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2-15 17:03:45

박질영


이 문서는 토막글입니다.

토막글 규정을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파일:고려 의장기.svg
고려 문하시중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670000,#fedc89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fedc89,#670000> 고려 초기
(918~981)
<colcolor=#373a3c,#ddd> 광평시중
김행도 | 박질영 | 류덕영 | 공훤 | 왕철 | 권직
문벌귀족기
(981~1170)
문하시중
최승로 | 박양유 | 한언공 | 김승조 | 최숙 | 류윤부 | 위수여 | 유진 | 최사위 | 유방 | 강감찬 | 서눌 | 황주량 | 최제안 | 최충 | 이자연 | 김원충 | 왕총지 | 김원정 | 박성걸 | 최유선 | 이정 | 문정 | 이정공 | 소태보 | 최사추 | 위계정 | 윤관 | 김경용 | 이위 | 김인존 | 이공수 | 김부식 | 김약온 | 임원후 | 왕충
무신정권
(1170~1270)
정중부 | 두경승 | 이의민 | 조영인 | 최충헌 | 이항 | 이연수 | 김취려 | 최종준 | 최항 | 김준 | 이장용
원 간섭기
(1270~1356)
김방경
(도)첨의중찬 · 도첨의시중 · 도첨의정승
김방경 | 류경 | 송송례 | 원부 | 허공 | 김방경 | 홍자번 | 조인규 | 홍군상 | 홍자번 | 홍규 | 홍자번 | 조인규 | 정가신 | 조인규 | 김혼 | 송분 | 홍자번 | 설공검 | 염승익 | 송분 | 한희유 | 한강 | 한희유 | 송분 | 홍자번 | 한희유 | 채인규 | 한희유 | 안향 | 한희유 | 한희유 | 김혼 | 정인경 | 최유엄 | 김지숙 | 최유엄 | 최유엄 | 이혼 | 류청신 | 홍규 | 류청신 | 권부 | 김이용 | 김이용 | 민지 | 배정 | 김태현 | 윤보 | 최유엄 | 김심 | 민지 | 김이 | 김이 | 윤석 | 정방길 | 윤석 | 김심 | 한악 | 윤석 | 강융 | 권한공 | 조적 | 한악 | 윤석 | 채하중 | 이능간 | 기철 | 채하중 | 한종유 | 왕후 | 김륜 | 김영후 | 김영후 | 인승단 | 노책 | 김영돈 | 왕후 | 노책 | 노책 | 손수경 | 손수경 | 이암 | 이제현 | 손기 | 송서 | 조일신 | 정천기 | 송서 | 조일신 | 이제현 | 조익청 | 홍빈 | 조익청 | 인승단 | 채하중 | 염제신 | 염제신 | 류탁 | 채하중 | 채하중 | 이능간 | 이제현 | 홍언박 | 홍언박 | 윤환
여말선초
(1356~1392)
문하시중 · 도첨의정승 · 도첨의시중
홍언박 | 윤환 | 이제현 | 염제신 | 염제신 | 이암 | 홍언박 | 류탁 | 염제신 | 류탁 | 류탁 | 김일봉 | 김일봉 | 경복흥 | 경복흥 | 류탁 | 경복흥 | 김보 | 이춘부 | 이인임 | 이춘부 | 이인임 | 윤환 | 경복흥 | 염제신 | 경복흥 | 이인임 | 윤환 | 이인임 | 홍영통 | 이자송 | 조민수 | 임견미 | 최영 | 이성림 | 임견미 | 이성림 | 이인임 | 이성림 | 반익순 | 반익순 | 이성림 | 최영 | 이성계 | 최영 | 우현보 | 조민수 | 이성계 | 이색 | 이성계 | 이림 | 심덕부 | 이성계 | 정몽주 | 이성계 | 이성계 | 심덕부 | 배극렴 | 이성계
고려 국왕 · 무신정권 집권자
고구려 (좌우보 · 국상 · 대막리지) · 백제 (좌우보 · 상좌평)
신라 (대보 · 시중 · 병부령 · 상대등) · 발해 대내상 · 태봉 시중 · 고려 문하시중
조선 영의정 · 대한제국 내각총리대신 · 임시정부 부수반 · 대한민국 국무총리
}}}
}}}}}}}}}
<colbgcolor=#fedc89,#670000><colcolor=#670000,#fedc89> 고려 광평시중
박질영
朴質榮 | Park Jil-young
출생 생년 미상
사망 몰년 미상
재임기간 918년 6월 21일 ~ 미상
주요 관직 고려시중
벼슬 한손(韓飡)

1. 개요2. 가족관계

[clearfix]

1. 개요

고려 전기의 문신이다. 알려진 기록이 남아 있지 않다. 그러나 시중 벼슬을 한 것으로 보아 당대에는 권세 있는 호족 출신이었음을 유추할 수 있다.

922년 동주(同州)로 이주해 동주 김씨(同州 金氏)가 되는 김행파[1]와 함께 서경으로 이주했다는 기록이 있다. 당대 금석문 기록에서도 패강-서경을 기반으로 한 박씨가 확인되기 때문에 평양 박씨의 시조 박득개(朴得芥)의 선조로 추정된다.[2] 태조 왕건은 평양을 중시해 서경(西京)으로 명명했으며 평양 천도 계획까지 가졌을 정도이기 때문에 평양 호족인 박질영의 위세도 상당했으리라 추정된다.

2. 가족관계

가문의 기록이 실전된 서전원부인의 서전원(西殿院)이 평양의 서경(西京)에서 유래된 것으로 추측되기 때문에 서전원부인의 아버지로 추정된다. 또는 <징효대사탑비>에 나오는 필영대왕이 실제로는 대광(大匡)이며 필영과 같은 행에 나타나는 영장(월화원부인의 아버지)과 왕경(정목부인의 아버지)이 둘 다 왕건의 장인이라는 점을 들어 필영(弼榮)이 박질영(質榮)과 형제고 대광 필영이 서전원부인의 아버지라는 가설이 있다.

[1] 대서원부인소서원부인의 아버지. 천추태후와 사통한 것으로 유명한 김치양의 선조로 추정된다. 서흥 김씨가 김행파와 김치양의 후손인데 경순왕의 후손으로 신분세탁한 가문으로 추정된다.[2] 평양 박씨의 시조 박득개는 고려 때 대장군을 지낸 평양백(平壤伯)의 후손으로, 2000년 통계청에서 199명밖에 확인되지 않았을 정도의 초희귀 가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