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4-23 23:49:39

월드 스타


1. 개요2. 정의3. 분야별 목록
3.1. 가수3.2. 배우3.3. 스포츠

1. 개요

World Star. 세계구로 인기를 누리는 유명인을 지칭하는 단어이다.

1986년 씨받이베니스 국제 영화제 여우주연상, 1989년 아제 아제 바라아제모스크바 국제 영화제에서 여우주연상을 수상한 강수연에게 월드 스타라는 호칭이 처음 사용되었다. 이후 LOST를 통해 미국 방송에 출연한 배우 김윤진에게 붙었던 호칭이었는데, 국내 연예인들의 해외 진출이 점차 늘어나면서 해외에서의 인기를 국내 팬들에게 알리기 위한 언플로 종종 사용되기 시작했다. 한편 21세기에 접어들면서 한류의 팽창으로 실제로 전 세계적인 인지도를 얻은 한국인 스타들이 등장하고 있다.

2. 정의

파일:1624286878517.jpg파일:그래미_방탄.jpg
파일:5295d6694369d131358fc521eca55cc5.jpg파일:이정재 에미상.jpg
파일:손흥민 유벤투스.jpg
한국의 대표적인 월드 스타로 꼽히는 싸이, 방탄소년단, BLACKPINK, 이정재 그리고 손흥민

월드 스타는 한국어로 풀어 보면 세계구급 스타에 해당한다.

한류 스타는 한국 외부에서도 인기를 끄는 스타이고 월드 스타는 전 세계적으로 인기를 끄는 스타에 해당한다. '한국 외부'와 '전 세계'는 절대로 같은 범주가 아니기 때문에 당연히 한류 스타와 월드 스타 또한 같은 의미의 차이로 다르다. 월드 스타는 단순히 한국 밖에서 인기를 끄는 것을 넘어서 세계적인 지명도가 필수이다. 즉, 월드 스타 ⊂ 한류 스타인 것이며, 한류 스타에서 한 단계 발전하면 월드 스타가 되는 것이다. 이 세계적인 지명도라는 것은 아무래도 세계의 전반적인 지역들에서 전반적인 지명도를 가지는 경우로 보는게 가장 합당하다.

그런데 이 전 세계적 지명도라는 것은 기준을 잡기가 꽤 어렵다. 사실 마이클 잭슨 같은 사람조차도 어떤 국가에는 퍼지지 않았을 수 있으니 주요한 국가들에게 알려진 것을 기준으로 삼기 마련인데, 한국에서는 이때 주로 서구권 중심적으로 판단하는 경향이 짙다. 전 세계의 수많은 지역들 중 동아시아동남아시아 2개 지역에만 인기를 끈다면 보통 전 세계적 지명도라고 보지 않는데, 이들 지역은 세계의 중심이라는 구미권과 거리가 있기 때문이다. 그런 반면 미국에서 인기를 끌면 대체로 전세계적 지명도를 가지고 있다고 인정해준다. 그런 이유로 한류 스타들이 한창 동남아시아에서만 인기를 끌 때에는 "동남아시아에서만 인기를 끄는데 무슨 월드 스타냐"라는 비아냥도 많았다.

사실 한국인 중 세계에 조금 알려지기 시작한 이들을 수식하는 수식어에 가까워서 서구 주류 배우는 세계적 영향력을 떨쳐도 월드 스타라는 말을 잘 쓰지 않는다. 가령 톰 크루즈는 미국 스타이고, 한국에서 소개될 만큼의 미국 스타면[1] 월드 스타인게 이미 당연하다는 전제가 있기 때문에 굳이 수식어를 붙이지 않는다.

