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산삼각선 龍山三角線 | Yongsan Triangular Junction | |
소유자 | 대한민국 정부 국가철도공단에 소유권 행사 위임 |
운영기관 | 한국철도공사 |
노선번호 | 30201 |
노선명칭 | 경부선 용산삼각선 (京釜線 龍山三角線) |
노선종별 | 지선철도, 일반철도 |
영업거리 | 0.5㎞ |
궤간 | 1,435㎜ |
정거장수 | 2 |
기점 | 용산경부선분기[A] |
종점 | 경원선 분기[B] |
급전방식 | 단상 교류 25000V 60㎐ 가공전차선 |
신호장비 | ATS, ATP[3] |
개업일 | 불명 |
운영노선 | 건설 새마을호 및 건설 무궁화호 화물열차 임시열차 |
[clearfix]
1. 개요
용산삼각선을 통과하는 임시열차인 교육전용열차 |
용산삼각선(龍山三角線, Yongsan Triangular Junction)은 경부선과 경원선을 연결하는 단선 철도이다. 매우 오래된 노선으로, 최소 1965년부터 존재한 것으로 보인다.
용산삼각선은 경부선 한강철교 북단에서 분기하여 경의·중앙선을 타다가 지상청량리를 지나 회기역 전에 1호선과 합류한다. 이런 특성 때문에 서울 지하철 1호선이나 경부선 용산역~서울역 구간의 완행선로에 지장이 생길 경우 우회경로로 이용된다. 그리고 경부선을 경유해서 서울역 방향으로 가지 않고 바로 경원선으로 가는 임시열차나 화물열차도 이용한다. 예를 들어, 이문차량사업소 등으로 향하는 갑종회송열차나 경원선 인근 부대로 가는 건설화물 열차, 그리고 경원선이나 경춘선에서 출발해 경부선으로 향하는 단체관광열차가 있다. 열차편성의 앞 뒤를 바꿀때 경유하는 선로이기도 하다.
한강철교 A/B선의 속도제한과 상행열차 진입시 A선에서 B선으로 평면교차가 필요한 점, 삼각선 특유의 작은 곡선반경, 한때는 한강대로 인근 구간의 절연구간이 있었던 점 등 이러저러한 제한사항이 많은 선로이다. 일단 통과하는 용산발 동인천급행, 구로행, 그리고 회송열차를 기다렸다가 출발하며, 속도도 30km/h로 제한되어 있다.
경원선으로 합류하는 것도 편하지 않다. 용산삼각선은 경원선 상행 선로로 이어지는데, 여기도 하행 선로로 평면교차를 하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경원선 합류지점에서 멀지 않은 곳에 한강대교 북단 굴다리로 들어가는 진입부가 있기 때문에 건넘선을 놓을 공간이 부족했고, 결국 용산삼각선과 경원선 상행 선로를 X자에 가깝게 교차시켜 하행 선로까지 연결해 놓았다. 덕분에 이 X자 부분의 선로전환기는 대단히 복잡한 형태로 되어 있었다. 모든 방향으로 다 갈 수 있는 DS분기(Double-Slip Switch)는 아닌데, 하행선에서 건너오는 열차는 상행선으로 진입하지 못하고 용산삼각선으로만 빠지도록 되어있다. 이 복잡한 분기기에 더해 본선에 절연구간까지 있어서 통과 속도가 심각하게 낮았다. 결국 2017년경 평창올림픽을 앞두고 절연구간을 없애면서 상행 선로로만 이어지도록 만들고, 건넘선은 이촌역 방면으로 약 600m 이동하여 새로 설치했다.
수도권 내에서 교류 25,000V 전용 열차가 스위치백 없이 경부선 계열 철도에서 중앙선 계열 철도로 이동할 수 있는 유일한 선로이다. 만약 교외선 전 구간이 전철화된다면 유일하지 않게 된다. 그러할 경우 서울역~능곡역 구간을 경의선, 능곡역~의정부역 구간을 교외선, 의정부역~광운대역 구간을 경원선, 광운대역~망우역 구간을 망우선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그러나 최단 거리로 이동하는 데에는 용산삼각선이 필수적이다.
