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2-20 01:54:13

요괴(원신)


파일:관련 문서 아이콘.svg   관련 문서: 원신/설정/리월
, 원신/설정/이나즈마
, 원신/등장인물/이나즈마
,
,
,

파일:원신 로고.svg 종족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wiki style="margin: -0px -10px;"<table width=100%><tablebgcolor=#fff,#1c1d1f>티바트 전체
인간(아인간·네피림) · 선령 · 마신 · · 원소 생명체
파일:원신_리월.png 리월
선인 · 요마
파일:원신_이나즈마.png 이나즈마
요괴
파일:원신_수메르.png 수메르
아란나라 · 페리 · 바루카수나 · 지니
파일:원신_폰타인.png 폰타인
물의 정령 · 멜뤼진
파일:원신_나타_아이콘.png 나타
나타의 용
}}} ||
}}}}}}}}} ||


1. 개요2. 상세
2.1. 리월에서2.2. 이나즈마에서
2.2.1. 너구리 요괴2.2.2. 여우 요괴2.2.3. 오니2.2.4. 텐구2.2.5. 바쿠2.2.6. 꿈마수2.2.7. 등장 요괴
3. 여담4. 관련 문서5. 둘러보기

1. 개요

온라인 게임 원신에서 등장하는 종족.

2. 상세

현재까지 요괴가 언급된 나라는 동양을 모티브로 한 리월이나즈마이나, 그 취급이 조금 다르다.

2.1. 리월에서

요괴 / 요마
Daemons / Daemonic
언어별 표기 파일:미국 국기.svg Daemons / Daemonic
파일:중국 국기.svg [ruby(妖邪, ruby=Yāo Xié)] / [ruby(妖魔, ruby=Yāomó)]
파일:일본 국기.svg [ruby(妖怪, ruby=ようかい)] / [ruby(妖魔, ruby=ようま)]
태고 시대 리월은 장독(瘴毒)과 악한 것들로 가득했다. 전패한 마신의 잔해가 증오와 원한을 속세에 퍼뜨려 요마가 되었고, 요마가 들끓을 때마다 역병, 요괴, 이변이 함께 생겨났다.
서적 호법선중야차록
리월의 경우에는 의 전설 임무에서 얻을 수 있는 책인 호법선중야차록에서‘전패한 마신의 잔해가 증오와 원한을 속세에 퍼뜨려 「요마」가 되었고, 요마가 들끓을 때마다 역병, 요괴, 이변이 함께 생겨났다‘라고 언급된다. 그리고 현재까지 살아남은 선중야차인 가 그 근원을 퇴치하고 있다고 알려졌다. 이나즈마의 요괴와는 달리 이쪽은 별개의 종족이라기보단 리월에 남은 마신의 잔재 덩어리와 원념, 그리고 그것에 침식된 다른 마물들의 통칭이다.
: 난 이 주변의 「요마」에 씐 생물을 처치하고 있었어. 아무래도 내가 너흴 방해한 것 같군
페이몬: (엥? 왜 우리한테 미안하다는 말투지…?) 여기서 요괴를 퇴치하고 있었다며, 뭐가 우릴 방해했다는 거야?
소의 전설임무 번역이 제각각이다. 예시로 한국어판은 소의 대사는 '요마', 페이몬은 '요괴' / 중국어판 원문의 경우 소는 '妖邪(요사)', 페이몬은 '요마(妖魔)', 일본어 번역의 경우 소와 페이몬 둘다 '요마(妖魔)', 영어판의 경우 소는 'demonic', 페이몬은 'demons'다. 다만 호법선중야차록 일본어 번역판은 '妖怪(요괴)'를 쓴다. 한국어판의 경우 소의 전설임무를 제외하면 나머지는 요마로 통일되어 선율이 흐르는 밤 이벤트 중 중운과 종려의 대사에서도 요마로 통일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2.2. 이나즈마에서