인터넷의 분위기상 월드 스타라는 닉네임은 마냥 좋게만 사용되지는 않는다. 미국 진출엔 성공했지만 커리어가 아직 한참 먼 신인인데도 월드 스타라는 언플을 한다는 이미지가 강하며, 주로 비아냥에 가까운 방법으로 쓰기도 한다. 가 이의 대표적 사례로 무릎팍도사에서 월드 스타란 호칭은 과분하며 국민들께서 진짜 월드 스타가 되라고 응원하는 차원에서 붙여준 것 같다고 하였고, 월드 스타 비가 아니라 수식어가 없는 비라는 이름으로도 충분히 인정받을 수 있도록 더 열심히 할 것이라고 했다. 김윤진무릎팍도사에 나와서 처음에는 좋았지만 드라마 한 편을 했을 뿐이라고. 진짜 월드 스타는 '톰 크루즈' 이름 그 자체로만 소개되지, '월드 스타 톰 크루즈'로 소개되지 않지 않냐며 나는 월드 스타라고 불리는 것이 고민이라고 출연했었다.

3. 분야별 목록

3.1. 가수

대표적인 월드 스타로 일컫는 한국 가수들은 데뷔 순서로 나열하면 싸이, 방탄소년단, BLACKPINK이다. 이에 유명 언론 매체나 각국 정상회담/중요 연설문 발표 시에[2] 대표적으로 언급되기도 한다.

물론 앞서 언급된 싸이, 방탄소년단, BLACKPINK까지 언급이 되는건 아니지만, 이외에 해외매체에서 가장 많이 언급되는 가수도 존재한다.
  • TWICE
    • 2021년 5월 트와이스의 일본 싱글 Breakthrough의 뮤직비디오 조회수가 1억뷰를 돌파하면서 총 17편의 뮤직비디오가 1억뷰를 넘어 전세계 걸그룹 최다 1억뷰 뮤직비디오 보유기록을 새웠디.[26]
    • 트와이스는 티켓 파워가 엄청나다.
      • 2019년 일본 데뷔 2년차에 현지 가수들에게도 꿈의 무대라 불리는 도쿄돔에서 해외 가수 최단 기간 입성K-POP 걸그룹 사상 최초의 일본 돔 투어기록을 새웠다.
      • 2022년 월드투어 III에서는 도쿄 돔 3일 연속 공연이라는 KPOP 걸그룹 최초의 기록을 새웠으면 일본 걸그룹을 포함해도 AKB48 이후로도 두번째 대기록이다.
      • 이듬해인 2023년에는 월드투어 READY TO BE에서 KPOP 걸그룹 최초 일본 스타디움 단독 공연을 성사시켰고, 한국 아이돌로는 동방신기, 세븐틴 이후로 두번째로, 해외 걸그룹 최초로 일본 최대 공연장 닛산 스타디움 단독 공연을 개최했다.
      • 2024년에는 트와이스의 유닛그룹인 미사모가 K-POP 유닛 그룹 최초 일본 돔투어를 개최하였고, 25년 1월 유닛만으로 도쿄 돔 공연을 성사시키면서 여성 가수 최단 기간으로 도쿄돔에 입성하였다.
    • READY TO BE는 일본뿐만아닌 다른 나라에서도 엄청난 규모로 공연하였다.
      • 미국에서는 소파이 스타디움에서 공연한ㅜ전세계 최초의 여성 헤드라이너가 되었고, 메트라이프 스타디움에서 공연한 최초의 걸그룹타이틀을 가져갔다.
      • 브라질과 호주에서는 K-POP 걸그룹 최초 스타디움 공연을 하기도 했으며 호주에서는 남녀 통틀어 최초이다.
      • 총 1년 3개월 동안 투어를 돌아 전세계 걸그룹 투어 매출 2위, 전세계 걸그룹 투어 2번째로 1억 달러 돌파라는 대기록을 새웠다. [27]
    • 2020년 MORE & MORE의 빌보드 200 첫 진입으로 그 이후로 발매한 모든 앨범이 빌보드 200에 진입하여 걸그룹 최다 빌보드 200 진입하였고, 진입한 앨범 7개중에 무려 5장이 빌보드 200 TOP 10에 오르며 걸그룹 최다 빌보드 200 TOP 10 진입 기록을 새웠다.
    • 일본의 차트인 오리콘에서 주간 싱글 차트에서 4회, 주간 앨범 차트에서 총 8회 1위를 하였고 주간 앨범 차트에서는 해외 여성가수 최다 1위라는 대기록을 새웠다.
    • 2023년에는 빌보드에서 개최하는 Billboard Woman In Music시상식에서 아시아 걸그룹 최초 수상과 공연을 하였다.
    • 2024년에 들어서 Lauv, Megan Thee Stallion, Coldplay등 해외 가수와도 협업이 늘어가는중이다.
      • Lauv는 트와이스의 싱글 I GOT YOU에 피쳐링에 참여하였고, Megan Thee Stallion과는 서로 피쳐링을 교환했다.[28] Coldplay는 25년에 총 6회 진행되는 콜드플레이의 내한 공연에서 6회 모두 게스트로 러브콜을 받고 공연과 협업 싱글도 발매하였다.
    • 2025년 시카고에서 열리는 롤라팔루자에서 걸그룹 최초로 헤드라이너에 올랐다.

