||||||||||||||||||||||||||||||||||||||
|
<colbgcolor=#fedc89,#670000><colcolor=#670000,#fedc89> 고려 문하시중 최사위 崔士威 | |
출생 | 961년 |
한남도(漢南道) 광주목(廣州牧) 수주(水州) (現 경기도 수원시) | |
사망 | 1041년 4월 13일[1] (음력 3월 4일) |
묘소 | 불일사(佛日寺) 법운산(法雲山) 근처 → 송림현(松林縣) 송현(松峴) |
작위 | 청하군 개국후(淸河郡 開國侯) 한남군 개국후(漢南郡 開國侯)
|
시호 | 정숙(貞肅) |
본관 | 수원 최씨[2] |
자 | 동환(動寰) |
[clearfix]
1. 개요
고려 현종 대의 문신.본관은 수원 최씨로 호족 출신인 수원 최씨 가문을 문벌귀족 가문으로 바꾼 인물이다.
증조부는 호장(戶長) 최서천(崔徐遷), 조부는 최한용(崔韓用),[3] 친부는 한남군 개국남(漢南 郡開國男) 최융예(崔融藝), 친모는 국대부인(國大夫人) 유씨[4]이다. 아들 6명, 딸 1명을 두었다.
최사위에 대한 기록은 고려사 및 최사위 묘지명과 후손들의 묘지명에 남아있다.
2. 생애
목종 대에 형부상서[5]를 지냈다. 이것이 《고려사》에 나타나는 최사위의 최초 기록인데 이를 보아 능력이 뛰어났고 배경인 가문의 세력이나 뒷배경도 꽤 탄탄했던 것으로 보인다.고려 행영 군단 | |||||
행영도통사(行營都統使) | |||||
이부상서 참지정사(吏部尙書參知政事) 강조 | |||||
행영도통부사(行營都統副使) | |||||
이부시랑(吏部侍郞) 이현운 | 병부시랑(兵部侍郞) 장연우(張延祐) | ||||
판관(判官) | |||||
기거사인(起居舍人) 곽원 | 시어사(侍御史) 윤징고(尹徵古) | 도관원외랑(都官員外郞) 노전(盧戩) | |||
수제관(修製官) | |||||
우습유(右拾遺) 승이인(乘里仁) | 서경장서기(西京掌書記) 최충 | ||||
(중략) | |||||
통군사(統軍使) | |||||
형부상서(刑部尙書) 최사위 | |||||
(중략) | |||||
휘하 장병 | |||||
300,000명 |
상술했듯 패전의 책임자였지만, 서무 능력은 인정받았는지 이후 계속해서 고위직에 임명되었다. 중서문하성의 참지정사가 되었다가 이부상서(吏部尙書)[6]를 겸했다. 현화사비에도 등장하는데 현화사 건설을 위해 별감사(別監使) 직위를 받아 영취산에 대자은현화사를 건축했다. 현화사비에 적힌 직위는
- 추충좌리동덕공신(推忠佐理同德功臣) - 현종이 봉한 공신호.
- 개부의동삼사(開府儀同三司) - 문산계 품계로 종1품 최고위 품계.
- 검교태부(檢校太傅) - 검교직은 실권이 없고 단순히 직위에 이름만 올렸을 때 붙인다. 태부는 삼사 중 서열 2위이다.
- 수문하시랑 동내사문하평장사(守門下侍郎 同內史門下平章事) - 중서문하성의 차관.
- 판삼사사(判三司事) - 삼사의 장관.
- 상주국(上柱國) - 최고위 훈위. 훈위는 신하의 공적을 치하하기 위해주는 명예직이다.
- 청하군 개국후(淸河郡 開國侯) - 청하군을 봉호로 하는 후작.
- 식읍 1,000호(食邑 一千戶)
이후 성종의 12목 제도를 더 발전시켜서 지방관과 파견직을 더욱 세밀화하고 심화시켜 고려의 지방 통치를 강화시켰다. 또한 지방 소규모 호족들의 권위를 약화시켰다. 이 지방 통치력 강화의 성과를 인정 받아이 되었다. 흥료국의 건국을 틈타 거란을 침공하고자 했던 참지정사(參知政事) 곽원의 제안을 반대했다. 이후 나이가 들어 퇴직을 요청하였고, 내사령으로 치사하였다. 정종 대에 사망하였고, 태사에 추증되었다.
전쟁에서는 큰 역할을 맡지 못했지만 지방 제도의 개혁으로 고려 지방 행정 제도엔 큰 영향을 끼친 인물이다. 그 공으로 현종의 묘정에 배향되었다.
3. 묘지명 기록
3.1. 최사위 묘지명
문종 때 최사위의 막내아들 최영언이 아버지의 무덤을 옮기면서 새로 만든 묘지명이 지금까지 현존하고 있다. 고려사엔 없는 최사위의 가계가 기록돼있고 여섯 아들과 사위의 이름과 관직을 알수 있다. 각각- 1남 어사중승(御史中丞) 최충공(崔忠恭)
- 2남 전중내급사(殿中內給事) 최충경(崔忠敬)
- 3남 사재승(司宰丞) 최준검(崔遵儉)
- 4남 내사서령(内史書令) 최충약(崔忠諾)
- 5남 상서호부낭중(尙書戶部郎中) 최충영(崔忠永)
- 6남 시합문지후(試閤門祇侯) 최영언(崔令言)
- 사위 상서이부낭중(尙書吏部郎中) 김경화(金敬和)
최사위는 건축 및 토목에 상당한 재능을 가지고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묘지명에 등장하는 그가 참여한 건축물은
- 현화사(玄化寺) - 현화사비와 교차검증이 가능하다.