요괴
Youkai
언어별 표기 파일:미국 국기.svg Youkai
파일:중국 국기.svg [ruby(妖怪, ruby=Yāoguài)]
파일:일본 국기.svg [ruby(妖怪, ruby=ようかい)]
스토리 PV - 아키츠 하네츠키
{{{#!wiki style="margin:0 -10px"
{{{-1 {{{#!folding 기타 언어 버전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wiki style="margin:0px; min-width: 80px; display:inline-block"
{{{#!folding [ 일본어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wiki style="margin:0px; min-width: 80px; display:inline-block"
{{{#!folding [ 중국어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table width=100%><table bgcolor=#ffffff,#2d2f34>
}}}}}}}}} {{{#!wiki style="margin:0px; min-width: 80px; display:inline-block"
{{{#!folding [ 영어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table width=100%><table bgcolor=#ffffff,#2d2f34>
}}}}}}}}}}}}}}}}}}}}}
이나즈마가 요괴가 실존한다는 가상의 고대 일본을 모티브로 하여서 당연히 일본풍의 요괴들이 나온다. 아라타키 이토의 캐릭터 스토리 3에도 ‘이나즈마에는 고대부터 요괴 일족이 존재했다.’라는 설정이 있다. 대표적으로 아라타키 이토(오니)나, 쿠죠 사라(카라스텐구), 야에 미코(요호), 키라라(네코마타), 유메미즈키 미즈키(바쿠), 아키츠 숲 담력 시험에서는 츠쿠모가미, 카마이타치[1], 캇파나 외눈 동자승도 등장한다. 이나즈마에는 설원 지역이 없는 탓인지 설녀는 존재하지 않는다. 요괴의 개체는 다양하지만 날씨와 기후에 영향을 받는 요괴는 없기에 눈과 밀접한 존재인 설녀가 살아갈 수 없는 환경인 모양.

한때 그 수가 많아 백귀야행이라 불리며 미카와 축제를 열어 다같이 놀고 마시며 지냈고 라이덴 마코토/에이 자매도 이들과 매우 친하게 지냈으나, 대재앙의 여파로 심각한 타격을 입었다. 이때 우라쿠사이나 호재궁, 미코시 치요[2] 강력한 힘을 가진 요괴들이 전부 미치거나 죽어버렸기 때문에 여행자가 이나즈마에 도착했을 땐 인간 사회에 녹아든 부류와 전투에 참여하지 않고 숲 속에 남았던 약한 요괴들만 남아 있다. 현재 남아 있는 대요괴는 야에 미코유메미즈키 미즈키, 그리고 돌이 된 이오로이 뿐이다. 키라라도 코마니야로 탈주(?)하지 않았다면 대요괴의 직함을 받았을 지 모른다는 언급이 있다.

요력이 높아지면 인간의 모습으로 의태할 수 있다고 한다. 5.4 버전 업데이트로 추가된 바쿠 일족도 인간으로 의태해 인간 사회에서 활동하는 모습이 나왔다. 반대로 특정한 사물의 모습을 한 요괴도 존재하는데 그 중 꽃잎비쉼터의 이야기꾼은 무기로 사용할 수 있다.

2.2.1. 너구리 요괴

너구리 요괴
Bake-Danuki
파일:원신-모델링-너구리 요괴.png
언어별 표기 파일:미국 국기.svg Bake-Danuki
파일:중국 국기.svg [ruby(妖狸, ruby=Yāolí)]
파일:일본 국기.svg [ruby(妖狸,ruby=ようり)]
천성이 낙천적이고 신출귀몰하는 너구리. 일족에서 전해져 내려오는 법술을 익혔다. 다른 물체, 심지어 인간으로도 변할 수 있는 능력이 있다.
막부에 속하는 비밀조직과 엮이는 경우가 있지만, 너구리의 심성은 그렇게 나쁘지 않다. 인간을 상대로 치는 장난도 장난을 좋아해서이다.
기록에는 단 한 번의 예외가 있다. 아주 오래전에 너구리 요괴 요로이를 비롯한 수호의 숲의 너구리 요괴들이 「너구리 소동 전투」를 일으켰다. 두목과 요괴 너구리의 갈등이 원인으로 보인다. 하지만 해당 사건의 결과로 대부분의 너구리 요괴가 석상에 봉인되었다
생물지 도감
모티브는 바케다누키로 설정상으로는 너구리 요괴들의 우두머리인 이오로이가 석상에 봉인되어 있어서 정보 수집을 이들 너구리 요괴들에 의존한다. 너구리 요괴와 관련된 이벤트로 산해 여덟 곳의 순례가 있는데 어린 너구리 요괴인 길법사를 데리고 바깥수행을 도와주는 내용이다. 어리다는 설정인지 다른 너구리 요괴들과는 다른 모델링을 썼고, 이후 미카와 꿈놀이 축제 이벤트에서 등장한 킨카쿠, 긴카쿠, 테츠노스케도 눈매와 색을 다르게 바꾼 모델링을 썼다.