3.2. 배우

배우 쪽은 직업의 특성상 언어적 한계에 부딪혀 서구권 진출이 어려운 편이다. 기본적으로 가수와 달리 서구권에 진출하려는 배우들은 유창한 영어가 필수라는 점이 가장 큰 장벽이다. 여배우로서 김윤진만큼 뚜렷한 흥행작을 남긴 것은 아니지만 배두나가 비교적 해외 활동을 활발하게 하고 있다.

배우들의 해외진출 초창기 시절 영화 쪽에서는 박중훈이 1998년 영화 아메리칸 드래곤으로 한국 배우 최초로 할리우드 주연을 맡았으며 이후 2009년 god박준형이 영화 드래곤볼 에볼루션으로 주연을, 는 영화 닌자 어쌔신에서 한국 배우 최초로 전무후무한 메이저 할리우드 영화 단독 주연을 맡았다. 이 영화로 MTV Movie & TV Awards에서 'Biggest Badass Star'상을 수상했다. 이병헌은 할리우드 작품들에서 비중있는 주조연을 맡으며 꽤 의미있는 실적을 냈다. 다만 과거에 배두나이병헌이나 월드 스타라는 칭호로 언플을 했었던 시절이 많이 지난 후였기 때문에 월드 스타라고 불리지는 않는다.

그러나 2021년 한국 배우 최초로 윤여정이 다수의 국제 영화제와 영국 아카데미 시상식, 미국 아카데미 시상식에서 영화 미나리여우조연상 후보에 노미되었고, 수상까지 하게 되면서 센세이션을 일으키며 주목받고 있다는 점이 새로이 월드 스타라고 불릴 만한 근거가 되기에 충분해 보이는 부분도 생겨나고 있다. 또 수현, 박서준 등 한국 배우들이 MCU 영화와 미국 상업 영화에 출연이 확정되면서 한국 배우들의 입지와 활동 영역이 점차 넓어지고 있다.

이처럼 서구 제작 작품이 아닌 본격 국내 작품으로서는 제92회 아카데미 시상식 4관왕의 영예를 안으며 해외에서 역사적 성과를 이뤘던 한국 영화 기생충을 기점으로, 2021년 넷플릭스에서 방영된 국내 드라마 오징어 게임이 전 세계적 센세이션을 일으키며 에미상을 포함해 미국 각종 메이저 시상식에서 남우주연상을 휩쓴 이정재가 한국 배우로서 확고한 월드 스타의 반열에 올라섰다. 이정재는 이러한 인기에 힘입어 미국 스타워즈 실사 드라마에 주연으로 캐스팅 되 제다이 마스터 역을 맡은 바 있다. #

3.3. 스포츠

이 월드 스타라는 용어는 연예계 외에서도 가끔 사용되기도 하는데 1995년 월드리그 국제배구 6강 진출의 주역으로 훌륭한 개인 성적을 냈던 배구 국가대표 공격수 김세진이 국내 언론에서 월드 스타라 불렸던 최초 사례라고 볼 수 있다. 2000년 이전 한국은 미지의 나라였던 탓에 국제경기 후 외국 매체에서 기사가 난 선수 혹은 감독을 월드 스타라 칭했다.