- 봉은사(奉恩寺)
- 태묘(太廟)
- 보제사(普濟寺) 금당(金堂), 나한전(羅漢殿)
- 의왕사(醫王寺)
- 사가원(寺家院)
- 서경(西京) 사천삼사(四天三寺)
- 서경(西京) 장락궁(長樂宮)
- 서경(西京) 태조진전(太祖眞殿)
- 연주(延州) 진북영화사(鎭北靈化寺)
- 선주(宣州) 신중사(神衆寺)
- 진도현(珍㠀縣) 점찰원(占察院)
- 시진현(市津縣) 포천(布川) 미륵원(彌勒院)
- 낭천군(狼川郡) 개통사(開通寺)
- 계성사(啓星寺)
- 개차근산(皆次斤山) 정양사(正陽寺)
- 수주(水州) 자복사(資福寺)
- 송림현(松林縣) 보현관(普賢舘)
묘지명에 기록된 최사위의 마지막 관직은 다음과 같다직위와 시호는 고려사와 똑같지만 향직 품계가 추가되어 있다.
최사위의 현종 옹립 시기의 일화, 여요전쟁 때의 일화가 실려있다. 방금성고(方今聖考)[7]께서 잠룡(潜龍) 시절 대량원(大良院)[8]에 머물고 있을 때, 여후(呂后)[9]가 김치양과 성고를 죽이려하자 이를 막고 대보(大寶)에 오를 수 있도록 도왔다고 한다.
여요전쟁 시기, 거란국(契丹國)이 병마를 끌고와 배주신좌(背主臣佐)[10]를 내놓으라고 요구했다고 한다. 그러나 최사위는 그런 사람이 없다며 일축했다. 거란군이 돌아가던 중, 그들을 습격해 크게 격파했다고 한다.
3.2. 증손자 최계방 묘지명
최계방(崔繼芳)은 최사위의 증손자로 자는 복시(復時)이다. 아들은 장남 최함소(崔諴少), 차남 최관오(崔觀奧), 감찰어사(監察御史) 최▨▨(崔▨▨)과 혼인한 성명 미상의 딸이 하나있다. 최계방 묘지명에 기록된 최사위의 마지막 관직은- 향직 품계: 삼중대광(三重大匡)
- 문산계 품계: 개부의동삼사(開府儀同三司)
- 공신호: 추충동덕진랑위주광국공신(推忠同德盡郎衛主匡國功臣) - 현종이 하사한 공신호로 고려사에 나오는 공신호의 풀버전으로 보인다.
- 직위: 내사령(內史令)
- 수직: 수태사(守太師)
- 작위: 한남군 개국후(漢南郡 開國侯)
- 시호: 정숙공(貞肅公)
최계방 묘지명에선 최사위가 성조 현종(聖祖顯宗)을 지켜 태조의 자리(太祖之位)를 잇는데 도와주었고, 정통(正統)을 만세(萬世)에 전할 수 있게 해주었다고 썼다. 그리하여 수원 최씨가 '삼한의 대족(三韓之大族)'이 되었다고 한다.
3.3. 현손 최우보 묘지명
최사위의 [현손] 최우보(崔祐甫)는 최융예(崔融藝) → 최사위(崔士威) → 최영언(崔令言) → 최덕준(崔德峻) → 최은(崔殷) → 최우보(崔祐甫) 순으로 가계가 이어진다. 어머니 이씨는 사문조교(四門助敎) 이사강(李思絳)의 딸이다. 그는 역사에 조예가 깊어 낙랑군 개국후(樂浪郡 開國侯) 김부식이 삼국사기를 편찬할 때 당당히 참여했다. 최우보 묘지명에 나오는 최사위의 관작은 수태사(守太師) - 내사령(內史令)으로 현묘조(顯廟朝)에 대공덕(大功德)을 세워 묘정에 배향(配食廟庭)되었다고 한다.4. 대중매체
- 2009년 KBS 대하드라마 <천추태후>에서는 최오식이 연기했다.
- 2023년 KBS 대하드라마 <고려 거란 전쟁>에서는 박유승이 연기했다. 최사위(고려 거란 전쟁) 참조.
[1] 율리우스력 4월 7일[2] 수주 최씨(水州 崔氏). 수원의 옛 지명이다.[3] 최서천(崔徐遷)의 차남[4] 김해 출신이다. 아버지는 김해부 아간(金海府 阿干) 유율행(庾欝行)이다.[5] 형부의 장관으로 형부는 지금의 법무부이다. 즉 형부상서는 지금의 법무부장관. 여담으로 2차 거란전쟁의 영웅 양규도 목종 때 형부낭중을 지냈다고 기록되어 있는데, 양규의 직속 상사였을 가능성이 높다.[6] 인사를 담당하는 이부의 장관[7] 방금은 지금이란 뜻이다. 성고는 임금의 아버지를 의미하는데, 이 묘지명이 만들어졌을 때가 문종 때다. 문종의 아버지는 현종이므로 '지금 임금의 아버지'는 현종이다.[8] 현종은 대량원에 봉해져 대량원군이 되었다.[9] 천추태후를 한나라의 여후로 비유하여 비난한 것이다.[10] 주인을 배신한 신하, 즉 강조를 의미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