대요괴인 이오로이를 포함해 너구리 요괴들은 천성이 매우 순진한 편이다. 킨카쿠, 긴카쿠, 테츠노스케가 500년 넘게 미코시 치요의 뿔에 담긴 악몽과 공존했음에도 인명 피해가 발생한 적이 없을 정도다.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등장하는 생물로서의 자세한 내용은 원신/생물 문서
번 문단을
너구리 요괴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2.2.2. 여우 요괴

여우 요괴
Kitsune / Youko[3]
언어별 표기 파일:미국 국기.svg Kitsune / Youko
파일:중국 국기.svg [ruby(狐妖, ruby=Húyāo)]
파일:일본 국기.svg [ruby(妖狐,ruby=ようこ)]
모티브는 요호로 과거 이나즈마에 살았던 요괴 일족 중 하나. 너구리 요괴와 비슷하게 여우 요괴도 법술로 유명해 너구리 요괴 일족의 대요괴인 이오로이는 라이벌로 생각하는 모양이다. 과거의 인물로 호재궁우라쿠사이가 있었으며 플레이어블 캐릭터로 야에 미코가 있다.

2.2.3. 오니

오니
Oni
파일:원신 오니.png
언어별 표기 파일:미국 국기.svg Oni
파일:중국 국기.svg [ruby(鬼, ruby=Guǐ)]
파일:일본 국기.svg [ruby(鬼, ruby=おに)]
아라타키 이토: 붉은 오니는 인간들과 평화롭게 지내는 법을 찾으려고 노력했지만, 푸른 오니는 종종 인간들과 마찰이 일어났어. 인간들에겐 푸른 오니든 붉은 오니든 잘 지내기 어려운 똑같은 오니족일 뿐이었지. 계속 그렇게 갔다간 오니족이 영영 인간들에게 받아들여질 수 없었지. 그때, 붉은 오니와 푸른 오니 중 가장 덕망 높은 우두머리들이 나섰어. 그들은 술에 맹세했지. 푸른 오니는 악귀의 역할로 붉은 오니가 인간 사회에 어울릴 수 있게 돕기로 말이야. 그러나 푸른 오니의 우두머리는 두 가지 조건을 내걸었어.

페이몬: 조건?

아라타키 이토: 첫째, 오니족은 인간에게 편견을 가져선 안 된다. 인간들에게 받아들여지기 전에 먼저 우리가 인간을 받아들여야 한다. 약한 자를 괴롭혀서도, 자포자기해서도 안 된다. 둘째, 붉은 오니는 인간 사회에 어울리되 인간의 환심을 사거나 비위를 맞춰서는 안 된다. 오니족은 정의로운 성격, 들끓는 피, 강대한 힘으로 인간의 존중을 얻는다. 달리 말해, 오니족의 혈통을 이어가는 동시에 우리의 「긍지」도 지키는 거지.
하늘 소의 장 제1막 「적금색의 영혼」 中
모티브는 오니로 과거 이나즈마에 살았던 요괴 일족 중 하나. 과거의 이나즈마는 무척 위험했기 때문에 라이덴 쇼군의 가호를 받으려면 인간과 우호적인 관계를 유지해야했는데 푸른 오니와 붉은 오니로 나뉘어 내분이 일었다. 붉은 오니들은 평화롭게 공존할 방법을 모색했으나 푸른 오니들이 종종 인간들과 마찰을 일으켜 결국 술잔을 들고 맹세해 오니들은 인간에 편견을 가지지 않도록 인간을 받아들임과 동시에 푸른 오니들은 붉은 오니들이 인간 사회에 녹아들 수 있도록 악역의 역할을 맡기로 한다. 오랜 세월이 지나 오니들의 숫자 또한 상당히 줄어든 것으로 보인다.