KBO 리그 팬들 사이에서 많이 사용되는데 KBO 팬들은 KBO 리그에서 발생한 사건이 MLB.com 대문에 떴을 때 해외 진출이라 표현하며 이 해외진출에 성공한 선수를 월드 스타라 칭하는데, 대표적인 선수로는 멋진 외플 빠던을 보여준 전준우전갈킥황재균, 공보다 빠른 박용근, 말도 안되는 스윙으로 홈런을 날린 정훈, 살아있는 주자가 아닌 유령주자를 따라간 것폴대 꼭대기를 맞추는 홈런유강남이 있고, 감독으로는 신개념 쉬프트 창시자 김기태가 있다. 2019년 전준우신본기가 유격수 머리 맞고 좌익수 플라이를 합작하며 또다시 롯데에서 월드 스타가 탄생했다.

스포츠 스타들 중 여러 나라에서 나름의 인지도가 있는 인물들로는 아시아 축구선수로서 프리미어 리그 토트넘에서 10년 넘게 뛰고 있는 손흥민, e스포츠 프로게이머 페이커가 있다.


[1] 한국에 알려질 정도면 다른 나라에도 얼추 알려졌다는 뜻으로, 물론 서구권의 스타라고 다 월드 스타인 것은 아니다. 서구권의 스타 중에도 자국에만 알려진 배우는 당연히 아주 많이 있다.[2] 문화, 미디어 산업, 엔터테인먼트 산업 등 내용 발표 시 한정.[3] 아시아 가수 최장 기간 차트인 3위[4] 그 당시에도 현재처럼 유튜브 조회수도 반영되었으면 이미 1위를 했고도 남기에 안타깝다는 반응이다. 그리고 덤핑 같은 상술을 쓰지 않았기에 더욱 가치가 있는 것이다.[5] MC 해머와 합동공연[6] #[7] 아시아 가수 최장 기간 차트인 2위(32주)[8] 영국 밴드 콜드플레이와의 합작 싱글.[9] FAKE LOVE, 작은 것들을 위한 시 (Boy With Luv) (Feat. Halsey), ON 이 세 곡들이 각각 (최고 순위) 10위, 8위, 4위를 기록했다.[10]LOVE YOURSELF 轉 'Tear'》(한국 가수 및 아시아 언어 앨범 최초), 《LOVE YOURSELF 結 'Answer'》, 《MAP OF THE SOUL : PERSONA》, 《MAP OF THE SOUL : 7》, 《BE》, 《Proof[11] 관련 기사[12] AMA(DNA), BBMA(FAKE LOVE), VMAs(Dynamite), GRAMMY(Butter)[13] 한국 가수 최초 빌보드 양대 차트에 동시 진입.[14] DynamiteButter의 뮤직비디오 24시간 공식 조회수는 각각 1억 110만뷰, 1억 820만뷰(기네스 세계 기록 5개 부문에 등재)로 기록되었다.[15] Dynamite, Butter, My Universe[16] 전 세계 2번째로 빌보드 양대 차트 동시 1위 데뷔. (최초 테일러 스위프트) 한국 가수 최초 ('Skit' 제외) 앨범 전곡 핫 100에 진입.[17] 정국, 슈가제이홉이 제이슨 데룰로와의 콜라보로 녹음하여 부른 곡.[18] 아시아 가수 최초 & 최고 기록. 관련 기사[19] Seven (feat. Latto), Dynamite[20] 뮤직비디오들과 통합 시 통산 9개.[21] (최고 순위 기준) 빌보드 핫 100 13위관련 기사, 빌보드 200 1위, 전 세계 여성 그룹 최초 빌보드 아티스트 100 1위 (관련 기사)[22] 5위는 킴 카다시안[23] 강남스타일 이후 K-POP 최고 성적[24] 미국 라디오 재생 횟수를 주간 단위로 집계하는 차[25] 최초 기록은 방탄소년단[26] 25년 4월은 더 7년이 추가되어 총 24편이다.[27] 두 부문에서 1위는 모두 블랙핑크BORN PINK WORLD TOUR이다.[28] Strategy(노래), Mamushi