용산삼각선 사이에 '한강로 우림필유' 아파트가 끼어 있다.#
2. 사건 사고
- 2020년 11월 13일, 수도권 전철 1호선 서울역에서 열차 고장으로 용산~광운대 구간의 운행이 중단되었을 때, 일부 열차가 이 노선을 통해 우회했다.
- 2024년 5월 1일, 유튜버 도티가 지난 4월 13일에 이 노선을 무단 침입해 촬영한 영상을 인스타그램에 게시한 것이 논란이 되었고, 결국 3일에 콘텐츠 제작진과 함께 과태료 처분을 받았다. 자세한 내용은 해당 문서 참고.
3. 기타
3.1. 주의사항
- 바로 옆 경부선, 경원선과 달리 육안상으로 보면 폐선이라 착각할 만큼 선로 상태가 좋지 못하다. 실제로 많은 관광객들이 폐선으로 착각하는지 이 노선 내에 위치한 삼각 백빈 건널목에는 다국어로 적힌 무단 출입금지 현수막이 걸려있을 정도이다. [4] 그렇다고 해서 선로에 무단으로 출입하는 행위는 명백한 철도안전법 위반[5]이므로 절대로 선로에 출입해서는 안 된다. 드물게 열차도 다닌다.
4. 역 목록
<rowcolor=#fff> 일러두기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 <rowcolor=#fff> 여객, 화물 취급 | |||
K | KTX 필수정차 | k | KTX 선택정차 | |
R | SRT 필수정차 | r | SRT 선택정차 | |
iC | ITX-청춘 필수정차 | ic | ITX-청춘 선택정차 | |
iM | ITX-마음 필수정차 | im | ITX-마음 선택정차 | |
iS | ITX-새마을/진입 시 새마을호 필수정차 | is | ITX-새마을/진입 시 새마을호 선택정차 | |
S | ITX-새마을 진입불가구간 새마을호 필수정차 | s | ITX-새마을 진입불가구간 새마을호 선택정차 | |
M | 무궁화호/누리로 필수정차 | m | 무궁화호/누리로 선택정차 | |
X | 동해산타열차 정차 | V | 백두대간협곡열차 정차 | |
N | 남도해양열차 정차 | G | 서해금빛열차 정차 | |
A | 정선아리랑열차 정차 | |||
T | 광역철도 급행 정차 | t | 광역철도 정차 | |
H | 화물취급 | ─ | 여객/화물 미취급 | |
<rowcolor=#fff> 역 등급 | ||||
⊙ | 관리역 | |||
○ | 보통역 | ◐ | 운전간이역 | |
● | 배치간이역 | ◑ | 무배치간이역 | |
◎ | 임시승강장 | ◇ | 을종위탁발매소 | |
‡ | 신호장 | † | 신호소 | }}}}}}}}} |
- 전 구간 서울특별시 소재이다.
㎞ | 역명 | ARS | 여객 | 화물 | 등급 | 분기선 | 소재지 | |
0.0 | 용산경부선분기[A] | ─ | ─ | ─ | ─ | 경부선 | 용산구 | |
0.5 | 경원선 분기[B] | ─ | ─ | ─ | ─ | 경원선 |
[A] 경부선 서울 기점 4.0km, 노량진역 방면[B] 경원선 용산 기점 0.8km, 이촌역 방면[3] 경원선분기 부근만(ATP경계)[4] 인근의 경원선 백빈 건널목이 촬영지로 유명하다.[5] 철도안전법 제48조 5항 위반에 해당하며 100만원 이하의 과태료가 부과된다.
제48조(철도 보호 및 질서유지를 위한 금지행위)
5. 선로(철도와 교차된 도로는 제외한다) 또는 국토교통부령으로 정하는 철도시설에 철도운영자등의 승낙 없이 출입하거나 통행하는 행위[A] [B]
제48조(철도 보호 및 질서유지를 위한 금지행위)
5. 선로(철도와 교차된 도로는 제외한다) 또는 국토교통부령으로 정하는 철도시설에 철도운영자등의 승낙 없이 출입하거나 통행하는 행위[A] [B]