과거 인물로 미코시 치요가 있었고, 플레이어블 캐릭터로는 아라타키 이토가 있다.

2.2.4. 텐구

텐구
Tengu
언어별 표기 파일:미국 국기.svg Tengu
파일:중국 국기.svg [ruby(天狗, ruby=Tiāngǒu)]
파일:일본 국기.svg [ruby(天狗, ruby=てんぐ)]
모티브는 카라스텐구로 과거 이나즈마에 살았던 요괴 일족 중 하나. 주로 요고우산에 살았던 것으로 보이며 과거 인물로는 사사유리산령선방이 있었다. 플레이어블 캐릭터로는 쿠죠 사라가 있다.

2.2.5. 바쿠

바쿠
Baku
파일:원신 바쿠.png
언어별 표기 파일:미국 국기.svg Baku
파일:중국 국기.svg [ruby(食梦貘, ruby=Shí Mèng Mò)]
파일:일본 국기.svg [ruby(夢喰, ruby=ゆめく)]い[ruby(獏, ruby=ばく)]
모티브는 으로 인간의 악몽을 먹고 자신의 꿈에서 소화시키는 요괴이다. 대부분의 바쿠는 인간의 다양한 감정을 이해하지 못해 삼켜도 밍밍한 빵마냥 별다른 맛을 느끼지 못한다고 한다. 유메미즈키 미즈키는 해외에서 유학하면서 인간의 감정을 이해하고 공감하기 위해 심리 치료 공부를 오래 했기 때문에 특수한 케이스다. 인간으로 의태하는 것도 가능한데 아이사 대중탕의 유메미즈키 미즈키, 햐쿠지츠하쿠 시온(百日白白音), 시바 무라사키(柴葉紫)가 대표적인 사례다. 플레이어블 캐릭터로는 유메미즈키 미즈키가 있다. 이름의 발음이나 한자를 보면 알 수 있듯 회문처럼 짓는 것이 일족의 특징으로 보여진다.

바쿠는 악몽 뿐만 아니라 좋은 꿈도 먹을 수는 있고 먹어서 딱히 문제가 생기지는 않지만, 타인의 꿈을 함부로 먹는 것은 일족에서 절대적으로 금기시되어 있으며 특히 좋은 꿈은 함부로 먹어서는 안 된다는 불문율이 있다.[4] 또한 악몽이 강력할수록 소화 시간이 길어지고 몸에 걸리는 부하가 증가하며, 악몽이 너무 강력하면 최악의 경우 소화 및 흡수가 불가능해져서 바쿠 자신이 목숨을 잃는 경우도 있다고 한다.[5]

2.2.6. 꿈마수

꿈마수
Nightmare Monster
파일:꿈 마수.png
언어별 표기 파일:미국 국기.svg Nightmare Monster
파일:중국 국기.svg [ruby(魇, ruby=Yǎn)]
파일:일본 국기.svg [ruby(夢魔, ruby=むま)]
모티브는 몽마로 과거 이나즈마에서 기승을 부렸던 요괴이다. 악몽을 먹어치우는 바쿠와 달리 꿈마수는 그 악몽에 기생해 서로 천적 관계다.

꿈마수는 숙주의 악몽 속에서만 살 수 있기에 악몽을 계속 꾸도록 숙주의 꿈을 조작한다. 그러나 꿈마수에게 너무 오랫동안 기생당한 숙주는 매일매일 악몽에 시달린 탓에 심신이 지치다 못해 아예 삶의 의욕까지 잃어버려 결국 숙주가 단명하고 기생하던 꿈마수도 숙주를 잃어 같이 죽는 모순이 다반수였다.[6] 결국 이런 암세포와 같은 생존 능력 때문에 오래전 도태되어 멸종했고, 쿠로 유메(クロユメ)가 유일한 일족의 생존자였다.

쿠로 유메가 이나즈마인들의 「꿈속의 꿈」에 들어가 환경을 바꾸고 분신을 양산해 일족을 부활시키려 했으나 미즈키와 여행자에게 저지당해 꿈마수는 이나즈마에서 완전히 자취를 감추게 된다. 사람들의 평안과 안녕을 위협하기에 사라질 수 밖에 없었지만 어떻게보면 타종족과 공존을 할래야 할 수가 없는 생존방식때문에 멸종한 한편으로는 불쌍한 종족.

2.2.7. 등장 요괴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
,
,
,
,
,
,
,
,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
현재 시점에 등장하는 요괴에 대한 내용은 원신/등장인물/이나즈마 문서
18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
현재 시점에 등장하는 요괴:
원신/등장인물/이나즈마
문서의 18번 문단
문서의 부분
*
:
문서의 번 문단
문서의 부분
*
:
문서의 번 문단
문서의 부분
*
:
문서의 번 문단
문서의 부분
*
:
문서의 번 문단
문서의 부분
*
:
문서의 번 문단
문서의 부분
*
:
문서의 번 문단
문서의 부분
*
:
문서의 번 문단
문서의 부분
*
:
문서의 번 문단
문서의 부분
*
:
문서의 번 문단
문서의 부분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
,
,
,
,
,
,
,
,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
과거 시점에 등장하는 요괴에 대한 내용은 원신/등장인물/이나즈마 문서
19.1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
과거 시점에 등장하는 요괴:
원신/등장인물/이나즈마
문서의 19.1번 문단
문서의 부분
*
:
문서의 번 문단
문서의 부분
*
:
문서의 번 문단
문서의 부분
*
:
문서의 번 문단
문서의 부분
*
:
문서의 번 문단
문서의 부분
*
:
문서의 번 문단
문서의 부분
*
:
문서의 번 문단
문서의 부분
*
:
문서의 번 문단
문서의 부분
*
:
문서의 번 문단
문서의 부분
*
:
문서의 번 문단
문서의 부분

3. 여담

  • 요마는 중운과도 관련있다. 중운의 소속이 천형 도사 일족이라 요마를 퇴치하는 일을 마신전쟁 때부터 같이 수행해왔는데 호법야차들이 음지에서 활동할 때 도사들은 양지에서 요마들을 퇴치하고 다녔다고 한다. 작중에서는 중운이 가진 양의 기운이 쎄서 요마가 다 달아나버린다는 설정 때문에 실제로 등장한 요마는 없다.
  • 요괴는 여우 신선인 야에 미코와 전설 임무에 빙의한 모습으로만 나온 우라쿠사이, 석상에 봉인된 이오로이를 제외하고 멀쩡히 활동하는 너구리 요괴들말고는 등장하지 않았다가 아키츠 숲 담력 시험에 여우 요괴, 캇파, 외눈 동자승이 등장했다. 문제는 어린아이 NPC 모델을 돌려쓴거라 이에 대해 비판도 있었다.
  • 소 전설임무 기준으로 한국어판 작중에서는 페이몬의 대사에서 ‘요괴'라는 표현을 쓴 반면, 한국어판 이외에서는 단어를 통해 차별화를 두었었다. 예를 들어 일본어판의 경우는 소의 대사와 페이몬의 대사에서 요마로 통일했기 때문에 혼동을 피했다. 다만, 리월의 요괴와 이나즈마의 요괴가 같은 종이라고는 보기 어려우며, 요사(妖邪)라는 단어 자체를 한국의 중국어사전에서는 요괴로 표기하기도 때문에 세계관 이해에 지장이 갈 수 있지만 오역은 아니다.

4. 관련 문서

5. 둘러보기


#!wiki
||<tablealign=center><width=600><table bordercolor=#004e6a,#383b40><bgcolor=#004e6a,#010101> [[원신|[[파일:원신 로고.svg|width=85]]]] ||
||<bgcolor=#fff,#191919> {{{#!wiki style="margin:0 -10px -5px"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min-width:25%; min-height:2em"
{{{#!folding ⠀[ 스토리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tablewidth=100%><table bgcolor=#fff,#1c1d1f><colbgcolor=#004e6a,#010101><colcolor=#ffffff,#e0e0e0><width=11%> '''[[원신/스토리|{{{#ffffff 스토리}}}]]''' ||{{{#!wiki style="letter-spacing: -0.5px"
[[원신/연표|연표]] · [[원신/임무|임무]] {{{-2 ([[원신/임무/마신 임무|마신]] · [[원신/임무/전설 임무|전설]] · [[원신/임무/월드 임무|월드]] · [[원신/일일의뢰|의뢰]])}}} · [[원신/이벤트|이벤트]] {{{-2 ([[원신/이벤트/1.n 버전|1]] · [[원신/이벤트/2.n 버전|2]] · [[원신/이벤트/3.n 버전|3]] · [[원신/이벤트/4.n 버전|4]] · [[원신/이벤트/5.n 버전|5]]  /  [[해등절]], [[원신/이벤트/여름 이벤트|여름 이벤트]])}}}}}} ||
||<|3> '''[[원신/지역|{{{#ffffff 지역}}}]]''' ||{{{#!wiki style="letter-spacing: -0.5px"
'''티바트''': [[몬드]] · [[리월]] · [[이나즈마(원신)|이나즈마]] · [[수메르(원신)|수메르]] · [[폰타인]] · [[나타(원신)|나타]] · [[스네즈나야]] · [[켄리아]]}}} ||
||{{{#!wiki style="letter-spacing: -0.5px"
'''고대 국가''': [[살 빈다그니르]] · [[백야국]] · [[레무리아 제국]] · [[오치카나타]] }}} ||
||{{{#!wiki style="letter-spacing: -0.5px"
'''특수 지역''': [[드래곤 스파인]] · [[층암거연]] · [[연하궁]] · [[지난날의 바다]] · [[잿더미 바다]] · [[셀레스티아(원신)|셀레스티아]] · [[금사과 제도]] · [[유리빛 신기루]] · [[시뮬랑카]]}}} ||
||<|2> '''[[원신/설정|{{{#ffffff 설정}}}]]''' ||{{{#!wiki style="letter-spacing: -0.5px"
'''지역별''': [[원신/설정/몬드|몬드]] · [[원신/설정/리월|리월]] · [[원신/설정/이나즈마|이나즈마]] · [[원신/설정/수메르|수메르]] · [[원신/설정/폰타인|폰타인]] · [[원신/설정/나타|나타]] · [[원신/설정/스네즈나야|스네즈나야]] · [[원신/설정/켄리아|켄리아]]}}} ||
||{{{#!wiki style="letter-spacing: -0.5px"
[[신(원신)|신]] {{{-2 ([[일곱 신]]· [[마신전쟁(원신)|마신전쟁]]· [[4명의 집정관]])}}} · [[신의 눈(원신)|신의 눈]] · [[원신/종족|종족]] · [[티바트 문자|문자 및 언어]] · [[심연(원신)|심연]] · [[대재앙]] · [[강림자(원신)|강림자]] · [[운명의 자리]] }}} ||
||<|2> '''[[원신/등장인물|{{{#ffffff 등장인물}}}]]''' ||{{{#!wiki style="letter-spacing: -0.5px"
'''지역별''': [[원신/등장인물/몬드|몬드]] · [[원신/등장인물/리월|리월]] · [[원신/등장인물/이나즈마|이나즈마]] · [[원신/등장인물/수메르|수메르]] · [[원신/등장인물/폰타인|폰타인]] · [[원신/등장인물/나타|나타]] · [[원신/등장인물/스네즈나야|스네즈나야]] · [[원신/등장인물/켄리아|켄리아]] · [[원신/등장인물|기타]]}}} ||
||{{{#!wiki style="letter-spacing: -0.5px"
'''세력 및 집단''': [[모험가 길드(원신)|모험가 길드]] · [[페보니우스 기사단]] · [[선인(원신)|리월 선인]] · [[수메르 아카데미아]] · [[도금 여단]] · [[수선화 십자]] · [[우인단]] · [[심연 교단]] · [[마녀회]]}}} ||}}}}}}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min-width:25%; min-height:2em"
{{{#!folding ⠀[ 게임 플레이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tablewidth=100%><table bgcolor=#fff,#1c1d1f><colbgcolor=#004e6a,#010101><colcolor=#ffffff,#e0e0e0><width=11%> '''[[원신/콘텐츠|{{{#ffffff 콘텐츠}}}]]''' ||{{{#!wiki style="letter-spacing: -0.5px"
[[원신/캐릭터|캐릭터]] · [[원신/생물|생물]] · [[원신/비경|비경]] · [[원신/나선 비경|나선 비경]] {{{-2 ([[원신/나선 비경/역대 메타/3.n 버전|3]] · [[원신/나선 비경/역대 메타/4.n 버전|4]] · [[원신/나선 비경/역대 메타/5.n 버전|5]])}}} · [[원신/현실 속 환상극|현실 속 환상극]] {{{-2 ([[원신/현실 속 환상극/일정|일정]] · [[원신/현실 속 환상극/그림 속 궤적|그림 속 궤적]])}}} · [[원신/속세의 주전자|속세의 주전자]] {{{-2 ([[원신/속세의 주전자/선물 세트|선물 세트]])}}} · [[원신/낚시|낚시]] · [[일곱 성인의 소환]] {{{-2 ([[일곱 성인의 소환/카드일람|카드일람]])}}} · [[선율이 흐르는 악보]] · [[원신/코스튬|코스튬]] · [[원신/명함|명함]]}}} ||
||<|2> '''[[원신/적|{{{#ffffff 적}}}]]''' ||{{{#!wiki style="letter-spacing: -0.5px"
[[원소 생명체]] · [[츄츄족]] · [[심연(원신)|심연]] · [[우인단/적|우인단]] · [[자동 장치(원신)|자동 장치]] · [[보물 사냥단]] · [[노부시패]] · [[도금 여단/적|도금 여단]] · [[부족 용 무사]] · [[돌연변이 마수]] · [[원신/적/기타 몬스터|기타]]
}}} ||
||{{{#!wiki style="letter-spacing: -0.5px"
[[원신/적/토벌 보스|토벌 보스]] · [[원신/적/주간 보스|주간 보스]] · [[지방 전설]] {{{-2 ([[지방 전설/수중|수중]] · [[지방 전설/밤혼 시련|밤혼 시련]])}}}
}}} ||
|| '''[[원신/시스템|{{{#ffffff 시스템}}}]] ''' ||{{{#!wiki style="letter-spacing: -0.5px"
[[원신/시스템/원소|원소]] · [[원신/전투|전투]] · [[원신/필드 기믹|기믹]] · [[원신/탐사|탐사]] · [[원신/기원|기원]] {{{-2 ([[원신/기원/캐릭터 이벤트 기원|캐릭터]] · [[원신/기원/무기 이벤트 기원|무기]] · [[원신/기원/묶음 기원|묶음]])}}} · [[원신/기행|기행]] · [[원신/업적|업적]]}}} ||
|| '''아이템''' ||{{{#!wiki style="letter-spacing: -0.5px"
[[원신/무기|무기]] {{{-2 ([[원신/무기/한손검|한손검]] · [[원신/무기/양손검|양손검]] · [[원신/무기/장병기|장병기]] · [[원신/무기/법구|법구]] · [[원신/무기/활|활]])}}} · [[원신/성유물|성유물]] · [[원신/육성 아이템|육성]] · [[원신/음식|음식]] {{{-2 ([[원신/음식/회복|회복]] · [[원신/음식/공격|공격]] · [[원신/음식/모험|모험]] · [[원신/음식/방어|방어]])}}} · [[원신/재료|재료]] · [[원신/간편 아이템|간편]] · [[원신/임무 아이템|임무]] {{{-2 ([[원신/임무 아이템/월드 임무|월드 임무]] · [[원신/임무 아이템/책|책]]) }}} · [[원신/귀중한 물품|귀중한 물품]] · [[원신/장식|장식]] {{{-2 ([[원신/장식/실외 장식|실외]] · [[원신/장식/실내 장식|실내]])}}} · [[원신/기타 아이템|기타]]}}} ||}}}}}}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min-width:25%; min-height:2em"
{{{#!folding ⠀[ 기타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tablewidth=100%><table bgcolor=#fff,#1c1d1f><colbgcolor=#004e6a,#010101><colcolor=#ffffff,#e0e0e0><width=11%> '''미디어 믹스''' ||{{{#!wiki style="letter-spacing: -0.5px"
[[원신/애니메이션|애니메이션]] {{{-3 ([[원신(애니메이션)|장편]] · [[원신/단편 애니메이션|단편]])}}} · [[원신/OST|OST]] · [[https://genshin.hoyoverse.com/ko/manga|만화]]}}} ||
|| '''온/오프라인 이벤트''' ||{{{#!wiki style="letter-spacing: -0.5px"
[[원신/콘서트|콘서트]] · [[HoYoFair]] · 축제 {{{-2 ([[원신 2022 여름축제|2022 여름]] · [[원신 2023 여름축제|2023 여름]] · [[호요랜드|2024 가을]])}}}}}} · [[원신/한국 서비스|한국 서비스]] {{{-2 ([[원신 Cafe in Seoul]] · [[원신 PC 라운지 in Seoul]])}}} ||
|| '''기타''' ||{{{#!wiki style="letter-spacing: -0.5px"
[[원신/업데이트|업데이트]] · [[원신/출시 전 정보|출시 전 정보]] · [[원신/여담|여담]] {{{-2 ([[원신/플레이 팁|플레이 팁]] · [[원신/일본 서비스|일본 서비스]] · [[원신/여담/공식 정보|공식 정보]])}}} · [[원신/평가|평가]] · [[원신/논란 및 사건 사고|논란 및 사건 사고]]}}} ||
|| '''관련 사이트''' ||{{{#!wiki style="letter-spacing: -0.5px"
[[원신 공식카페|카페]] · [[원신 project 마이너 갤러리|갤러리]] · [[원신 채널|채널]]}}} ||}}}}}}
}}}}}} ||


[1] 이쪽은 PV의 주역이기도 하다. 직접적인 언급은 없지만 족제비, 꼬리의 낫, 주무기로 쓰는 사슬낫 등에서 카마이타치의 특징들이 묻어나온다.[2] 예외적으로 텐구 사사유리는 오로바스가 와타츠미군을 이끌고 궐기했을 때 전사했다.[3] 종족은 Kistune, NPC는 Youko로 구분지어 번역되었다.[4] 유메미즈키 미즈키 전설 임무에서의 언급과 미즈키의 음성 자료 '우리에 대해·좋은 꿈' 대사에 따르면 좋은 꿈은 인간에게 매우 소중한 보물이어서 조금이라도 손상되면 슬픈 감정에 빠질 수 있기에 함부로 먹으면 안 된다고 한다. 본인의 전설 임무에서도 악몽을 소화하고 있던 중 작은 바쿠에게 이끌려 꿈속에 잘못 들어온 여행자의 좋은 꿈 한 조각을 먹었는데, 실수로 아주 작은 조각만 먹었을 뿐인데도 여행자에게 사과하면서 아이사 대중탕 VIP 서비스 티켓을 선물했다.[5] 미즈키의 경우는 자신만의 치료술을 병행해서 사용하기에 기절하는 정도로 그친다고 한다.[6] 게다가 꿈마수들이 더 많은 힘을 얻겠다는 탐욕에 눈이 멀어 숙주가 꾸는 악몽의 강도를 더더욱 높인 게 한 몫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